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axatriol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17초

중추도파민신경활성에 미치는 뇌기능개선 후보약물의 행동약리학적 연구 (Behavioral Pharmacological Studies of Nootropic Candidates on the Central Dopaminergic Activity Rats)

  • 이순철;유관희;산본경지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197-201
    • /
    • 1995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lucidat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nootropic candidates, entrophenoxine, N-methyl-D-glucamine, piracetam and red ginseng saponin components on stereotyped sniffing behavior induced by apomorphine in rats. Apomorphine, a direct dopaminergic receptor agonist, induced stereotyped behaviors including sniffing licking growing and biting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at behaviors were completely inhibited when measured at 1 week after 6-ydroxydopamine(6-HDA) treatment. Centrophenoxine, N-methyl-D-glucamine, red ginseng total saponin(TS), panaxatriol (PT), and Rg1 enhanced but panaxadiol (PD) inhibited, whereas piracetam and Rb1 were not effective of the sterotyped sniffing behavior induced by apomorphine(1mg/kg). The enhanced stereotyped behavior by centrophenoxine, N-methyl-D-glucamine, red ginseng total saponin, panaxatriol(PT), and Rg1 seems to have a similarity to entrophenoxine, N-methyl-D-glucamate in modulating of dopaminergic neuroal activity and also my be useful for the nootropic candidates.

  • PDF

한국인삼(韓國人蔘)의 Saponin에 관(關)한 연구(硏究)제3보(第三報) -산지별(産地別), 부위별(部位別), 재배기간별(栽培期間別) 인삼(人蔘) 및 가공중(加工中) Saponin함량(含量)에 관(關)하여- (Saponin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Part III) -Saponins of ginseng by the cultivating locations, sampling seasons, plant parts, growing stages and the processings-)

  • 조성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2호
    • /
    • pp.188-204
    • /
    • 1977
  • 인삼(人蔘)의 유효성분(有效成分)으로 알려진 saponin을 Thin layer chromatography로 전개(展開)하여 Digital Densitometer를 사용(使用)하여 한국인삼(韓國人蔘)의 산지별(産地別), 부위별(部位別), 재배연도별(栽培年度別) saponin함량(含量) 및 그 saponin fraction의 조성비(組成比)를 정량(定量)하고, 홍삼(紅蔘) 및 인삼(人蔘)엑기스 제조중(製造中) 일어나는 saponin함량(含量)의 변화(變化)를 연구(硏究)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산지별(産地別) saponin 함량(含量)에는 별로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panaxad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군(群)과 panaxatr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군(群)의 조성비(組成比)는 ($1.7{\sim}2.6$) : 1정도였다. 2. 부위별(部位別)로 볼 때, saponin함량(含量)은 미삼(尾蔘)이 12.7%로서 3.3%인 백삼(白蔘)의 4배에 가까운 높은 값을보였다. 그리고 saponin fraction별(別)로 볼 때, panaxad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도 미삼(尾蔘)이 백삼(白蔘)보다 많으나, panaxatr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은 반대(反對)로 미삼(尾蓼)이 백삼(白蔘)보다 적었다. TLC의 2차원전개결과(次元展開結果), ginsenoside-Rd는 백삼(白蔘)에만 나타나고, 미삼(尾蔘)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반면(反面), Rf와 $Rg_1$은 미삼(尾蔘)에서는 분리(分離)되었으나, 백삼(白蔘)에서는 $Rg_1$만이 존재하고, Rf는 분리(分離)되지 않았다 3. 재배연도별(栽培年度別) 근부(根部)의 saponin함량(含量)은 재배기간(栽培其間)에 따라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찾아볼 수 없으나, 인삼근당평균(人蔘根當平均) saponin함량(含量)은 2년근(年根)이 90.3mg, 3년근(年根)이 254.2mg. 4년근(年根)이 404.2mg, 5년근(年根)이 996.9mg, 6년근(年根)이 1377.1mg으로 재배기간(栽培其間)이 길어질수록 현저(顯著)하게 높았다. 그리고 인삼지상부(人蔘地上部)의 saponin함량(含量)도 재배기간(栽培其間)에 길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傾向)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saponin fraction별(別)볼 때는 $5{\sim}6$년(年)의 수확기(收穫期)에 가까워질수록 panaxatr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의 함량(含量)이 높았다. 4. 홍삼제조중(紅蔘製造中)의 saponin fraction별(別) panaxad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의 조성비(組成比)도 건삼(乾蔘)에 비(比)하여 홍삼(紅蔘)이 낮아졌으나, panaxatr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의 조성비(組成比)는 건삼(乾蔘)에 비(比)하여 홍삼(紅蔘)이 오히려 높았다. 홍삼(紅蔘)의 Thin layer chromatogram에는 건삼(乾蔘)의 그것에 나타나지 않았던 수개(數個)의 미확인(未確認) spot를 더 볼 수 있었다. 5. Ethanol과 물로 미삼(尾蔘)을 추출(抽出)하여, 29.9%의 인삼(人蔘)엑기스를 얻었는데, 이 엑기스에는 미삼(尾蔘)으로부터 추출수율(抽出收率)이 94.2%에 상당(相當)하는 saponin이 이행(移行)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 PDF

Fusarium solani와 Phytophlhora cactorum이 고려인삼의 사포닌 성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Fusurium sozani and Phytophthoya cactorum on the Changes in Saponin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 조대휘;오승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66-75
    • /
    • 1986
  • Fuiarium solani 와 Phytophthora cactorum 이 인삼 사포닌 성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기 위해서 각 첨가배지에서의 균사생육과 접종된 인삼분말의 사포닌 분석실험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Fuiarium solani는 수삼의 물추출물 농도에 따라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조사포닌 20ppm 첨가까지 생육이 촉진되었으나 50ppm이상에서는 불규칙적인 생육 억제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nystatin은 농도에 다라 생육을 억제하였다. Phytophthora cactorum은 수삼의 물추출액, 조사포닌의 농동에 따라서 생육은 촉진되었으며 nystatin은 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F. solani 및 P. cactorum 으로 접종된 인삼분말은 ginsenoside Ra, Ro peak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F. solani에 의해 PD 계 ginsenoside가 3.0% 증가되고 PT계 ginsenosides는 34.9% 감소되었다. P. cactorum의 경우는 PD 계 ginsenoside가 21.1% 증가, PT계 ginsenosides는 23.5% 감소하였다. 두 균주에 의해 PD, PT계 ginsenoside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지만 PD/PT비는 동일하게 58.4%씩 각각 높아졌다. 인삼의 총 사포닌 함량은 F. solani에 의해 17.8%, P. cactorum에 의해서 2.5%씩 각각 감소하였다.

  • PDF

인삼 사포닌 성분이 프로스타글란딘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Saponins on the Biosynthesis of Prostaglandins)

  • 이선희;박찬웅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202-210
    • /
    • 1989
  • 인삼 성분이 prostaglandin 등 arachidonic acid 대사산물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함으로써 인삼의 약리학적 작용기전을 간접적으로 모색하였다. 즉, [$^3H$]-arachidonic acid를 기질로 넣어주고 토끼 신장 micorsome, 소의 대동맥 microsome, 정상 성인의 혈소판 homogenate 등을 효소원으로 한 in vitro 생합성 과정에 변화를 주는 수종 인삼 saponin 성분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인삼 saponin 성분은 panaxadiol, panaxatriol 및 protopanaxadiol계 soponin류인 Ginsenoside $Rb_2$(G-$Rb_2$), Ginsenoside Rc(G-Rc) 및 protopanaxatriol계 saponi류인 Ginsenoside (G-$Rb_2$)이었다. 1. Arachidonic acid로부터 생성된 총 cycoloxygenase 반응생성물 및 malondialdehyde의 양은 실험에 사용한 인삼 saponin 성분의 전 농도 범위에서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인삼 saponin 성분들은 cyclooxygenase에 직접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해 준다. 2. Panaxdiol($500{\mu}g$/ml)은 $PGE_2$ 생성에는 영향이 없으나 $PGF_2$$TXB_2$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동시에 6-keto-$PGF_{1{\alpha}}$의 생성은 증가시켰다. Panaxatriol도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3. G-$Rb_2$, Rc, Re에 의해 $TXB_2$의 생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6-keto-$PGF_{1{\alpha}}$의 생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arachidonic acid와 $TXA_2$ 유사제인 U46619(9,11-methanoepoxy $PGH_2$)로 유도한 혈소판 응집 현상은 세 ginsenoside에 의해 억제되었다. G-Re의 6-keto-$PGF_{1{\alpha}}$생성증가 효과는 prostacyclin 합성효소억제제에 의해 길항하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인삼saponin 성분들은 arachidonic acid로부터 cyclooxygenase를 통해 일단 생성된 endoperoxide에서 각각의 prostaglandin을 생성하는 효소, 특히 G-$Rb_2$$TXA_2$ synthetase에 강력한 억제제로, G-Re는 prostacyclin 생합성에 촉진데로 심혈관계 균형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 PDF

홍삼의 각 부위에서 추출된 Panaxadiol분획의 함량비에 따른 유해산소제거효소(Cu/Zn Superoxide Dismutase) 유도효과 (Effect of the Contents Ratio of Panaxadiol Ginsenosides Extracted from Various Compartment of Ginseng on the Transcription of Cu/Zn Superoxide Dismutase Gene)

  • 장문석;최강주;노현모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44-49
    • /
    • 1999
  • 유해산소제거효소는 세포내에서 생성되는 유해산소를 산소와 과산화 수소로 바꿈으로서 유해산소의 농도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여 세포를 유해산소의 독성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전의 연구에서 파낙사다이올(PD)와 진세노사이드 $Rb_2$가 전사조절인자 AP2를 유도하여 유해산소 제거효소의 전사조절부위 내의 AP2결합부위를 통해 유해산소제거효소의 함량증대를 유도함을 보고한 바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각부위에서 추출된 조사포닌으로 panaxadiol(PD)와 panaxatriol(PT)의 성분함유비가 다른 시료를 이용하여 이들이 유해산소제거효소의 발현 유도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조사하기위해 유해산소제거효소의 전사조절부위를 클로람페니콜 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구조유전자와 융합시킨 벡터를 인간의 간세포에 도입하여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PD 성분의 함량비증가에 비례적으로 유해산소제거효소의전사가 증대 되었다. 또한 동일한 결과로서, PD 대 PT의 함량비가 약 2.6으로 PD의 함량이 가장높은 세세미 (finely-hairy root) 추출분획에서 유해산소제거 효소의 전사촉진이 대조군에 비해 3배이상 촉진됨을 관찰할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PD계의 분획이 유해산소제거효소의 유도성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하고 있으며, 유해산소제거효소의 유도물질로서 PD분획과 세세미 추출물이 유용하게 이용될수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홍삼 추출물 투여가 생쥐간에서 항산화 효소 활성과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ed Ginseng Component on the Antioxidative Enzymes Activities and Lipid Peroxidation in the Liver of Mice)

  • 성금수;전철;권용훈;김경현;장재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29-34
    • /
    • 2000
  • 홍삼 사포닌의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는 활성성분을 screening하기 위하여 홍삼 추출물(물 추출물, 알코올 추출물, 지용성분획, 총 사포닌, PD 및 PT)이 항산화 효소(SOD, catalase)의활성도 변화와 $H_2O$$_2$ 및 MDA의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항산화 효소인 SOD의 활성도를 조사해 본 결과 지용성 추출물, PD, 알코올 추출물 투여군 순으로 활성도를 높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SOD에 의한 중간 생성물인 $H_2O$$_2$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모든 추출물 투여군에서 감소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PT 알코올 추출물 및 PD투여군이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catalase 활성도는 지용성 추출물 투여군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총 사포닌, 알코올 추출물 투여군 순으로 조사되었다. 유리기에 의해 생성된 지질과 산화의 최종산물인 MDA의 함량은 모든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성(p<0.01) 있게 감소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지용성 추출물, 알코올 추출물, PD투여군 순으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홍삼 사포닌의 항산화 효과는 SOD및 catalase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직접적인 작용과 홍삼의 특정 성분들이 생체내에서 내인성 항산화 물질의 합성능력을 강화시킴으로서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기전을 향상시키는 결과로 생각되며, 그중에서 지용성 추출물과 PD분획물이 가장 효과적인 성분으로 생각된다.

  • PDF

인삼엽(人蔘葉)을 이용(利用)한 다류제조(茶類製造)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Ginseng-leaf' tea)

  • 양희천;이석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1호
    • /
    • pp.51-57
    • /
    • 1979
  • 전북지방(全北地方)의 백삼포(白蔘圃)에서 부산물(副産物)로 생산(生産)되는 인삼엽(人蔘葉)을 이용(利用)하여 다류(茶類)로 조제(調製)하는 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인삼엽(人蔘葉) 중(中)에는 다엽(茶葉)에서보다 가용분(可溶分)이 훨씬 많으며 열탕추출(熱湯抽出)이 아주 잘된다. 2. Tannin함량(含量)은 평균(平均) 2.2% 정도로 다엽(茶葉)의 7.89%보다 훨씬 적어 수감미가 적다. 3. 인삼엽(人蔘葉) 중(中)의 비타민 C량(量)은 다엽(茶葉)과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50{\sim}110$배(倍))로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다. 4. 인삼엽(人蔘葉)의 dammarane계(系) glycoside 함량(含量)은 $5.7{\sim}8.5%$로서 많은 함량(含量)을 가지고 있고 panaxadiol과 panaxatriol의 비는 $0.54{\sim}0.75$로서 panaxatriol계(系) saponin이 훨씬 많다. 5. 가용분(可溶分), 착색도(着色度)등을 고려할때 인삼엽(人蔘葉) 제품(製品) 2g을 200ml의 물에 넣어 3분간추출(分間抽出)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6. 기호적(嗜好的) 특성(特性)으로 볼때 또한 유효성분(有效成分) 함량면(含量面)에서도 증자(蒸煮)${\rightarrow}$건조(乾燥)${\rightarrow}$배소(焙燒)과정을 거치는 D제품(製品)이 가장 우수하다.

  • PDF

Inhibitory Effects of Panaxatriol from Panax ginseng C. A. Meyer on Phosphoinositide Breakdown Induced by Thrombin in Platelets

  • Park, Kyeong-Mee;Rhee, Man-Hee;Shin, Han-Jae;Song, Yong-Bum;Hyun, Hak-Chul;Park, Ki-Hyun;Cho, Hyun-Jeong;Choi, Sun-A;Kang, Hyo-Chan;Kim, Kyoung-Jin;Kim, Hyeong-Soo;Kang, Hee-Jin;Ok, Woo-Jeong;Lee, Dong-Ha;Park, Hwa-J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107-113
    • /
    • 2008
  •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anaxatriol (PT) on phosphoinositides (PIS) breakdown and $Ca^{2+}$-elevation in thrombi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Thrombin (5U/ml), a potent platelet agonist which activates phospholipase $C_{\beta}$ via protease activated receptor (PAR), hydrolyzed PIS in platelet membrane. The phosphatidylinositol 4, 5-bisphosphate $(PIP_2)$ was hydrolyzed after 10 sec of the thrombin-stimulation, and both the phosphatidylinositol 4-monophosphate (PIP) and phosphatidylinositol (PI) were brokendown after 30 sec of the thrombin-stimulation. However, PT inhibited the thrombin-stimulated hydrolysis of $PIP_2$, PIP, and PI. On the other hand, thrombin increased the level of phosphatidic acid (PA) which is phosphorylated from diacylglycerol (DG) generated by PIS-hydrolysis. However, Pr inhibited the thrombin-increased PA level non-significantly. Thrombin increased cytosolic free $Ca^{2+}([Ca^{2+}])_i$) up to 72% as compared with control $(30.8{\pm}0.9 nM)$ in intact platelet. However, PT (100 ${\mu}g/ml$) inhibited the thrombin-elevated $[Ca^{2+}]_i$ to 100%. These results suggest that PT may have a beneficial effect on platelet aggregation-mediated thrombotic disease by inhibiting thrombi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via suppression of the $[Ca^{2+}]_i$ level and PIS breakdown.

뇌중 dopamine 활성에 작용하는 뇌기능개선 약물의 효능검색

  • 이순철;김학성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83-283
    • /
    • 1994
  • 뇌기능개선 약물들(nootropic drugs)은 항치매약물로 기대되나 현재까지 약리학적으로 공통점이 보고되어 있지는 않다. 최근 수종의 뇌기능 개선약물의 작용이 중추도파민신경 활성을 매개로 함이 보고된바 있다. 따라서 apomorphine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상동행동을 지표로 하여 현재 사용중인 뇌기능개선약물과 국내 자원생약 성분의 작용을 비교 검토하였다. 1. apomorphine 투여에 의하여 유발된 상동행동에 대하여 centrophenoxine 과 N-methyl -D-glucamine은 현저한 상승효과를 나타내었으나 Piracetam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인삼사포닌 성분 중 panaxatriol 및 Rgl 성분은 현저한 상승효과를 나타내었으나 total saponine, panaxadiol 및 Rbl 성분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인삼제품(人蔘製品)의 품질개량(品質改良)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일보(第一報)) - 인삼근(人蔘根) 및 엽(葉) Saponin의 비교연구(比較硏究) - (Quality Control of Ginseng Products(Part I) - The saponins isolated from ginseng roots and leaves -)

  • 조한옥;조성환;김수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1호
    • /
    • pp.10-17
    • /
    • 1979
  • 인삼엽(人蔘葉)을 ether, benzene-butanol 혼합용매등으로 색소류(色素類)기타 지용성물질(脂溶性物質)등을 제거하고, methanol과 n-butanol로 연속추출하여 n-butanol soluble saponin을 얻고 계속해서 liquid chromotography 를 행하여 분획별(身劃別)로 인삼엽(人蔘葉) saponin을 분리 정제하였고, 그 화학적(化學的)및 분자구조학적(分子構造學的) 특성(特性)을 인삼근(人蔘根) saponin과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삼근(人蔘根)과 엽(葉) saponin의 2차원(차원) TLC pattern은 다소(多少) 차이(差異)차가 있으나, 다수(多數)의 spot들이 일치(一致)하였다. 인삼엽(人蔘葉)에는 ginsenoside Rd가 존재하지 않고, ginsenoside Rc는 엽(葉)에, ginsenoside $Re_1$$Rg_1$는 근부(根部)에 더 많이 분포(分布)되어 있었다. 2. 인삼엽(人蔘葉)에는 인삼근(人蔘根)에 비하여, panaxadiol 계(系) saponin이 panaxatriol 계(系) saponin보다 더높은 함량을 보였다. 3. n-butanol soluble saponin으로 liquid chromatography를 행하여 인삼근(人蔘根)에서는 Fr. 1.과 Fr. 2.를 얻었고, 인삼엽(人襲葉)에서는 Fr. 1, Fr. 2. 및 Fr. 3.의 분획(分劃)을 얻을 수 있었다. 인삼근(人蔘根)의 Fr. 1 및 엽(葉)의 Fr. 1.과 Fr. 2.등 3매의 분획(分劃)은 saponin test반응(反應)에 양성(陽性)을 보이고, 그 IR spectra는 동일(同一)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