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TAT-1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6초

Gum저작시 저작근 및 경부근 활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ity of Masticatory and Cervical Muscles during Gum Chewing)

  • Min Shi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1권2호
    • /
    • pp.265-277
    • /
    • 199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ctromyographic(EMG) activity of masticatory and cervical muscles according to chewing pattern in coronal plane during gum chewing. 70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30 dental students without any signs and symptoms of the disor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activity of masseter (MM), anterior temporalis(TA), sternocleidomastoideus(SCM) and trapezius muscle and recorded the chewing patterns using Biopak system synchronously. Chewing pattern was classified into S- or L-pattern by the midline opening path and short or long type by the lateral distance from midlin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with SAS/STAT Program.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Generally, there was tended to be higher activity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patients group. 2. When comparing EMG activity according to preferred side, the muscle activity was tended to higher on the preferred chewing side than on the contralateral side. However, this difference is insignificant statistically 3. In unilateral affected patien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between affected chewing side and unaffected chewing side except for the EMG of the temporalis anterior muscle. 4. Despite the varietal in each of the following variables, there mere no differences in EMG activity during gum chewing: chewing pattern in coronal plane and lateral distance of chewing. 5. The activity of SCM in chewing side was higher than that in contralateral side (p<0.001),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rapezius muscle. 6. In all of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ppeared L-chewing pattern than not involved the midline during preferred side chewing.

  • PDF

불포화 폴리(3-히드록시알칸오에이트)를 기질로 한 경피제제의 약물방출 (Transdermal Drug Release of Polymer Matrix of Unsaturated Poly(3-hydroxyalkanoate))

  • 이수홍;신병철;이영하;김형우;김영백;김승수
    • 폴리머
    • /
    • 제27권6호
    • /
    • pp.536-541
    • /
    • 2003
  • 불포화 폴리(3-히드록시알칸오에이트) (UPHA)를 생합성하고 이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서의 약물방출 경향을 조사하였다. UPHA의 생합성에 사용된 균주는 Pseudomonas oleovorans (ATCC 29347)이고 탄소원은 10-undeceno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산-염기조절방법 배취형태 발효법을 이용하여 미생물 배양을 행하였다. 생합성된 UPHA는 $^1$H- 및 $^{13}$C-NMR, FT-IR, GPC 및 DSC 등을 사용하여 물리 및 화학적 분석을 행하였다. 약물방출 실험은 확산셀을 이용하여 모델약물인 케토프로펜의 방출량을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UPHA의 가교도, 패취두께, 경피투과 향상제 등의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UPHA의 가교도의 증가에 따라 약물방출 속도가 늦어지고 약물방출 속도가 일정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경피투과용 패취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약물방출 지속시간이 길어지고 경피투과 향상제인 프로필렌 글리콜의 함량 증가에 따라 방출 속도가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헵타메틴 시아닌색소의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 김영성;신종일;박수열;전근;손영아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9년도 제41차 학술발표회
    • /
    • pp.21-22
    • /
    • 2009
  • 최근, 헵타메틴 시아닌색소(heptamethinecyanine)는 그 적용 범위가 넓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photo-sensitizers, dye lasers, optical recordings와 storage media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헵타메틴 시아닌색소의 주된 특징은 polymethine 사슬에 연결된 cyclohexene 고리에 의하여 근적외선 부근에서 흡수가 이뤄진다는 것이다. 근적외선 색소의 흡수 특성을 HOMO와 LUMO 에너지 전위를 사용하여, 수치화 함으로써 분자간, 분자내 상호작용을 분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헵타메틴 시아닌 색소의 치환체에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을 순환 전압-전류법(Cyclic voltammetry)과 분자 모델링을 통하여 HOMO와 LUMO의 에너지 준위를 구하고, 치환체 효과가 헵타메틴 시아닌색소에 미치는 전기화학적 특성을 UV-Vis와 계산으로부터 얻어진 에너지준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실험에 사용된 Uv-Vis 스펙트럼 측정은 Agilent 8453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였고, 전기화학적 분석 방법인 순환 전압-전류법은 Versa STAT 3 (Princeton allied research in USA)를 사용하였다. 순환전압-전류법의 측정은 Acetonitrile 용액에 $TBAPF_6$ (Tetrabutylammonium hexafluorophosphate)를 전해질로 하고, Ag/$Ag^+$을 기준전극으로 사용하여 주사 속도를 50mV/s로 하여 측정 하였다. 치환체에 의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자구조 최적화 모델링을 사용하였다. 3차원 분자입체 특성 및 에너지 준위 상태는 Materials studio 4.2를 사용하여 특성을 예측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헵타메틴 시아닌 색소의 기본 골격에 각기 다른 치환체를 치환 시켜 치환체에 의한 영향을 전기화학적인 방법인 순환 전압-전류법(Cyclic voltammetry)와 분자 모델링 방법을 사용하여, HOMO와 LUMO에너지 준위 값을 구함으로써 치환체에 의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치환체로는 Dye 1과 Dye 2로 치환된 헵타메틴 시아닌 색소를 사용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HOMO/LUMO 에너지 준위 값으로부터 이온화 에너지($I_p$)와 전자 친화도($E_a$) 또한 구할 수 있는데, $I_p$$E_a$는 분자 오비탈과 전자전이에 관련된 값들이고, 이는 계산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순환 전압-전류법의 계산 방법은 봉우리 전위(peak postential)와 (onset potential)방법이 있는데, 이 계산을 통한 전위 값들이 봉우리 전위 계산 방법이 onset potential 방법에 비하여 작은 전위 값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현재 순환 전압-전류법을 사용하여 HOMO/LUMO 에너지 준위를 측정하는 방법에 쓰이고 있으며, 어떠한 계산 방법이 더 정확하다고는 말 할 수 없지만, 본 실험 결과를 통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onset potential 계산 방법이 봉우리 전위 계산 방법에 비하여 정확하다고 판단된다. Dye 1과 Dye 2를 순환 전압-전류법으로 측정한 결과 각기 다른 전위를 나타내고 이것을 계산을 통하여 정량화하면 Dye 2가 Dye 1에 비하여 높은 전위 값을 갖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ethyl 에 비하여 surful 원자의 전자공여성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 PDF

Catalase 첨가배양이 돼지체외수정란의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

  • 한만희;이경본;천행수;박병권;이규승;서길웅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82-82
    • /
    • 2002
  • Catalase(CAT)는 주요한 활성산소(ROS)의 일종인 과산화수소($H_2O$$_2$)가 Hydroxyl 유리기 생성에 관여하지 못하도록 $H_2O$$_2$$H_2O$$O_2$로 대사시켜 주는 효소계 항산화제의 한 종류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CAT가 5% $O_2$및 20% $O_2$조건하에서 1-세포기 돼지체외수정란의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돼지난포란을 10% PFF, 0.1mg/ml cysteine, 10IU/m1 PMSG, 10IU/m1 hCG 및 10ng/m1 EGF가 첨가된 NCSU23 배양액에서 22시간 동안 배양을 실시하고, 성선자극호르몬이 배제된 배양액에서 추가로 22시간을 배양하여 체외성숙을 유도하였다. 체외성숙이 유기된 난자는 난구세포를 제거하고, 2.5mM caffeine과 0.1% BSA가 첨가된 mTBM 배양액에 정자를 1.25 $\times$ $10^{5}$cells/ml의 농도로 5-6시 동안 공동배양을 실시하여 체외수정을 유도하였다. 체외수정후 1-세포기의 수정란을 0.4mg/ml BSA가 첨가된 NCSU23 배양액에 CAT를 각각 0, 100, 500 및1,000uni1 첨가하여 30 embryos/ 50u1 소적으로하여 38.8$^{\circ}C$, 5% $CO_2$및 5%$CO_2$, 5% $O_2$90% $N_2$조건하의 배양기에서 각각 7일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결과는 SAS/STAT 6.03 Package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체외배양 48시간에 난할률을 조사하였을 때, 대조구와 처리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배양 7일째 배반포형성률에 있어서는 각각 22.7$\pm$2.7, 22.1$\pm$3.9, 18.7$\pm$4.9, 및 15.1$\pm$2.5%로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산소농도에 따른 배반포형성률은 5% $O_2$ 조건(22.1$\pm$2.4%)이 20% $O_2$조건(17.2$\pm$2%)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세포수에 있어서는 각각 44.4$\pm$4.0, 43.3$\pm$36, 25.4$\pm$2.4 및 13.4$\pm$1.5로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세포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소농도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체외생산된 돼지초기수정란을 배양할 때, CAT의 첨가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다.

  • PDF

$\beta$-Mercaptoethanol이 돼지 체외수정란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 한만희;구덕본;이경광;박창식;서길웅;정영채;이규승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81-81
    • /
    • 2002
  • $\beta$-Mercaptoethanol($\beta$-ME)은 일반적으로 황화합물(thiol compounds)의 일종으로, 배양액 중에서 이황화결합(disulfide bonds)을 분해하여 일정한 물질의 산화.환원반응에 관여하며, 특히 cysteine이 cystine으로 산화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서 cysteine의 이용능력을 증대시키고, GSH의 합성을 촉진 및 증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각종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돼지수정란의 체외배양체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Abebydeera 등, Theriogenol., 50:747-756, 1998).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돼지난포란의 체외성숙시 $\beta$-ME의 첨가배양이 체외수정과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돼지난포란을 10% PFF, 0.1mg/ml cysteine, 10IU/m1 PMSG, 10IU/m1 hCG 및 10ng/m1 EGF가 첨가된 NCSU23 배양액에 $\beta$-ME를 각각 0, 25, 50 및 100uM을 처리하여 22시간 동안 배양을 실시하고, 성선자극호르몬이 배제된 배양액에서 추가로 22시간을 배양하여 체외성숙을 유도하였다. 체외성숙이 유기된 난자는 난구세포를 제거하고, 2.5mM caffeine과 0.1% BSA가 첨가된 mTBM배양액에 정자를 1.25 $\times$ $10^{5}$cells/ml의 농도로 5-6시간 동안 공동배양을 실시하여 체외수정을 유도하였다. 체외수정후 일부의 수정란은 12시간에 난자 급속 염색방법으로 염색하여 다정자침입률 및 자.웅전핵형성률 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나머지1-세포기의 수정란은 0.4mg/ml BSA가 함유된 NCSU23 배양액에 30 embryos/50ul 소적으로하여 38.8$^{\circ}C$, 5% $CO_2$의 탄산가스 배양기에서 각각 7일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결과는 SAS/STAT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체외수정 12시간 후에 난자 급속 염색법으로 염색을 실시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핵성숙률(76.4~95.2%), 정자침투율(51.1~66.9%), 웅성전핵형성률(95.2~100%), 다정자침입률(18.2~25.6%) 및 평균침입정자수(1.2~l.4개)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체외배양 48시간 난할률을 조사한 결과, 처리구별 차이(53.9~67.9%)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배양 7일째 배반포형성률은 각각 14.5, 25.4, 17.3 및 12.4%로서 25uM의 $\beta$-ME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은 배발달률을 나타내었고, 총세포수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돼지 난포란을 성숙배양할 때, 25uM $\beta$-ME를 첨가배양하는 것이 양질의 돼지체외수정란을 생산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조사되었다.다.

  • PDF

5,8-Dimethoxy-2-Nonylamino-Naphthalene-1,4-Dione Inhibits Vascular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by Blocking Autophosphorylation of PDGF-Receptor ${\beta}$

  • Kim, Yohan;Lee, Jung-Jin;Lee, Sang-Gil;Jung, Sang-Hyuk;Han, Joo-Hui;Yang, So Young;Yun, Eunju;Song, Gyu-Yong;Myung, Chang-Se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7권3호
    • /
    • pp.203-208
    • /
    • 2013
  • As the abnormal prolifer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s)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and vascular restenosis, a candidate drug with antiproliferative properties is needed. We investigated the antiproliferative action and underlying mechanism of a newly synthesized naphthoquinone derivative, 5,8-dimethoxy-2-nonylamino-naphthalene-1,4-dione (2-nonylamino-DMNQ), using VSMCs treated with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2-Nonylamino-DMNQ inhibited proliferation and cell number of VSMCs induced by PDGF, but not epidermal growth factor (EGF),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out any cytotoxicity. This derivative suppressed PDGF-induced $[^3H]$-thymidine incorporation, cell cycle progression from $G_0/G_1$ to S phase, and the phosphorylation of phosphor-retinoblastoma protein (pRb)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cyclin E/D, cyclin-dependent kinase (CDK) 2/4, and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Importantly, 2-nonylamino-DMNQ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PDGF receptor${\beta}$(PDGF-$R{\beta}$) enhanced by PDGF at $Tyr^{579}$, $Tyr^{716}$, $Tyr^{751}$, and $Tyr^{1021}$ residues. Subsequently, 2-nonylamino-DMNQ inhibited PDGF-induced phosphorylation of STAT3, ERK1/2, Akt, and $PLC{\gamma}1$. Therefore, our results indicate that 2-nonylamino-DMNQ inhibits PDGF-induced VSMC proliferation by blocking PDGF-$R{\beta}$ autophosphorylation, and subsequently PDGF-$R{\beta}$-mediated downstream signaling pathways.

의사와 간호사의 외과적 손씻기에 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에 대한 조사 연구 (A Survey on the Performance of Surgical Hand Scrubs)

  • 윤혜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91-604
    • /
    • 1996
  • The surgical hand scrub (SHS) is the single most important procedure in the prevention of post-operative wound infections and yet it remains the most violated of all infection control proced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overview of SHS habits in operative th atre personnel and to determine knowledge and attitudes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included 79 doctors and 94 nurses working in the operative th atres of four hospitals in Incheon City and Kyungki Province. Rel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5 to August 10, 1995 by the autho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squre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Nurses felt that they conducted SHS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an doctors did(X=20.1, P=.005). 2. Nurses and doctors had some knowledge of slip-ping rings off fingers and the length of nails, but they lacked knowledge on the duration of SHS, handwashing after an operation and on manicure. 3. There were many reasons given for insufficient SHS included : 1) because they were so busy (38%). 2) brushes were too harsh(19.7%). 3) operations were very simple(18.7%). 4) surgical latex gloves provide functional barrier(11.6%). 5) SHSs were troublesome(7.4%) 6) there were no clocks near the sinks(2.5%) and 7) the operative patients were administered antibiotics after operartion(2.1%). 4. Most of nurses and doctors considered SHS to be important in prevention against post operative infections. 5. Nurses were found to do a thorough SHS, but residents were found to neglect SHS. 6. Considering prevention against postoperative infections, most nurses and doctors considered aseptic techniques, environment-sanitary management and SHS more important than the use of antibiotics, the resistance of patients or the method of operation. 7. Half of the nurses and doctors(54.3%) considered surgical latex gloves to function well as a barrier. 8. Half of the nurses (56.4%) and doctors(51.9%) learned SHS as part of the curriculum in their school education and the rest(nurses : 95.7%, doctors : 74.7%) learned SHS as part of their In Service Education.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a ne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on surgical hand scrub and hospital infection control for surgical personnels, to install clocks near the hand scrub sinks, to consider a violation report for negligent surgical hand scrubs, and to develop a soft brush for hand scrubs in order to increase performance of the surgical hand scrub.

  • PDF

흑염소의 체내수정란 생산에 관한 연구

  • 최창용;조숙현;한만희;권응기;최성복;최연호;최순호;손동수;최상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86-86
    • /
    • 2002
  • 면양과 염소가 최근 수십년동안 세계여러 나라에서 번식생리의 연구를 위한 모델로 사용되어 왔는데, 체내수정란의 생산에 관한 영역도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연구되어왔다. 수정란생산을 위한 발정동기화방법, 과배란처리 및 수정란회수방법 기술은 현재 상당히 많은 기술진척이 이루어진 상태이나, 우리나라 고유의 재래유전자원인 흑염소에는 이를 위한 기술이 미진한 실정이므로 본 실험에서는 흑염소의 체내수정란생산기술을 확립하여 재래가축 유전자원보존을 위한 기초기술을 마련하고자 한다. 축산기술연구소 남원지소에서 사육하고 있는 체중 20kg 이상의 건강한 흑염소를 이용하여 발정동기화를 위해 controlled intravaginal drug release(CIDR)를 질내에 14일 동안 삽입하고, 과배란처리는 FSH를 CIDR 삽입 12, 13, 14일째에 12시간 간격으로 점감법으로 총20mg을 투여하였으며, PGF$_2$a를 13일째 FSH와 함께 투여하였다. CIDR는 14일째의 아침에 제거하였다. 수컷과의 교미는 CIDR제거 24시간후에 GnRH를 투여와 동시에 실시하였으며, 채란은 교미후 3일째에 외과적인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CIDR처리경과에 따른 progesterone농도는 CIDR 주입시 바로 수치가 상승하여 제거전까지 6~12ng/m1의 농도를 유지하였으며, 제거즉시 2ng/ml 이하로 떨어졌다. 채란시 평균 배란점은 16.5개, 미배란난포 9.8개였으며, 회수수정란은 6.0개를 나타내어 채란율은 36.4%를 나타내었다. 회수된 수정란의 발달단계는 4-cell 78.9%, 2-cell 5.3%, fragmentation 15.8%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체내수정란생산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이후 수정란의 동결 및 수정란이식기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면 우리나라의 재래가축인 흑염소의 유전자원 장기보존과 생산성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배양액에 30 embryos/50ul 소적으로하여 38.8$^{\circ}C$, 5% $CO_2$의 탄산가스 배양기에서 각각 7일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결과는 SAS/STAT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체외수정 12시간 후에 난자 급속 염색법으로 염색을 실시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핵성숙률(76.4~95.2%), 정자침투율(51.1~66.9%), 웅성전핵형성률(95.2~100%), 다정자침입률(18.2~25.6%) 및 평균침입정자수(1.2~l.4개)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체외배양 48시간 난할률을 조사한 결과, 처리구별 차이(53.9~67.9%)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배양 7일째 배반포형성률은 각각 14.5, 25.4, 17.3 및 12.4%로서 25uM의 $\beta$-ME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은 배발달률을 나타내었고, 총세포수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돼지 난포란을 성숙배양할 때, 25uM $\beta$-ME를 첨가배양하는 것이 양질의 돼지체외수정란을 생산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조사되었다.다.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ese Letter Jobcheso."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origin

  • PDF

Novel Isoquinolinamine and Isoindoloquinazolinone Compounds Exhibit Antiproliferative Activity in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Cells

  • Roolf, Catrin;Saleweski, Jan-Niklas;Stein, Arno;Richter, Anna;Maletzki, Claudia;Sekora, Anett;Escobar, Hugo Murua;Wu, Xiao-Feng;Beller, Matthias;Junghanss, Christia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7권5호
    • /
    • pp.492-501
    • /
    • 2019
  •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es such as quinoline, quinazolinones and indole are scaffolds of natural products and have broad biological effects. During the last years those structures have been intensively synthesized and modified to yield new synthetic molecules that can specifically inhibit the activity of dysregulated protein kinases in cancer cells. Herein, a series of newly synthesized isoquinolinamine (FX-1 to 8) and isoindoloquinazolinone (FX-9, FX-42, FX-43) compounds were evaluated in regards to their anti-leukemic potential on human B- and T-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cells. Several biological effects were observed. B-ALL cells (SEM, RS4;11) were more sensitive against isoquinolinamine compounds than T-ALL cells (Jurkat, CEM). In SEM cells, metabolic activity decreased with $10{\mu}M$ up to 26.7% (FX-3), 25.2% (FX-7) and 14.5% (FX-8). The 3-(p-Tolyl) isoquinolin-1-amine FX-9 was the most effective agent against B- and T-ALL cells with IC50 values ranging from 0.54 to $1.94{\mu}M$. None of the tested compounds displayed hemolysis on erythrocytes or cytotoxicity against healthy leukocytes. Anti-proliferative effect of FX-9 was associated with changes in cell morphology and apoptosis induction. Further, influence of FX-9 on PI3K/AKT, MAPK and JAK/STAT signaling was detected but was heterogeneous. Functional inhibition testing of 58 kinases revealed no specific inhibitory activity among cancer-related kinases. In conclusion, FX-9 displays significant antileukemic activity in B- and T-ALL cells and should be further evaluated in regards to the mechanisms of action. Further compounds of the current series might serve as templates for the design of new compounds and as basic structures for modification approaches.

Pro-Apoptotic Activity of 4-Isopropyl-2-(1-Phenylethyl) Aniline Isolated from Cordyceps bassiana

  • Kim, Mi Seon;Lee, Yunmi;Sung, Gi-Ho;Kim, Ji Hye;Park, Jae Gwang;Kim, Han Gyung;Baek, Kwang Soo;Cho, Jae Han;Han, Jaegu;Lee, Kang-Hyo;Hong, Sungyoul;Kim, Jong-Hoon;Cho, Jae Youl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3권4호
    • /
    • pp.367-373
    • /
    • 2015
  • Cordyceps species including Cordyceps bassiana are a notable anti-cancer dietary supplement. Previously, we identified several compounds with anti-cancer activity from the butanol fraction (Cb-BF) of Cordyceps bassiana. To expand the structural value of Cb-BF-derived anti-cancer drugs, we employed various chemical moieties to produce a novel Cb-BF-derived chemical derivative, KTH-13-amine-monophenyl [4-isopropyl-2-(1-phenylethyl) aniline (KTH-13-AMP)], which we tested for anti-cancer activity. KTH-13-AMP suppressed the proliferation of MDA-MB-231, HeLa, and C6 glioma cells. KTH-13-AMP also dose-dependently induced morphological changes in C6 glioma cells and time-dependently increased the level of early apoptotic cells stained with annexin V-FITC. Furthermore, the levels of the active full-length forms of caspase-3 and caspase-9 were increased. In contrast, the levels of total forms of caspases-3, caspase-8, caspase-9, and Bcl-2 were decreased in KTH-13-AMP treated-cells. We also confirmed that the phosphorylation of STAT3, Src, and PI3K/p85, which is linked to cell survival, was diminished by treatment with KTH-13-AMP. Therefore,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this compound can be used to guide the development of an anti-cancer drug or serve as a lead compound in forming another strong anti-proliferative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