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coumaric acid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3초

미강 페놀산 농축물과 Hydroxycinnamic Acids의 세포내 항당뇨 및 항산화 활성 (Anti-hyperglycemi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henolic Acid Concentrates of Rice Bran and Hydroxycinnamic Acids in Cell Assays)

  • 정은희;하태열;황인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3-239
    • /
    • 2010
  • Phenolic acid concentrates of rice bran(RB-ex) and hydroxycinnamic acid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anti-hyperglycemic activities through glucose uptake and glucokinase activity using HepG2 cells and stimulatory effects on insulin secretion using HIT-T15 cells. RB-ex was prepared as an ethylacetate extract after alkaline hydrolysis and hydroxycinnamic acids, found as major compositions of RB-ex, such as ferulic acid(FA), sinapic acid(SA) and p-coumaric acid(p-CA) were investigated to compare with the properties of RB-ex. The properties of glucose uptake in HepG2 cells were examined in the absence of insulin and two different glucose concentrations(5.5 mM and 25 mM). RB-ex and FA showed anti-hyperglycemic activities through the increase of glucose uptake and the stimulation of glucokinase activity in HepG2 cells. RB-ex exhibited higher glucose uptakes with higher glucose concentrations, whereas FA exhibited the same increasing effects on both concentrations of glucose. RB-ex and FA exhibited doubled glucokinase activities relative to control. In the presence of insulin in the 25 mM glucose-containing medium, the levels of glucose uptake were increased in all treatments compared with control. As stimulatory effects of samples on insulin secretion were estimated, RB-ex and FA stimulated insulin secretion at a concentration of 25 ${\mu}g/m{\ell}$ and in particular, FA showed the highest amount of insulin-release in HIT-T15 cells. Antioxidative effects on HIT-T15 cells, RB-ex and hydroxycinnamic acids, excluding p-CA, showed inhibitory activities of 78% to 80% at a concentration of 100 ${\mu}g/m{\ell}$.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RB-ex and FA could help decrease blood glucose levels and prevent the cell damages via antioxidant activity.

도정도를 달리한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phenolic acids와 총 폴리페놀 함량

  • 김성란;하태열;이지연;이세은;이현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26.1-226
    • /
    • 2003
  • 최근 쌀 소비량이 감소되고 쌀중심 식생활의 영양적 우수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쌀은 주식으로서 위치가 흔들리고 있다. 그동안 쌀의 영양특성에 관한 연구로서 주로 탄수화물 급원으로서의 당질에 관한 연구와 미강을 중심으로한 식이섬유, 미강유등에 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었다. 특히 미곡 부산물인 미강으로부터 다양한 유효성분들이 확인되어 그 효능이 보고되고 있으며 일부가 기능성 소재로서 제품화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실제 우리의 식생활에서 섭취되고 있는 백미 또는 현미상태에서의 유효성분의 분포 및 함량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쌀의 영양적우수성을 규명하고자 유효성분 중 phenolic acid와 폴리페놀 함량을 품종 및 도정도에 따라 조사하였다. 조생종인 오대와 만생종인 남평 품종으로부터 현미와 7분도, 10분도 및 12분도로 도정도를 달리한 백미, 도정도별 미강을 각각 제조하였다. Ferulic acid 등 쌀과 미강에 존재하는 phenolic acid 는 알칼리로 추출한 후 pH를 조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반복 추출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현미에 함유된 phenolic acid는 ferulic acid가 가장 많아 50% 내외를 차지하였으며 p-coumaric acid, benzoic acid, sinapin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오대 현미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65.9 mg%로서 남평 현미의 57.2 mg%보다 높았으며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백미 중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감소되었다. 미강 중에는 백미의 10배 량에 해당하는 phenolic acid가 검출되었고 benzoic acid와 m-hydroxy benzoic acid는 미강 시료에서만 검출되었다. 도정한 백미 중의 phenolic acid는 28.8∼51.7 mg%, 미강에서 321.4∼438.4 mg% 범위로 나타났다. 현미,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표준 페놀화합물로 카테친을 사용하고 비색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을 때 오대 현미의 폴리페놀 함량은 78.4 mg%, 남평 현미 88.8 mg% 였다. 도정한 백미 중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0.3∼56.9 mg%, 미강이 541.5∼472.6 mg%의 범위였다. 이상과 같이 쌀에는 phenolic acid 및 총 폴리페놀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배유보다는 강층에 많이 존재하므로 이들 성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쌀의 섭취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작물(作物)의 단일(單一) 및 교호(交互) 재배시(栽培時) 알레로파지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Competitive Effects of Allelochemics on the Monoculture and Corss-cropping Culture System of Plants)

  • 서장선;이상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59-264
    • /
    • 1993
  • 주요(主要) 작물(作物)이 분비(分泌)하는 알레로파지 물질(物質)의 종류(種類)와 양(量)을 동정(同定) 및 측정(測定)하여, 이들 물질(物質)이 작물(作物)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기위해 온실(溫室) 포트 시험으로 주요(主要) 작물(作物)을 단일(單一) 및 상호재배(相互栽培)하여 조사(調査)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마토, 고추, 상추, 배추, 참깨등(等) 모든 공시작물(供試作物)은 p-Coumaric acid를 분비(分泌)하였으며, 그 외 물질(物質)로는 토마토 pyrogallol, phenylacetic acid, 고추, 가지는 hydroquinone, 상추는 pyrogallol을 그리고 배추는 vanillic acid를 분비(分泌)하였다. 공시작물(供試作物)에 의해 분비(分泌)된 페놀성(性) 알레로파지 물질(物質)의 총(總) 농도(濃度)는 토마토가 $5,883{\mu}g$으로 가장 많았으며, 참깨는 $220{\mu}g/g$ 건물중(乾物重)으로 가장 적었다. 토마토-가지, 토마토-고추, 배추-가지, 배추-고추, 배추-참깨의 교호재배시(交互栽培時) 토마토와 배추의 초장(草長) 및 건물중(乾物重)은 단일재배시(單一栽培時)에 비(比)해 증가(增加)하였으나, 가지, 고추 및 참깨는 크게 감소(減少)하였다. 토마토-배추 교호재배시(交互栽培時)는 두 작물(作物) 모두 단일재배시(單一栽培時) 보다 초장(草長) 등(等)의 생장율(生長率)이 감소(減少)한 반면, 배추=상추 교호재배시(交互栽培時)는 단일재배(單一栽培)에 비(比)해 배추의 생장율(生長率)은 증가(增加)하고 상추는 감소(減少)하였다.

  • PDF

석회보르도액 처리에 따른 철원 양파의 특성 및 페놀화합물 분석 (Characterizations and Phenolic Compounds Analysis of Cheorwon Onion by Bordeaux Mixture Treatment)

  • 김연복;이희종;박철호;김동현;구현정;장광진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1호
    • /
    • pp.89-98
    • /
    • 2019
  • 본 연구는 철원양파에 친환경제제로 사용되는 석회보르도액을 농도별(1.5:0.5, 2:2, 4:4식)로 처리하여 생육특성과 페놀화합물 함량의 변이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석회보르도액 4:4식은 양파의 구 무게, 구경, 초장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석회보르도액 처리 후 페놀화합물 benzoic acid(1.5:0.5, 2:2, 4:4식), p-coumaric acid(1.5:0.5), quercetin(1.5:0.5, 2:2)의 함량이 무처리구에 비해 다소 증가하였다. 따라서 석회보르도액 처리는 양파의 생육과 페놀화합물 성분 함량 변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준다고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가 농가에 실질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좀 더 넓은 면적에서 시험한 후 적용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esorption of Food Related Phenolic Acids from Charcoal in Single Solute Model System

  • Lee, Won-Young;Park, Yong-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권4호
    • /
    • pp.316-320
    • /
    • 1997
  • Phenolic acids are regarded as harmful materials in food and environment science but recently, as useful materials, and thus adsorption is recommended as an effective separation technique to recover or remove phenolic acids from diluted solution. If the adsorbed phenolic compounds were useful materials, the materials should be recovered through desorption. Desorption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SC-$CO_2$) was tried to separate food-borne phenolic acids from charcoal in single solute system. In the comparisons of desorption amounts, gallic acid had the lowest lolubiligy to SC-$CO_2$. Gallic acid has more hydroxy functional groups than the other phenolic acids, which was immiscible with nonpolar SC-$CO_2$. Ferulic acid was yielded more than p-coumaric acid, because ferulic acid had much bigger molecular weight, which was affected more by van der Waas force. It was found that the most affecting factor on desorption amounts was the solubility of phenolic acids to SC-$CO_2$. The second affecting factor was van der Waals forc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RSM) was conducted to read the trend of desorption. Increasing density of SC-$CO_2$ raised solubility of phenolic acids.

  • PDF

도정 유무에 따른 제주산 보리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pearled and wholegrain barley harvested in Jeju)

  • 강유리;김현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52-25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제주산 쌀보리인 일반보리, 청보리, 흑보리를 이용하여 도정 유무에 따른 항산화 성분과 활성을 비교하였다. 제주산 쌀보리의 항산화 성분인 총 폴리페놀 함량은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에서 139.99-149.90 ㎍ GAE/g, 도정한 쌀보리는 91.14-125.45 ㎍ GAE/g 범위로 나타나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에서 보다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0.89-1.01 ㎍ QE/g)가 도정한 쌀보리(0.50-0.54 ㎍ QE/g)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HPLC로 분석한 제주산 쌀보리의 페놀성 화합물로 gallic, protocatechuic, vanillic, p-coumaric 및 ferulic acid가 주로 검출되었으며, 도정하지 않은 흑보리와 도정한 일반보리에서는 p-coumaric acid는 검출되지 않았다. Tocopherols 및 tocotrienols 분석 결과에서는 8가지 이성체 중 α-T3 함량이 높았고,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의 α-T3는 20.68-33.09 ㎍/g으로 도정한 쌀보리 8.93-14.98 ㎍/g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제주산 쌀보리의 in vitro 항산화 활성 결과에서 금속 이온 제거능을 제외하고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항산화 활성 중 SOD 소거 활성이 높게 나타내었다. In vitro 항산화 활성은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비해 총 tocopherols 및 tocotrienols 함량에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도정하지 않은 제주산 쌀보리에서 높은 항산화 성분 및 활성이 나타나 이를 천연 항산화제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Enzyme Activities and Compounds Related to Self-Defense in UV-Challenged Leaves of Rice

  • Kim, Hak-Yoon;Shin, Dong-Hyun;Sohn, Dae-Seung;Lee, In-Jung;Kim, Kil-Ung;Lee, Sang-Chul;Jeong, Hyung-Jin;Cho, Moon-S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2-28
    • /
    • 2001
  • The induction of enzymes and the accumulation of their end products associated with self-defense mechanism in rice were investigated. When rice leaves were irradiated with UV light, activities of diterpene cyclase,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and cinnamic acid 4-hydroxylase (CA4H) were induced and rice phytoalexin, momilactone A was accumulated. The content of p-coumaric acid in rice leaves was closely correlated with self-defense or allelopathic potential against barnyardgrass. UV-challenged rice leaves gave rise to the inhibition of barnyardgrass growth.

  • PDF

Comparison of Ginsenoside and Phenolic Ingredient Contents in Hydroponically-cultivated Ginseng Leaves, Fruits, and Roots

  • Choi, Sang-Yoon;Cho, Chang-Won;Lee, Yeon-Mi;Kim, Sung-Soo;Lee, Sang-Hee;Kim, Kyung-Tac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6권4호
    • /
    • pp.425-429
    • /
    • 2012
  • In this study, hydroponically-cultivated ginseng leaves, fruits, and roots were respectively extracted with ethanol. The contents of 12 ginsenosides and three phenolics in the extract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and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Hydroponically-cultivated ginseng leaves contained higher levels of gensenosides (Rg1, Rg2+Rh1, Rd, and Rg3) and p-coumaric acid than the other parts of the ginseng plants. The 2,2'-azino-di-(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leaves were also the highest. Accordingly, hydroponically-grown ginseng leaves were shown to hold promise for use as an environmentally-friendly natural anti-oxidant.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s from barks of Pinus densiflora Siebold et Zuccarini

  • Kwon, Joo-Hee;Kwon, Yong-Min;Choi, Sun-Eun;Park, Kwan-Hee;Lee, Min-W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6권1호
    • /
    • pp.10-14
    • /
    • 2010
  • Phytochemical examination of the barks of Pinus densiflora Siebold et Zuccarini has led to the isolation of one phenylpropanoid, one lignan, one flavonoid, one flavan 3-ol and two procyanidins : 4-O-$\beta$-D-glucopyranosyl-p-coumaric acid (1), 2,3-dihydro-2-(4-methoxy)-7-hydroxy-3-hydroxymethyl-5-(3-hydroxy propyl)-benzofuran 3-O-$\alpha$-D-glucopyranoside (2), taxifolin 3'-O-$\beta$-D-glucopyranoside (3), (+)-catechin (4), procyanidin B1 (5) and epicatechin-($4{\beta}$-8)-catechin-($4{\alpha}$-8)-catechin (6). Among them, Compound 4, 5 and 6 showed potent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hese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ascorbic acid as positive control.

대추 (Zizyphus jujuba MILLER)의 저장중(貯藏中) 화학성분변화(化學成分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of Dried Jujube (Zizyphus jujuba MILLER) during Storage)

  • 이희봉;김성열
    • 농업과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95-113
    • /
    • 1988
  • 건조(乾操)대추의 저장기간중(貯藏期間中)에 나타나는 갈변현성(褐變現象)과 화학성분(化學成分)의 변화(變化)를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4품종(品種)의 신선(新鮮)한 대추를 수집(蒐集)하여 일반화학성분(一般化學成分)을 분석(分析)하여 품종간(品種間)의 성분함량(成分含量)을 비교(比較)하고 이들중 보은(報恩)대추를 천일(天日) 건조(乾燥)하여 상온(常溫)에서 12개월(個月)동안 저장(貯藏)하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색상(色相), 적정산도(滴定酸度), pH, vitamin C, 유기산(有機酸) 총(總) amino산(酸), 유리(遊離) amin산(酸), 유리당(遊離糖), hydroxymethyl furfural (HMF) 및 phenol 화합물(化合物)들을 분리정량(分離定量)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신선(新鮮)한 대추의 일반화학성분중(一般化學成分中) 수분(水分) 외(外)에는 당질(糖質)(22-28g)과 vitamin C(62-72mg)의 함량(含量)이 많았으며 품종간(品種間)에는 큰 차이(差異)가 나타나지 않았다. 2. 건조(乾操)대추의 갈색도(褐變度)는 저장기간(貯藏期間)에 따라 증자처리구(蒸煮處理區) 비처리구(非處理區) 모두 크게 증가(增加)되었다. 3. 신선(新鮮)한 대추의 vitamin C 함량(含量)은 297.4mg%DB이었으나 건조(乾操)한 후(後) 12개월(個月) 저장(貯藏)하였을 때는 20.2mg%DB로 약(約) 93%가 소실(消失)되었다. 4. 유기산(有機酸)은 oxal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의 5종(種)이 동정(同定)되었고 저장중(貯藏中)의 함량변화(含量變化)는 fumaric acid만이 증가(增加)되었고 나머지 4종(種)의 유기산(有機酸)은 감소(減少)하였다. 5. 총(總) amino산(酸)은 17종(種)이 동정(同定)되었고 이들중(中) 주요(主要) amino산(酸)은 proline, threonine, glutamic acid, lysine이었으며 저장기간중(貯藏期間中) 총(總)aminol산(酸)은 약(約) 30% 감소(減少)되었다. 6. 유리(遊離) amino산(酸)은 threonine, proline, alanine, valine의 4종(種)이 동정(同定)되었으며 proline의 함량(含量)이 특(特)히 많았고 저장기간(貯藏期間中)중 평균(平均) 85%가 감소(減少)하였다. 7. 건조(乾操)대추의 유리당(遊離糖)은 fructose, glucose, sucrose로 구성(構成)되었 으며 12개월(個月) 저장(貯藏)하였을 때 유리당(遊離糖)의 총(總) 함량(含量)이 24% 감소(減少)하였으며 sucrose는 4개월(個月) 이후(以後)에는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8. 저장중(貯藏中)의 대추에서 HMF를 분리동정(分離同定)하였으며 저장기간(財藏期間)에 따라 그 함량(含量)은 현저(顯著)하게 증가(增加)하였다. 9. 건조(乾燥)대추의 phenol 화합물(化合物)로는 caffeic acid, ferulic acid, P-coumaric acid의 3종(種)이 동정(同定)되었고 그 함량(含量)은 저장기간중(貯藏期間中)에 상당(相當)한 양(量)이 감소(減少)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