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H 전환

검색결과 551건 처리시간 0.027초

간헐적으로 첨가된 Cholesterol로부터 미생물전환에 의한 4-Androstene-3,17-dione의 생산 (Microbial Conversion of Cholesterol to 4-Androstene-3,17-dione by Intermittent Addition of Substrate)

  • Choi, S.K.;Kim, H.S.;Park, Y.H.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7-192
    • /
    • 1988
  • Cholesterol로부터 미생물전환 방법에 의한 4-androstene-3,17-dione(AD)의 생성에 대해 연구를 수행했다. 발효액중에 cholesterol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ethanol을 용매로 사용하였는데, ethanol 농도가 2%(v/v)까지는 세균성장이 크게 저해되지 않았다. 미생물전환은 pH를 7.0으로 조절하고, 초기대수 증식기에 cholesterol을 첨가했을 때 효율적으로 AD가 생성되었다. AD 생성을 높이기 위해 cholesterol 첨가방법을 여러 가지로 변환시켰다. 즉, 최종 cholesterol 농도를 0.1% 하여 ethanol에 녹여 간헐적으로 첨가했을 때 가장 높은 수율을 얻었다. Cholesterol을 세번(전체 3g/$\ell$) 첨가했을 때 최종 전환수율이 65%에 도달한 반면, 같은 양의 cholesterol (3g/$\ell$)을 한번에 넣었을 때 40%의 생성수율을 얻었다.

  • PDF

Pichia pastoris에서 생산된 인체 췌장 α-아밀레이스 동질효소의 촉매활성에 대한 염소이온의 영향 (Effect of chloride ions on the catalytic properties of human pancreatic α-amylase isozyme produced in Pichia pastoris)

  • 김민규;김영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41-346
    • /
    • 2016
  • HPA는 식품으로 섭취되는 녹말을 분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효소이기 때문에 HPA 효소 활성의 억제는 당뇨와 비만과 같은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HPA는 당뇨병 치료와 비만 예방을 위한 새로운 식 의약품 소재 개발을 위한 주요 타깃 효소 중 하나이며, 새로운 소재의 개발을 위해서는 HPA의 반응 메커니즘을 비롯하여 천연 기질 분해 특성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HPA의 동질효소 중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은 HPA II에 대한 효소 특성화를 진행하고자 P. pastoris 시스템을 이용하여 재조합 HPA II를 생산하였으며, 녹말 분해와 관련된 효소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HPA II는 10 mM NaCl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효소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최적 활성을 위한 pH는 0 mM NaCl 조건에서 pH 6.5이었으나 10 mM NaCl조건에서 pH 7.5로 이동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이는 HPA I을 포함하는 염소이온 의존형 아밀레이스가 나타내는 전형적인 특징이다. 염소이온 존재 시 최적 pH가 염기성 pH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은 염소 이온과 효소의 결합에 의해 HPA II의 산/염기 촉매 잔기의 $pK_a$값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염소이온을 첨가하였을 때 녹말에 대한 가수분해 활성의 증대 정도가 산성 pH 영역보다 염기성 pH 영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하였다. 반응속도론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염소이온 존재 시 효소활성의 증대는 대부분 전환수(turnover number)의 증대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용성 녹말 보다 곡류 녹말에 대한 전환수의 증대가 크게 나타났다. 염소이온은 활성의 증대뿐만 아니라 고농도의 기질 조건에서 기질에 의한 효소 활성 억제 양상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HPA II의 특징은 HPA I과 거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염소이온 첨가여부에 따른 HPA II의 가수분해활성 결과를 바탕으로 향 후 HPA에 대한 곡류 녹말 가수분해 활성 억제제 개발을 위한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콩배아의 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에 의한 이소플라본과 소야사포닌 변화 (Bioconversion of Isoflavone and Soyasaponin in the Fermentation of Soy Embryo Using Lactic Acid Bacteria)

  • 이미자;박송이;이광식;김현영;나지은;함현미
    • 산업식품공학
    • /
    • 제23권3호
    • /
    • pp.209-216
    • /
    • 2019
  • 콩 가공 부산물인 콩 배아 이소플라본의 생체내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LA, LB, LP 등 3가지 유산균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비배당체화 전환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균주의 종류와 접종량, 발효시간에 따른 이소플라본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균주를 이용한 모든 발효에서 균주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전환을 보였고, 발효시간에 따른 비배당체 전환율은 24시간에서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후에는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비배당체화 발효의 최적 균주는 LP균, 접종량은 5%, 발효시간은 24시간 이었다. 대조군의 이소플라본 배당체의 구성은 글리시틴>다이드진>제니스틴 순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켰을 때 배당체들은 감소하였고, 비배당체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다이드제인>글리시테인>제니스테인 순으로 45% 이상의 비배당체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산균으로 발효시켰을 때 다이드진의 함량이 가장 크게 감소하였고, 다이드제인 함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소야사포닌의 경우 발효에 의하여 Ab가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Ba와 Bb가 증가하였다. 발효액은 pH 3에서 pH 6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다이드제인 함량이 많이 증가하였고, 소야사포닌 함량은 Ab 함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Ba와 Bb 함량도 소량감소하는 등 발효액의 pH가 발효에 의한 이소플라본과 소야사포닌 함량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고, LP균을 이용한 발효로 가공부산물인 콩 배아의 생리활성 증가 및 기능성소재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illus thuringiensis의 CryI과 CytA 단백질의 형태와 용해도에 대한 숙주의 영향 (Effects of Host Cell on the Morphology and Solubility of CryI and CytA Protein of Bacillus thuringiensis)

  • 김무기;안병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23-30
    • /
    • 1998
  • B. thuringiensis에서 분리된 cryIB, truncated cryIB$[cryIB({\alpha})]$, cryIA(b), 및 cytA 유전자를 E. coli-Bacillus의 shuttle vector인 pBES에 cloning하여 이 유전자의 동종 혹은 이종발현과 이들 형질전환된 균주에서 생성되는 살충성 결정 단백질의 형태와 특성을 조사하였다. E. coli와 Bacillus의 형질전환은 electroporation으로 이루어졌으며, 효과적인 형질전환을 위한 field strength와 resistance는 E. coli의 경우 11.0 kV/cm와 129 ohms였고, Bacillus의 경우에는 4.5 kV/cm와 48 ohms였다. E. coli나 Bacillus에서 형성되는 살충성 결정 단백질의 전자현미경적인 형태는 원래의 숙주에서 형성된 것과 동일하여 CryIB와 CryIA(b)는 bipyramid 형이고, CytA는 부정형이었으며, 크기는 E. coli에서 형성된 것이 Bacillus에서 형성된 것 보다 작았다. Alkaline pH에서의 살충성 결정 단백질의 용해도는 E. coli의 경우 pH의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되었으나, Bacillus의 경우에는 pH 9 까지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pH 9 이상에서는 큰 폭으로 증가하여 E. coli의 경우보다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 PDF

고정화 Aminopeptidase M 컬럼 반응기를 이용한 메치오닐 인간성장호르몬으로부터 천연형 인간성장호르몬의 연속생산 (Continuous Production of Authentic Human Growth Hormone from Methionyl Human Growth Hormone Using the Column Reactor of Immobilized Aminopeptidase M)

  • 이성희;김기태
    • KSBB Journal
    • /
    • 제10권3호
    • /
    • pp.283-291
    • /
    • 1995
  • Aminopeptidase M(ApM)을 Cellufine Formyl 에 고정화시켜 고정화 효소의 반응특성을 고찰하고, 고정화 ApM을 충진한 column reactor를 이용하여 메치오닐 인간 성장 호르몬(met-hGH)으로부터 천연형 인간 성장 호르몬(hGH)의 연속 생산을 검토 하였다. Cellufine Formyl 19 gel당 2.3mg의 ApM 이 결합되었을 때 met-hGH의 hGH로의 전환능력이 가장 우수하였다. Soluble enzyme과 고정화 효 소의 반응 최적 pH는 7.0, 반응 최적 온도는 $55^{\circ}C$로 통일하였으나 고정화에 의해 pH 벙위가 보다 넓 어졌으며, column reactor에서 연속 운전시 최적온 도 역시 $55^{\circ}C$로 나타났다. Column reactor를 이용 한 천연형 hGH의 연속 생산시 met-hGH가 100% 전환되는 조건에서 hGH 수율과 생산성은 각각 약 77%와 약 0.8mg hGH/ml.h이었다. 반응기 크기 를 5배 증가시켰을 때 두 반융기에서 유속 SV 값이 통일하면 met-hGH 전환율과 hGH 수율이 통일하 였으며, 90일간의 연속 운전 결과로 예측한 column reactor의 반감기는 45t에서 228일, $55^{\circ}C$에서 81 일로 비교척 안정하였다.

  • PDF

Bacillus licheniformis ATCC 27811이 생산하는 내열성 $\alpha$-amylase 유전자의 Cloning 및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Thermostable Alpha-amylase Gene in Escherichia coli from Bacillus licheniformis ATCC 27811)

  • 김인철;장소영;차재호;고영환;박관화;노현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69-373
    • /
    • 1988
  • Bacillus licheniformis ATCC 27811의 염색체 DNA를 분리하며 제한효소인 EcoRI으로 부분절단하고, 동일 효소로 절단한 plasmid pBR322에 ligation 시킨 뒤 E. coli HB 101에 형질전환시켜 alpha-amylase 형질을 보여주는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형질전환체로부터 alpha-amylase를 분리하며, 원 균주인 Bac. licheniformis가 생산하는 alpha-amylase와 pH 및 온도특성을 비교하며 모균주와 같은 성질을 가졌음을 확인하였다. 재조합체 DNA로부터 얻은 Insert는 대략 3.1kb 정도였고, HindIII, ClaI, PstI, SalI Site를 한개씩 가지고 있었다.

  • PDF

인체 락토페린 생산 형질전환 가시오갈피 배양세포 (Transgenic Siberian Ginseng Cultured Cells That Produce High Levels of Human Lactoferrin)

  • 조승현;권석윤;김재훈;이기택;곽상수;이행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3호
    • /
    • pp.209-215
    • /
    • 2005
  • 락토페린은 철 결합 당단백질로서 항 미생물활성과 면역강화와 같은 생리활성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배양 세포 고 발현 SWPA2 promoter를 이용하여 인체락토페린(hLf)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가시오갈피 배양세포주 개발에 관한 것이다. 형질전환에 이용된 벡터는 산화스트레스 유도성 SWPA2 promoter의 조절 하에서 hLf이 소포체로 targeting되도록 제작된 SWPA2pro::ER-hLf/pCAMBIA이다. hLf을 생산하는 각 형질전환 배양세포들은 PCR과 Southern분석을 통해 hLf 유전자가 가시오갈피 게놈내로 성공적으로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western blot과 ELISA를 통해 형질전환 가시오갈피 배양 세포주에서 hLf 단백질이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 가시오갈피 배양세포에서 hLf 단백질의 함량은 세포배양이 진행될수록 증가하여 정지기 때 가장 높았으며 전체 수용성 단백질의 약 3%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인체락토페린을 고생산하는 약용식물 가시오갈피 배양 세포주는 산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eisseria lactamica 2118의 $\beta$-galactosidase 유전자의 대장균으로의 클로닝 (Molecular Cloning of $\beta$-Galactosidase Gene from Neisseria lactamica 2118 into Escherichia coli MC 1061)

  • 이종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37-45
    • /
    • 1992
  • Neisseria lactamica 2118 의 $\beta$-galactosidase 유전자를 Southern Hybridization 과 colony hybridization을 통하여 Escherichia coli MC 1061에 클로닝 시켰다. $\beta$-Galactosidase 유전자를 함유하는 6.5 Kb EcoR I 단편과 7.2 Kb BamH I 단편들을 pMC 1871의 lac Z 유전자를 probe로 한 Southern hybridization으로 얻고 이들을 pBR 322에 삽입한후 Escherichia coli MC 1061에 형질전환 시키고 이들 형질전환체들을 동일 probe로 colony hybridization 시켜 최종적으로 3주의 $\beta$-galactosidase positive clone들을 얻었다. 이들의 재조합 plasmid에는 Neisseria lactomica 2118 염색체 DNA의 약 7.2Kb BamH I 단편이 삽입되어 있음을 확인 하였고 probe와 상동성이 가장 강한것으로 추정되는 pNL 24에 대한 제한효소지도를 작성 하였다.

  • PDF

CKDHC 0801과 CKDHC 0802 균주를 이용한 홍삼발효 (Fermentation of Red Ginseng using CKDHC 0801 and CKDHC 0802)

  • 신용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69-474
    • /
    • 2010
  • 김치와 사람의 분변에서 ginsenoside 전환이 높은 균주 2종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 조사와 16S rRNA 염기서열 결정을 통한 균주 동정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과 Lactobacillus sakei로 밝혀졌고 이를 각각 CKDHC 0801 및 CKDHC 0802로 명명하였다. 두 균주의 홍삼배지에서의 생육도를 관찰한 결과 CKDHC 0801은 24시간에 CKDHC 0802는 48시간에 최고 성장도를 보였다. 특히 두 균주를 혼합하여 홍삼배지에 배양시 더욱 높은 성장률을 나타냄으로써 홍삼을 발효하기에 적합한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당 이용율을 살펴본 결과 CKDHC 0801이 더 높게 나타났다. pH변화 측정결과 CKDHC 0801과 두 개의 균주를 혼합 배양한 경우에는 배양 후 24시간에서 48시간사이에 5.2에서 4.2로 낮아졌으나, CKDHC 0802는 배양 후 3일후에야 pH 4.2 수준으로 낮아졌다. 이 균주들을 이용한 홍삼발효는 ginsenoside의 조성이 고분자인 Rg1, Rb1 등에서 저분자인 Rg3, Rg5+Rk1 등으로 전환되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서 이 두 가지의 균주를 이용한 발효홍삼은 홍삼의 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좋은 사용예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마이크로 버블 부상 공정에 의한 염료폐수의 색도 제거 (Colour Removal from Dyestuff Wastewater by Micro Bubbles Flotation Process)

  • 김명주;한신호
    • 공업화학
    • /
    • 제33권6호
    • /
    • pp.606-612
    • /
    • 2022
  • 수용액에서 수용성 염료를 소수성 염료로 전환시킨 후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침전 및 부상응집에 의한 염료를 제거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양이온성 염료에 음이온 collector를 반응시키며, 또한 음이온성 염료에 양이온 collector를 첨가하여 소수성으로 변환시켰다. 소수성으로 전환된 염료 용액을 회분식 반응기에 저장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시켜 색을 제거하였다. 염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Basic Yellow 1 및 Direct Orange 10을 사용하였으며, sodium dodecyl sulfate, oleic acid sodium salt 및 amine류와 같은 음이온 및 양이온 collector를 사용하면 색 제거에 효과적이었으며, 모든 색은 8분 이내에 제거되었다. 색 제거는 collector의 첨가량과 수용액 pH의 영향을 받으며, 염료농도에 비해 극히 소량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pH에 의존하였으나, 염료농도와 비슷한 collector 양을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pH에 의존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collector와 염료가 1:1M로 반응하여 소수성이 완전히 부여되어야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