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cipatory observation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7초

어린이박물관에서의 아동과 어머니의 전시참여형태와 아동과 어머니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Exhibit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of Child and Mother in the Children's Museum)

  • 이경희;최정윤
    • 아동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7-92
    • /
    • 2004
  • The present study conducted in the Children's Museum investigated patterns of participation by type of exhibit and interaction with 150 5-to 12-year-old children and 50 mothers. A timing and tracking observation checklist was used to document time spent at each type of exhibit and the interaction of children and mothers. All children chose and spent more time interacting with participatory than non-participatory exhibits and they chose more participatory exhibits than mothers. Mothers chose more non-participatory than participatory exhibits and spent more time with non-participatory exhibits than the preschool group. The preschool age group interacted with mothethan other interactions.

  • PDF

실외놀이터 환경과 아동의 놀이행동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Children's Play Behaviors and Outdoor's Environment of Child Care Center in Seoul)

  • 최목화;변혜령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91-10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utdoor play environments and child's play behaviors. The data were collected by this study included field measurement survey, and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from 8 child care centers in Seoul. The field measurement survey were conducted from February 20 to March 20, 2005, whereas non-participatory behavior observation were conducted from June 15 to July 10, 2005. The major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1) Most of child care centers were too small, did not use the adequate surfacing to play various activities, and were made of play equipment setting. 2) Child's play behavior focused on functional play activity and construction play activity. 3) The relationship between outdoor play environments and child's play behaviors showed that small outside play environment with monotonous construction of play setting produced functional play behaviors on children. However, in some cases, despite the small and monotonous play area, diverse play behaviors were observed. These playgrounds at least differed from others in that they provided the place where multi purpose play was possible. This finding shows that multi purpose play areas can be an alternative in small playground environment.

실외놀이터 환경과 아동의 놀이행동에 관한 사례연구;서울지역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Children's Play Behaviors and Outdoor's Environment of Child Care Center in Seoul)

  • 최목화;변혜령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32-43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utdoor play environments and child's play behaviors. The data were collected by this study include field measurement survey, and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from 8 child care centers in Seoul. The field measurement survey were conducted from February 20 to March 20, 2005, whereas non-participatory behavior observation were conducted from June 15 to July 10, 2005. The major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1)Most of child care centers were too small, did not use the adequate surfacing to play various activities, and were made of play equipment setting. 2)Child's play behavior focused on functional play activity and construction play activity. 3)The relationship between outdoor play environments and child's play behaviors showed that small outside play environment with monotonous construction of play setting produced functional play behaviors on children. However, in some cases, despite the small and monotonous play area, diverse play behaviors were observed. These playgrounds at least differed from others in that they provided the place where multi purpose play was possible. This finding shows that multi purpose play areas can be an alternative in small playground environment.

  • PDF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병실에서의 상호작용 (A Research on the Interactions in Practice of the Nurses’ College Students in the Nursing College)

  • 김진향;문선영;이정은;임미림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07-216
    • /
    • 2001
  • To understand the types of interactions between the nurses' college students and patients, this research used Spradley's Cultural Description Method to carry out his eleven- stage research conduct process : participatory observation, cultural description recording, descriptive observation, category analysis, focus observation, classification analysis, selective observation, components analysis, cultural themes, cultural discovery, and cultural description writ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7 nurses' college students practising at the hospital affiliated to E universit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000 through primary and secondary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extracted from thes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tudents learned through contacts with patients. 2. The students experienced "Sharing" through interactions with patients. 3. The students showed evasive behaviors in difficult situations. 4. The students paltered when faced with difficult situations. 5. The students did not surrender to the refusals of patients. 6. The students identified their studentship. 7. The students regarded human interaction as 'contact'.

  • PDF

'The Whale Class' 고래 관찰 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적 운영 요인 및 환경교육적 시사점 (Sustainable Execution Factors of 'The Whale Class' Educational Program and It's Applic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김대희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2권1호
    • /
    • pp.1-11
    • /
    • 2009
  • Environmental Literacy is needed to establish a sustainable society and can be very well developed through Outdoor Environmental Education(OEE). However, establishing OEE in Korea is a very difficult.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out which factors influence the sustainability of O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ose factors. Participatory observation research and some interviews were used in "The Whale Class" of the University of Georgia in the United States. Major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were as follows: (1) OEEs give participants good experiences about the environment; (2) Program operators of OEEs are enthusiastic about education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3) Good educational practices such as cooperative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conversation foster learning; (4) Good organizations with guest lectures from various environmental fields would be beneficial; (5) Public information about environmental programs would be helpful; (6)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ose organizations connected to environmental programs would be useful; and (7) OEE provide reflection activities to foster Environmental Literacy.

  • PDF

실외놀이터 환경 특성과 아동 놀이행동과의 관계성 - 대전지역 어린이집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lay Behaviors and Outdoor Play Environments of Child Care Center in Daejeon)

  • 최목화;변혜령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19-93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utdoor play environments and child's play behaviors. The data were collected by field measurement survey, and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from 9 child care centers in Daejeon. The field measurement survey were conducted from June 20 to July 20, 2004, whereas non-participatory behavior observation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2 to October 10, 2004. The major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1) The characteristics of outdoor play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s showed that most of them were too small and did not use the adequate surfacing to play various activities. In many cases, outdoor play settings was made of play equipment setting, play props and manipulative settings, and tree/vegetation. 2) Child's play behavior has been focused on functional play activity and construction play activity. 3) The relationship between outdoor play environments and child's play behaviors showed that small outside play environment with monotonous construction and multi-complex play equipments produced functional play behaviors on children. On the other hand, where various play areas were put together, we could observe relatively diverse play behaviors. However, in some cases, despite the small and monotonous play area, diverse play behaviors were observed. These playgrounds at least differed from others in that they provided the place where multi purpose play was possible. This finding shows that multi purpose play areas can be an alternative in small playground environment.

  • PDF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행동적 참여 분석을 위한 영상 분석 도구의 개발 (Developing an Instrument for Analysing Students' Behavioral Engagement in School Science Classroom)

  • 최준영;나지연;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47-258
    • /
    • 2015
  • 학생은 대화뿐만 아니라 비언어적인 행동을 통해서도 수업에 참여한다. 특히 과학교실에서는 다른 교과수업과 다르게 과학기구의 사용, 관찰, 측정 등의 비언어적인 행동들이 나타난다. 그런데 학생의 행동적 참여를 분석하는 기존의 도구들은 과학교과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특징적인 활동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과학교과의 학습 활동을 고려한 행동적 참여 영상 분석 도구를 개발하였다. 분석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첫째, 문헌연구와 초등학교 과학수업 관찰을 바탕으로 수업 중에 나타나는 학생의 행동을 14가지로 범주화하였다(자유발화, 음독, 경청하기, 묵독, 쓰기, 주의 집중하기, 손들기, 이동하기, 비참여적 움직임, 과제 움직임, 관찰하기, 측정하기, 분류하기, 실험도구 다루기). 둘째, 이를 바탕으로 '과학수업 중 행동적 참여 상태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셋째, Microsoft Excel Visual Basic을 이용하여 분석틀에 따라 학생들의 발화 여부, 시선, 몸의 움직임 등을 기록하고 분석할 수 있는 분석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를 이용하면 수업 중학생의 각 행동이 수행된 시간과 학생의 네 가지 수업참여 상태(즉, 참여적 발화, 참여적 침묵, 비참여적 발화, 비참여적 침묵)를 파악할 수 있다. 개발된 분석 도구를 실제 과학시간의 초등학생 두 명을 대상으로 예시적으로 적용해 본 결과, 교사는 수업활동(일반, 시범실험, 실험활동)에 따라 발화의 양을 달리하였으며, 분석대상인 두 학생은 전체 수업시간 동안 참여적 침묵 상태에 있는 시간이 가장 길었다(학생 A: 63%, 학생 B: 72%). 참여적 침묵 상태에 있는 두 학생은 '경청하기'를 하는 시간이 가장 길었는데(학생 A: 51%, 학생 B: 42%), 교사의 발화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실험활동 시간에는 오히려 '경청하기'를 거의 하지 않은 대신에 '관찰하기'를 가장 많이 하였다(학생 A: 47%, 학생 B: 53%). 개발된 분석 도구가 비언어적인 행동을 통하여 과학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사용자중심의 참여 미디어 교육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전략 (User Centered Design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Participatory Learning Media)

  • 안미리;조영찬;황윤자;차현진;김희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926-932
    • /
    • 2009
  • 최근 연구보고에 의하면 많은 박물관, 미술관 등은 작은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좀 더 깊이 있는 전시 정보를 제공할 뿐 만 아니라, 더욱 개별화된 학습 공간과 협동 및 발견학습이 가능한 참여 미디어로 활용이 확대 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의 다양한 특성과 기능들을 활용하여 전시 정보를 제공하면서도 유의미한 학습 체험을 유도하고 인터넷 등의 기능을 활용해 사회적 참여소통 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교육 시스템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 에 본 연구는 박물관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시스템이 박물관내의 전시물에 대한 안내라는 제한적인 사용성과 사용자와의 일방적인 상호작용 외에도 더욱 다양한 각도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전재하고 있다. 학교 밖에서의 경험을 학습으로 끌어 들이는 참여 미디어로서의 교육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박물관 안내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개선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기 위한 전략과 연구방법에 대해 제고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기 위해 도입한 질적연구 방법과 양적연구방법과정을 실제 상황 안에서의 관찰과 인터뷰(contextual observation & inquiry), 그리고 설문 결과 등 사용자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한 결과와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를 반영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관찰에서 파악된 사용자와 시스템간의 상호작용, 인터뷰를 통해 언급된 사용자의 요구와 불편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박물관 안내 시스템을 사용하는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의 요구사항과 불편사항을 끌어내어 좀 더 사용자 친화적인 모바일 인터페이스 설계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기술 중심의 (technology-driven)에서 벗어나 사용자 중심의 참여미디어를 가능하게 하는 교육용 시스템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고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과정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사진실 선생의 학문 세계에 대한 참여 관찰기 (Participatory Observation Records of the Prof. Sa jin-sil's Academic World)

  • 허용호
    • 공연문화연구
    • /
    • 제36호
    • /
    • pp.585-602
    • /
    • 2018
  • 이 글은 사진실 선생의 학문 세계에 대해 살핀 것이다. 사진실 선생의 연구 성과에 대한 섬세하고 엄밀한 평가라기보다는, 그와의 직 간접적인 만남 속에서 필자가 생각했던 것들을 정리했다. '참여 관찰기'라는 논제가 붙은 연유가 여기에 있다. 필자는 이 글이 관례적이고 형식적인 추도사가 되는 것을 경계했다. 사 선생 역시 형식이고 관례적인 글을 원하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필자의 참여 관찰기는 사 선생의 문헌 중심 연구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알려진 성과와 재평가될 것들'이라는 목차 제목이 필자가 말하려는 것을 함축하고 있다. 전통연행 관련 문헌 연구에서 사 선생이 기여한 바와 기존 평가의 타당성에 대한 필자의 생각이 여기서 정리되었다. 이미 널리 알려진 기여나 성과에 대해서는 새삼스럽게 재론하지 않았다. 여기서 필자가 특별하게 살핀 것은 '재평가될 것들'이었다. 그 중요성과 의의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것, 어쩌면 이제는 당연한 것으로 인식되어 쉽게 지나쳐 버리는 성취를 새삼 강조했다. 이어지는 논의에서는 사 선생의 전혀 다른 학문적 면모를 살폈다. 필자는 이 대목의 제목을 '편견에 맞선 의외의 성과'라 붙였다. 여기서 다루어진 대상은 사 선생의 현장 중심적 연구들이었다. 흔히 사진실 선생을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연극사학자 혹은 전통공연예술학자라 평가한다. 필자는 이것이 편견이라 생각한다. 워낙 그러한 생각이 일반적이어서, 문헌이 아닌 현장을 바탕으로 한 연구 성과를 간과하기가 쉽다. 목차 제목에 '편견'과 '의외'라는 표현을 한 이유이다. 여기서 필자는 사 선생이 현장 중심의 연구도 했다는 식의 논의에 그치지 않았다. 현장 연구에서 그가 이루어낸 성취를 적극적으로 강조하고 평가했다.

행복한 수업을 찾아가는 유아교사의 이야기 (A Narrative Approach to Helping an Early Childhood Children Teacher Achieve Greater Happiness in their Classes)

  • 서혜정;변미영
    • 아동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49-175
    • /
    • 2012
  • This study is designed to positively transform a teacher's emotional state whilst teaching their classes and be able to create happier lessons for preschool children. To do this, a teacher needs to reflect upon current problems and take steps to deal with them.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making use of photos, a reflective teacher's journal and interview records from Mar. 28, 2011 through Oct. 7, 2011. The problems identified were, (1) teacher centered classes, (2) a daily routine filled with large group activities, (3) disruptive students, and (4) repetitiveness. The routes to greater classroom "happiness" are (1) rearranging seats, (2) "story sharing activities" in small groups, (3) making a separate "story sharing activity" area, (4) using small groups instead of large groups, (5) changing the daily routine. The role of the teacher in finding greater "happiness" are (1) meaningful, 'real observation', (2) discovering genuine change from small points, (3) power sharing, and (4) growing and developing with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