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 leaching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26초

산성비가 봉선화(Impatiens balsamina L.) 및 만수국(Tagetes patula L.)의 발아, 생장, 완충능력 및 양료용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Germination, Growth, Acid Buffering Capacity and Nutrient Leaching in Impatiens balsamina L. and Tagetes patula L.)

  • 김학윤;이인중;신동현;김길웅;조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598-604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SAR) on germination, growth, acid buffering capacity and nutrient leaching in Impatiens balsamina L. and Tagetes patula L.. In both species, germination was not inhibited at pH 4.0, but the germination rate decreased at the lower pH of 3.0, showing higher rate in Inpatiens balsamina L. than Tagetes patula L.. As the pH decreases, the growth of radicle was markedly decreased than that of hypocotyl in both species. The plant height, root length, leaf area, total dry weight, relative growth rate and net assimilation rate were inhibited by SAR. The acid buffering capacity in the leaves were increased at pH 4.0, on the other hand, it was shown a tendency to decrease at pH 2.0 in both species. As the pH levels decreased from 5.6 to 2.0, the nutrient leaching from leav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species. Based on the results, there are a great difference in the responses to SAR between the two species. In general, Tagetes patula L. represented a higher tolerance to SAR than Impatiens balsamina 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terspecific variation in the acid buffering capacity and nutrient leaching from leaves may be responsible for the interspecific susceptibility to SAR.

  • PDF

시멘트고화에 의한 카드뮴슬러지의 안정성 및 용출실험방법 비교 검토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Leaching Methods and Stability of Cement Mortar Solidified Cadmium sludge)

  • 주소영;김광렬
    • 환경위생공학
    • /
    • 제17권3호
    • /
    • pp.21-30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 solidification of Cd sludge using cement and power plant fly ash as cement admixture, to identify the leaching characteristics of the heavy metal Cd sludge solidified, and to develope proper KLT(Korean Leaching Test) of hazardous waste. KLT was compared with EPT(Extraction Procedure Toxicity) and TCLP(Toxicity Characteristics Leaching Procedure). Fly ash contents ranged from 0% to 30% of cement weigh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optimum amount of fly ash replaced was 10% to 15% and KLT was less appropriate than EPA and TCLP. Also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ggest the modification factors on the leaching test currently used,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aspects. The effects of pH, leaching time, leaching for agitating intensity, and leaching solvent were investigated. As the result of test, the leaching potential was relatively high when the pH and agitation intensity of leaching solution were 5 and 150rpm, respectively. Leaching time of six hours was found to be sufficient and the use of acetic acid as a leaching solvent is more useful in landfill site particularly.

EAF 더스트-점토계의 중금속 용출 및 안정화에 미치는 pH의 영향 (Leaching and stabilization of the heavy metals with pH in EAF dust-clay system)

  • 이지영;이기강;김유택;강승구;김정환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8-93
    • /
    • 2006
  • 유해한 중금속을 다량 함유하는 EAF(electric arc furnace) 더스트를 세라믹 원료로 재활용하기 위해서 EAF 더스트, EAF 더스트-점토에 대해서 pH와 혼합비에 따른 중금속 용출농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소성과정 중에서 발생하는 중금속의 휘발량을 소지 내의 중금속 이온의 총량을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TCLP(toxicity characteristic leaching procedure)분석을 통해 중금속 이온의 안정화 정도를 평가하였다. EAF 더스트-점토 슬러리의 pH를 10으로 조절하였을 경우에 습식혼합 여액중의 중금속 이온의 농도가 가장 낮은 값을 가졌다. pH 10의 슬러리에 대해서 혼합비와 소성온도에 따른 소지내 중금속 이온의 총량을 측정한 결과 소성온도와 EAF 더스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중금속의 휘발이 증가하였으며, 점토의 혼합비가 증가할수록 중금속 이온의 휘발이 억제되었다. TCLP 분석결과 점토의 혼합비와 소성온도가 증가할수록 중금속의 용출은 감소하였으며 중금속의 용출농도는 기준치 이하로 안정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순환골재의 오염물질 발생 가능성에 관한 실험적 평가 (Experimental Evaluation on Occurrence Possibility of Pollutants from Aggregates)

  • 박정호;성진욱;박제철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7
    • /
    • 2013
  • 본 연구는 순환골재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특성과 오염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생산제품 순환골재(RA-1)와 현장 순환골재(RA-2)의 용출시험을 실시하였다. 순환골재의 pH, Conductivity, 중금속 함량은 RA-2 보다 RA-1이 높게 나타났다. 용출시험결과, 순환골재로부터 용출되는 오염물질은 입경이 작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순환골재의 pH는 9.0~12.3으로 강알칼리성으로 나타났고, Conductivity는 10mm 이하에서 높게 나타났다. 중금속은 KSLT의 용출기준을 만족하였고, 순환골재로부터 약 10% 이하로 용출되었다. 순환골재의 수질 오염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오염 가능성이 매우 높은 항목에는 pH, 오염 가능성이 낮은 항목에는 Conductivity, Turbidity, 오염 가능성이 매우 낮은 항목에는 중금속으로 나타났다.

산침출에 의한 광미중 비소성분의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of Arsenic 1mm Closed-Mine Tailings by Acid-Leaching Process)

  • 오종기;이화영;김성규;이재령;박재구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1-31
    • /
    • 1998
  • 폐광산 광미로부터 비소를 제거하기 위한 산침출 및 침전실험을 수행하였다. 다덕광산의 광미시료를 대상으로 염산 및 황산농도, 침출시간, 슬러리 농도에 따른 침출율의 변화를 조사함과 동시에 침출액 중의 비소성분을 침전시키기 위하여 pH조절과 Sodium Sulfide를 첨가하여 비소의 침전율을 관찰하였다. 염산침출의 경우 1시간 침출 후 산농도 및 슬러리 농도에 따라 40%에서 86%까지 비소침출율을 보였으며, 황산의 경우 47%∼77%의 침출율을 나타냈다. 침출시간에 따른 침출율의 변화는 10분이내에서 급격한 변화를 보이지만, 그후에는 침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침출액중의 산농도가 높아지면 침출율이 증가하나 2N이상에서는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 침출액을 반복사용할 경우 5회까지 꾸준히 침출이 일어나지만 그 증가폭은 점차 감소하였으며, 산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추세가 보다 완만한 경향을 보였다. 침출액 중의 비소성분은 단순한 pH조절을 통하여 약 84%까지의 침전율을 보였으며, 침전제로 Sodium Sulfide 를 사용하였을 경우 99%이상의 침전율을 나타냈다.

  • PDF

중유회 소각재로부터 바나듐, 니켈 침출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Study on Leaching of Vanadium and Nickel from Incineration Ash of Heavy Oil Fly Ash)

  • 유연태;김병규;박경호;홍성웅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4권3호
    • /
    • pp.32-39
    • /
    • 1995
  • 중유회의 소각재로부터 바나듐과 니켈을 회수할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유회 소각재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및 침출특성을 조사하였다. 소각재의 물리 화학적 특성은 성분분석,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형태관찰 및 X선 회절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고, 소각재중의 바나듐과 니켈의 침출특성은 물과 황산용액에 대하여 행하였다. 실험결과 중유회 소각재의 주요 구성물질은 $V_4$O, $V_2$O4, $NaVO_3$, $Ni_3$($VO_4$)$_2$, $Fe_2$$O_3$, $CaSO_4$, $SiO_2$로, 수용성 물질이 적어 수침출에 의해서는 소량의 바나듐만이 침출되었다. 한편, 황산침출이나 고온고압하에서의 황산침출은 중유회 소각재로부터 바나듐과 니켈을 추출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황산침출의 경우(pH 0.5, 9$0^{\circ}C$) 바나듐과 니켈의 침출율은 각각 99%와 45%였고, 고온고압하의 황산침출의 경우 (pH 1.0, $200^{\circ}C$, 60 psi) 바나듐과 니켈의 침출율은 각각 86%와 75%를 나타내었다.

  • PDF

적니로부터 철과 알루미늄의 침출 및 응집제의 제조 (Leaching of Iron and Aluminum from Red Mud and Preparation of Coagulants)

  • 이재록;황인국;배재흠
    • 청정기술
    • /
    • 제15권1호
    • /
    • pp.38-41
    • /
    • 2009
  • 적니(red mud)는 보오크싸이트로부터 수산화알루미늄/알루미나를 제조하는 Bayer 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폐기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적니로부터 철과 알루미늄을 염산으로 침출시켜 폐수처리용 응집제를 제조하였다. 적니응집제를 합성폐수에 투입한 후 조절된 pH가 증가함에 따라 중금속이온 제거율이 증가하였다. 적니응집제 제조 시에 적니의 양이 증가할수록 Fe의 침출효율은 낮아졌으나, 적니응집제의 pH는 적니의 양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적니응집제와 물을 혼합한 용액을 다시 적니와 반응시켜 Fe 및 Al의 농도가 더 증가되고, pH가 향상된 침출액을 얻었다. 이 침출액의 pH는 다른 응집제 $FeCl_3$$Fe_2(SO_4)_3$의 pH와 비슷한 값을 보였다.

해수에 의한 제강 슬래그의 납, 구리, 카드뮴 및 수은 화합물의 용출특성 평가 (Evaluation of Lead, Copper, Cadmium, and Mercury Species in the Leachate of Steel Making Slag by Seawater)

  • 이한국;이동훈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5-84
    • /
    • 2005
  • 본 연구는 해양구조물로 재활용되는 제강 슬래그의 납, 구리, 카드뮴과 수은의 용출특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고형폐기물의 용출규제 시험, 액고비 변화시험, pH 고정시험과 같은 다양한 용출시험을 하였다. 용출용매로 증류수를 이용한 경우와 해수를 이용한 경우의 pH 고정시험 결과, 제강슬래그에서 용출된 납, 구리, 카드뮴은 뚜렷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용출용매로 증류수 사용시, pH 7-8 구간과 pH 11-12 구간에서 낮은 용출을 보였지만, 해수를 용출용매로 사용한 경우는, 증류수를 용매로 사용한 것 보다 높게 용출되었다. 수은 용출의 경우는 증류수를 용출용매로 이용한 것보다 해수를 이용한 경우에서 더 낮게 용출되었다. 한편, 제강 슬래그에서 용출되는 납, 구리, 카드뮴의 용존 및 침전 상태의 파악과 중금속 화합물들의 파악을 위하여 지화학 평형 프로그램인 Visual minteq를 사용하였다. 해수와 반응한 제강 슬래그에서 용출된 납, 구리는 pH 11-12 구간에서 대부분 용존되지만 pH가 감소되는 pH 7-10에서는 90% 이상만이 침전하였고, 카드뮴의 경우는 100% 용존상태로 존재하였다. 증류수와 반응한 제강 슬래그에서 용출된 납은 해수의 경우도 유사하였고, 구리와 카드뮴은 100% 용존상태로 존재하였다. 해수 내의 $Cl^-,\;CO_3^{-2},\;SO_4^{-2}$와 결합한 납화합물은 $PbCl^+,\;PbSO_4$로 이루어졌으며, 구리화합물은 $CuSO_4,\;CuCO_3$, 카드뮴화합물은 $CdCl^+,\;CdSO_4$ 등이 형성되었다. 수은의 경우는 해수 및 증류수를 용출용매로 이용한 모든 경우에서 납, 구리, 카드뮴과는 달리 대부분 침전하였다. 더욱이 해수에 존재하는 고농도 염소($Cl^-$)와의 수착으로 인해 finite solid인 calomel($Hg_2Cl_2$)이 형성되어 대부분 침전(SI=0)되기 때문에 납, 구리, 카드뮴 보다 더 낮은 환경이동성을 갖을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실험결과 용출용매로 증류수와 해수를 이용했을 때, 제강 슬래그에서 용출되는 납, 구리, 카드뮴, 수은의 용출 경향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서, 납, 구리, 카드뮴의 용출 유해성은 낮기 때문에 해양구조물로의 제강슬래그 유효이용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용출실험에 의한 석분토의 지표환경 오염 평가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caused by the Stone-dust using Leaching Tests)

  • 강민주;이평구;염승준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5권3호
    • /
    • pp.52-60
    • /
    • 2010
  • The stone-dust is an unavoidable by-product of aggregate production, which is produced about 0.8~1.0 million $m^3$ annually. The stone-dust is currently regarded as a hazard material on environment because it is classified as an industrial waste in the Waste Management Law of Korea. At present, the stone-dust is considered as a environmentally hazardous material, and is classified as an industrial waste according to the Waste Management Law of Korea.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heavy-metal contamination of the stone-dust on surrounding environments by various leaching tests. Leaching experiments (such as Korea Standard Leaching Procedure (KSLP), Soil Environment Preservation Act of Korea (SEPAK), Toxicity Characteristic Leaching Procedure (TCLP), and Synthetic Precipitation Leaching Procedure (SPLP)) show that very low heavy metals (As, Cd, Cu, Pb, Zn, Hg) and CN are leached out, or much less than each regulatory thresholds. The resuts of the leaching test with time in acidic solution (initial pH 5 and 3) indicate that pH-buffering minerals are present in the stone-du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one-dust can not potentially affect adverse impact on surrounding environments such as surface water, groundwater and soil etc..

해수-석탄회 상호작용에 의한 원소 용출특성: 실험연구

  • 박성민;김강주;장수범;황갑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455-458
    • /
    • 2003
  • We investigated the leaching of elements from anthracite ashes by interactions with seawater. The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 rates of dissolved oxygen are 7.5 times greater in the seawater system than in the fresh water system and indicate that the differences in DO consumption rate may plat a role in regulating the element leaching from the coal ashes. It is revealed that seawater's pH buffering capac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makes the leaching of elements and their chemical behaviors in the seawater system different from those in the fresh water environments. In overall, element leaching from the weathered ash is smaller than that from the fresh ash. However, the leaching of Si, Fe, Al, Mn, phosphate, and some other elements were independent of weathering. They were dependant only on the pH of the solu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