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Dichlorobenzene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2초

2-Mercaptobenzothiazole이 내포된 p-Dichlorobenzene 미세결정으로 예비농축시킨 후 Cd(II) 정량 (Determination of Cd(II) after Preconcentration onto Microcrystalline p-Dichlorobenzene Loaded with 2-Mercaptobenzothiazole)

  • 윤주임;최희선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7-33
    • /
    • 2009
  • 실제 시료에 들어있는 흔적량 Cd(II)를 2-mercaptobenzothiazole이 내포되어 있는 미세결정 p-dichlorobenzene에 예비농축시킨 후 정량하는 감도좋은 방법을 개발하였다. 시료 용액의 pH, 킬레이트제 2-mercaptobenzothiazole의 양, 흡착제 p-dichlorobenzene-2-MBT의 양 그리고 시료 용액의 흐름속도 등 여러 실험조 건을 최적화하였다. 여러 공존이온에 대한 방해효과를 조사하였는데 다른 이온들보다 Cu(II)가 비교적 심하게 방해를 하였다. 그러나 Cu(II)에 의한 방해는 시료용액의 tartrate 이온의 농도를 0.01 M이 되게 하든지 또는 0.20 g의 p-dichlorobenzene에 내포된 2-mercaptobenzothiazole의 양을 0.08 g에서 0.12 g이 되게 하면 충분히 없앨 수 있었다.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진 직선 감응범위, 상관계수($R^2$) 및 검출한계는 각각 0.5-30 ng $mL^{-1}$, 0.9962, 및 0.39 ng $mL^{-1}$로서, p-dichlorobenzene을 흡착제 매질로 이용하여 매우 좋은 결과를 얻었다. 이 방법을 실제 시료에 적용할 수 있을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용액 시료(폐수, 시냇물, 그리고 저수지물)와 플라스틱 시료에 응용하였다. 회수율은 93-104% 정도였으며, ICP-MS를 이용하여 얻은 값과 이 방법으로 얻은 값은 F 시험법에 의하면 95% 신뢰수준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들로부터 이 방법은 여러 실제 시료에 들어있는 Cd(II)을 농축 정량하는데 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alicylaldoxime이 내포된 p-Dichlorobenzene 미세결정을 이용한 Cu(II)의 예비농축 및 정량 (Determination and preconcentration of Cu(II) using microcrystalline p-Dichlorobenzene loaded with salicylaldoxime)

  • 이하나;최희선
    • 분석과학
    • /
    • 제23권3호
    • /
    • pp.240-246
    • /
    • 2010
  • Salicylaldoxime (SA)이 내포되어 있는 미세결정 p-dichlorobenzene 흡착제(p-dichlorobenzene-SA)를 이용하여 시료에 흔적량으로 들어있는 Cu(II)를 예비농축시킨 후 불꽃 원자흡수분광법으로 정량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시료 용액의 pH, 킬레이트제 salicylaldoxime의 양, 흡착제 p-dichlorobenzene-SA의 양 그리고 시료 용액의 흐름속도 등 여러 실험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여러 공존이온에 대한 방해효과를 조사한 결과, $CN^1$가 다른 이온들보다 비교적 심하게 방해하였다. $1\;{\mu}g\;mL^{-1}\;CN^-$에 의한 방해효과는 Ni(II)를$20\;{\mu}g\;mL^{-1}$ 되도록 조절한 결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본 방법으로 얻은 직선 감응범위, 상관계수($R^2$) 및 검출한계는 각각 $3.0\sim100\;ng\;mL^{-1}$, 0.9901, 및 $3.1\;ng\;mL^{-1}$ 이었다. 본 방법을 실제 시료에 적용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용액 시료(폐수, 저수지물 및 시냇물)와 식품시료(오렌지 쥬스, 생계란 및 탈지분유)에 응용하였다. 회수율은 93~104% 범위이었으며, ICP-MS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한 값과 본 방법으로 측정한 값을 비교한 결과, 95% 신뢰수준에서 잘 일치하였다. 본 방법을 쌀가루 인증표준물질(certified reference material, CRM) 시료에 응용해 보았으며 좋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 결과들로부터 본 방법은 여러 실제 시료에 들어있는 Cu(II)를 농축 및 정량하는데 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2-Dichlorobenzene을 분해하는 Pseudomonas sp. DCB3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seudomonas sp. DCB3 Degrading 1.2-Dichlorobenzene)

  • 서승교;우철주;이창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3-38
    • /
    • 1997
  • Four bacterial strains able to degrade dichlorobenzene as the sole source of carbon and energy were isolated from soil by selective enrichment culture, and among them, one isolation was the best in the cell growth and identified as Pseudomonas sp. DCB3 by its morphology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Cell growth dramatically increased in a minimal medium containing 500ppm of dichlorobenzene was not detected any more at 72 hours after cultivation. The optimal temperature and initial pH for the growth of the isolated strain were 30$\circ$C and 7.0, respectively. Cell growth was increased by supplementing $(NH_2)_2CO$ and 50 ppm yeast extract as additional nutrients.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Pseudomonas sp. DCB3 could be effectively used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containing dichlorobenzene.

  • PDF

Biodegradation of trichloroacetic acid from organic solvent tolerant bacterium, Pseudomonas savastanoi BCNU 106

  • 김종수;박형철;조수동;이승한;김기욱;문자영;정영기;주우홍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390-392
    • /
    • 2003
  • Pseudomonas savastanoi BCNU 106은 mineral salt medium에서 30 mM trichloroacetic acid의 농도까지 유일한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생육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trichloroacetic acid 뿐만 아니라 monochloroacetic acid, trichloroethylene, p-dichlorobenzene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이용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에 대한 내성시험결과 전혀 내성이 없는 것을 알게 되었다.

  • PDF

1,2-Dichlorobenzene Solvent를 이용한 고분자 유기태양전지에서 박막 두께에 따른 나노 구조와 열처리 효과 (Nanostructure and Thermal Effects Dependent on the Film Thickness in Poly(3-hexylthiophene):Phenyl-C61-butyric Acid Methyl Ester(P3HT:PCBM) Films Fabricated by 1,2-Dichlorobenzene Solvent for Organic Photovoltaics)

  • 이현휘;김효정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7-352
    • /
    • 2014
  • Film thickness dependent nanostructure evolution by a post annealing was investigated in poly (3-hexylthiophene):phenyl-C61-butyric acid methyl ester(P3HT:PCBM) films for organic solar cells which were fabricated by dichlorobenzene(DCB) solvent. In case of a 70nm thin film, the thermal annealing process affected to slight increment of the P3HT crystals in the surface region. On the other hand, large number of small sized P3HT crystals near the surface region was formed in the 200nm thick film. The solar cell devices showed the 3% power conversion efficiency(PCE) in 1:0.65 and 1:1 ratio(by weight) of P3HT and PCBM in 70nm and 200nm thickness conditions, respectively. Despite to the similar PCE, the short circuit current Jsc was different in 70nm and 200nm devices, which was related to the different nanostructure of P3HT:PCBM after thermal annealing.

농약류 (1,2-dichlorobenzene, hexachlorocyclohexane)의 토양 흡착 특성 규명

  • 정현정;이민희;도원홍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338-341
    • /
    • 2003
  • 유기염소계 농약 중 대표적인 살충제 $\delta$-BHC(hexachlorocyclohexane)와 1, 2-DCB (1, 2-dichlorobenzene)에 대한 논, 밭 토양 및 풍화 토에 흡착 배치실험을 통하여 토양 특성과 유기오염물간의 흡착 관계를 규명하였다. 13개의 토양시료에 대하여 pH, CEC, 유기물 함량, 비표면적, 입도분석, 원소조성분석을 통하여 토양의 물리ㆍ화학적 특징이 토양 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유기염소계 농약의 흡착량을 Freundlich isotherm으로 나타내어 흡착분배계수(K$_{d}$)를 산출하였다. $\delta$-BHC는 유기물 함량이 높은 soil-4$_{d}$에서 가장 높은 $K_{d}$ 값을 보였으며, 1,2-DCB의 경우 CEC, 비표면적이 가장 낮은 soil-5에서 낮은 $K_{d}$ 값을 보여 토양 내 유기물 함량과 비표면적이 유기오염물 흡착량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Vapor-Phase Chlorination of Chlorobenzene over Solid-Acid Catalysts

  • 장향자;최평호;박상언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6권6호
    • /
    • pp.507-511
    • /
    • 1995
  • Catalytic chlorination of chlorobenzene was studied in vapor phase using various solid-acid catalysts such as silica-alumina, alumina, zeolite and a modified clay prepared by impregnating bentonite with ferric chloride. The conversions of both chlorine gas and chlorobenzene showed high over silica-alumina, alumina and modified clay catalysts. However relatively large amounts of polychlorinated benzene derivatives were also observed. The active species of catalytic activity in chlorination of chlorobenzene in vapor phase were proved to be as Lewis acid sites by in-situ IR experiments. The strength of Lewis acid sites which were effective for the vapor-phase chlorination seemed to be having Hammett acidity Ho >-3.0. The selectivity to dichlorobenzenes was proved to be high over the zeolite catalyst due to their shape-selective properties. p-Dichlorobenzene or dichlorobenzene selectivities were improved more or less by changing the reaction conditions.

Hard Coating Materials Using Copolymers of 2,5-dichlorobenzophenone and 1,4-dichlorobenzene

  • Shin, Min Jae
    • 공업화학
    • /
    • 제33권6호
    • /
    • pp.661-665
    • /
    • 2022
  • In this study, 2,5-dichlorobenzophenone was synthesized as a monomer using 1,4-dichlorbenzene, and subsequently, copolymers of benzoyl-p-phenylene and p-phenylene were prepared.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was improved using the low-molecular-weight polymer cutting method.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ynthesized polymers were estimated. The as-prepared polymer was used as a hard coating material, and the coating was conducted on a poly(methyl methacrylate) plate. Further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s, such as pencil hardness, adhesive strength, and abrasion resistance, were estimated. As the amount of p-phenylene in the copolymer increased, pencil hardness and abrasion resistance improved. The amount of p-phenylene in the copolymer can be increased to 30 mol% in order to increase the hardness of the coating, and the adhesive strength was insufficient for the copolymers with p-phenylene ratio greater than 35 mol%.

활성탄 위에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2,3,7,8-TCDD)의 등온 흡착식 및 확산계수 예측 (Prediction of Adsorption Isotherms and Diffusivity on Activated Carbon for Persistent Organic Pollutant(2,3,7,8-TCDD))

  • 임영일;손혜정;이오성;남경수;유경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6호
    • /
    • pp.747-75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1,000^{\circ}C$에서 24시간 열처리된 활성탄에서 다이옥신과 유사구조를 갖는 o-DCB(ortho-dichlorobenzene)의 등온흡착식을 실험을 통하여 구하였고, 분자모사를 통하여 예측하였다. 실험으로 분석된 활성탄의 분자식 및 작용기 비율을 바탕으로 초기 활성탄 기본구조를 설계한 후, COMPASS(condensed-phase optimized molecular potentials for atomistic simulation studies) force field를 이용하여 이 구조를 최적화하였다. 최적화된 활성탄 분자구조에서 공극률, 비표면적, 및 입자밀도의 모사결과는 실험값과 비교되었고, 이들에 대한 실험과 모사결과의 오차는 각각 7.62, 3.79, 2.80%를 보여주었다. 통계 열역학적 방법인 GCMC(Grand Canonical Monte Carlo) 기법을 이용하여, 최적화된 활성탄 구조에서 온도에 따른 o-DCB의 등온흡착 상수값을 예측하였으며, 이 모사결과는 실험값과 비교될 때, 3% 이하의 오차를 보였다. o-DCB의 흡착특성을 바탕으로 확인되어진 활성탄 구조에서 다이옥신의 일종인 2,3,7,8-TCDD(tetrachlorodibenzo-p-dioxin) 등온흡착상수, 흡착열, 그리고 기공확산계수를 최종적으로 구함으로서, 실험적으로 구하기 힘든 맹독성 잔류성 유기물질의 흡착특성을 분자모사기법을 통하여 예측하였다.

Polychloroanisidine 및 Fluorochloroanisole 유도체의 간편한 합성 (A Convenient Preparation of Polychloroanisidine and Fluorochloroanisole Derivatives)

  • 김유선;김태영;김윤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78-288
    • /
    • 1974
  • P-dichlorobenzene을 출발물질로하여 니트로화 반응, 메톡시화 반응 및 환원반응을 거쳐서 2-amino-4-chloroanisole을 얻은 다음 이것에 연속적인 염소화반응을 시켜 2-amino-3,4,5-trichloroanisole 만을 순수하게 얻을 수 있었다. 한편 4-chloro-2-nitroanisole 을 촉매 존재하에서 염소화반응시켜 2,4-dichloro-6-nitroanisole을 간편하게 얻었으나 이 이상의 염소화 반응은 보통 압력에서는 성공되지 못하였다. 2-amino-4,6-dichloranisole의 연속적인 염소화 반응으로 2-amino-3,4,5,6,-tetrachloroanosole을 간편하게 얻을수 있었다. 한편 2-amino-4-chloranisole 및 2-amino4,6-dichloranisole의 Schiemann반응으로 2-fluoro-4-chloranisole 및 2-fluoro-4,6-dichloroanisole을 각각 얻은 다음 이들의 연속적인 염소화 반응으로 2-fluoro-3,4,5,6-tetrachloroanisole을 간편하게 합성할 수 있었다. 염소화반응생성물들의 확인에 NMR 분석방식을 사용하여 생성물을 분리하지 않고 연속 합성하는 방식을 택하였으며 이러한 방식의 간편성을 논의 하였다. 높은 합성수득률 및 반응조건의 간이성에 따르는 실용성에 관하여서도 각각 제언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