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lmitoleic acids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8초

국내 양식 은어 지방의 지방산 조성 및 저장 중 지방 산화 (Fatty Acid Composition and Oxidation of the Lipids in Sweetfish Cultured in Korea)

  • 이희재;정하나;이새롬;정지현;이민우;황금택;황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53-858
    • /
    • 2010
  • 은어의 수분 함량은 72.5%, 지방 함량은 5.3%, 회분 함량은 1.1%였다. 은어 지방 중에 단일 불포화지방산은 34.0%였다. 그중 oleic acid가 21.1%, palmitoleic acid가 7.8%였다. 다가 불포화지방산은 28.2%였는데, 그중 DHA가 12.1%, linoleic acid가 8.1%, EPA가 5.7%였다. 통째인 은어를 12일 동안 냉장($2^{\circ}C$) 보관하며 TBA 값과 PV를 측정한 결과, ascorbic acid를 처리한 군과 진공포장한 군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FFA는 12일 동안 세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잘게 다진 상태의 은어를 12일 동안 냉장($2^{\circ}C$) 보관하면서 TBA와 PV를 측정한 결과, ascorbic acid를 처리한 군과 진공포장한 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지방산화 정도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은어가 불포화지방산과 DHA와 EPA의 좋은 급원 식품이며, ascorbic acid 처리와 진공포장이 은어 지방의 산화를 억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돼지에 있어서 생식기관액 중 지방산 조성과 조성율 (Fatty Acid Constituents and Relative Compositions of Reproductive Tract Fluids in Sow)

  • 신원집;정진우;최광수;신수길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7-145
    • /
    • 2000
  • To investigate fatty acid constituents and relative compositions in the fluid of the follicles, oviducts, uterine ho군 and uterine body in sows, the fluids of the reproductive tract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 The samples were taken from various reproductive tract of 21 sows slaughtered. 1. Caprylic acid(C8: 0), capric acid(C10:0), lauric acid(C12:0), myristic acid(C14:0), palmitic acid(C16:0), plamitolele acid(C16:1), stearic acid(C18:0), oleic acid(C18:1), linoleic acid(C18:2) and arachidonic acid(C20:4) were found in the reproductive tracts of the sows, which made 10 kinds of fatty acid intotal. 2. Two kind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inoleic acid and archidonic acid were found inthe reproductive tracts. 3. Palmitic acid among saturated fatty acids and oleic acid among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the hihgest level in all of the reproductive tracts. 4.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stearic acid showed higher rate with 44.89%, 23.69% and 14.36%, respectively, and lauric acid, capric acid, palmitoleic acid, arachidonic acid ad myristic acid showed lower rate with 0.62%, 1.13%, 1.65%, 1.97% and 2.24%, respectively in the reproductive fluid. 5. The highest level of arachidonic acid was found in the uterine horn. 6. The sum of the palmitic acid and oleic acid were 66.91%, 70.41%, 66.14% and 73.36% in the fluid of follicle, oviduct, uterine horn and uterine body, respectively. 7. The relative composition of arachidonic acid was higher during the follicular stage than during the luteal phase in the fluid of oviduct and uterine. 8. The long chain fatty acids such as the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showed higher relative compositions during the follicular phase(93.18%∼96.83%) than during the luteal phase(82.56%∼88.37%). 9. Caprylic acid, luric acid and palmitoleic acid were undetected in the fluid of all of the reproductive tracts during the follicular phase. Low relative compositions of capric acid, myristic acid andarachidonic acid were found during the follicular phase, while the low relative compositions (<5%)of capr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 plamitoleic acid and arachidonic acid were found during the luteal phase.

  • PDF

Conjugated Linoleic Acid Changes fatty Acid Composition by Decreasing Monounsaturated fatty Acids in Rabbits and Hep G2 Cells

  • Nam, Kisu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4호
    • /
    • pp.442-450
    • /
    • 1997
  • Conjugated dienoic derivatives of linoleic acid(CLA) are a mixture of positional and geometric isomers of linoleic acid(LA). We previously found that CLA changes the fatty acid profile in chicken eggs and serum by decreasing monounsaturated fatty acids. Studie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CLA on fatty acid composition. Rabbits were fed a semisynthetic diet with or without CLA(0.5g CLA/rabbit/day) for 22 weeks. Compared to the control, rabbits fed CLA had significantly lower monounsaturated fatty acid levels(palmitoleic acid Cl6 : 1 by 50% and oleic acid Cl8 : 1, by 20%) in plasma lipids. We found similar differences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liver and the aorta. The inhibitory effect of CLA on $\Delta$9 desaturation was confirmed in a human hepatoma cell line, Hep G2. CLA significantly decreased $\Delta$9 desaturation in 4-5 hours as shown by an increase in the ratio of Cl6 : 0 to C 16 1, This is apparently due to a decrease in $\Delta$9 desaturase(stearoyl-CoA desaturase, SCD) activity ; it was decreased more than 50%. These results, along with our previous findings, indicate that CLA is an inhibitor of $\Delta$9 desaturase in the liver.

  • PDF

Determination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Amount in Leukocyte Membranes from Subjects Fed with Solid and Fluid Oils

  • Erman, Fazilet;Aydin, Suleyman;Demir, Yasar;Akcay, Fatih;Bakan, Ebubekir
    • BMB Reports
    • /
    • 제39권5호
    • /
    • pp.516-521
    • /
    • 2006
  • Modifications in dietary fatty acid intake might lead to a modification in membrane phospholipid fatty acid compo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type of oil consumption and leukocyte membrane phospholipid composi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subjects utilizing butter (n = 15), margarine (n = 15), fluid oil (n = 15) and mixed types of oils (n = 15) in total 60 subjects. Leukocytes were separated from total blood by dextran sedimentation method. Membrane lipids and proteins were isolated following the cell disruption. Fatty acids of membrane phospholipids were isolated by hydrolysation with phospholipase B under ultrasonic dismembranator. Free fatty acids were identified with gas chromatography at chloroform phase. The results obtained were compared with data obtained by chromatograms of the standards. Results more prominent values of arachidic, dihomo-$\gamma$-linolenic and palmitoleic acids were found in butter-or mixed oil-user groups; eicosadienoic, eicosamonoenoic, dihomo-$\gamma$-linolenic and behenic acids in fluid oil; heptanoic, valeric, eicosadienoic and linolenic acids in margarine groups.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ixed oil was similar to butter, while other two oils were so different. From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type of oil consumption might have an influence on phospholipid components of plasma membranes.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edible grasshopper Ruspolia differens (Serville) (Orthoptera: Tettigoniidae) feeding on diversifying diets of host plants

  • RUTARO, Karlmax;MALINGA, Geoffrey M.;LEHTOVAARA, Vilma J.;OPOKE, Robert;VALTONEN, Anu;KWETEGYEKA, Justus;NYEKO, Philip;ROININEN, Heikki
    • Entomological Research
    • /
    • 제48권6호
    • /
    • pp.490-498
    • /
    • 2018
  • Ruspolia differens (Serville) (Orthoptera: Tettigoniidae) is a highly valued edible grasshopper species in Africa. However, the effects of plant diets on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R. differens are not well understood. We tested the effects of four diets on the total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R. differens. Sixth instar nymphs of R. differens were reared on one, and mixtures of two, three, and six natural plant inflorescences. Individuals collected from the field constituted a control treatment. We extracted lipids and analyzed the fatty acid methyl esters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e analyzed if the total lipid content, body weight, and fatty acid composition differed among diets and between the sexes using two-way ANOVAs and a PERMANOVA model, respectively. The total lipid content and weight of R. differens did not differ among the diets. The nine common fatty acids were palmitic (mean across treatments, 26%), oleic (22%), palmitoleic (18%), linoleic (13%), stearic (7%), myristic (6%), myristoleic (4%), ${\alpha}$-linolenic (2%) and arachidic acid (1%).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and the proportion of essential fatty acids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the diets. The proportion of essential fatty acids was highest in the control treatment (21%) but low in less diversified (one to three feed) diets (12-13%).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fatty acid composition in R. differens can be influenced through diet. Thus, with dietary manipulations, using local plants in Africa, it is possible to produce R. differens with preferred high quality essential fatty acids for human consumption.

굴, 피조개 및 진주담치의 지질조성에 관한 연구 (Lipid Composition of Oyster, Arkshell and Sea-mussel)

  • 윤호동;변한석;천석조;김선봉;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21-326
    • /
    • 1986
  •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패류중에서 이매 견인 굴, 피조개 및 진주담치를 시료로 하여 지질조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각시료의 총지질의 함량은 굴이 $3.5\%$, 피조개는 $1.4\%$, 진주담치는 $1.0\%$로 나타났으며, 중성지질함량은 $60.5{\sim}76.3\%$, 당지질은 $1.2{\sim}4.2\%$ 그리고 인지질은 $10.2{\sim}32.2\%$를 차지하였다. 총지질의 주요지방산은 palmitic acid, eicosapentaenoic acid가 주성분이었고 이외에도 굴에는 docosahexaenoic acid가, 피조개와 진주담치에는 palmitic acid의 함량이 많았다.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지질성분은 free sterol, 유리지방산, triglyceride, hydrocarbon & esterified sterol등이었으며, 이 가운데 triglyceride의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55.6{\sim}77.7\%$), 그 다음으로 hydrocarbon & esterified sterol, free sterol 함량이 각각 $5.7{\sim}18.8\%$$7.4{\sim}12.2\%$로서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중성지질의 지방산조성을 보면, 굴에서는 palmitic acid($27.8\%$), eicosapentaenoic acid($14.7\%$) 및 oleic acid($10.73\%$)가, 피조게에서는 palmitic acid($36.65\%$), eicosapentaenoic acid($21.9\%$) 및 palmitoleic acid($14.52\%$)가 주요지방산이었고, 진주담치에는 palmitic acid($36.65\%$), eicosapentaenoic acid($16.9\%$) 및 palmitoleic acid($12.3\%$)가 주성분이었다. 당지질의 지방산조성을 보면, 굴에는 docosahexaenoic acid가 $45.51\%$로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palmitic acid ($9.71\%$), eicosaenoic acid($8.77\%$)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피조개에는 palmitic acid($17.63\%$), myristic acid($21.8\%$) 및 palmitoleic acid($11.1\%$)가 주성분이었고, 진주담치에는 docosahexaenoic acid($27.33\%$), linolenic acid($13.7\%$) 및 palmitic acid($10.6\%$)가 주요지방산이었다. 굴의 인지질의 구성하는 주요지방산은 palmitic acid($34.73\%$), docosahexaenoic acid($15.24\%$) 및 eicosapentaenoic acid($13.57\%$)였고, 피조개에서는 palmitic acid($29.44\%$), eicosapentaenoic acid($14.4\%$) 및 erucic acid($11.84\%$)가 주요지방산이었다. 그리고 진주담치에서는 palmitic acid가 $23.9\%$, eicosapentaenoic acid가 $10.9\%$, linoleic acid가 $7.92\%$를 차지하여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다.

  • PDF

돔배기용 상어육의 이화학적 성분 비교 (Physicochemical Comparison of Two Different Shark Meats Used for Preparation of Dombaeki)

  • 김은옥;유명화;이기택;김선봉;최상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11-718
    • /
    • 2008
  • 경북 영천 특산물인 상어 '돔배기'의 고품질화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영천에서 '돔배기'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귀상어 및 청새리상어육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새리상어육의 수분 함량이 귀상어육보다 낮은 대신 조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의 함량은 다소 높았으나 건물중으로 환산하면 큰 차이가 없었다. 상어육의 주된 아미노산은 leucine(715.47 mg%), lysine (589.62 mg%), arginine(514.24 mg%), proline(382.64 mg%), isoleucine(326.29 mg%), valine(302.32 mg%), phenylalanine (283.32 mg%), glutamic acid(265.74 mg%), asparagine (256.64 mg%) 및 alanine(239.74 mg%)로서 전체 총 아미노산의 40% 차지하고 있었으며, 귀상어육은 proline(119.58 mg%)을 제외하고 주된 아미노산 및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청새리상어육보다 낮았다. 상어육의 주된 지방산 조성을 보면 palmitic, stearic, oleic, arachidonic 및 docosahexaenoic acids로서 귀상어육은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거의 유사하였으나 청새리상어육은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다소 높았으며, 아울러 DHA 함량이 귀상어육보다 높았다. 상어 지질류는 인지질 함량(약 65%)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스테롤, 중성지방, 유리지방산 순으로 낮았고, 인지질은 레시틴 및 세팔린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었으며, 주된 지방산은 myristic, palmitoleic, stearic 및 docosaheaenoic acids 이었고 그 함량은 상어 종류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청새리상어육은 귀상어육보다 총휘발염기성질소 함량과 pH가 다소 높았으나 색상이 밝고 연하였다.

MS 미생물복합군에 의한 음식폐기물의 양돈사료화를 위한 적정처리공정 (Processing and Fermentation of Food Wastes with MS Microorganism Complex for Swine Feeds)

  • 이정채;정우진;임계택;김태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0-275
    • /
    • 2000
  • 토양미생물군인 Miraculous soil-Microorganisms (MS균) 제제를 음식폐기물에 처리 후 발효공정에 따른 아플라톡신의 잔존 유무 분석, 열량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분석을 통해 양돈사료화를 위한 효율적 처리방법에 대한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음식폐기물의 MS균 발효 후 calorimeter를 이용한 열량측정 결과 건물 1g당 평균 7.599 Kcal D.M 정도의 높은 열량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S균 첨가 후 각 발효공정의 모든 시료에서 아플라톡신은 검출되지 않았다. 음식폐기물내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쌀겨 (10%) 및 어분 (5%) 첨가 후 MS균에 의한 3주간 혐기발효 하였을 때 $92.99\;mg{\cdot}g^{-1}$으로 저온 발효 후 보다 약 18.5%의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되었다. MS균에 의한 최종 발효 후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34.43\;mg{\cdot}g^{-1}\;D.M$ 이었으며, leucine, phenylalanine, isoleucine 및 thereonine이 높은 구성비율을 보였다.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58.66\;mg{\cdot}g^{-1}\;D.M$이었고 proline과 glutamic acid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는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palmitoleic acid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지방산 함량 역시 혐기숙성 발효에 의해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음식폐기물을 MS균에 의해 발효처리하였을때 양돈사료로서의 충분한 열량을 함유하고 있으며, 아플라톡신으로부터 안전함을 보여주며, MS균에 의한 혐기발효를 통해 음식폐기물내 단백질 및 지방의 가수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음을 잘 보여주었다.

  • PDF

수산동물(水産動物)의 Wax Ester에 관(關)한 연구(연구) (1) -숭어난유(卵油)의 지질조성(脂質組成)에 관(關)하여- (Studies on Wax Esters in Marine Animals(1) -Lipid Composition of Mullet Roe Oil-)

  • 조용계;고광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09-414
    • /
    • 1978
  • 숭어 난유(卵油)의 지질조성(脂質組成)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숭어의 각조직(各組織)의 지질성분(脂質成分)은 상이(相異)하였다. 즉 근육(筋肉), 난(卵) 및 간(肝)에서 추출(抽出)한 지질주요성분(脂質主要成分)은 각각(各各) triglyceride, wax ester,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였다. 2. 숭어난(卵)의 지질함량(脂質含量)은 약(約) 20.5%였고, 그 지질(脂質)의 요-드가(價)는 118, 불감화물의 양(量)은 38.7%였다. 3. 숭어난유(卵油)의 중요지질조성(重要脂質組成)은 wax ester가 59.1%로 제일 많았고, 다음이 극성지질(極性脂質)로 26.9%, 그 다음이 triglyceride로 9.0%였으며, Sterol은 3.0%였다. 4. Wax ester의 중요(重要)한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보면 palmitic acid가 47.5%로 제일 많았으며, 그 다음이 oleic acid로 23.0%, hexadecatrienoic acid가 6.5%, eicosapentaenoic acid가 4.0%였다. 또 triglyceride의 조성(組成)을 보면 palmitoleic acid가 25.1%, oleic acid가 16.7%, palmitic acid가 16.3%, eicosamonoenoic가 7.9%, stearic acid가 5.5%였다. 극성지질(極性脂質)의 경우는 palmitic acid가 35.0%, oleic acid가 24.7%, palmitoleic acid가 6.1%, eicosapentaenoic acid가 5.3%였다. 5. Wax ester의 중요(重要)한 alcohal은 cetyl alcohol(C16:0)가 51.0%로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이 palmitoleyl alcohol(C16:1)로 18.2%, 그 다음이 oleyl alcohol (C18:1)로 10.7%였다. 또 C15:0, C15:1, C17:0, C17:1, C19:1과 같은 기수탄소(奇數炭素) alcohol가 상당량(相當量) 발견(發見)되었다.

  • PDF

품종별 감피의 화학적 성분 특성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of Persimmon Peels According to Cultivars)

  • 김숙경;임정현;김영찬;김미연;이병우;정신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70-76
    • /
    • 2005
  • 곶감 원료용 떫은감(상주둥시, 고종시, 월하시, 청도반시, 함안수시, 평핵무, 횡야)의 과피로부터 유용성분 및 카로티노이드, 총페놀 등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감피의 일반성분 조섬유를 제외하고는 품종별로 차이가 없었다. 유리당으로는 glucose, fructose, sucrose가 확인 되었으며, $Myristic\;acid(C_{14:0}),\;palmitic\;acid(C_{16:0}),\;palmitoleic\;acid(C_{16:1})\;oleic\;acid(C_{18:1})$$linolenic\;acid(C_{18:3})$가 주된 지방산으로 확인되었다. 총아미노산의 함량은 244.84-371.45 mg/100 g이고,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3.69-28.31 mg/100 g이었다. 감피의 식이섬유중 불용성 식이섬유가 34.89-50.76 g/100 g으로 가용성 식이섬유(2.44-7.09 g/100 g)보다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retinol equivalent(R.E.)은 20.02-60.60 mg/100 g이었으며, 비타민 C는 24.69-106.01 mg/100 g으로 품종간에 다소 차이를 보였다.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상주둥시가 340.6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총페놀 함량에서도 44.07-196.98 mg/100 g으로 품종간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감피는 카로티노이드, 식이섬유, 페놀화합물 등 유용성분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