• 제목/요약/키워드: penicillin G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31초

Brevibacterium sp. 로부터 유도된 PFP 내성 변이주에 의한 L-Tyrosine 생성 (Production of L-Tyrosine by PFP Resistant Mutant Induced from Brevibnrcterium sp.)

  • 배준태;박경숙;이별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1-28
    • /
    • 1996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of L-tyrosine by Brevibacterium flavum ATCC 14067. To select the strain which produce more L-tyrosine, mutants were induced by N-methyl-N'-nitro-nitrosoguanidine (NTG) treatment and phenylalanine auxotrophic mutants were induced by NTG and penicillin treatments. PFP resistant mutant was isolated from a phenylalanine auxotroph by retreatment with NTG and screened for increase of L-tyrosine production. PFP-326 mutant resistant to PPP (100ug/ml) was derived from phenylalanine auxotroph by mutagenesis with NTG and PFP-106 mutant resistant to PFP (1201g/ml) was derived from PFP-326 by mutagenesis with NTG. The composition of media for L-tyrosine production in strain PFP-106 was studied. PFP-106 mutant strain produced 50mg 11 of L-tyrosine while the parent strain produced 0.56mg 11 of L-tyrosine. The optimum composition of medium for L-tyrosine by strain PFP-106 was 10cA sucrose as carbon source, 3% ammonium sulfate as nitrogen source. The optimum cultural condition for producing L-tyrosine by strain PFP-106 was L-phenylalanine at a concentration of 1000g/mg.

  • PDF

수확후 채소류에 발생하는 진균독소의 탐색과 방제 (II) 이병된 양념 채소류(양파, 마늘, 고추)에서 주요 진균독소 검출 (Survey and Control of The Occurrence of Mycotoxins from Postharvest Vegetables in Korea (II) Detection of Major Mycotoxins from Diseased Spice Vegetables (Onions, Garlics and Peppers))

  • 정일민;주호종;심성철;백수봉;유승헌
    • 분석과학
    • /
    • 제11권3호
    • /
    • pp.206-212
    • /
    • 1998
  • 수확후 Alternaria, Penicillium 및 Fusarium에 이병된 고추, 양파, 마늘을 HPLC로 주요독소들을 검정한 결과 고추에서 Alternaria 독소의 AOH(alternariol)는 소량~$400{\mu}g/g$, ALT(alternuene)는 소량~$103{\mu}g/g$, TeA(tenuagonic acid)는 $249{\sim}342{\mu}g/g$ 및 AME(alternariol monomethyl ether)는 $206{\sim}294{\mu}g/g$이 검출되었고 양파, 마늘에서 Penicillium 독소의 citrinin이 $2.8{\sim}18.4{\mu}g/g$, penicillin-G는 $0{\sim}439.0{\mu}g/g$, penicillic acid는 $0{\sim}10.2{\mu}g/g$ 및 patulin은 $0{\sim}7.0{\mu}g/g$ 검출되었다. 그리고 양파, 마늘에서 Fusarium 독소로는 fusaric acid가 $0{\sim}553.6{\mu}g/g$ 검출되었을 뿐 deoxynivalenol과 nivalenol은 검출되지 않았다.

  • PDF

돼지 폐렴병소에서 분리한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의 특성에 관한 연구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rotypes of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isolated from pneumonic lungs of pigs)

  • 정병열;조길재;김봉환;조광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81-186
    • /
    • 1996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iochemical and serologic characteristic of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isolated from pneumonic lungs of pigs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92 to April 1993. A pleuropneumoniae was isolated from 17(27.0%) of 63 growing pigs with respiratory signs and 21(6.4%) of 330 pneumonic lungs of slaughtered pigs. The seasonal isolation frequency of A pleuropneumoniae was higher in winter and spring than that in summer or fall. The biochemical and cultural properties of A pleluropneumoniae isolated from the pneumonic lungs of pigs were identical to those of the reference strains used. The isolates were highly susceptible to ampicillin, cephalothin, ceftiofur, ciprofloxacin(MIC : ${\leq}0.39{\mu}g/ml$) and moderately susceptible to amikacin,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kanamycin, methicillin, penicillin-G, streptomycin(MIC : 0.78~25IU or ${\mu}g/ml$), respectively. Sulfadimethoxine, sulfamerazine, tylosine showed no response to the isolates(MIC : ${\geq}100{\mu}g/ml$). Among the 38 isolates, 21(55.3%) and 13(34.2%) were resistant to oxytetracycline aid lincomydn, respectively(MIC : ${\geq}50IU$ or ${\mu}g/ml$). The majority of 38 A pleuropneumoniae isolates were turned out as serotype 2(47.4%) or serotype 5(54.7%) and the remaining 3 isolates were evenly classified to serotype 7, 10 or 12. It was noted A pleuropneumonine serotype 5 isolates were more resistant to oxytetracycline than serotype 2 isolates.

  • PDF

Anti-IgE mAb Suppresses Systemic Anaphylaxis through the Inhibitory IgG Receptor Fc ${\gamma}$ RIIb in Mice - Interaction between Anti-IgE and Fc ${\gamma}$ RIIb -

  • Kang, Nam-In;Jin, Zhe-Wu;Lee, Hern-Ku
    • IMMUNE NETWORK
    • /
    • 제7권3호
    • /
    • pp.141-148
    • /
    • 2007
  • Background: Anti-IgE mAb which binds circulating but not receptor-bound IgE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treatment for asthma and other allergic diseases. However, the mechanisms by which anti-IgE mAb influences the pathophysiological responses are remained to be illustrated.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non-anaphylactogenic anti-mouse IgE mAb using murine models of IgE-induced systemic fatal anaphylaxis. Methods: Active systemic anaphylaxis was induced by either penicillin V(Pen V) or OVA and passive systemic anaphylaxis was induced by either anaphylactogenic anti-mouse IgE or a mixture of anti-chicken gamma globulin (CGG) IgG1 mAb and CGG. The binding of the Fc portion of anti-IgE to CHO-stable cell line expressing mouse Fc ${\gamma}$ RIIb was examined using flow cytometry. Fc fragments of anti-IgE mAb were prepared using papain digestion. The expression of phosphatases in lungs were assessed by Western blotting and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Anti-IgE mAb prevented IgE- and IgG-induced active and passive systemic fatal reactions. In both types of anaphylaxis, anti-IgE mAb suppressed antigen-specific IgE responses, but not those of IgG. Anti-IgE mAb neither prevented anaphylaxis nor suppressed the IgE response in Fc ${\gamma}$ RIIb-deficient mice. The Fc portion of anti-IgE mAb was bound to murine Fc ${\gamma}$ RIIb gene-transfected CHO cells and inhibited systemic anaphylaxis. Anti-IgE mAb blocked the anaphylaxis-induced downregulation of Fc ${\gamma}$ RIIb-associated phosphatases such as src homology 2 domain-containing inositol 5-phosphatase (SHIP) and phosphatase and tensin homologue deleted on chromosome ten (PTEN). Conclusion: Anti-IgE mAb prevented anaphylaxis by delivering nonspecific inhibitory signals through the inhibitory IgG receptor, Fc ${\gamma}$ RIIb, rather than targeting IgE.

외래유전자를 주입한 소 수정란에서 형질전환가능 수정란의 선발 (Preselection of Bovine Blastocysts Expressing Exogeneous Gene Following Microinjection)

  • 공일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7-176
    • /
    • 1997
  • 본 연구는 수정란을 수란우에 이식하기 이전에 형질전환가능 수정란을 선발할 수 있다면 형질전환동물의 생산에 크게 도움이 되므로 3.2 kb $\beta$-actin promoter (lacZ/n대) DNA를 미세주입하여 배반포기배에서의 발현을 확인하여 이들을 선발할 수 있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엿다. 채란된 난포란은 10%FBS, 5$\mu\textrm{g}$/ml LH, 0.5$\mu\textrm{g}$/ml FSH, 100 unit/ml penicillin 및 100 $\mu\textrm{g}$/ml streptomycin이 함유된 TCM199에 22~24 시간동안 체외성숙을 유도후 5$\mu\textrm{g}$/ml heparin으로 수정능획득을 유도한 1$\times$106 sperm/ml의 정자로 체외수정을 시켰다. 체외수정후 18~20시간째에 vortexing에 의해 과립막세포를 제거하고 원심분리시켜 자/웅전핵이 확인되는 수정란의 핵에 3~4 ng/${\mu}\ell$ lacZ/neo DNA를 미세주입하였다. 모든 수정란의 배양은 3 mg/ml BSA, 20${\mu}\ell$/ml NEM AMINO acids 및 40${\mu}\ell$/ml BME amino acids가 함유되어 있는 CR1aa 배양액에 neo/DNA로 transfected 된 BRL 단층에서 실시하였다. G418에 대한 적정농도를 찾기 위하여 정상적인 수정란에 0, 50, 100 및 200 $\mu\textrm{g}$/ml G418를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8일째에 30.3%(44/145), 8.7%(13/150), 0.7%(1/151) 및 0% (0/134)의 수정란이 배반포기까지 발달하였다. 그래서 본 실험에서는 일정하게 100$\mu\textrm{g}$/ml G418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총 1,127개의 수정란을 미세주입후 G418 없는 배양액에서 710개 (63.0%)가 분할하였다. 미세주입후 48시간째에 2-세포기이상 분할된 수정란을 대조구 및 100$\mu\textrm{g}$/ml G418처리구를 무작위로 할당하여 배양하였으며, 또한 740개의 정상수정란도 같은 반복수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미세주입한 수정란은 8일 후 11.6%(26/255) 및 5.2% (14/267)가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에서 배반포기까지 발달하였으며 정상수정란은 27.2% (151/740)가 배반포기 배까지 발달하였다. 미세주입후 대조구에서는 23.1$\pm$2.6/70.7$\pm$4.7 (32.7%)의 할구가 $\beta$-Gal 활력을 보였고, 반면에 100$\mu\textrm{g}$/ml G418 처리구에서는 40.3$\pm$4.1/48.8$\pm$7.5 (82.6%)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비록 mosaic 형태로 외래유전자가 발현되었지만 대조구에서 87.0% (26/30개)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인 반면, G418 처리구에서는 모든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P<0.05). 그러나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의 ICM colony에서는 영양배엽과 내배엽을 제외한 epiblast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결과로부터 $\beta$-actin promoter/lacZ gene이 integration되지 않는 것인지 또는 다만 염색 확인이 되지 않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는 없다. 이상의 결과는 미세주입후 G418에서 배양한 배반포기배에서는 대부분의 할구에서 주입된 gene을 발현하고 있었으나 ICM colony에서는 특히 epiblast에서는 발현되지 않거나 침묵하고 있었다. 비록 G418 처리구에서 훨씬 더 높은 비율로 주입된 gene이 발현되고 있으나 총세포수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이후 형질전환동물의 생산과 ES like-cell의 설립에는 감소될 것으로 사려된다. 그러나 형질전환 수정란의 선발 및 형질전환동물의 생산능력에 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려된다.

  • PDF

상추와 원유에서 분리한 황색 포도상구균의 유전형 및 표현형 특징 (Genotypic and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from Lettuces and Raw Milk)

  • 정혜진;조준일;박성희;하상도;이규호;김철호;송은섭;정덕화;김민곤;김광엽;김근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34-141
    • /
    • 2005
  • S. aureus는 자연계에 널리 상재해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Salmonella spp.에 의한 식중독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는 식중독의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상추와 원유로부터 분리한 S. aureus(n=86)의 표현형 및 유전형 특징을 파악할 목적으로 coagulase, hemolysin, enterotoxin 및 toxic shock syndrome toxin I 등에 대한 유전자를 대상으로 PCR 방생제 감수성 시험을 수행하여 그들 분리균주들의 항생제 내성정도를 결정하였다. 상추와 원유로부터 분리한 S. aureus 균주는 모두 coagulase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었고, 또한 PCR 산물의 amplicon size는 500bp(2.4%), 580bp(17.4%), 660bp(61.6%), 740bp(17.4%) 및 820bp(1.2%)로 다섯 종류가 검출되었다. Hemolysin 유전자의 경우는 원유로부터 분리한 4개의 hld 유전자 보유균주를 제외하고 모든 분리균주에서 multiple hemolysin gene을 보유하였으며, 그 중 47개 균주(54.7%)가 hla/hld/hlg2 유전자를 모두 소유한 균주로서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한편, enterotoxin 유전자를 소유한 S. aureus 분리균주는 37 균주(43.0%)로서 그중 32균주(37.2%)에서 sea 유전자가 검출되었고, 1균주(1.1%)에서 sed 유전자, 그리고 4균주(4.6%)에서 sea와 sed 유전자가 모두 검출되었으나, seb, sec 혹은 tsst-1 유전자는 검출되자 않았다. 그리고 항생제 감수성 시험 결과에서는 모든 균주가 ciprofloxacin, oxacillin, vancomycin 그리고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하여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penicillin G(98.8%)는 높은 감수성을 보였으나 chloramphenicol(63%)과 erythromycin(59%)은 감수성이 낮았고, chloramphenicol, clindamycin, erythromycin 및 penicillin G에 대하여는 각각 4.7%, 82.6%, 14.0% 및 1.2%의 균주가 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항생제 다제내성 양상을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사용된 8종류의 항생물질들 중 2가지 항생물질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낸 균주는 7개(8.1%)이고, 3종 이상의 항생물질에 대하여 다제 내성을 보이는 균주는 나타나지 않았다.

샐러드와 새싹채소에서 Enterococcus의 분리와 항생제 내성특성 (Antibiotic Resistances of Enterococcus Isolated from Salad and Sprout)

  • 강태미;조선경;박종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2-148
    • /
    • 2008
  • 샐러드와 새싹채소에서 분리한 Enterococcus의 항생제 내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샐러드 47개와 새싹채소 37개에서 Enterococcus를 분리하여 항생제 내성을 분석하였다. 총 95균주, 샐러드에서 41균주 새싹채소에서 54균주의 Enterococcus를 분리하였으며 대부분이 E. gallinarium, E. faecalis, E. faecium, E. hirae, E. casselifla편, E. avium으로 동정되었다. Vancomycin의 최소 생육 저해 농도는 $4{\mu}g/mL$ 이하로 샐러드와 새싹채소에서 분리된 Enterococcus에서는 vancomycin내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모든 Enterococcus에서 streptomycin과 chloramphenicol에 내성을 보였으며, 22% Enterococcus는 penicillin에서 저농도 내성을 보였다. 그러나 거의 모든 Enterococcus에서 tetracycline에 민감성을 나타내었다. 검출된 모든 E. faecium과 E. faecalis에서도 ampicillin 저농고 내성을 보였으며, 7균주의 E. faecium과 5균주의 E. faecalis에서 rifampin 저농도 내성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분리된 Enterococcus는 vancomvcin과 다른 항생제에 대해 감수성과 낮은 내성을 각각 보였으며 다른 식품 분리균주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샐러드와 새싹채소에서의 분리된 Enteroccocus는 vancomycin과 다른 항생제에도 내성이 낮아 특별히 항생제 위해정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부패하는 두부로부터 미생물의 분리ㆍ동정 및 특성조사 (Character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from Putrefying Soybean Curd)

  • 주길재;허상선;최용희;이인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92-298
    • /
    • 1998
  • 부패하는 두부에서부터 각종 미생물 18종을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B. cereus, X. luminescens, A. calcoaceticus, Kl. pneumoniae, S. typhimurium, Pantoea sp., Bacillus sp., Cardiobacterium sp., E. coli, St. aureus, Yersinia sp. 등 11종의 각기 다른 미생물로 나타났다. 실온에서 두부의 부패 과정중 이들 미생물의 존재 함량은 B. cereus J55 23.37%, X. luminescens J48 22.37%, A. calcoaceticus J61 22.26%, X. Luminescens J48 22.73%, A. calcoaceticus J61 22.26%, Kl. pneumoniae J62 21.25%, S. typhimurium J51 2.87%, Pantoea sp. J57 2.65%, S. typhimurium J51 2.87%, Pantoea sp. J57 2.65%, Bacillus sp. J58 1.43%, Cardiobacterium sp. J54 1.26%, E. coli J53 1.20%, St. aureus J60 0.93%, Yersinia sp. J50 0.05%로 존재하였다. 이들 미생물을 각각 두부에 접종하여 두부 부패성을 조사한 결과, B. cereus J55, X. luminescens J48, Ac. calcoaceticus J61, Kl. pneumoniae J62 등 4종류의 균주는 두부부패를 진행시켰으며 심한 변패취를 내었고 액즙이 혼탁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인지할 수 있었으며 또한 proteinase의 활성 및 amylase의 활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나머지 7균주는 두부 부패에 큰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11종의 미생물에 대하여 각종 항생제 내성을 조사한 결과, amicacin, gentamicin, tobramycin 등 aminoside계 항생물질에 대해서는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는 반면, penicillin G, oxacillin, cephalothin, cefazolin, cefamandole 등 $\beta$-lactamine계 항생제에 대해서 높은 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 PDF

생선 내장으로부터 분리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에 의한 히스타민 생산균의 제어 (Control of histamine-forming bacteria by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ish intestine)

  • 임은서;이남걸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52-36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생선 내장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 특성과 아민 산화효소(diamine oxidase, DAO) 및 박테리오신 생산을 통한 히스타민 분해능을 조사하였다. 조기, 가자미, 명태 및 우럭 내장으로부터 분리된 총 97종의 유산균 중에서 CIL08, CIL16, FIL20, FIL31, PIL45, PIL49, PIL52 및 RIL60 균주는 인공 소화액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고, HT-29 상피세포에 대해서도 높은 부착력을 보였으며, 항생제(amoxicillin, ampicillin, erythromycin, penicillin G, streptomycin, tetracycline 및 vancomycin)에 대한 내성도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이들 균주들은 히스티딘이 함유된 탈카르복시화 액체배지 내에서 히스타민을 생산하지 않았다. 특히 DAO를 생산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CIL08, FIL20, PIL52 및 RIL60 등의 4균주는 히스타민 분해능이 유의하게 높았다. FIL20, FIL31 및 PIL52 유산균이 생산한 박테리오신에 의해선 Enterococcus aerogenes CIH05, Serratia marcescens CIH09, Enterococcus faecalis FIH11, Pediococcus halophilus FIH15, Lactobacillus sakei PIH16, Enterococcus faecium PIH19, Leuconostoc mesenteroides RIH25 혹은 Aeromonas hydrophilia RIH28의 증식과 히스타민 생성량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생선 내장에서 분리된 히스타민 생성균과 히스타민 분해능 혹은 박테리오신 생산능을 가진 CIL08, FIL20, PIL52 및 RIL60 유산균과 혼합 배양에 의해 히스타민 축적량이 감소되었다. 히스타민 생성을 억제하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배양학적 특성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Pediococcus pentosaceus CIL08, Lactobacillus plantarum FIL20, Lactobacillus paracasei FIL31, Lactobacillus sakei PIL52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 RIL60으로 동정되었다.

토양에서 분리한 Bacillus thuringiensis 7균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Seven Isolates from Soil)

  • 이형환;주대걸;강승철;임헌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77-383
    • /
    • 1992
  • Bacillus thuringiensis 7균주를 한국의 토양에서 분리하여 특성을 연구했다. 상기의 7균주를 HL-8, 10, 12, 13, 14, 15와 16으로 명명했으며, 이들 균주들은 세포내의 다양한 형태의 parasproal endotoxin crystal과 내생포자를 형성한 것을 위상차현미경으로 관찰했다. 분리균주들의 생화학적인 특성은 이미 알려진 균주들과 유사했으나, 특이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각 분리균이 가지고 있는 플라스미드를 분리하여 분자량과 수를 조사한 결, HL-8 과 HL-10은 6종류의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었으며, 분자량의 범위는 3.01-15.1Md 이었고, HL-12균주는 4종규의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었으며, 분잘량의 범위는 5.4-21.9Md이었고, HL-13균주도 4종류의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었으나 분자량은 차이가 없었다. HL-15균주도 3종류의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었으며, 분자량의 범위는 2.4~13.5Md이었고, HL-15균주도 3종류의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었으며, 분자량의 범위는 3.4~11.4Md이었고, HL-16도 3종류의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었으며, 분자량의 범위는 2.4~20.1Md이었다. 상기 분리균는 공히 ampicillin, bacitracin, cephalothin, methicillin과 penicillin G에 저항성을 나타냈다. HL-8과 15는 48시간내에 Culex pipiens 모기 3령유충에 100%의 살충성을 나타냈고, 다른 균주는 이보다 낮았다. 특히 HL-13은 살충성이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