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eonia lactiflora pall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6초

Discrimination of Floral Scents and Metabolites in Cut Flowers of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Cultivars

  • Ahn, Myung Suk;Park, Pue Hee;Kwon, Young Nam;Mekapogu, Manjulatha;Kim, Suk Weon;Jie, Eun Yee;Jeong, Jae Ah;Park, Jong Taek;Kwon, Oh Ke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641-651
    • /
    • 2018
  • Floral scents and metabolites from cut flowers of 14 peony cultivars (Paeonia lactiflora Pall.) were analyzed to discriminate different cultivars and to compare the Korean cultivar with the other cut peonies imported to Korea using electronic nose (E-nose)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 combined with multivariate analysis, respectivel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DFA) dendrogram of peony floral scents were not precisely same but there were 3 groups including same cultivars. PCA and partial least squares-discriminant analysis (PLS-DA) dendrograms of peony metabolites showed that different cut peony cultivars were clustered into two major groups including same cultivars. Fragrance pattern of Korean 'Taebaek' was classified to same group with 'Jubilee' on the PCA and DFA results and its metabolite pattern was clearly discriminated by the PCA and PLS-DA compared to the other cultivar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14 peony cut flowers could be discriminated corresponding to their chemical relationship and the metabolic profile of Korean 'Taebaek'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urthermore, we suggest that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the preliminary data for breeding new cut peony cultivars and for improving the availability of Korean cut peony in cosmetic industry.

건조처리 조건에 따른 작약근 생리활성 성분 함량 변화 (Bioactive Component Content a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Condition in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Root)

  • 정명근;안영남;강광희;김재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59-464
    • /
    • 2002
  • 작약근이 수확되어 적절한 조제과정을 거쳐 약품으로서의 생약재 작약이 가공되는 과정 중 약성을 가장 크게 변화시키는 수치 및 건조방법의 차이가 작약근 함유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4년생 의성작약의 뿌리를 이용하여 코르크층을 제거한 거피근과 코르크층을 제거하지 않은 유피근으로 가공하고, 유피근, 거피근 모두 상온 음건, $50^{\circ}C$ 화력건조, 수증건법 및 동결건조 방법으로 건조한 후 이들에 함유된 작약근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조방법의 차이에 따른 paeoniflorin, albiflorin 및 (+)-taxifolin 3-O-$\beta$-D-glucopyranos의 함량은 상온 음건 조건의 건조법에서 가장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고, 동결건조가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2. 건조방법에 따른 유피근과 거피근간의 paeoniflorin, albiflorin, (+)-taxifolin 3-O-$\beta$-D-glucopyranoside의 함량을 비교할 때 상온 음건을 제외한 모든 건조법에서 거피근의 함량이 더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3. gallic acid의 함량은 유.거피근 모두 $80^{\circ}C$ 수증건법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동결건조법이 가장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4. benzoic acid의 함량은 gallic acid와 상반된 양상을 나타내어 동결건조법이 유.거피근 모두 가장 높았고, $80^{\circ}C$ 수증건법이 가장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5. 건조방법에 따른 (+)-catechin 및 (-)-epicatech고 함량은 동결건조법이 다른 건조법보다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6. paeoniflorin, albiflorin, (+)-taxifolin 3-O--$\beta$-D-glucopyranoside, (+)-catechin 및 benzoic acid의 함량은 건조 및 처리 온도가 증가할 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Effect of Paeonia lactiflora Pall. Seed Extracts and Forsythia viridissima Lindl. Extracts on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in Erythrocytes of Rats Fed High-Cholesterol Diet

  • Lee, Jeong-Min;Rhee, Soon-Ja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4호
    • /
    • pp.383-389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Paeonia lactiftora Pall. (PL) seed extracts and Forsythia viridissima Lindl. (FVL) extracts on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in the erythrocytes of rats fed a high-cholesterol diet.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100 10 g were randomly assigned to nine experimental groups and fed 0.5 % cholesterol. The HC group did not receive any supplement, while the MP group was supplemented with 0.1 % methanol extract of PL seed, the MP2 group with 0.2 % methanol extract of PL seed, the EP1 group with 0.05 % ether-soluble fraction of PL seed, the EP2 group with 0.1 % ether-soluble fraction of PL seed, the MS1 group with 0.05 % methanol extract of FVL, the MS2 group with 0.1 % methanol extract of FVL, the ES group with 0.025%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of FVL, and the ES2 group with 0.05 %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of FVL.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ad libitum for 3 weeks. The erythrocyte SOD activity in the EP1 and EP2 groups increased 38% and 59%,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the HC group, while the erythrocyte GSHpx activity in the EP1, EP2, and ES2 groups increased 30%, 31 %, and 29%,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the HC group. The level of erythrocyte TBA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MP2, EP1, and EP2 groups than in the HC group, yet the level of serum TBA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ll supplemented groups than in the HC group. The level of serum HDL- TBA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P1 and EP2 groups than in the HC group, while the level of serum LDL- TBA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ll the supplemented groups than in the HC group. According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L seed extracts and FVL extracts reduced oxidative damage by activating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the erythrocytes of rats fed a high-cholesterol diet.

High Throughput Screening on Angiogenesis Inhibitor and Promoter of Medicinal Plants using a Protein Microarray Chip

  • In, Dong-Su;Lee, Min-Su;Bang, Kyong-Hwan;Kim, Ok-Tae;Hyun, Dong-Yun;Ahn, Young-Sup;Cha, Seon-Woo;Seong, Nak-Sul;Kim, Eung-Youn;Shin, Yoo-Soo;Kang, In-Cheol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9-94
    • /
    • 2007
  • The effects of angiogenesis inhibitor from the extract libraries of Korean and Chinese medicinal plants were investigated using a protein microarray chip. Protein chip was constructed by immobilization of integrin ${\alpha}_5{\beta}_1$ on protein chip base plates and employed far screening active extracts that inhibit the integrin-fibronectin interaction from the extract libraries. The 100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were obtained from extract bank of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The 14 extracts among 100 extract libraries were shown efficient inhibition activity for the interaction between integrin-fibronectin. The medicinal plants of 14 extracts were Vitex negundo var. incisa (Lam.) C.B. Clarke, Epimedium koreanum Nakai, Cedrela sinensis A. Juss, Ipomea aquatica Forsk, Schisandra chinensis Baill, Pulsatilla koreana Nakai, Paeonia lactiflora Pall. var.hortensis Makino, Oenothera odorata, Allium chinense,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MAKINO, Polygonatum odoratum Druce var. pluriflorum Ohwi, Hosta lancifolia, Agrimonia pilosa L. var. japonica Nakai and Potentilla chinensis SER. The Paeonia lactiflora, Oenothera, and Agrimonia pilosa from these 14 extracts libraries were shown strong inhibition activity of integrin ${\alpha}_5{\beta}_1$.

봄 식재시기가 작약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ring Planting Time on Growth and Drying Root Yield of Paeonia lactiflora Pall)

  • 김재철;김기재;박소득;박준홍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9-22
    • /
    • 2006
  • 작약은 다년생 숙근성으로 가을에 식재가 일반적이지만 식재시기를 놓치거나 토지의 이용, 농가의 사정 등으로 부득이 봄에 식재 할 경우 생육과 뿌리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재 당년 맹아의 출현은 봄 식재시기가 늦을수록 빨라졌다. 생육은 3월 10일에 식재한 것이 가장 양호하여 키가 크고 줄기수가 많았으며 뿌리의 길이와 수 및 굵기도 증대되었다. 4월 10일에 식재한 것은 생육중 고사로 결주가 24% 발생하였고 생육이 불량하였으며 뿌리 수량은 3월 10일 식재에 비하여 43% 수준으로 크게 저조하였다. 2년생 10g당 건근수량은 3월10일 식재가 635 kg으로 가장 많았으며 2월 25일과 3월 25일은 비슷하였고 4월 10일 식재는 359 kg으로 가장 적어 작약 봄식재 시기는 언땅이 풀린 후부터 3월 10일 경이 가장 적합하였다. 작약의 주성분인 Paeoniflorin함량은 봄식재시기 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작약(芍藥) 종자(種子)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과 점액물(粘液物)이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eed Size and Mucilaginous Substance on Seed Germination of Peony(Paeonia lactiflora Pall.))

  • 정연선;손재근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3권
    • /
    • pp.65-70
    • /
    • 1995
  • 국내 농가 포장에서 수집(蒐集)된 작약(芍藥)종자의 크기와 발아율(發芽率)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작약(芍藥)종자의 발아적온은 $20^{\circ}C$로 나타났고 종피색별 발아율은 담갈색(淡褐色)의 종자에서 68%로 가장 높았다. 작약(芍藥)종자에서 침출되는 점액물(粘液物) 총량은 종피색에 따라 차이를 보여, 담갈색(淡褐色)이 가장 적었고, 갈색(褐色), 농갈색(濃褐色), 흑갈색(黑褐色) 순으로 색깔이 짙어질 수록 많았다. 작약(芍藥)종자의 발아율과 발아과정중 침출된 점액물(粘液物)총량과의 관계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관행 노천매장에서 처리 8주후의 발아율이 50%로 낮은데 비해, 모래 + 활성탄 혼합처리에서의 발아율은 9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 PDF

길익동동(吉益東洞)의 저술에 나타난 결실이구련(結實而拘攣)에 대한 고찰(考察) -길익동동(吉益東洞)의 $\ll$약징(藥徵)$\gg$을 중심으로- (A Study on Caking Muscular Contraction(結實而拘攣) Based on the Research of Yakucho(藥徵))

  • 김동진;김장현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9-195
    • /
    • 2009
  • Objectives : Paeonia lactiflora Pall(芍藥) is known for curing caking muscular contraction(結實而拘攣) according to Yakucho(藥徵) published by Yoshimasu Todo(吉益東洞), but the descriptions of caking muscular contraction(結實而拘攣) are not fully provided. Methods : In order to further investigate and review the exact meaning of caking muscular contraction(結實而拘攣), present study has been conducted on the basis of researches of Yoshimasu Todo's literatures, focusing on Yakucho. Results : As a result of wide range of investigation, it is concluded that caking muscular contraction(結實而拘攣) indicates an abnormal muscular contraction of rectus abdominis. Conclusions : This study will provide helpful clinic information to doctors who will apply medical treatment specified in Yoshimasu Todo's Yakucho(藥徵) to patients in the future.

  • PDF

작약의 미세번식에서 배지성분이 배양의 변색과 괴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um Components on Discoloration an Necrosis of Cultures in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Micropropagation)

  • 최상진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3-176
    • /
    • 1994
  • 작약절편을 접종하면 배지와 절편이 흑갈색으로 변하고 수 이로부터 배양이 죽기 시작하는데 배지성분 중에 이를 조장하는 물질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변색의 주원인은 철분과 염화칼슘(Cacl$_2$)이었고, 절편을 괴사시키는데 가장 큰 영양을 미친 것은 NO$_3$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피해가 비교적 적은 1/4 MS를 번식용 배지로 이용하여 식물체의 모든 부분을 배양하였을 때 조직으로부터 재생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다만 줄기절편에서 이미 형성된 액아가 유식물체로 성장하기도 하였으나 건전한 것으로 계속 성장하지 못하였으며 이것을 다시 번식체로 이용할 때는 초기 배양의 절편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생존하지 못하였다.

  • PDF

작약 품종의 가공방법에 따른 엑스 함량 비교 (Comparison on the Extract Content by Different Processing Method in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Root)

  • 정명근;안영남;강광희;조영손;김재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1-206
    • /
    • 2003
  • 한국산 재배작약의 품질평가 기준 확립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 재매작약의 생육년수, 품종, 건조방법에 따른 작약의 성분적 품질평가의 한 요인이 되는 엑스 함량을 검토하고 아울러 작약의 활성효과 중 항염증 작용 및 위액분비 억제 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된 엑스의 pH 변화 양상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년수의 차이에 따른 엑스 함량 및 pH변화를 검토한 결과 유피근, 거피근 모두 생육년수에 따른 통계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2{\sim}4$년생 작약의 유피근 함유엑스 함량이 거피근보다 $3.7%{\sim}9.2%$ 높은 양상을 나타내므로 작약근 껍질부위에도 엑스 추출 시 용출되는 물질이 다량 존재함을 알 수 있다. 2. 4년생 의성작약, 영천작약 및 좀작약을 각각 유피근과 거피근으로 가공하고 상온에서 음건한 후 각 품종별 엑스함량 및 엑스의 pH변화를 조사한 결과 엑스 함량의 경우 유피근, 거피근 모두 품종 간 차이를 나타내었고, 영천작약이 유피근, 거피근 각각 36%, 30% 수준으로 의성 작약 및 좀작약 보다 높은 엑스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엑스의 pH는 품종 간 차이가 인정 되지 않았다. 3. 4년생 의성작약을 대상으로 건조방법에 따른 엑스 함량 및 엑스의 pH 변화를 검토한 결과 유피근, 거피근 모두 건조방법 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엑스 함량은 유피근의 경우 상온 음건이, 거피근은 $80^{\circ}C$ 수증건법 이 가장 높았고, 동결건조법은 유피근, 거피근 모두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엑스의 pH변화는 유피근, 거피근 모두 냉동건조법이 pH 5.1 수준으로 가장 높았고, $80^{\circ}C$ 수증건법이 유피근, 거피근 모두 pH 3.7 수준으로 가장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작약 식물체 부위별 성분 함량 변이 (Variation of Bioactive Component Contents in Plant Parts of Paeonia lactiflora Pall.)

  • 정명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92-398
    • /
    • 2002
  • 4년생 의성작약을 재료로 하여 작약의 주 이용부위인 약근 외에 뇌두, 줄기, 잎과 같은 작약 식물체 각 부위로 시료를 구분하고, 또한 작약근의 경우 관행적 법제시 박피를 통해 제거되는 코르크층과 코르크층의 유 무에 따라 유피근 및 거피근으로 구분하여 각 시료에 함유된 작약 주요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 분포를 검토한 결과 작약 식물체 부위별 paeoniflorin, albiflorin 및 phenolic compounds의 각 함량은 뇌두가 뿌리보다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기능성 물질로 평가되는 gallic acld 및 benzoic acid는 작약의 잎과 줄기에도 상당히 많은 양이 존재하였고, 특히 잎에는 paeoniflorln도 약 2.3%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번식용으로만 이용되어온 작약의 뇌두도 약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작약의 잎 및 줄기도 gallic acid 및 그 유도체들의 source가 될 수 있으므로 이들 부위의 이용성도 체계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작약근에 함유된 유용 생리활성 성분들은 목부와 껍질부위의 코르크층에 함께 존재하였다 특히 albiflorin, gallic acid, benzoic acid 및 (-)-epicatechin 성분은 코르크층에 많이 존재하였고, 목부에 더 많은 양이 존재하는 성분은 paeoniflorin, (+)-taxifolin $3-O-{\beta}-D-glucopyranoside$ 및 (+)-catechin이었다. 결국 작약근 이용시 코르크층을 벗기면 albiflorin을 포함한 유용성분의 손실이 발생되고, phenol 성 물질의 분비로 외면의 갈변이 유도되므로 상품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작약근의 이용 시 거피를 하지 않는 것이 유용성분의 활용 면에서도 유리하고, 수치작업에 대한 노력이 감소되므로 경제적 측면에서도 유리한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