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37

검색결과 9,944건 처리시간 0.039초

Nd : YAG 레이저가 상아질 및 도재와 복합레진간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ND : YAG LASER ON THE BONDING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O DENTIN AND PORCELAIN)

  • 우금진;양홍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85-399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tching with a Nd : YAG Laser on dentin, or porcelain surface on the bond strength with composite resin. The dentin specimens were devided into the following 4 groups. D1 : No treatment D2 : Etched with 10% phosphoric acid D3 : Laser etchded with 1W, 20PPs D4 : Laser etched with 2W, 20PPS The procelain specimens were devided into the following 4 groups. P1 : diamond roughened P2 : etched with HF acid P3 : Laser etched with 2W, 20PPS P4 : Laser etched with 3W, 20PPS All specimens were veneered with resin. One half of the specimens were stored in $37^{\circ}C$ water for one day and the other half were thermocycled 1000 times at temperature of $5^{\circ}C\;to\;55^{\circ}C$ at 20 seconds intervals. After that, the bonding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o the dentin and porcelain was measured. The surface treated state and fractured state were observed with SE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the dentin specimens, the bond strength of group D2 was highter than that of groups D1 and D3 in the case of the specimens stored in $37^{\circ}C$ water for one da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D2 and D1, D3 (P<0.05). The bonding strength of the specimens that were thermocycled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 group D2,D4,D3 and then D1. 2. In the porcelain specimens, the bonding strength of groups P1,P2 were higher than that of group P3 in the case of the specimens stored in $37^{\circ}C$ water for one day (P<0.05). The bonding strength of the specimens of being thermocycled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 group P2,P1,P4 and then P3. 3. The groups of high bond strength had a rougher surface and a high level of microporosity with SEM findings.

  • PDF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 김현양;태기출;국윤아;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89-698
    • /
    • 1998
  • 법랑질의 표면처리에 따른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를 알아보고자 사람 소구치 80개를 선택하여 8개군으로 나누어 전단 결합 강도를 측정하고, 접착 파절의 양상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37\%$ 인산용액으로 부식한 후 건조상태에서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광중합형 레진, 화학중합형 레진으로 각각 부착한 실험군에서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실험군의 전단결합강도는 두 군과 유의한 차가 없었으나 화학중합형 레진군의 그것은 광중합형 레진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낮았다 (p<0.05). $2.37\%$ 인산 실험군, $10\%$ 폴리 아크릴산 실험군, $1.23\%$ APF 실험군, 산처리하지 않은 실험군의 습한 상태에서 부착한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에서 산처리하지않은 실험군의 그것이 유의성 있게 낮았으며, 그 외 군간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p<0.05). 3. 글래스아이오노머 실험군에서 습기의 존재가 전단결합강도에 유의성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0.05). 4. 산부식처리를 하지않은 군의 접착제 잔류지수가 가장 낮았으며 $37\%$인산용액으로 처리한 군의 접착제 잔류지수가 가장 높았다.

  • PDF

초고압처리 동치미의 저장 안정성 및 품질 특성 (Effects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the Shelf-life and Quality of Dongchimi)

  • 홍관표;박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02-607
    • /
    • 1998
  • 초고압 처리된 동치미의 저장 안정성과 저장 중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동치미(pH 4.0)를 400 MPa에서 5분간 처리하여 $4^{\circ}C$$37^{\circ}C$에서 각각 저장하였고, 초고압처리 하지 않은 시료를 $4^{\circ}C$에 저장하면서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압력처리한 시료는 저장 온도에 관계없이 저장 5주 후에도 초기 pH인 4.0을 유지하였고, 젖산균과 효모 및 곰팡이는 검출되지 않아서 pH 저하와 과도숙성에 의한 김치의 산패는 일어나지 않았다. PE, PG의 활성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했으며, $37^{\circ}C$에서 저장한 시료는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여 저장 3주 후에는 거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초고압처리를 하지 않은 시료의 효소 활성을 100으로 했을 때 $4^{\circ}C$에서 저장한 압력처리구의 PE 활성은 190이었으며 저장 2주 후에도 100 정도를 유지하여 조직의 단단한 정도를 유지하였다. 한편, $4^{\circ}C$에서 저장한 초고압처리 시료구의 hardness는 무처리구와 $37^{\circ}C$에서 저장한 초고압처리 시료구에 비해 큰 값을 나타냈으며, 세 경우 모두의 hardness는 저장기간 동안 꾸준히 감소하였다. 저장 기간중 L, a, b 값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무처리군과 $4^{\circ}C$에서 저장한 초고압처리 시료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37^{\circ}C$에서 저장한 초고압처리 시료는 갈색화 반응이 많이 일어나서 현저히 높은 b값를 나타내었다.

  • PDF

MDCT에서 선량 변화에 따른 딥러닝 재구성 기법의 유용성 연구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Deep Learning Image Reconstruction with Radiation Dose Variation in MDCT)

  • 김가현;김지수;김찬들;이준표;홍주완;한동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7-46
    • /
    • 2023
  • MDCT의 딥러닝 재구성 기법(TrueFidelity, TF)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기존의 필터보정역투영법(Filtered back projection, FBP)과 적응형 통계적 재구성 기법(Adaptive Statistical Iterative Reconstruction-Veo, ASIR-V)의 화질을 비교 평가하였다. FBP, ASIR-V 50%, TF-H의 재구성 기법에서 선량을 17.29 mGy로 고정한 것과 10.37 mGy, 12.10 mGy, 13.83 mGy, 15.56 mGy로 변화시킨 영상을 획득하여 노이즈, CNR, SSIM을 측정하였다. 17.29 mGy에서 재구성 기법 변화를 주었을 때 TF-H가 FBP, ASIR-V에 비해 화질이 우수하다. 선량에 변화를 주었을 때 10.37 mGy TF-H와 FBP 비교 시 노이즈, CNR, SSIM은 유의한 차이가 있고(p<0.05), 10.37 mGy TF-H와 ASIR-V 50% 비교 시 유의한 차이가 없다(p>0.05). 선량이 가장 높은 15.56 mGy ASIR-V 50%와 선량이 가장 낮은 10.37 mGy TF-H 화질이 동일하므로 TF-H는 30%의 선량 감소 효과가 있다. 따라서 딥러닝 재구성 기법(TF)은 반복적 재구성 기법(ASIR-V)과 필터보정역투영법(FBP)보다 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이로 인해 환자의 피폭선량을 감소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병원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 조직커뮤니케이션만족도가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Job Embeddedness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 박은영;이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88-698
    • /
    • 2020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 조직커뮤니케이션만족, 직무착근도의 관계를 확인하고,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C시 소재한 대학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238명을 대상으로 2017년 8월 1일~8월 10일까지 자료수집 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조직문화는 5점 만점에 평균 3.32±0.33점 이었고, 조직커뮤니케이션만족은 5점 만점에 평균 3.19±0.37점 이었으며, 직무착근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19±0.44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착근도의 차이는 연령(F=9.00, p<.001), 학력(F=13.24, p<.001), 직위(t=-5.42, p<.001), 결혼(t=-3.11, p=.002), 근무경력(F=10.55, p<.001), 근무형태(F=10.99,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착근도와 간호조직문화(r=.502, p<.001), 조직커뮤니케이션만족(r=.673, p<.001)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직무착근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직커뮤니케이션만족(β=.575 p=.000), 근무경력 '10년 이상'(β=.342 p=.000), 간호조직문화(β=.203 p=.000), 근무경력 '5년 이상~10년 미만'(β=.121 p=.000)의 순이었고, 모형의 설명력은 57.4%이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병원간호사의 간호직무에 착근도를 높이기 위하여 조직커뮤니케이션만족도를 수시로 파악하고, 근무경력, 간호조직문화 등을 고려한 간호실무 및 교육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Effect of Organic Acids on the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0157:H7

  • Oh, Deog-Hwan;Park, Jong-Hyun;Park, Boo-Kil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5권3호
    • /
    • pp.131-135
    • /
    • 2000
  • The inhibitory effect of various organic acids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 tryptic soy broth with 0.6% yeast extract at 37$^{\circ}C$ or 4$^{\circ}C$ was determined. Minimal inhibitory pHs of acetic acid, citric acid, fumaric acid, hydrochloric acid and lactic acid were 5.0, 4.0, 4.5, 4.0 and 4.5, respectively. Acetic acid (0.012 m)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based on the pH values or equivalent molar concentrations, followed by lactic acid (0.0006 M), fumaric acid (0.004M) and citirc acid (0.004 M), respectively, E. coli O157:H7 with an initial inoculum of {TEX}$10^{7}${/TEX} CFU/ml and {TEX}$10^{5}{/TEX} CFU/ml in tryptic soy broth supplemented with 0.6% yeast extract, acidified to target pH with citric, fumaric and lactic acids at 37$^{\circ}C$, was completely inactivated after 7 d and 5 d incubation, respectively, except for the acetic acid (9 d). The bactericidal effect decreased at the same pH when the incubation temperature a was reduced from 37$^{\circ}C$ to 4$^{\circ}C$. The pH values of 0.2% acetic (pH 5.1), 0.6% citric (pH 4.2) and 0.4% lactic acid (pH 4.3) in TSBYE were almost correspondent to the minimal inhibitory pH values on E. coli O157:H7 of acetic (pH 4.0), citric (pH 4.0) and lactic acids (pH 4.5).

  • PDF

Dicyma sp. YCH-37이 생산하는 효모세포벽 용해효소 I. 생산균주의 분리 및 효소의 정제

  • 정희철;함병권;배동훈;하세가와 토루;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45-451
    • /
    • 1996
  • The strain YCH-37, which produces yeast cell wall lytlc enzyme, was isolated from soil. From the microscopic observation,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is strain was identified to fungus, Dicyma sp. So, we named this strain as Dicyma sp. YCH-37. The lytic enzyme effectively lysed Salmonella typhimurium among intact living bacteria and Torulopsis, Hansenula, Zygosaccharomyces among intact living yeast, as well as autoclaved yeast strains. The yeast cell wall lytic enzyme was succesively purified to 204 folds with 13% yields through yeast glucan affinity adsorption and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The enzyme was identified to monomeric protein with molecular weight of 25,000 daltons from the results of SDS-PAGE and gel filtration.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the yeast lytic activity were 8.0 and 50$\circ$C, respectively. The enzyme was stable up to 40$\circ$C, and between pH 4.0-pH 10.0.

  • PDF

화학유연제, Organopolysiloxane 분해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 Bacterium Removing Chemical Softener, Organo-polysiloxane)

  • 이정훈;손동철;김정;김현수;유대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9-124
    • /
    • 2000
  • 화학유연재와 화학호제를 생산하는 공장의 폐수와 인근 토양으로부터 화학유연제, organopolsiloxane(OPS)을 분해하는 33종의 세균을 분리했다. 이들 중 활성이 뛰어난 5균주에 대하여 미생물학적 특성과 화학유연제의 제거효율을 검토했으며, 5균주 중 화학유연제의 제거효율이 가장 양호한 W3712균주의 동정을 실시했다. 선별된 분리균주 5균주는 $37^{\circ}C$에서 5일간 진탕배양하므로서 2,500mg/l 화학유연제를 65.2~67.9% 제거시켰다. 분리균주인 W3712, S3712와 S3723균주의 생육최적 pH는 7.0~7.5였으며, 그리고 W3712균주의 생육최적온도는 $37^{\circ}C$였으나, 다른 4균주는 $30^{\circ}C$에서 생육이 가장 양호하다. 분리균주 5균주는 배양초기 pH7.0에서 화학유연제를 가장 잘 제거했으며 5일간의 매양으로 62.0-65.6%의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그리고 W2811균주, W2823균주, S371균주는 $30^{\circ}C$에서 화학유연제를 가장 잘 제거시켰으며, W3712균주는 $37^{\circ}C$에서 가장잘 제거시켰으며 제거효율은 66.5%였다. 특히,이들 균즈에 의한 화학유연제의 제거에 있어서 통기량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화학유연제의 제거능이 우수한 W3712균주를 Corynebacterium pseudodiphtheriticum W3712로 동정하고 명명하였다.

  • PDF

Improving Soluble Expression of β-Galactosidase in Escherichia coli by Fusion with Thioredoxin

  • Nam, E.S.;Jung, H.J.;Ahn, J.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2호
    • /
    • pp.1751-1757
    • /
    • 2004
  • Recombinant heterologous proteins can be produced as insoluble aggregates partially or perfectly inactive in Escherichia coli. One of the strateges to improve the solubility of recombinant proteins is fusion with a partner that is excellent in producing soluble fusion proteins. To improve the production of soluble $\beta$-galactosidase, the gene of Thermus thermophilus KNOUC112 $\beta$-galactosidase (KNOUC112 $\beta$-gal) was fused with thioredoxin gene, and optimization of its expression in E. coli TOP10 was performed. KNOUC112 $\beta$-gal in pET-5b was isolated out, fused with thioredoxin gene in pThioHis C, and transformed to E. coli TOP10. The $\beta$-galactosidase fused with thioredoxin was produced in E. coli TOP10 as dimer and trimer. The productivity of fusion $\beta$ -galactosidase expressed via pThioHis C at 37$^{\circ}C$ was about 5 times higher than that of unfused $\beta$-galactosidase expressed via pET-5b at 37$^{\circ}C$. Inclusion body of $\beta$-galactosidase was formed highly, regardless of the induction by IPTG when KNOUC112 $\beta$ -gal was expressed via pET-5b at 37$^{\circ}C$. Fusion $\beta$ -galactosidase expressed at 37$^{\circ}C$ via pThioHis C without the induction by IPTG was soluble, but the induction by IPTG promoted the formation of inclusion body. Lowering the incubation temperature for the expression of fusion gene under 25$^{\circ}C$ prevented the formation of inclusion body, optimally at 25$^{\circ}C$. 0.07 mM of IPTG was sufficient for the soluble expression of fusion gene at 25$^{\circ}C$. The soluble production of Thermus thermophilus KNOUC112 $\beta$-galactosidase could be increased about 10 times by fusion with thioredoxin, and optimization of incubation temperature and IPTG concentration for induction.

지속적인 리듬운동에 참여하는 농촌과 도시 거주 노인 여성들의 체력 및 낙상효능감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Physical Fitness and Fall Efficacy of Rural and Urban Female Elderly Participants in Continuous Rhythmic Exercise)

  • 윤소미;황은진
    • 산업과 과학
    • /
    • 제1권2호
    • /
    • pp.17-23
    • /
    • 2022
  • 본 연구는 농촌과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 여성들의 체력과 낙상효능감에 대해 분석하여 지역에 따른 노인들의 건강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주 2회 이상 지역 마을회관에서 건강체조와 치어리딩를 하는 농촌 및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 여성 98명(REG; n=46, 77.53±6.37 yrs, 151.81±5.26 cm, 60.00±9.42 kg, UEG; n=53, 73.57±2.70 yrs, 154.07±3.52 cm, 57.37±2.06 kg)으로 진행되었다. 체력은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을 측정하였으며, 낙상효능감은 Tinetti 등이 개발한 10개 항목의 Fall Efficacy Scale을 사용하였다. 도시 노인들이 유연성과 낙상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p<.05). 근지구력과 심페지구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추후 지역의 노인들의 건강요인의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