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ing education program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7초

5-8세 아동 부모의 스트레스와 대응 (Stress and Coping in Parents of Early School Aged Children)

  • 문영임;구현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85-495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family nursing aimed at reducing stress and improving the coping abilities of parents with kindergarten or early primary school aged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over a period of one month between November 1994 and December 199t in the Kyoung-in area. The subjects consisted of 198 parents (99 mothers and 99 fathers) of children attending 1 elementary school and 2 kindergartens. The levels of general stress and of parental role stress were measured with the General stress scale and the Parental role stress scale, respectively, while the Coping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coping. The data were analyzed by a SAS program using paired'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level of general st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others than in fathers. Mothers experienced significantly greater level of parental role stress than fathers did. In contrast, fathers revealed significantly greater scores in coping than mothers. 2. General stress experienced by fathers was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 occupation, health status,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and support from spouse. Occupation, health status,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satisfaction with spouse and support from spouse influenced parental role stress experienced by father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level of coping and general characteristics. 3. In mothers, the level of general stres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health status, family type, and number of children, while parental role stress was related to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satis-faction with spouse and family typ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level of coping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others did not develop more coping strategies than the fathers, despite their experience of greater stress than the fathers. Hence, nursing intervention for managing stress and improving coping abilities should be provided for mothers. In particular, father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parenting, and support their spouse.

  • PDF

정상체중출생아와 저체중출생아의 영아기 기질 비교 (Comparison of Temperament in Infancy between the normal Infants and Low-birth-weight)

  • 방경숙;전경자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0-6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emperamental differences between the normal infants and low-birth-weight infa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 mothers with normal infants and 62 mothers with the low-birth-weight. Convenient sampling was done at three regions. The infant temperament scale developed by Pridham & others (1994) was us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temperament score between the low-birth-weight infants and normal infants. The scores of the low-birth-weight infan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rmal infants in the subscales of amenability and persistence, activity, and reactivity. In adaptabil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2) In both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delivery type, and birth order. But, in the case of low-birth-weight infants, the temperament score of infants over 6 month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infants under 6 months. 3) In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subscales of the temperament, amenability and persistence, activity, and reactivity showe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ut adaptabilit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only with the amenability and persistence. In conclusion, temperament score of low-birth-weight infan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infants. It was suggested that parenting education for low-birth-weight infants would be needed to understand and impact the positive infant temperament.

  • PDF

결혼이민자 산모에 대한 산후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a Postpartum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Immigrant Mothers)

  • 방경숙;허보윤;권미경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11-19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 산모를 대상으로 가정방문을 통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편의표출 및 눈덩이표출을 통해 서울과 수원 지역의 중국, 베트남, 필리핀 결혼이민자 임부를 파악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로 실험군 20명, 대조군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출산 후 퇴원하면 일주일 이내 가정방문하여 사전조사를 실시 후 실험군에 대한 중재를 제공하였으며, 산후 6주와 3개월에 다시 두 군 모두 가정방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실험군에는 중재를 제공하였다.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영아돌보기 자신감에 대한 그룹과 시간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여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퇴원 후 5일 이내의 사전조사에 비해 산후 6주와 3개월 영아돌보기 자신감이 유의하게 더 증가하였다. 또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산후 3개월 영아 발달에 필요한 양육환경을 더 긍정적으로 조성하였으며 생후 6주와 3개월의 영아기질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산후우울과 남편의 지지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결혼이민자 산모에 대한 가정방문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영아돌보기와 양육환경 조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 결혼이민자 산모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것을 제언한다.

가족센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입양가족 대상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과 역할 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mily Support Service for Adoptive Families in terms of Necessity and Role of the Family Center)

  • 이선형;배지연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2호
    • /
    • pp.1-17
    • /
    • 2022
  • 본 연구는 가족센터와 입양기관에서 입양 프로그램을 다룬 경험이 있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진행 경험을 살펴봄으로 가족센터의 입양가족 대상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과 역할을 정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입양가족 대상 프로그램을 진행한 경험이 있으며 자발적으로 인터뷰에 응한 가족센터 3기관의 종사자 9명, 입양기관 2기관의 종사자 3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로는 첫째, 가족센터가 처음 입양가족 프로그램을 진행하게 된 계기로는 다양한 가족을 발굴하면서와 주요 의사결정 대상자가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면서, 기존 프로그램에 입양가족이 참여하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양가족 대상 프로그램은 기존의 프로그램, 즉 자조모임과 공동육아나눔터 등에 만족하면서 가족교육이나 가족상담을 요청하면서 확장되었다. 그러면서 현장의 실무가들은 입양가족에게 접근하는 방법을 알아가게 되고 좀 더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고심하는 과정을 거친다. 셋째, 실무가의 애로사항이기도 한 것으로, 정부 부처의 공식적 요청이나 지원, 한국건강가정진흥원에서의 매뉴얼이 없어 자신들의 방식으로 주변 입양기관과의 협력과 자원 발굴의 과정을 거치면서 입양프로그램을 진행해오고 있었다. 넷째, 실무가들이 평가하는 전달체계로서 가족센터의 장점은 전국적 인프라와 가족 전문가의 상주, 통합적 가족 프로그램 제공 등을 들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극복해야 할 점으로는 입양가족 대상자의 특수성을 고려한 담당자의 대상자 이해교육과 입양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기본 메뉴얼 제공, 가족 대상자의 포괄성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재정 지원 확대를 꼽았다. 이에 대한 노력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입양가족의 건강성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영아어머니의 자녀돌봄의 부담감과 지지, 교육 및 상담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The study on the maternal burden of caretaking, the support and educational need for the caretaking activities of the infants′ mother)

  • 한경자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228-240
    • /
    • 1997
  • It is important to asess the risk factors of parenting and provide early intervention for promotion of the maternal caretaking abilit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maternal burden of caretaking, the supporting and the educational need for the caretaking activities of the mother of infant. Sixty three mothers of infants who visited the wellbaby clinic of S university hospital and one health center during the period of November 1st, to 30th in 1996 compris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Data were gathered through the instruments that were developed by researcher.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used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the maternal burden of caretaking was 22.06. The maternal burden of caretaking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mothers who had vaginal delivery compare with the mothers who had caeserean section and in the muthers who gave artificial feeding compare with the group of breast or mixed feeding. 2) The mean score of the support need for the caretaking activities was 30.69. The support need for the caretaking activities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mothers who had the second child, compare with the mothers who had first or third child. And the support need for the caretaking activities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mothers who had caretaking help compare with the mothers who had no caretaking help. The specific subjects of 'mother-infant interaction', 'immunization' and 'prevention of accident' on the support need for the caretaking activities were relatively high. 3) The mean score of the educational need of caretaking activities was 29.3. The educational need of caretaking activities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mother who had the second child compare with the mothers who had first or third child. And the educational need of caretaking activities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mothers who had caretaking help compare with the mothers who had no caretaking help. The specific subjects of 'mother-infant interaction', 'emergency care' and 'prevention of accident' on educational need of caretaking were relatively high. 4) The maternal burden of caretaking was not correlated with the support need or the educational need of caretaking activities. But the support need of caretaking activitie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ducational need of caretaking activities. 5) The support and educational need of caretak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mothers who wanted home care for caretaking their infants. Through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is considerable maternal burden of caretaking as well as the support and educational need on the caretaking activities in the mothers whose child is young. Therefore developing the systematic and effective program is needed to meet the mother's ne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resources to develop the program. On the other hand, it can be recommanded that home health care will be one of the approach to support the mothers caretaking activities.

  • PDF

일개 지역 영아의 수면 및 포유양상에 관한 연구 (Sleep and Feeding Patterns in Infancy)

  • 김영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566-578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certain infant's sleep and feeding patterns for the purpose of building up the positiv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etting up a preliminary parenting education program. The subjects were 16 infants who were cared for in their house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NCASA developed by Barnard et al. from October 1st to December 3lth, 1999. The analysis of data was done with SPSSWIN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day sleep of the infant was 9.51 hours, night sleep was 6.27 hours, and total sleep was 15.84 hours. The longest period of day sleep was 3.02 hours, and the longest period of night sleep was 3.72 hours. The regularity of day sleep was 34.78%, night sleep was 61.72% and total was 43.76%. 2. The frequency of daytime feeding was 5.13 times, nighttime was 2.44 times and total was 7.38 times. The regularity of feeding was 52.14%. 3. In the correlation between sleep and feeding patterns, night sleep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eeding method(r=-.52, P<0.05), the longest period of day sleep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eeding method(r=-.73, P<0.001), feeding frequency(r=-.60, P<0.05), the regularity of feeding(r=-.70, P<0.001). The longest period of night sleep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eeding frequency (r=-.53, P<0.05). Feeding metho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eeding frequency(r=.71, P<0.001), the regularity of feeding(r=.57, P<0.05). Day slee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otal sleep(r=.93, P<0.001), the regularity of total slee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ongest period of day sleep(r=.54, P<0.05), total sleep(r=.65, P<0.001). The regularity of feed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eeding method(r=.57, P<0.05), total feeding frequency(r=.50, P<0.05), the frequency of daytime feeding(r=.61, P<0.05). Feeding metho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otal feeding frequency(r=.71, P<0.001).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infants slept more in the nighttime than in the daytime, but after 3 months the pattern changed and showed that nighttime sleep was increased. Also the regularity of night sleep was increased with the infant's age. Total feeding frequency was decreased with the infant's age, and the regularity of feeding was increased in infants who slept shorter periods in the daytime than in the nighttime.

  • PDF

정신 지체아 부모의 스트레스, 대응 및 적응 비교 (A Comparison Study of Stress, Coping and Adaptation between Fathers and Mothers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 문영임;구현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65-17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family nursing in the areas of reducing stress and improving coping for parents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during a period of 2 months between November 1994 and January 1995 in the Kyoung-in area. The subjects consist of 176 parents (88 mothers and 88 fathers)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attending schools for the handicapped. The levels of general stress and of parental role stress were measured with the General stress scale and the Parental role stress scale, respectively. The coping scale developed by Folkman & LaZarus was adopted to measure the level of coping, and the patterns of adaptation scale developed by Damrosch & Perry was adopted to measure the patterns of adapt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a SAS program using Fisher's exact test, paired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level of general st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others than in fathers. Mothers experienced a significantly greater level of parental role stress than fathers di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ping was observed between mothers and fathers. There were differences in maternal and paternal patterns of adaptation. 2. The adaptation pattern of father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level of general stress, parental role stress and coping. The adaptation pattern of mothers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level of general stress and parental role stress, but wa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coping. 3. General stress experienced by fathers was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 health status and support from their spouses.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satisfaction with spouse and the support from spouse influenced coping used by fathers. Their level of parental role stress was not associated with any of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4. In mothers, the level of general stres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health status, the level of parental role stress was related to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and satisfaction with spouse. Their level of coping was associated with the sup port from spouse.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at mothers did not have more coping strategies than fathers did, despite the results which showed that mothers experienced greater stress than fathers did. Especially, the adaptation pattern of mother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level of coping. Hence, nursing interventions directed at managing stress and improving coping should be used with mothers who use adaptation pattern 1. In particular, father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parenting, and support their spouses.

  • PDF

미혼 성인의 자녀양육신념 양상과 자녀에 대한 가치 및 부모 부양의무감간의 관계 (A Study on Parental Beliefs, Value of Children and Filial Obligation of the unmarried)

  • 조복희;정민자;김연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2-4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부모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미혼 성인들을 대상으로 자녀양육신념의 양상과 자녀에 대한 가치, 부모 부양의무감을 살펴보았다. 남녀 대학생 748명(남학생 323명, 여학생 425명)을 대상으로 조윤주(2002)가 사용한 부모 부양의무감, 세계 8개국에서 동시에 사용된 자녀에 대한 가치(Value of Children) 설문지(1975, 2001)를 실시하였고, 자녀양육신념에 대한 응답자의 가치를 기술하게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혼 성인의 자녀양육신념 양상을 조사한 결과, 성, 연령, 출생순위, 조부모 동거여부 등에 상관없이 관계지향적 자녀양육신념(46.0%)보다 개인지향적 자녀양육신념(54.0%)을 지닌 미혼 성인의 비율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녀에 대한 가치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정서적 가치를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도구적 가치를, 자녀양육부담감을 가장 덜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미혼 성인들은 자녀를 갖는 가치에 대해 경제적인 가치나 양육부담감을 느끼기보다는 애정적, 정서적 가치를 보다 소중히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자보다는 남자가, 부모와 함께 살거나 부모와의 접촉빈도가 2개월에 1회 이상 많을수록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부모 부양의무감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계지향적 자녀양육신념을 지니고 있을수록 정서적 가치를 소중히 여기고, 부모 부양의무감도 더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미래 부모세대들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데 도움을 주고, 미혼 성인 대상의 예비 부모교육 자료를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Factors Related to Bullying Damage Experience of Adolescent)

  • 문동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85-697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관련하여 지난 20여년 간 국내에서 연구된 석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관련요인들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발요인의 전체효과크기는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발요인군의 개인심리요인군과 학교생활요인군 역시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발요인군 중 개인심리요인군의 하부요인인 공격성, 불안,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은 중간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요인군인 학업스트레스 역시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억제요인 전체효과크기와 억제요인군의 가정환경요인군, 개인심리요인군, 학교생활 요인군은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억제요인군인 중 가정환경요인군의 하부요인인 긍정적부모양육태도와 부모지지는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심리요인군의 하부요인인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요인군의 하부요인인 친구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은 역시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지난 20년간의 선행된 연구들을 통합적으로 정리하여 객관적 결과를 살피기 위한 수량적 통합을 시도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를 예방하고 낮추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수립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piritual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 이영은;박혜선;강양희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7권1호
    • /
    • pp.5-14
    • /
    • 2007
  • 인간은 신체적, 사회.심리적, 영적으로 통합적인 존재로써 각 차원의 건강은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영적 안녕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이는 인간의 영적 본성을 최대한으로 개발시키는 능력이며 총체적으로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삶의 원리와 동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영적안녕은 삶의 의미와 목적에 초점을 둔 실존적인 영적 안녕 상태와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안녕감을 갖는 종교적인 영적 안녕을 포함한다. 간호과학은 인간의 건강을 돕는 돌봄이 학문이며, 전인적 존재인 인간을 신체적, 사회?심리적, 그리고 영적, 즉 전인적으로 간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전인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간호사 자신이 영적으로 안녕해야 함은 물론, 자신이 간호대상자에게 치료의 도구가 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영적 간호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간호대학생은 비록 학생이기는 하지만 재학 중 이미 다양한 간호실무 현장으로 나아가 임상실습을 통해 대상자들을 직접 만나게 되므로 간호사들과 마찬가지로 전인적으로 건강해야 하며, 이를 통해 간호대상자들의 건강도 전인적으로 돌볼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영적 안녕 정도를 파악해보고 이와 관련있는 제 특성들을 규명함으로써 간호학생들을 위한 영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학교생활지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B 광역시에 소재한 1개 기독교 종합대학교 간호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213명이 응답하였으며 본 연구목적에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188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최종 분석율 : 88.3%).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자기 기입형인 구조화된 설문지로서, 20개 문항으로 구성된 영적 안녕 측정도구와 제 특성 20개 문항 등 총 4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적 안녕 측정도구는 Paloutzian와 Ellison(1983)이 개발하고, 최상순(1990)이 번역하였으며, 강정호(1996)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거의 그렇지 않다' 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 2점, '대체로 그렇다' 3점, '매우 그렇다' 4점으로 구성된 Likert형 4점 척도이며, 부정적인 문항은 역산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영적으로 안녕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값이 .94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제 특성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종교관련 특성, 학교관련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06년 3월 3일부터 동년 3월 17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본 연구자가 각 학년 강의실에 들어가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한 대상자에 한에서 설문지를 배부하여 응답하게 한 후 각 학년 대표를 통해 회수하였다. 본 자료의 분석은 SPSS/PC+ 1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t-test, ANOVA, Scheffe's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영적 안녕 정도는 평균 $63.95\pm10.256$ (도구범위 : 20-80점), 최소 38점, 최대 80점, 평균평점 $3.20\pm.513$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를 하위영역으로 분석해 보았을 때 실존적 안녕 정도는 평균 $32.98\pm4.470$, 최소 22점, 최대 40점, 평균평점 $3.30\pm.450$으로 높은 편이었고, 종교적 안녕 정도는 평균 $30.96\pm7.000$, 최소 10점, 최대 40점, 평균평점 $3.10\pm.700$으로 약간 높은 편이었다. 2.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영적 안녕 정도는 학년(F=6.101, p= .001), 종교(F= 17.703, p= .000), 기독교인의 경우 신급(F=8.194, p= .000), 교회출석기간(F=7.947, p= .000), 교회 예배의 정기출석(F=4.242, p= .000), 정기적 성경읽기(공부)와 기도생활(F=5.863, p= .001=0), 본인이 지각한 예수님과의 인격적 만남(F=4.160, p= .000), 부모종교(F=9.320, p= .000), 본인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F=4.146, p= .000), 현재 타 학과 편입, 전과 희망여부(F=-2.050, p= .050) 등에 따라 영적 안녕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간호대학생들은 비교적 높은 영적 안녕감을 보였으며, 제 특성 중 학년, 종교, 기독교인의 경우 신급, 교회 출석기간, 교회 예배의 정기출석여부, 정기적 성경읽기(공부)와 기도생활 여부, 본인이 지각한 예수님과의 인격적 만남 여부, 부모 종교, 본인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현재 타 학과 편입이나 전과 희망여부 등에 따라 영적 안녕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간호대학생들을 위한 영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학교생활지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