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70S6K

검색결과 1,347건 처리시간 0.032초

유아분변으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rhamonosus GG-4의 생균제적 특성 (Biological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rhamonosus GG-4 Isolated from Infant Feces)

  • 강진혜;김대환;이상원;김홍출;조용운;갈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2호
    • /
    • pp.1882-1888
    • /
    • 2010
  • 생균제 개발을 위하여 한 종류의 유산균을 유아 분변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이 세균을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확인해 본 결과 Lactobacillus rhamnosus로 동정되었다. 이 유산균은 호기성 조건에서도 잘 자라는 통성 혐기성 세균이었다. 이 유산균은 MRS 배지에 48 시간 액체 배양하였을 때 배양액의 pH를 2.4까지 낮추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 유산균은 6 종의 병원성 세균, L. monocytogenes, S. aureus, P. aeruginosa, V. parahaemolyticus, S. typhimurium, and E. coli O157의 생육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유산균을 시판 중인 닭 사료에 섞어 먹인 후 분변의 악취를 조사하였을 때, 분변의 악취 중 약 80 %를 차지하는 황화수소는 대조구 보다 50 %가 감소하였고, 암모니아는 상대적으로 함유된 양은 적었지만 대조구 보다 70 %가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산균 급이구와 대조구의 외형은 변화가 없었으며, 달걀 무게에 있어서 먹인 닭의 달걀이 평균 5 g 정도 무거워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김 가수분해물로부터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저해 Peptide의 분리$\cdot$정제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from Layer Hydrolysate)

  • 이헌옥;김동수;도정룡;권대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4-172
    • /
    • 2001
  • 본 연구는 김의 Maxazyme NNP 가수분해물로부터 여러 단계의 column chromatography 및 HPLC를 통해 ACE 저해 peptide를 분리, 정제하여 이의 분자량과 amino acid sequence를 분석하였다. ACE 저해 효과가 큰 저분자 peptide의 함량이 많은 가수분해물을 얻기 위한 최적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선정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 Maxazyme NNP에 의한 가수분해물의 ACE 저해효과가 $37.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김의 효소 가수분해물로부터ACE 저해 peptide만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추출 조건 시험에서, 색소 제거를 위해서는 diethylether 처리가, 다당류 및 고분자 단백질 제거를 위해서는 $70\%$ ethanol 처리가 각각 선정되었다. 김 가수분해물로부터 ACE 저해 peptide를 분리, 정제하기 위한 첫 단계로 ultrafiltration을 한 결과, 분자량 3,000 이하 분획물의 ACE 저해 효과가 $69.4\%$로 가장 높았으며, 이 분획물을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Sephadex G-25) , reverse-phase HPLC (ODS & Vydac C-18) 및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Superdex Peptide HR)와 같은 단계별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하여 최종적으로 단일 peptide peak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단일 peptide peak들의 분자량을 Electrospray-Mass Spectrometer로 측정한 결과, 각각 413.48 (S1O2V2V1P),346.86 (S1O2V2V2P) 그리고 320.32 (S2O6V3V1P) dalton이었으며, 이들 peptide의 amino acid sequence는 N-말단으로부터 아미노산 잔기를 분석한 결과, 각각 Val-Gln-Gly-Asn, Thr-Glu-Thr 및 Phe-Arg으로 확인되었다.

  • PDF

AMP에 Piperazine을 첨가한 CO2 흡수 동역학 (Kinetics of the Reaction of Carbon Dioxide with AMP and Piperazine)

  • 장상용;송주석;조상원;오광중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85-494
    • /
    • 2000
  • 지구 온난화에 대하여 55% 이상의 영향을 미치는 $CO_2$ 제어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CO_2$ 저감을 위한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중이다. 특히 저농도의 $CO_2$ 분리 및 회수를 위해서는 화학적 흡수법이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입체적으로 감추어진 아민 AMP(2-Amino-2-Methyl-1-Propanol)에 piperazine을 첨가한 혼합흡수제를 이용하여 stirred vessel 에서 $2.0kmol/m^3$ AMP수용액에 piperazine의 농도 $0{\sim}0.4kmol/m^3$, 반응온도 $30{\sim}70^{\circ}C$. $CO_2$ 분압 10.130~20.260 kPa등의 조건에서 실험을 하여 $CO_2$와 혼합흡수제간의 동역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다 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온도가 싱승함에 따라 piperazine을 첨가한 흡수제와 첨가하지 않은 흡수제 사이의 흡수속도 차이가 더욱 크게 나타났으며 이 사실은 piperazine의 활성화에너지 57.147 kJ/mol이 AMP의 활성화에너지 $E_2$ 41.7 kJ/mol보다 크기 때문에 고온으로 갈수록 흡수속도에 대한 piperazine의 가여도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2) 단일 흡수제 AMP $2.0kmol/m^3$에 piperazine 농도를 $0.4kmol/m^3$까지 첨가시켰을 때 단일 AMP 흡수제에 대해 $30^{\circ}C$ 에서 최소 6.33%, $70^{\circ}C$에서 최대 12% 정도의 흡수속도 향상을 얻을 수 있으므로 신흡수제의 반응성괄 비교해 볼 때 기존의 흡수제보다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3) 혼합흡수제의 $CO_2$ 실험에서 piperazine과 $CO_2$와의 반응속도 상수는 30, 40, 50, $70^{\circ}C$에서 각각 217.21, 420.46, 707.00, $3162.167m^3/kmol{\cdot}s$였으며 MDEA에 piperazine을 첨가하여 행한Xu 실험에서 30, 40, 55, $70^{\circ}C$에서 얻은 1867, 367.32. 693.01, $2207.65m^3/kmol{\cdot}s$값과 비교하여 볼 때 $30{\sim}70^{\circ}C$ 모든 범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AMP와 piperazine의 혼합흡수제에서 piperazine 반응속도상수 $k_p$는 In $k_p$=28.324-6934.7/T로 표현된다.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Endoxylanases from an Alkaliphilic Bacillus halodurans C-1

  • Tachaapaikoon Chakrit;Lee Yun-Sik;Rantanakhanokchai Khanok;Pinitglang Surapong;Kyu Khin Lay;Rho Min-Suk;Lee Si-K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613-618
    • /
    • 2006
  • Two endoxylanases from an alkaliphilic bacterium, Bacillus halodurans C-1, were purified 3.8- and 7.9- fold with specific activities of 9.4 and 19.8U/mg protein, respectively. The molecular masses of both purified enzymes were 23 and 47 kDa, respectively, and 23 kDa xylanase I (Xyl I) exhibited an optimum pH at 7.0, whereas 47 kDa xylanase II (Xyl II) showed a broad pH range of 5.0 to 9.0. The temperature optima of both xylanases were $60^{\circ}C\;and\;70^{\circ}C$, respectively. Both were stable in the pH range of 6.0 to 9.0 and 5.0 to 10.0, respectively, and they were stable up to $60^{\circ}C\;and\;70^{\circ}C$, respectively. The $K_m\;and\;V_{max}$ of Xyl I were 4.33mg/ml and $63.5{\mu}mol/min/mg$, respectively, whereas Xyl II had a $K_m$ value of 0.30 mg/ml and $V_{max}$ of $210{\mu}mol/min/mg$. Both xylanases hydrolyzed xylans from birchwood, oat spelt, and larchwood. However, they showed different modes of action; a series of xylooligosaccharides larger than xylotriose were released as the major products by Xyl I, whereas xylobiose and xylotriose were the main products by Xyl II. The maximum synergistic action of the two enzymes on hydrolysis of xylan was 2.16 with the ratio of Xyl I to Xyl II at 1:9.

생약재의 항균, 항고혈압 및 항암 활성 (Antimicrobial, Antihypertens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Medicinal Herbs)

  • 도정룡;김기주;조진호;김영명;김병삼;김현구;임상동;이수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06-21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32종 생약재로부터 70% 에탄올과 물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항균, 항곰팡이, 항암, 항고혈압활성을 조사하였다. 생약재외 추출물 제조는 32종의 생약재를 100에서 2시간동안 추출한 후 동결 건조하였다. 항균활성은 6종의 병원성 미생물을 사용하여 32종 생약재의 물 추출물과 70% 에탄올추출물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중 가자의 물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을 $125{\mu}g$ 첨가했을 때 14mm 이상의 항균 억제환을 나타내어 가장 좋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항곰팡이 활성은 5종의 곰팡이를 사용하여 32종 생약재의 물 추출물과 70% 에탄올추출물에 대해 paper disc확산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계피의 70% 에탄올추출물을 $1000{\mu}g$ 첨가했을 때 10mm이상의 항균 억제환을 보여 가장 좋은 항곰팡이 활성을 나타내었다. 32종의 생약재 물 추출물과 70% 에탄을 추출물에 대한 ACE저해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파고지의 물 추출물이 10mf/mL의 농도에서 65.2%의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파고지의 물 추출물로부터 sephacryl S-300 컬럼으로 분획한 Fr I의 분획물이 5mg/mL의 농도에서 81.1%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생약재의 물 추출물과 70%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선정된 6종의 생약재중 정향의 에탄올 침전분획이 암세포에 대해 가장 우수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지역아동센터교사들의 구강보건 지도현황 분석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oral health guidance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 김영숙;전수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31-240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programs for children of the low income classes in order to prevent oral health problems and to provide the effective oral health program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Methods : The subjects were 464 teacher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in Seoul, Incheon, Gyeonggi-do, Chungcheongbuk-do, and Jeollabuk-do. Results :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regions(p<0.05) in oral health guidance among teachers in municipal and provincial community children's centers. The oral health education wa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ose who had more than 6 years career(71.8%), and followed by those having less than five years career(61.3%) and those having two years career(53.8%)(p<0.05). Although many children registered the program and newsletter was sent to the children's homes, but 70% of the children did not brush their teeth regularly(p<0.05). Regardless of region, gender, teaching career, and number of enrolled children, 90 percent or more people found that it necessary for community children's centers to collaborate with dental clinics.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and female(p<0.05). Male accounted for 42.4% response rate and female accounted for 36.4%. Approximately About 48.5% of male and 61.6% of female thought that the oral health program is the most important thing(p<0.05). Conclusions : The development of the customized oral health program is the most critical factor to the oral health behavior change in the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s and public dental clinics.

웃음치료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융합연구: 메타분석 (Convergence Study of Laughter Therapy's Effects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A Meta-Analysis)

  • 도은나;조선희;김선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347-355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된 웃음치료의 융합적 메타분석을 통해, 노인우울 감소 효과크기를 확인하고, 노인의 우울감소를 위한 웃음치료의 중재특성과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된 융합적 연구이다. 10개의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확인한 486개 문헌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20문헌을 최종 선정하였다. SIGN의 도구를 이용하여 문헌의 질평가를 시행하였으며 CMA 3.0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노인우울에 대한 웃음치료의 전체효과크기는 중간크기로 나타났으며 (SMD=-0.57, 95% CI: -0.70~-0.44, p<.001), 작은 크기의 이질성을 보였다($I^2=18%$). 하위그룹 분석에서 재가노인, 통합군, 4-6주 중재군, 집단중재군의 효과가 더 컸다. 본 융합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웃음치료 프로그램 구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며, 추후 노인요양시설 노인을 대상으로 한 반복연구와 무작위배정 실험연구가 더 필요하다.

참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α-amylase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 (Antioxidant, α-amyl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bility effects of sesame meal ethanol extract)

  • 오영진주;김명현;한영실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3호
    • /
    • pp.189-194
    • /
    • 2022
  • 기름을 착유하고 얻어지는 부산물인 참깨박의 활용과 이용가치를 높이기 위해 일반성분(수분, 탄수화물,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무기질을 측정하였고 탈지 처리한 후 70% 에탄올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 및 항당뇨 활성을 분석하였다. 참깨박의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 6.51%, 탄수화물 16.22%, 조단백질 46.30%, 조회분 9.88%, 조지방 21.09%로 이었고, 무기질은 K 1128.08 mg/100 g, Ca 1356.27 mg/100 g, Fe 12.29 mg/100 g, P 2022.14 mg/100 g, Cu 2.08 mg/100 g, Mg 643.40 mg/100 g, Na 7.29 mg/100 g 함량을 나타내었다. 탈지 참깨박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84.98 mg GAE/g, 27.63 mg QE/g였으며,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 IC50을 측정한 결과 각각 91.84, 340.09 ㎍/mL, 환원력은 0.87 OD으로 측정되었다. 탈지 참깨박의 α-amylase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 IC50의 측정 결과는 각각 74.31, 16.73 mg/mL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70% 에탄올로 추출한 탈지 참깨박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활성을 나타내 기능적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참깨를 착유하고 남은 참깨박을 사용하게 되므로 환경보호와 자원순환 측면에 활용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소재로 이용가치가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Pseudomonas mendocina 에 의한 Polysaccharide 생산 (Cultural Condition of Pseudomonas mendocina for Polysaccharide Production)

  • 유진영;정동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19-623
    • /
    • 1989
  • 토양으로부터 분리 동정된 Pseudomonas mendocina의 다당류 생산조건을 검토하였다. 최적 배지조성은 Sucrose 23.75g/L, $(NH_4)_2SO_4$ 1.57g/L, Yeast extract 0.5g/L, $KH_2PO_4\;2.0g/L,\;MgSO_4.\;7H_2O\;1.0g/L,\;CaCO_3$ 2.5g/L이었으며, 최적 pH 및 배양온도는 6.5 및 $30^{\circ}C$이었다. 이 조건에서 다당류의 생산량은 5.98g/L이며 대당 수율은 25.18%, 비생산속도는 32.83mg/g-cell/h이었다.

  • PDF

Staphylococcus aureus의 Coagulase 생성능과 R-플라스미드 분리에 관한 연구 (Studies of Coagulase Production and Isolation of R-plasmid from Staphylococcus aureus)

  • 윤효숙;이형환;김수영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9-266
    • /
    • 1987
  • A total of 129 clinical isolates of Staphylococcus species was characterized by the tests of coagulase production, haemagglutination, mannitol fermentation, DNase production and hemolysis. Ninety-nine out of them showed positive reactions to the tests, therefore they were identified as Staphylococcus aureus. The isolates showing positive reaction in haemagglutination test also showed 100% of tube coagulase positive reaction. The haemagglutination test was a reliable method for identifying Staphylococcus aureus in the clinical laboratory. S. aureus produced stronger hemolysis with human blood agar than with sheep blood agar. Antibiotic resistant S. aureus isolates(S-46, S-112, S-126) had 4 to 6 p]asmid DNA elements. The S-112 strain had 6 plasmid DNA elements(1.8, 2.2, 3.7, $26.3{\sim}50$, and 70 Mdaltons), the S-126 had 4 elements(2.6, 4.2, $4.6{\sim}60Md$), and the S-46 had 1 element(${\sim}100Md$). PPSA strain had 4 plasmid DNA elements(2.5, 4.2, $4.6{\sim}60Md$) and S. aureurs(ATCC) strain contained 9.4, 26.3 and ${\sim}50Md$ plasmid DNA ele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