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creatic ${\alpha}$ amylase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57초

토양균의 ${\alpha}-Amylase$ 저해제 검색 및 분리에 관한 연주(제2보) -스트렙토마이세스속 DMC-72 균주의 저해 성분의 분리 및 작용- (Studies on Screening and Iolation of ${\alpha}-Amylase$ Inhibitors of Soil Microorganisms( II ) -Isolation and Activities of the Inhibitor of Streptomyces Strain DMC-72-)

  • 김경제;이승희;김정우;김하원;심미자;최응칠;김병각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03-212
    • /
    • 1985
  • 전국 각지 토양으로 부터 채취한 토양균을 screening하여 ${\alpha}-amylase$를 저해하는 물질을 생성하는 균주인 Streptomyces DMC-72를 선발하였다. 이 균주가 생성하는 저해제를 acetone 침전 및 이온 교환 수지인 Amberlite IRC-50, Amberlite CG-50과 SP-Sephadex C-25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이 물질은 ${\alpha}-amylase$ 뿐만아니라 다른 amylase와 기타 효소에 대해서도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이 물질은 기질인 soluble starch의 가수분해에 대해서 non-competitive하게 저해작용을 보이주고 있으며 열 및 넓은 범위의 pH에서 안정한 물질이었다. 이 물질은 anthrone 시험과 IR spectrum에 의해서 oligosaccharide계 화합물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메밀(Fagopyrum esculentum) 꽃, 잎 추출건조물의 α-Amylase 효소활성 저해 ([ α ]-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Flower and Leaf Extracts from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 이명헌;이정선;양희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2-47
    • /
    • 2008
  • 본 연구는 전분 가수분해효소인 ${\alpha}$-amylase의 효소활성 저해를 통해 식후 혈당조절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메밀의 꽃, 잎, 줄기 및 곡립을 부위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시료를 물, 40%, 70%, 100% 에탄올로 추출하고 건조한 추출건조물과 메밀건조 분말시료를 이용하여 in vitro에서 ${\alpha}$-amylase 활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메밀부위별 물추출건조물(10%, w/w, starch basis)의 ${\alpha}$-amylase 활성 저해율은 꽃 66%, 잎 65%, 곡립 28%, 줄기 12%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출 용매를 40%, 70%, 100% 에탄올로 하였을 때에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단지 잎추출건조물의 경우 70% 에탄올추출건조물의 효소활성 저해율이 100%와 40% 에탄올추출건조물보다 낮게 나타났다. 메밀 꽃과 잎 추출건조물을 기질의 0.1%, 0.5%, 1%, 2.5%, 5%, 10% 농도로 각각 첨가했을 때 에탄올로 추출한 꽃추출건조물의 경우 $0.5%{\sim}10%$ 농도에서 ${\alpha}$-amylase 활성을 약 90% 저해하였으며 이는 ${\alpha}$-amylase inhibitor인 acarbose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잎의 경우 100% 에탄올추출건조물에서 꽃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40% 에탄올추출건조물에서는 꽃추출건조물보다 저해율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물추출건조물과 건조분말의 경우 에탄올추출물보다 꽃과 잎의 효소활성 저해율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메밀 꽃과 잎 추출건조물은 메밀 줄기 및 곡립 추출 건조물과 비교해서 효소활성 저해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물 추출이나 건조분말보다 100%, 40% 에탄올을 이용했을 때 추출건조물의 효소 저해율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나 이들 추출건조물은 식후 혈당조절제로 이용 가능성이 기대되는 소재로 사료된다.

아드레나린성 약물 전처치 흰쥐의 취절편 효소분비에 관한 실험 (Amylase Release from Pancreatic Slices of Rat Treated with Adrenergic Drugs)

  • 김경환;김혜영;안영수;이우주;홍사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9-57
    • /
    • 1984
  • The exocrine pancreatic secretion is controlled mainly by gastrointestinal hormones as well as cholinergic nerves. The adrenergic influence on exocrine pancreas is thought not to he important and the evidences supporting this contention are still contradictory. In an effort to elucidate the adrenergic influence on the exocrine pancreas, we have determined the amylase release from pancreatic slices of rats treated with adrenergic drugs. The albino rats of either sex, weighing $60{\sim}80\;g$, were decapitated and the uncinate pancreata were isolated and incubated in screw top vials containing 2 ml krebs-Ringer bicarbonate buffer solution gassed with 95% $O_2$ and 5% $CO_2$. These vials were shaken continuously in a waterbath maintained at $37^{circ}C$, and enzyme release was stimulated with acetylcholine$(10^{-5}M)$. For chronic treatment methoxamine$(an\;{\alpha}-adrenergic\;agonist,\;5\;mg/kg)$, isoproterenol (a\;{\beta}-adrenergic\;agonist,\;10\;mg/kg) and reserpine (0.5 mg/kg) along with cholecystokinin octapeptide$(CCK-op,\;2{\mu}g/kg)$ were given i.p. in rats daily for 3, 5, 7, 9 or 12 days. For acute experiment these drugs were added directly to the incubation medium in a concentration of $10^{-5}M$ except CCK-OP $(10^{-9}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ddition of methoxamine, isoproterenol or reserpine to the incubation medium containing pancreatic slices augmented the release of amylase induced by acetylcholine and among them the effect of isoproterenol was most prominent. 2) Chronic treatment of methoxamine or reserpine caused enhancement of acetylcholine response in amylase release from pancreatic slice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but the amylase release was less than that of control by 12 days isoproterenol treatment. 3) In the pancreatic slices obtained from 12 days treatment of CCK-OP, the amylae release responding to acetylcholine was enhanced. By these finding it is suggested that methoxamine, isoproterenol and reserpine had marked influence on the exocrine pancreatic functions in rats and that these effects are due to their inherent actions rather than sympathetic nerve or adrenergic receptor function.

  • PDF

Silymarin attenuates escitalopram (cipralex) induced pancreatic injury in adult male albino rats: a biochemical,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approach

  • Rasha Mamdouh Salama;Sara Gamal Tayel
    • Anatomy and Cell Biology
    • /
    • 제56권1호
    • /
    • pp.122-136
    • /
    • 2023
  • Depression is a prevalent global problem since ages, predominately treated with SSRI. Cipralex, is an antidepressant of the SSRIs class used as a remedy for mood, depression and anxiety. Silymarin (SIL), a natural free radical scavenging, has a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This hypothesis evaluates, for the first time, the role of cipralex on the structure of the endocrine and exocrine components of the pancreas and assess the beneficial effects of SIL on these changes. Forty-five rats were divided into control, cipralex, and cipralex plus SIL groups. During sacrifice, all rats and pancreases were weighed and the ratio of pancreatic weight (PW) to rat weight (RW) was calculate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to estimate fasting glucose, insulin and amylase levels, the specimen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al, immunohistochemical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tumour necrosis factor-alpha [TNF-α], caspase 3,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and anti-insulin antibody), and morphometrical studies. Cipralex group exhibited marked destruction of the pancreatic architecture of the exocrine and endocrine parts, with a dense collagen fiber deposition. Also, there is highly significant decrease (P<0.001) of PW/RT ratio, insulin, and amylase levels, the number and diameter of islets of Langerhans, the number of PCNA positive immunoreactive cells, and the number of insulin positive β-cells. Furthermore, a highly significant increase of glucose level, iNOS, TNF-α, and caspase-3 positive immunoreactive cells in the islets of Langerhans and acinar cells were observed. SIL improves the pancreatic histological architecture, weight loss, biochemical,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es. Administering SIL is advantageous in managing cipralex induced pancreatic injury via its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apoptotic qualities.

황칠, 닥나무, 꾸지뽕 혼합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s of Mixed Extract from Dendropanax morbiferus, Broussonetia kazinoki, and Cudrania tricuspidata)

  • 김솔;김상준;오준석;홍재희;김선영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3-236
    • /
    • 2019
  • Dengropanax morfiferus (D), Broussonitia kazinoki (B), and Cudriania tricuspidata (E), a widely cultivated species in South Korea,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numerous diseas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diabetic effects in a various signaling mechanisms using mixed extract and major component contents were analyzed by HPLC in the combined extracts from Dengropanax morfiferus, Broussonitia kazinoki, and Cudriania tricuspidata (DBCE). DBCE inhibited ${\alpha}$-glucosidase and ${\alpha}$-amylase activation and showed potent antioxidant effects, which are evaluated using DPPH, ABTS, and SOD assay. Cytokines, which are released by inflammatory cells in pancreatic islets,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type 1 diabetes mellitus. DBCE showed the protective effects in RINm5F cells against cytokines-induced damage by suppressing inducible nitric oxide (NO) synthase and COX-2 expression and NO production. Insulin resistance is the primary characteristic of type 2 diabetes. Therefore, the regulatory effect of DBCE on glucose uptake and production are investigated in insulin-responsive human HepG2 cells. DBCE stimulated glucose uptake, prevented Glut2 and phosphor-IRS1 downregulation induced by high glucose (HG, 30 mM). Moreover, DBCE pretreatment diminished glucose levels, PEPCK and G6Pase overexpression provoked by H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BCE might be used for diabetes treatment through alpha-glucosidase or alpha-amylase activity regulation, pancreatic beta cell protection, hepatic glucose sensitivity improvement. Cytokines, which are released by inflammatory cells' infiltrations around the pancreatic islets,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type 1 diabetes mellitus.

Bacillus circulans F-2가 생산하는 $\alpha$-amylase에 관한 연구 (제 I I 보) 정제$\alpha$-amylase의 효소적특성 (Studies on $\alpha$-amylase of Bocillus circulans F-2 (Part II) Enzymatic characteristics of the purified $\alpha$-amylase)

  • 정만재;;;이미자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3-132
    • /
    • 1982
  • Bacillus circulans F-2의 정제$\alpha$-amylase(F-2A)의 효소적특성과 각종 생전분의 분해율을 검토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분자양은 93,000, 등전점은 pH5.0부근, 최적pH는 6.0~6.5, 안정 pH범위는 5.5~12.0, 최적온도는 6$0^{\circ}C$, 4$0^{\circ}C$ 이하에서 안정하였다. 2. Mn$^{++}$, Co$^{++}$ 은 부활제로써 작용하였으나 Ag$^{+}$, Hg$^{++}$, Cu$^{++}$은 저해제로써 작용하였다. 3, 본 효소의 활성에 SH기는 필수적이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4. Michaelis constant (Km)는 1.704 mg/$m\ell$ 이고 활성화에너지는 25~4$0^{\circ}C$ 에서 12.297 kcal/mole, 40~6$0^{\circ}C$ 에서 7.831kca1/mo1e이었다. 5. Soluble starch, Amylose, Amylopectin으로부터 생성되는 초기분해산물은 G$_{6}$이며 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G$_4$와 G$_2$가 생성되었다. 6. 각종 Oligosaccharide로부터 생성되는 분해산물은 다음과 같다. G$_4$$\longrightarrow$ G$_2$+ G$_2$,G$_3$ +G$_1$,G$_{5}$$\longrightarrow$ G$_4$+G$_1$,G$_{6}$$\longrightarrow$G$_4$+ G$_2$,G$_{7}$ G$_4$,G$_{8}$$\longrightarrow$ G$_4$+G$_4$, 7. 감자 생전분, Sago 생전분, Yam 생전분에 대하여 본효소는 Porcine pancreatic amylase와 Streptococcus bovis amylase보다 월등하게 높은 분해율을 나타내었다.

  • PDF

적무 새싹 추출물의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합성 억제 효과 (Antiadipogenic Effects of Red Radish (Raphanus sativus L.) Sprout Extract in 3T3-L1 Preadipocytes)

  • 김다혜;김상준;정승일;천춘진;김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224-1230
    • /
    • 2014
  • 적무(Rahphanus sativus L.) 새싹은 십자화과 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적무새싹 물 추출물의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췌장 리파아제 효소에 대한 활성 억제능과 3T3-L1 지방 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지방합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적무새싹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췌장 리파아제 효소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적무새싹 추출물은 3T3-L1 지방 전구세포의 지방세포 분화, 지방 및 중성지방 축적을 억제하였으며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적무새싹 추출물은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gamma}$,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 (SREBP-1) and CC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alpha}$와 같은 지방합성 전사 인자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지방합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적무새싹 추추물은 지방합성과 수송 저장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adiponectin, fatty acid synthesis (FAS), perillipin, and fatty acid bind protein-4(FABP4)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 연구는 적무새싹이 지방합성 전사인자는 물론 지방합성 단백질 발현의 제어를 통해 비만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솔잎, 홍차 및 녹차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e Effects of Mixture Contained Pine needle, Black Tea and Green Tea Extracts)

  • 전정례;김종연;이경미;조덕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375-381
    • /
    • 2005
  • 본 연구는 흰쥐와 과체중인에서 솔잎, 홍차 및 녹차 추출물의 항-비만효과와 관련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흰쥐는 무작위로 솔잎, 홍차, 녹차 및 추출물 혼합물 군으로 분류되었다. 대조군은 흰쥐 chow 식이로 사육되었으며 추출물군은 각각 0.5, 1, 2, 4 및 8% 추출물을 흰쥐 chow 식이에 첨가하여 5주간 사육하였다. 추출물 혼합물은 솔잎 :홍차 :녹차를 2 : 1 : 1의 비율로 만들어 흰쥐 chow 식이에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솔잎과 혼합물 추출물 1, 2, 4 및 8%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체중과 내장지방을 감소시켰다. 홍차와 녹차추출물 1, 2, 4%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체중과 내장지방을 감소시켰다. 추출물 혼합군이 다른 군에 비해서 체중과 내장지방 감소효과가 컸다. 5주간의 식이동안 총 식이 섭취량은 녹차 및 홍차 8% 첨가군을 제외하고는 그룹간 차이가 없었다. 5주간의 식이에서 총 변량은 솔잎, 녹차 및 추출물 혼합 1, 2, 4% 첨가군에서 대조군보다 많았다. 과체중인에서는 추출물 혼합물이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과 체지방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솔잎, 홍차 및 녹차의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한 시험관실험에서 솔잎은 췌장의 lipase 및 ${\alpha}-amylase$ 활성도를 억제하지 않았다. 반면에 홍차와 녹차는 농도 의존적으로 췌장의 lipase 및 ${\alpha}-amylase$ 활성도를 억제하였다. ${\alpha}-amylase$의 억제효과는 홍차가 녹차보다 컸으나 lipase의 활성 억제는 반대였다. 결론적으로 흰쥐에서 솔잎, 홍차 및 녹차의 항-비만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추출물 혼합물의 항-비만 효과가 같은 조건에서는 가장 컸다. 과체중인에서 추출물 혼합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 및 체지방 감소효과를 보였다. 홍차와 녹차의 항-비만효과는 부분적으로는 위장관에서 췌장 lipase와 ${\alpha}-amylase$의 활성 억제에 의한 탄수화물과 지방의 소화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녹차 카테킨, Epigallocathechin Gallate (EGCG)의 흰쥐췌장종양 선 세포 AR42J의 MAP Kinase 세포 신호전달 기전을 통한 Neurogenin 3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GCG on Expression of Neurogenin 3 via the MAP Kinase Signaling Pathway in AR42J Cells, a Rat Pancreatic Tumor Cell Line)

  • 김성옥;최원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3호
    • /
    • pp.196-202
    • /
    • 2011
  • 본 연구는 EGCG의 항 당뇨 활성기전으로 췌장종양 선세포 AR42J의 분화 및 내분비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과 그 세포 신호전달 기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첫째, AR42J 세포에 EGCG 처리 시 췌장종양 선세포의 세포증식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둘째, 세포사멸 유도가 유의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농도인 1uM EGCG를 AR42J 세포에 처리한 결과 ngn 3, ${\alpha}$-amylase, insulin은 EGCG처리 24시간에 mRNA, 단백질 발현증가를 나타내었고 48시간에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었다. 셋째, EGCG 처리 시 ERK, JNK MAP Kinase 기전은 인산화 억제를 나타내었고 반면에 p38 기전의 인산화는 48시간에 유의적 증가를 하였다. 넷째, p38기전 저해제인 SB203580을 처리하여 EGCG가 MAP Kinase 기전중의 하나인 p38 기전 인산화 활성의 회복을 나타내어 ngn 3 발현을 위한 전사 신호전달 기전임을 다시 확인하였다. 따라서 녹차 생리활성 성분인 EGCG의 췌장종양 선 세포 AR42J 처리 결과 EGCG는 p38 MAP Kinase 기전 활성을 통해 췌장 선세포의 분화지표인 ngn 3 발현을 증가시키며 췌장내분비 기능 지표인 ${\alpha}$-amylase, insulin 발현증가를 나타내어 세포의 내분비기능 개선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Enzymatic Synthesis of Novel $\alpha$-Amylase Inhibitors via Transglycosylation by Thermotoga maritima Glucosidase

  • Kim, Sung-Hee;Lee, Myoung-Hee;Yang, Sung-Jae;Kim, Jung-Woo;Cha, Hyun-Ju;Cha, Jae-Ho;Nguyen, Van Dao;Park, Kwan-Hw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302-307
    • /
    • 2008
  • Novel amylase inhibitors were synthesized via transglycosylation by Thermotoga maritima glucosidase (TMG). TMG hydrolyzes acarbose, acarviosine-glucose, and maltooligosaccharide by releasing $^{14}C$-labeled glucose from the reducing end of each molecule. When TMG was incubated with acarviosine-glucose (the donor) and glucose (the acceptor), two major transfer products, compounds 1 and 2, were formed via transglycosylation. The structures of the transfer products were determined using thin-layer chromatography (TLC), high-performance ion chromatography (HPIC), and $^{13}C$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The results indicate that acarviosine was transferred to glucose at either C-6, to give a $\alpha-(1{\rightarrow}6$) glycosidic linkage, or at C-3, to produce an $\alpha-(1{\rightarrow}3$) glycosidic linkage. The transfer products showed a mixed-type inhibition against porcine pancreatic $\alpha$-amylase; therefore, they may be useful not only as inhibitors but also as acarbose transition-state analogs to study the mechanism of amylase inhib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