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icled omental flap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4초

유경성 대망이식편을 이용한 술후 식도천공 치험1례 (Surgical Treatment of Postoperative Leakage with Pedicled Omental Flap)

  • 임창영;김요한;유회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4호
    • /
    • pp.325-328
    • /
    • 1993
  • The pedicled omental flap has been used for treatment of various kind of complications in thoraxcic surgery. Its property of promoting neovascularization , immunilogic properties that limiting the spread of infection, providing soft tissue coverage are very effective in treatment esophageal fistulas. Also, congenital broncho-esophageal fistula [ BEF ] is a rare disease entity which was reported about 100 cases around the world. We experienced 27 years old female patient with Braimbridge type I congenital BEF. We performed division of BEF using stapler and pericardial patch coverage of esophageal side with concomittent left lower lobectomy. This patient was complicated with postoperative esophageal leakage with empyema thoracis. We have successfully managed these problems with re-thoracotomy and re-closure of esophageal fistula using Right Gastroepiploic Artery based pedicled omental flap wrapping around the esophageal anastomosis site. It is felt that pedicled omental flap is a very effective method to manage esophageal complication such as postoperative esophageal leakage.

  • PDF

유경 대망이식술의 합병증으로 발생한 횡격막탈장 (Diaphragmatic Hernia as a Complication of Pedicled Omentoplasty)

  • 윤찬식;정재일;김재욱;구본일;이홍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2호
    • /
    • pp.968-971
    • /
    • 2001
  • 유경 대망이식술은 흉부 수술시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지만 수술 후 몇 가지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본 교실에서는 65세 남자 환자에서 유경 대망이식술 후 합병증으로 발생한 횡격막탈장 1례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환자는 진균성 하행흉부대동맥류의 대동맥 이식편성형술 시행 3개월 후 발생한 대동맥식도누공으로 흉부동맥류는 절제하고 상행흉부대동맥과 복부대동맥간에 우회술을 시행받고 식도누공을 봉합한 후 유경 대망판을 식도의 봉합부와 대동맥 단락부에 이식하였다. 수술 3년 뒤에 위가 횡격막으로 탈장된 것이 발견되었고 개흉술 실시하에 유경 대망판을 결찰하고 분리한 뒤 횡격막의 결손부위를 봉합하였다.

  • PDF

식도 절제술 후 발생한 위기관지 누공 1예 (A Case of Gastrobronchial Fistula after Esophagectomy)

  • 김현태;손국희;김영삼;김정택;백완기;김광호;윤용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93-196
    • /
    • 2004
  • Ivor Lewis 수술 후에 발생하는 위기관지 누공은 매우 드물지만 위중한 합병증이다. 본 증례는 식도암환자에서 Ivor Lewis 수술 후 15개월째에 발생한 위기관지 누공에 대하여 단 단계 교정술을 시행한 것으로, 먼저 위식도 누공을 분리한 후 기관지 부위와 위 부위의 결손을 직접 봉합했고, 대망편과 5번째 늑간근편을 이용하여 봉합된 결손부위 사이를 보강하였다. 본원에서 시행한 식도 절제술 후의 합병증으로 발생한 위기관지 누공에 대한 치료로 좋은 결과를 보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전폐절제술 후 기관지 흉막루를 동반한 농흉에서 유경성 대망 이식편과 흉곽성형술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에 대한 임상 고찰 (Surgical Results for Treating Postpneumonectomy Empyema with BPF by Using an Omental Pedicled Flap and Thoracoplasty)

  • 정성철;김미정;송창민;김우식;신용철;김병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6호
    • /
    • pp.420-427
    • /
    • 2007
  • 배경: 전폐절제술 후 발생한 기관지 흉막루로 인하여 농흉이 생기게 되는데 이에 대한 여러 가지 수술적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여전히 난제로 여겨진다. 이 중 유경성 대망 이식편을 이용한 기관지흉막루의 폐쇄술과 흉곽성형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추적관찰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12월부터 2006년 1월까지 전폐절제수술 후에 합병증으로 발생한 기관지 흉막루에 대하여 유경성 대망 이식편을 이용한 기관지 흉막루의 폐쇄술을 총 9명에서 시행하였다. 남녀비는 7 : 2였고평균나이는 $45.9{\pm}9$세였다. 총 추적기간은 58개월(중간값 28개월, $6{\sim}169$)이고 모두 최근까지 추적 관찰되었다. 유경성 대망 이식편을 이용한 수술 시 흉곽성형술이 8명에서 동시에 시행되었고 1명에서는 Clagett수술을 시행하였으나 다시 농흉이 재발하여 흉곽성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흉곽성형술을 동시에 시행받은 8명의 환자 중 1명이 패혈증으로 조기 사망하였고 유일하게 Clagett 수술을 동시에 시행받은 1명의 환자가 술 후 40개월에 급성간부전으로 만기 사망하였다. 1명의 환자에서 늑간 사이의 농양형성으로 인하여 절개 및 배액술을 시행하였다. 추적기간 중 조기사망 1예가 발생하여 수술과 관련된 사망률은 11.1%였고 만기사망 1예를 포함한 8명의 환자 중 8명 모두 기관지 흉막루가 폐쇄되었고 7명의 환자에서 농흉이 제거되었다. 결론: 결핵성 파괴폐로 인한 전폐절제술 후 발생한 기관지 흉막루를 동반한 농흉의 치료에서 유경성 대망 이식편을 이용하여 기관지 흉막루를 막는 방법은 효과적이었고 선택된 환자들에서 수정된 흉곽성형술을 동시에 시행하여 사강을 없애 주는 것은 비교적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된다.후 심방세동 발생을 예측하는 데 유용한 인자이다. 심방세동 발생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술 후 적극적으로 예방적 항부정맥제 사용을 고려해야 한다.많으며 한국산 연어 계군을 타 계군과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는 표식도 아직까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기생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한국산 연어의 계군 분석에 대한 최근의 연구 결과에 관하여 마지막으로 언급하였다.산화됨과 동시에 출력 산소농도가 입력농도와 다시 같아질 때까지 소요된 구간이 산화시간이 된다._{35}$ 박막 내의 상대적으로 원자 밀도가 큰 기둥(Columnar)구조가 생성되고, 이 원자 밀도가 높은 기둥구조의 댕글링본드와 주입된 수소가 흡착하여 에너지대의 국재준위를 감소시키기 때문으로 판단된다.법으로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차 shimming 을 통하여 불균일도를 개선하고, single shot 과 interleaving 을 적용한 multi-shot 나선주사영상 기법으로 $100{\times}100$에서 $256{\times}256$의 고해상도 영상을 얻어 고 자장에서 초고속영상기법으로 다양한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연구에서 연구된 $[^{18}F]F_2$가스는 친핵성 치환반응으로 방사성동위원소를 도입하기 어려운 다양한 방사성의 약품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었으나 움직임 보정 후 영상을 이용하여 비교한 경우, 결합능 변화가 선조체 영역에서 국한되어 나타나며 그 유의성이 움직임 보정 전에 비하여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뇌활성화 과제 수행시에 동반되는 피험자의 머리 움직임에 의하여 도파민 유리가 과대평가되었으며 이는 이 연구에서 제안한 영상정합을 이용한 움직임 보정기법에 의해서 개선되었다. 답이 없는 문제,

기관재건술 후 발생한 심부 종격염 -흉골 절제, 위망 이식, 근피성형을 병합한 근치술- (Definitive Surgical Management for Deep-Seated Mediastinitis and Sternal Osteomyelitis Following Tracheal Reconstruction -Sternectomy, Free or In-Situ Omental Transfer, Myocutaneous Flap-)

  • 이서원;김정택;김광호;이충재;김영모;임현경;선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206-210
    • /
    • 1999
  • 기관재건술 후 발생한 심부 종격염 2례에 대해 흉골절제, 대위망 자유이식 혹은 전치술, 근피성형술을 병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한다. 증례 I은 8세된 남아에서 흉골 정중절개로 전방기관성형술을 실시한 후 심부 종격염과 흉골 골수염이 발생한 경우였으며, 증례 II는 50세된 여자에서 상부 흉골의 부분 정중절개로 기관절제 및 단단문합을 실시한 후 종격농양과 흉골 골수염이 발생한 경우였다. 치료는 두례 모두 배농을 시키고 일정기간 세척한 다음, 골수염이 생긴 흉골을 광범위 절제하고 대위망으로 종격을 덮은 후 양측 대흉근을 피부와 함께 박리하여 전흉벽을 재건하였다. 이때 증례 I의 경우는 대위망을 분리한 뒤 횡격막을 통해 종격부위에 위치시켰으며 (in-situ pedicled grafting), 증례 II의 경우는 대위망을 자유이식편으로 만들어 우횡경동맥과 외경정맥에 연결한 후 피하출구을 통해 상부종격에 위치시켰다 (free grafting). 양례 모두 술후 쾌회복하였으며 외래를 통해 추적관찰 중이다.

  • PDF

기관지흉막루를 동반한 전폐절제술후 농흉의 수술치료: 유경 대망판과 흉벽근육을 사용한 치험 2례 (Surgical Treatment of Postpneumonectomy Empyema with Bronchopleural Fistula - 2 Cases using Pedicled Omental Flap & Muscle Transposition -)

  • 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9호
    • /
    • pp.945-949
    • /
    • 1991
  • The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empyema with bronchopleural fistula is remained as serious postoperative complication in thoracic surgery. Although several operative procedures for the treatment of postpneumonectomy empyema have been reported, the method of treating empyema, and in particular empyema associated with fistula, remains controversial. Recently some successful results have been reported by use of the omentum in the patients with thoracic empyema resulting from bronchial fistula. We have performed one-stage operations using the omentum and chest wall muscles in 2 patients, one was acute, and the other was chronic case. Their postoperative courses were uneventfu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