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athogenicity.

검색결과 1,335건 처리시간 0.029초

큰느타리버섯 재배실태조사와 기형버섯 발생경감에 관한 연구 II. 기형버섯 발생경감 재배기술 (Investigation of Actual Culture Conditions of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and Methods for Reduction of Fruit-body Malformations II. Culture Methods for Reduction of Fruit-body Malformations of King Oyster Mushroom(Pleurotus eryngii))

  • 하태문;주영철;신평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9-73
    • /
    • 2011
  • 1995년이후 부터 재배되어온 큰느타리버섯은 배양중 오염율 증가, 발이상태불량, 기형버섯의 발생, 수량 격감 등 이른바 연작장해로 불리어지는 재배상 문제점들에 대한 원인파악과 해결책이 요구되어, 발이상태 불량과 기형버섯 발생원인이 병원균과 발이 및 생육환경 관리방법에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병원균 종류 및 접종시기와 발이유기시 환기량에 따른 기형버섯 발생양상과 발이특징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병원균 종류 및 접종시기별 배양율은 병원균 접종시기를 버섯종균접종과 동시에 접종할 때 44~63%로 낮았고, 병원균 종류별로는 Erwinia sp.+Peudomonas sp. 혼합 처리구에서 낮았다. 초발이소요일수는 발이유기시 환기를 충분히 시켰을 때($1,000{\pm}250ppm$) 병원균을 종균접종시 접종한 처리구에서 12~15일이 소요되었고, 나머지 다른 처리구에서는 10일로 동일하였으나, 환기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2,000{\pm}250ppm$)모든 처리구에서 12~14일로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발이율은 발이유기시 환기량이 충분할 때, 종균접종시 병원균이 접종된 처리구에서 정상발이율이 29~56%로 낮았고, 나머지 처리구에서는 77~86%로 병원균 무접종 처리구 89%와 큰 차이가 없었으며, 환기량이 부족할 경우 병원균종류와 시기에 관계없이 병원균 무처리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32~57%정도로 낮았다. 수량은 환기량이 충분할 때 병원균 무접종 처리구에서 83.8g/병으로 높았고, 종균접종시 처리구에서 10.9~28.2g으로 낮았으며, 병원균접종시기가 배양완료10일전, 발이유기시 처리구에서는 68.1~79.6g/병으로 병원균 무접종 처리구와 비슷하였다.

Comparative Genomics Profiling of Clinical Isolates of Helicobacter pylori in Chinese Populations Using DNA Microarray

  • Han, Yue-Hua;Liu, Wen-Zhong;Shi, Yao-Zhou;Lu, Li-Qiong;Xiao, Shudong;Zhang, Qing-Hua;Zhao, Guo-Pi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1호
    • /
    • pp.21-28
    • /
    • 2007
  • In order to search for specific genotypes related to this unique phenotype, we used whole genomic DNA microarray to characterize the genomic diversity of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strains isolated from clinical patients in China. The open reading frame (ORF) fragments on our microarray were generated by PCR using gene-specific primers. Genomic DNA of H. pylori 26695 and J99 were used as templates. Thirty-four H. pylori isolates were obtained from patients in Shanghai. Results were judged based on In(x) transformed and normalized Cy3/Cy5 ratios. Our microarray included 1882 DNA fragments corresponding to 1636 ORFs of both sequenced H. pylori strains. Cluster analysis, revealed two diverse regions in the H. pylori genome that were not present in other isolates. Among the 1636 genes, 1091 (66.7%) were common to all H. pylori strains, representing the functional core of the genome. Most of the genes found in the H. pylori functional core were responsible for metabolism, cellular processes, transcription and biosynthesis of amino acids, functions that are essential to H. pylori's growth and colonization in its host. In contrast, 522 (31.9%) genes were strain-specific genes that were missing from at least one strain of H. pylori. Strain-specific genes primarily included restriction modification system components, transposase genes, hypothetical proteins and outer membrane proteins. These strain-specific genes may aid the bacteria under specific circumstances during their long-term infection in genetically diverse hosts. Our results suggest 34 H. pylori clinical strains have extensive genomic diversity. Core genes and strain-specific genes both play essential roles in H. pylori propagation and pathogenesis. Our microarray experiment may help select relatively significant genes for further research on the pathogenicity of H. pylori and development of a vaccine for H. pylori.

콩나물 부패병 방제를 위해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길항균 Pseudomonas fluorescens의 이용 (Isolation and Utilization of Antagonistic Pseudomonas fluorescens from Soils for the Protection of Soybean Sprouts Rot)

  • 김진호;주길재;최용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0-56
    • /
    • 2001
  • 부패된 콩이나 콩나물에 존재하는 33종$(K-1{\sim}K-33)$의 각종 미생물로부터 콩나물 부패에 관여하는 세균(K-17)과 진균(K-28)을 각각 1종류씩 분리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Erwinia carotovora와 Fusarium sp.로 동정하였다. 콩나물 부패균에 길항하는 미생물은 각종 토양 균원시료로부터 분리한 350여종의 세균을 이용하여 콩나물 부패세균인 K-17 균주와 진균인 K-28 균주에 각각 길항력을 나타내는 J-232 세균을 최종 선발하였다. 길항균 J-232는 Pseudomonas fluorescens로 동정되었다. 콩나물 부패균 E. carotovora K-17과 Fusarium sp. K-28의 배양액으로 재배한 콩나물은 시루 아랫부분이 부패하였으나, 길항균 P. fluorescens J-232는 PDA 한천배지에서도 부패균들의 생육을 억제하였을 뿐만아니라 길항균 배양여액을 단독으로 콩나물재배에 처리할 경우에도 시루 내 콩나물은 부패되지 않았다. 콩나물 부패균 E. carotovora K-17과 Fusarium sp. K-28의 배양액에 길항균 P. fluorescens J-232의 배양액을 원액 또는 500배까지 희석하여 침지한 후 재배한 콩나물도 전혀 부패되지 않았으며 생육이 약간 촉진되는 경향이었다.

  • PDF

토양과 곤충 사체로부터 곤충병원성 선충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eation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from Soil and Insect)

  • 한상미;한명세
    • 환경생물
    • /
    • 제17권3호
    • /
    • pp.321-330
    • /
    • 1999
  • 우리나라의 다양한 지역에서 100개의 토양과 곤충사체에서 누에 trap을 이용하여 곤충병원성 선충을 분리하였으며, 위생해충인 털검정파리유충(Calliphora vomitoria)과 농업해충인 멸강나방유충(Pseufaletia separata), 북방풀노린재 (Palomena angulosa) 그리고 왕풍뎅이유충(Melolontha incana) 에 대하여 20∼80%의 살충력을 나타내며, 누에(Bombyx mori mori)유충과 번데기에 대한 살충력은 100%인 선충 30계통을 선발하였다. 선발한 선충 30계통은 형태적 특징에 따라 Rhabditidae, Heteror-habditidae, Diplogasteridae, Steinernematidae, Tylenchidae의 5개 분류군으로 나뉘어졌다. 선충의 동정법 개선 및 분자생물학적 분류기준의 검토를 위하여 random primer 130개 중에서 20개의 primer를 선발하고, genomic DNA의 RAPD-RCR을 수행한 결과 유사도 0.853에서 형태적 분류기준과 일치하였다. 유사도계수를 이용한 5개 분류군에 속하는 선충 계통간의 유전적 근연관계는 Rhabditida에서 Steiner-nematidae는 경우 동일 목의 Heterorhabditidae및 Rhabditidae와는 유사도 0.819로서 거리가 멀고, 다른 목인 Tylenchidae와는 0.827로서 보다 더 근연이었다. 또한 Rhabditidae분류군은 유사도 0.863에서 다시 2개의 분류군으로 나누어졌으나 형태적 차이는 명확하지 않았다. 형태적 분류를 참조한 genomic DNA의 RAPD결과 유사도의 적절한 응용은 생물적 방제를 위한 곤충병원성 선충의 선발 및 동정에 있어서 형태적 단순성에 기인하는 자연분류의 한계를 보완 또는 극복할 수 있는 분자생물학적 동정법으로서 유용할 것이다. 또한 RAPD에 의한 동정은 생태환경에서 다수의 개체를 확보하기 쉬운 dauer larvae 또는 infective juvenile 등 유충기의 선충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노력이 소요되는 성충의 채집과 표본제작 등이 생략되므로 선충의 동정에 매우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 PDF

경상북도지역의 오염된 토양에서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곤충병원성 선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at Heavy Metal Contents in the Polluted Soil of Kyungsangbuk-do Area)

  • 한상미;황경숙;백하주;김무식;한명세
    • 환경생물
    • /
    • 제20권4호
    • /
    • pp.360-365
    • /
    • 2002
  • 경상북도내의 금속광산, 공장 및 공업, 일반폐기물, 공단주거지역 및 특수 용수사용지역 등 360곳의 토양을 2001년 3월부터 10월가지 채취하여 토양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토양 오염도는 중금속인 카드뮴, 구리, 비소, 수은, 납, 6가 크롬 및 시안의 7개 항목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각 항목에서 가장 오염도가 심한 5개 지점을 대상으로 토양내 곤충병원성 선충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토양내 선충은 누에를 이용하여 곤충병원성, 사물기생성 선충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white trap을 설치하여 선충을 분리하였다. 카드뮴오염이 0.870ppm 이하인 지역에서 Rhabditida목 선충 2과가 확인되었으며, 비소에 오염된 토양에서는 0.745ppm이하에서 Rhabditidae과 선충이 확인되었다. 6가 크롬은 0.05ppm 이하인 토양에서 Cylindrocorpidae과 선충이 확인되었고, 납과 구리, 시안 오염 지역에서는 오염농도와 관계없이 Rhabditidae목 선충 2과가 검출되었다. 그러나, 시안에 오염된 토양과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한 토양에서는 선충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오염지역내 선충의 분포 밀도는 매우 낮거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며 토양의 오염은 선충의 생존에 불리한 환경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틸리피아에서 분리(分離)한 Edwardsie tarda의 성상(性狀)과 항원성(抗原性)에 대하여 (Characteristics and Antigenicity of Edwardsiella tarda Isolated from Tilapia (Oreochramis niloticus))

  • 오명주;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7-85
    • /
    • 1988
  • 1987년(年) 3(월)月 부산수산대학(釜山水産大學) 어병학(魚病學) 실험실(實驗室)에서 사육중(飼育中)이던 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에 세균성(細菌性) 질병(疾病)이 발생(發生)하여 만성적(慢性的)으로 몇마리씩 폐사(斃死)하였다. 본(本) 연구(硏究)는 이러한 질병(疾病)의 원인(原因)을 밝히기 위하여 원인균(原因菌)을 분리(分離)하였으며, 형태적(型態的), 생화학적(生化學的) 성상(性狀)을 관찰(觀察)하고 병원성(病原性), 약제감수성(藥劑感受性) 실험(實驗)을 하였으며 시험항원(試驗抗原)을 제작(制作)하여 그 항원성(抗原性)을 조사하였는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병어(病魚)에서 분리(分離)된 원인균(原因菌)은 Edwardsiella tarda로 동정(同定)되었다. 2. 분리균(分離菌)을 틸라피아에 접종하여 재현성실험(再現性實驗)을 한 결과(結果) 전형적인 E. tarda의 감염증상을 나타내고 사망(死亡)했으며, 어류(魚類)로부터 동일균(同一菌)을 얻을 수 있었다. 3. 분리균(分離菌)은 oxytetracycline에서 감수성(感受性)이 높았고, MIC는 6.9로 나타났다. 4. 분리균(分離菌)은 병원성(病原性)이 강한 균(菌)이었으며, 48-LD50은 $10^{6.4}cell$/fish 이었다. 5. 시험항균(試驗抗原)으로, 포르말린사균항원, 초음파처리항원, 균여과액항원을 사용하였으며, 이 세가지를 사용한 항원성시험(抗原性試驗) 결과 포르말린사균항원의 시험구에서 높은 응집가와 방어력을 나타내었다.

  • PDF

양식넙치에서 분리된 스쿠티카 섬모충 Philasterides dicentrarchi의 넙치 치어 인위감염 (Experimental infection of Philasterides dicentrarchi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진창남;강현실;이창훈;이영돈;이제희;송춘복;허문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7-204
    • /
    • 2006
  • 넙치 치어 3 cm와 5 cm 그룹을 이용하여 Philasterides dicentrarchi에 대한 병원성과 감염경로를 조사하였다. 소형수조에서 넙치치어에 스쿠티카충을 인위감염시킨 결과 3 cm 그룹인 경우 접종 4일 후에 40%가 감염되었으며, 24일 후에는 감염률이 90.1%로 대부분의 실험어가 감염되었다. 5 cm 그룹은 3 cm그룹에 비해서 초기 감염률이 현저히 낮았다. 접종 8일 후에 최초로 20%의 감염률을 보였으며 16일 후에도 42%로 완만한 속도로 감염률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감염률이 급격히 증가하여 24일 후에는 81%에 달했다. 반면에 스쿠티카충을 접종시키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스쿠티카충이 감염되지 않았다. 인위감염시킨 스쿠티카충의 어체내 침투는 몇 가지 경로로 이루어졌는데, 지느러미 연조막에 감염된 후 지느러미 조직과 근육에 침투하는 경로, 주둥이 부위의 부드러운 표피를 통하여 감염 된 후 두부 골격과 근육 결을 따라 안구와 뇌로 침투하는 경로, 꼬리지느러미를 통해서 미병부에 침투한 후 척수에 도달하고, 척수를 따라 뇌에 침투하는 경로 등이었다. 이외에도 복강에 침투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항문주위에 다량으로 증식하며 조직을 괴사시킨 후 복강으로 침투하였다.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는 뇌 침투는 3cm그룹은 충 접종 후 14일 만에, 5cm그룹은 20일 만에 각각 확인되어 어체가 작을수록 빨리 이루어졌다.

국내 벼 키다리병균의 Benomyl 약제에 대한 감수성 기준 및 저항성 변화 (Baseline Sensitivity and Monitoring for the Resistance to Benomyl of Fusarium Species Causing Bakanae Disease in Korea)

  • 최효원;이용환;홍성기;이영기;이재금;김효원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60-266
    • /
    • 2015
  • 국내에 분포하는 벼 키다리병균의 benomyl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연도별로 균주를 수집하고, 병원성을 검정하였으며, 한천희석법을 사용하여 각 균주의 benomyl에 대한 MIC값과 $EC_{50}$값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2006년부터 2007년에 분리한 균주의 MIC값은 1.5625~3.125 ug/mL인 균주가 가장 높은 빈도로 분포하였고, 2013년부터 2014년 분리균의 MIC값은 25 ug/mL 이상의 농도에서 분포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2006년부터 2007년 분리균의 평균 $EC_{50}$값은 1.6397 ug/mL이었으며, 2013년부터 2014년 분리균은 2.4892 ug/mL로 조사되었다. 국내 벼 키다리병균의 benomyl에 대한 저항성 기준은 MIC값이 25ug/mL 이상이고, $EC_{50}$값이 2.4 ug/mL 이하일 때는 중도저항성으로, $EC_{50}$값이 2.4 ug/mL 이상일 때는 저항성으로 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기준에 의한 저항성 균주의 비율은2006년부터 2007년에 12.5%에서 2013년부터 2014년에는 36.4%로 증가하였다. 한편, prochloraz와 benomyl에 모두 저항성을 보이는 균주가 20.3%인 것으로 나타나 벼 키다리병균의 다중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확후 유통중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딸기 무름병 발생 (Occurrence of Strawberry Soft Rot by Rhizopus stolonifer on Distribution after Harvest)

  • 권진혁;윤혜숙;남명현;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7-119
    • /
    • 2009
  • 2008년 4월 진주시 농산물도매시장에 유통 판매중인 딸기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과실표면에 상처 부위가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빠르게 부패되었다. 균총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갈색으로 되고 검은색의 포자낭을 많이 형성하였으며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이었다. 포자낭은 검은색으로 구형 또는 반구형이며 크기는 $82{\sim}195{\mu}m$이었다. 포자낭경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회색을 나타내며 폭은 $12{\sim}24{\mu}m$이었다. 주축은 반구형이며 크기는 $68{\sim}92{\mu}m$ 이었다. 포자낭포자는 담갈색으로 단포이며 구형 또는 타원형이고 불규칙한 것도 있으며 크기는 $9{\sim}20\;{\times}\;7{\sim}8{\mu}m$이었다. PDA배지에 배양할 경우 포복균사를 형성하는데 접촉부위에 뿌리모양의 가근을 형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딸기 과실에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본 병해를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딸기 무름병으로 보고한다.

Endophytic Trichoderma gamsii YIM PH30019: a promising biocontrol agent with hyperosmolar, mycoparasitism, and antagonistic activities of induc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on root-rot pathogenic fungi of Panax notoginseng

  • Chen, Jin-Lian;Sun, Shi-Zhong;Miao, Cui-Ping;Wu, Kai;Chen, You-Wei;Xu, Li-Hua;Guan, Hui-Lin;Zhao, Li-Xi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0권4호
    • /
    • pp.315-324
    • /
    • 2016
  • Background: Biocontrol agents are regarded as promising and environmental friendly approaches as agrochemicals for phytodiseases that cause serious environmental and health problems. Trichoderma species have been widely used in suppression of soil-borne pathogens. In this study, an endophytic fungus, Trichoderma gamsii YIM PH30019, from healthy Panax notoginseng root was investigated for its biocontrol potential. Methods: In vitro detached healthy roots, and pot and field experimen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pathogenicity and biocontrol efficacy of T. gamsii YIM PH30019 to the host plant. The antagonistic mechanisms against test phytopathogens were analyzed using dual cultur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Tolerance to chemical fertilizers was also tested in a series of concentration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 gamsii YIM PH30019 was nonpathogenic to the host, presented appreciable biocontrol efficacy, and could tolerate chemical fertilizer concentrations of up to 20%. T. gamsii YIM PH30019 displayed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the pathogenic fungi of P. notoginseng via production of VOCs. On the basis of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VOCs were identified as dimethyl disulfide, dibenzofuran, methanethiol, ketones, etc., which are effective ingredients for antagonistic activity. T. gamsii YIM PH30019 was able to improve the seedlings' emergence and protect P. notoginseng plants from soil-borne disease in the continuous cropping field test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ndophytic fungus T. gamsii YIM PH30019 may have a good potential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notoginseng phytodiseases and can provide a clue to further illuminate the interactions between Trichoderma and phytopathog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