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T2

검색결과 17,647건 처리시간 0.043초

Caprylic Acid와 Cyclodextrin 복합물이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 및 메탄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prylic Acid and Cyclodextrin Complex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 김경훈;설용주;이성실;오영균;남인식;김도형;최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657-66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caprylic acid와 cyclodextrin과의 complex(CA-CD complex)의 첨가수준이 in vitro 반추위 발효 성상과 메탄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CA-CD complex 무첨가구를 대조구로 설정 하였으며, 처리구로는 CA 20mg 단독 첨가구(T1), CD 830mg 단독 첨가구(T2), CA-CD complex 425mg 첨가구(T3, CA 함량 10mg), CA-CD complex 850mg 첨가구(T4, CA 함량 20mg), CA-CD complex 1700 mg 첨가구(T5, CA 함량 40mg)이며, 3반복으로 4, 8, 12시간의 배양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시험구에서 배양 12시간까지 pH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배양 8시간 후부터 T2, T3, T4, T5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Total VFA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T2, T3, T4, T5구들이 8시간과 12시간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Propionate 농도는 배양 8시간에서만 다른 처리구보다 T4, T5 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Acetate:Propionate(A/P) 비율은 모든 배양시간에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암모니아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T2, T3, T4, T5 처리구에서 배양 4시간부터 대조구보다 암모니아 농도가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Total gas는 T1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P< 0.05)인 감소가 있었으나, T2, T3, T4, T5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12시간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Total gas 발생량에 대한 메탄 비율(%)은 12시간 배양시간에서 대조구는 3.4%이었지만, 메탄 발생량이 가장 적었던 T1구는 2.8%, 메탄 발생량이 가장 많았던 T2구는 5.1%, 그리고 T3, T4, T5구는 평균 2.7%로 T1구와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CA-CD complex를 이용하면, 반추위내 발효에 부정적 영향 없이 메탄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감귤껍질을 첨가한 돈육 patty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y with Tangerine (Citrus unshiu) Peel)

  • 최강원;이종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3-130
    • /
    • 2017
  • 본 연구는 감귤껍질을 첨가한 돈육 patty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돈육 후지 68%, 등지방 20%, 소금 2%, 냉각수 10%를 배합한 대조군(T0), 냉각수 대신 감귤껍질분말 0.3% 분산액 10%를 배합한 T1, 0.7% 분산액 10%를 배합한 T2, 그리고 T3는 1.0% 분산액 10%를 첨가하여 네 종류의 돈육 patty를 제조하였다. 생육 및 가열육의 일반성분은 시료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수율, 보수력, 수분보유율 및 지방보유율도 감귤껍질의 첨가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기계적 조직감으로 측정한 경도, 탄성, 응집성, 검성 및 씹힘성도 시료들 사이에서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T3이,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T2와 T3이 가장 높았다(p<0.001). TBARS는 감귤껍질이 첨가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T2 및 T3가 T0 및 T1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01). VBN함량은 시료들 사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H는 T0에서 가장 높고, T3에서 가장 낮았다(p<0.001). 외부색도의 경우, L-value (명도)는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a-value (적색도)와 b-value (황색도)는 T2 및 T3가 가장 높고, T0가 가장 낮았다(p<0.01). 내부색도는 L- 및 a-value의 경우, 시료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b-value에서 T2 및 T3가 가장 높고, T0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1). 관능특성 중 맛, 조직감,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시료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풍미는 T2 및 T3가 T0 및 T1보다 높았다(p<0.01). 이상의 결과에서, 돈육 patty에 감귤껍질을 첨가하면 항산화 활성, 적색도 유지, 풍미개선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감귤껍질은 육제품의 기능성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환자 및 보호자로부터 구급대원이 경험한 병원 전 응급의료현장 폭력실태 (From Patients and Caregivers 119 Rescue party's Experiences for Violence in the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Field)

  • 신상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870-3878
    • /
    • 2009
  • 본 연구는 119 구급대원들이 경험하는 폭력실태와 그에 따른 반응을 조사하기 위해 2009년 1월 1일부터 3월 2일까지 전라북도 지역의 구급대원 2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이다. 첫째, 병원 전 응급의료 현장의 구급대원 모두가 주 1회 이상의 폭력을 경험하고 있으며, 62%의 구급대원이 물리적 폭력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폭력발생의 환자측 요인으로는 약물 또는 음주가 56.2%를 차치하였으며, 구급대측 요인으로는 응급의료인력 부족이 36.3%였다. 둘째, 구급대원의 42%가 5년 이내에 폭력예방과 대처방법에 대한 교육 경험이 없으며, 77.4%의 구급대원이 향후 폭력예방과 대처 방법에 대한 교육을 원하였다. 셋째, 폭력반응 점수는 감정적 반응 3.20점, 사회적 반응 2.22점, 신체적 반응 2.17점으로 조사되었고, 전체 폭력 반응의 평균은 2.53점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폭력 반응 점수는 신체적 반응(t=-2.08, p=.038)과 감정적 반응(t=-7.13, p=.000), 전체반응(t=-4.764, p=.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연령에 따른 감정적 반응(t=4.257, p=.006)과 전체(t=2.932, p=.03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현재의 보유 자격별 점수는 사회적 반응(t=3.661, p=.000), 전체(t=8.130, p=.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소방서별 폭력 반응 점수는 신체적 반응(t=9.987, p=.000), 감정적 반응(t=2.433, p=.012), 사회적 반응(t=6.738, p=.000), 전체(t=5.943, p=.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우 미경산우 임신 단계가 채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gnancy Stage on Eating Behaviors of Hanwoo Heifers (Bos taurus coreanae))

  • 변병현;이재훈;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1-49
    • /
    • 2016
  • 본 연구는 한우 암소의 임신 단계에 따른 채식 및 반추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공시한우는 미경산 육성우(C), 미경산 임신 3개월령(T1), 미경산 임신 6개월령(T2) 그리고 미경산 임신 9개월령(T3)을 각각 3두씩, 총 12두를 4처리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그리고 사료급여는 배합사료 체중의 1%, 조사료는 자유 채식시킨 후 육안으로 48시간 행동관찰을 실시하였다. 조사료 섭취량은 T3구(3.68 kg)에서 가장 높았던 반면, C구(1.02 kg)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총사료 섭취량은 T3 > T2 > T1 > C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체중 대비 건물 채식량 역시 T3 > T2 > T1 > C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채식시간, 반추시간 및 저작시간은 유의적으로 T3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휴식시간은 C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식괴수와 총 저작수는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T3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식괴수 당 반추시간은 처리구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괴 당 저작수는 C > T1 > T3 > T2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분 당 식괴수는 처리구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음수 회수 및 배분 회수는 각각 C, T1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배뇨 회수는 임신기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채식율과 저작 효율은 임신기간이 진전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게(p<0.05) 나타났다. 반추 효율은 T1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p<0.05).

Effects of Microbial Phytase Supplementation to Diets with Low Non-Phytate Phosphorus Levels on the Performance and Bioavailability of Nutrients in Laying Hens

  • Um, J.S.;Paik, I.K.;Chang, M.B.;Lee, B.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2호
    • /
    • pp.203-208
    • /
    • 1999
  • An 8 week feeding trial was conducted with 864 ISA Brown laying hens, 48 weeks old, to determine if microbial phytase $(Natuphos^{(R)})$ supplementation can reduce non-phytate phosphorus (NPP) level in laying diets. The experiment consisted of four dietary treatments: T1, control diet with 0.26% NPP (0.55% total P) wand no supplementary phytase; T2, 0.21% NPP (0.50% total P) diet with 250 U of phytase/kg of diet; T3, 0.16% NPP (0.45% total P) diet with 250 U of phytase/kg of diet; and T4, 0.11% NPP (0.40% total P) diet with 250 U of phytase/kg of diet. T3 showed the highest egg production and egg weight and the lowest feed conversion while T4 gave the lowest egg production and the highest feed conversion and mortality. Daily feed consumption ranged from 130.4 g (T4) to 132.7 g (T2). T1 and T2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production parameters. Eggshell strength, egg specific gravity, and eggshell thick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However, broken egg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in T2 and T4 than in T1. Retentions of Ca, P, Mg, and Cu were greater in phytase supplemented treatments (T2, T3, and T4) than the control (T1), and those in T3 and T4 were greater than in T2. Excretions of P in phytase supplemented treatments (T2, T3, and T4) were significantly (p<0.05) smaller than in T1 but excretions of 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Contents of ash in tibiae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reatments, but contents of Ca, P, Mg, and Zn was increased and that of Cu decreased by phytase supplement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NPP concentration in the diet of Brown layers consuming about 130 g/d of feed can be safely lowered from 0.26% (0.55% total P) to 0.16% (0.45% total P). The excretion of P was reduced by the inclusion of 250 U phytase/kg of diet.

산란계에 대한 오전용 사료와 오후용 사료의 영양수준 및 급여방법이 산란능력과 사료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 Levels and Feeding Regimen of a.m. and p.m. Diets on Laying Hen Performances and Feed Cost)

  • 이규호;오용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5-204
    • /
    • 2002
  • 산란계에 대한 오전사료와 오후사료의 영양수준 및 급여방법이 산란능력과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2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실험 1에서는 ISA Broun 갈색산란계 384수를 4처리 3반복, 반복당 32수씩을 공시하여 28~38주령에 2주간의 예비사양기간을 거쳐 본 시험 8주간 실시하였다. 대조구(C)는 관행적인 산란계 단일 배합사료를 급여하였고, 시험구들(T1, T2 및 T3)은 고에너지-고단백질-저 Ca의 오전사료와 저에너지-저단백질-고Ca의 오후사료를 별도로 급여하였다. 실험 2는 “ISA Brown” 갈색 산란계 384수를 3처리 4반복, 반복당 32수씩을 공시하여 48 ~ 58주령에 2주간의 예비사양기간을 거쳐 본 시험 8주간 실시하였다. 대조구(C)는 관행적인 산란계 단일 배합사료를 급여하였고, T1은 고에너지-고단백질-저Ca의 오전사료와 저에너지-저단백질-고Ca의 오후사료를 별도로 급여하였고, T2는 오전사료를 분말로 하고 오후사료를 펠렛으로 가공하여 50:50으로 혼합급여 하였다. 실험 1에서 헨데이 산란율과 평균난중 및 1일 1수당사료 섭취량은 대조구와 시험구들(T1-T3)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1일 1수당 ME, CP 섭취량 및 사료비는 대조구에 비해 시험구들(T1-T3)이 유의적으로 적었고(P<0.05), 시험구들간에는 오후사료의 ME및 CP 수준이 감소하고 Ca수준이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산란 개당 및 산란 kg당 사료, ME CP요구량과 사료비도 모두 대조구에 비해 시험구(T1-T3)들이 유의적으로 적었으며(P<0.05), 시험구들 간에는 오후사료의 Ca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4배가 많은 73처리가 사료요구량에서 71과 72보다 많았고(P<0.05), 오후사료의 ME와 CP수준이 감소하고 Ca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계란의 비중과 난각강도 및 난각후도 등 난각질은 모두 대조구에 비해 시험구(71-73)들이 유의적으로 향상되었고(P<0.05),오후사료의 Ca수준이 증가할수록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 2에서 헨데이 산란율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난중과 1일 1수당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오전사료와 오후사료의 별도급여구(T1)와 혼합급여구(T2)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1일 1수당 ME, CP섭취량 및 사료비는 모두 대조구에 비해 T1과 T2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T1과 T2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산란 개당 ME와 CP요구량 및 사료비는 모두 대조구에 비해 T1과 T2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산란kg 당 사료, ME, CP요구량 및 사료비는 모두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계란의 비중과 난각후도는 대조구에 비해 T1과 T2구가 유의적으로 향상되었고(P<0.05), 난각강도는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T1과 T2구가 대조구보다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시험 결과 오전용 사료는 관행적인 산란계 배합사료에서 Ca공급제를 제외한 것을 급여하고, 오후용 사료는 Ca공급제를 3배 첨가한 T2처리로 15:00~16:00시에 교체급여를 하면 사료섭취량 감소와 사료비 절감면에서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고에너지-고단백질-저Ca의 분말사료와 저에너지-저단백질-고Ca의 펠렛사료를 혼합급여하면 산란계의 사료섭취 량과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었으며, 오전사료와 오후사료 별도급여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는 사양체계로 기대가 되나 보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The Disaster Preparedness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mong Nurses in Emergency Rooms of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 Lee, Min-Hee;Kim, Kye-Ha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184-19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aster preparedness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mong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6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s in two c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survey from January to August 2016.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 23.0 program. Participants' disaster preparedness was different according to position (t=-2.32, p=.004), type of working (t=-2.32, p=.004), and frequency of traumatic events (F=5.26, p=.009).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t=2.88, p=.006), desire for continuous work in the emergency room (t=2.95, p=.005), and job satisfaction (F=10.81, p < .001) in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t=-2.05, p=.045), choice of an emergency department (t=-2.37, p=.021), desire for continuous work in the emergency room (t=-2.31, p=.025), and job satisfaction (F=11.99, p < .001). Disaster preparedness and compassion satisfaction had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Compassion satisfaction of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 was an important variable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ir disaster preparedness.

EXISTENCE AND UNIQUENESS OF PERIODIC SOLUTIONS FOR A CLASS OF p-LAPLACIAN EQUATIONS

  • Kim, Yong-I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B:순수및응용수학
    • /
    • 제19권2호
    • /
    • pp.103-109
    • /
    • 2012
  • The existence and uniqueness of T-periodic solutions for the following p-Laplacian equations: $$({\phi}_p(x^{\prime}))^{\prime}+{\alpha}(t)x^{\prime}+g(t,x)=e(t),\;x(0)=x(T),x^{\prime}(0)=x^{\prime}(T)$$ are investigated, where ${\phi}_p(u)={\mid}u{\mid}^{p-2}u$ with $p$ > 1 and ${\alpha}{\in}C^1$, $e{\in}C$ are T-periodic and $g$ is continuous and T-periodic in $t$. By using coincidence degree theory, some existence and uniqueness results are obtained.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Community Elderly)

  • 양미정;윤경순;조숙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5-40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on physiological indicators, self-efficacy, grit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community elderly.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for 8 weeks from October 8 to November 26, 2020. Results: t-test showed that systolic blood pressure (t=-2.12, p=.040), self-efficacy (t=3.78, p<.001), grit (t=3.75, p<.001)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2.89, p=.002)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other hands BMI (t=-1.26, p=.213), diastolic pressure (t=-1.07, p=.287), total cholesterol (t=-1.67, p=.102), LDL-cholesterol (t=-0.76, p=.451), HDL-cholesterol (t=-0.57, p=.567) and triglyceride (t=-1.76, p=.094)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in improving physiological indicators, self-efficacy, gri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community elderly.

골다공증이 있는 폐경 후 당뇨 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6-2018년) 활용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ostmenopausal women with diabetes and osteoporosis: a secondary analysis of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 김혁준;김혜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2-122
    • /
    • 2022
  • Purpose: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is increasing, and diabetes patients have decreased bone density.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s diminished by the resultant physical dysfunction and de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HRQoL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diabetes and osteoporosis. Methods: This was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Seventh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which utilized a complex, multistage probability sample design.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37 women with diabetes and osteoporosis. To evalu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HRQoL, a complex-samples general linear model was constructed, and the Bonferroni correction was performed. Results: In this sample of women aged 45 to 80 years (mean±standard deviation, 71.12±7.21 years), the average HRQoL score was 0.83±0.18 out of 1.0. Factors influencing HRQoL were age (70s: t=-3.74, p<.001; 80s: t=-3.42, p=.001), walking for exercise more than 5 days a week (t=-2.83, p=.005), cerebrovascular disease (t=-8.33, p<.001), osteoarthritis (t=-2.04, p=.014), hypertension (t=2.03, p=.044), higher perceived stress (t=-2.17, p=.032), poor glycemic control (t=3.40, p=.001), waist circumference (t=-2.76, p=.007), sitting time per day (t=-2.10, p=.038), and a longer postmenopausal period (t=3.09, p=.002).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HRQoL of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 and diabete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enable the effective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while preventing the complications of diabetes and minimizing stress through physical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