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arian follicle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21초

실험적 마우스 모델에서 예측 불가능한 스트레스가 황체형성호르몬 수용체의 발현과 생식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Unpredictable Stress on the LHR Expression and Reproductive Functions in Mouse Models)

  • 최성영;박진흠;;김영종;박재옥;문창종;신태균;안미정;김석수;박영식;채형복;김태균;김승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94-40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예측 불가능한 만성적인 스트레스가 생식기능과 황체형성호르몬 수용체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9 주령 암컷 C57BL/6 마우스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대조군과 스트레스군의 두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스트레스군은 35일 동안 하루에 두 번씩 12가지의 서로 다른 스트레스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스트레스를 주었다. 대조군에 비하여 스트레스군에서 불안과 관련된 행동들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P < 0.05), 스트레스를 받는 동안의 증체율 또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 < 0.01). 그리고 평균 산자수도 대조군에 비하여 스트레스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함을 관찰 하였다(P < 0.01). 조직학적인 검사에서 일차, 이차 및 초기 성숙 난포의 비율이 대조군에 비해 스트레스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P < 0.05) 폐쇄 난포의 비율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1).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를 통해 과립막세포와 황체세포의 황체형성호르몬 수용체 발현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스트레스군에서 그 발현이 감소하였고, 웨스턴 블롯을 통해 난소 내 황체형성호르몬 수용체의 단백질 양을 측정한 결과 또한 대조군에 비하여 스트레스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본 연구를 통해 난소의 황체형성호르몬 수용체는 예측 불가능한 스트레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변화된 황체형성호르몬 수용체가 난자의 난포 발육 불량과 생식기능의 이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번식장애 한우의 렙틴 및 인슐린 농도 변화 (Alteration in Concentrations of Leptin and Insulin in Korean Cattle with Reproductive Disorders)

  • 최창용;강다원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9-195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oncentrations of leptin and insulin in serum of Korean cattle (Hanwoo) with reproductive disorder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leptin, insulin, and body condition score (BCS). The concentration of leptin in serum of pregnant Hanwoo showed in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at in serum of Hanwoo with reproductive disorder, such as repeat breeding, follicular cyst, corpus luteum cyst, ovarian atrophy, and feeble estrus (p>0.05).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leptin and insulin in serum were changed with different BCS value. In emaciated Hanwoo (BCS $2.0\sim2.9$), the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BCS $3.0\sim3.4$ (p<0.05). The leptin showed different genotypes with different BCS value. In BCS $2.0\sim2.9$, C/T genotype was expressed (83.3%) more than C/C (16.7%) or T/T (0%) genotype, whereas C/C genotype was expressed (62.5%) more than C/T (25.0%) or T/T (12.5%) genotype in BCS $3.5\sim4.0$. The insulin concentration in follicular fluid obtained from ovary with follicular cyst which has follicles having diameter of $25\sim40 mm$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in normal follicle fluid which has follicles having diameter of $3\sim10 mm$. These results showed that concentration of leptin and insulin in serum were related to BCS value and follicular size and suggest that the changes in concentration of leptin and/or insulin in serum could be a potent biomarker for diagnosis of bovine reproductive disorder.

한국산 고라니의 발정기와 임신기 난소의 생리학적 차이 (Physiological Difference of Estrus and Pregnant Ovary in Korean Water Deer)

  • 김상환;이호준;이주영;박용수;윤종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3-50
    • /
    • 2014
  • To describe the macroscopic anatomy and ovarian-physiological difference of the genital organs of the female Korean water deer, organs from captured animals in a wild area of Korea were dissected. The ovary of estrus group was about $1.10{\pm}0.02mm$ long and weighed about $0.50{\pm}0.02g$. And pregnant group was about $1.3{\pm}0.10mm$ long and weighed about $0.40{\pm}0.05g$. And the crowns of corpora lutea were found in the estrus group, but we couldn't find crowns at the pregnant group. Especially, the estrus ovaries tended (p=0.04) to be heavier than the ovaries during pregnancy. The MMP-9 activity was higher at the Graafian follicles of pregnant group than that in estrus group. However, with regard to follicles of estrus group, MMP-2 level was higher than that in pregnant group. Furthermore, apoptosis detection marker (Casp-3) was highly expressed in Graafian follicle of the pregnant group and the corpora lutea of estrus group. Thus,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MMPs observed i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flected the mechanisms underlying of monovulatory in estrus and/or pregnancy. Our results may be very useful as it provides with information that may be considered for the development of reproductive biotechnologies in endangered animals.

난소의 형태와 배양 용기가 한우 체외수정란의 발달과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Morphology of Ovaries and Vessels for In Vitro Maturation on the Development and Cell Number of Korean Native Cow Embryos)

  • 박용수;박흠대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9권1호
    • /
    • pp.37-41
    • /
    • 2005
  • 본 연구는 한우 수정란의 체외생산에 있어서 효율과 품질의 향상을 위해서, 미성숙 난포란을 회수하는 난소의 형태와 배양 용기로서 straw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난소의 형태에 따른 수정율은 전 군에서 70.3∼84.1%로서 비슷한 경향이었다. 8세포기 및 배반포기 발달율은 황체와 난포가 모두 존재하지 않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다. 배반포의 inner cell mass(ICM), trophectoderm(TE), total cell number(TCN) 및 ICM/TCN 비율은 낭종군과 퇴행황체군이 다른군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체외성숙에 이용하는 배양용기에 따른 수정율은 0.5 ㎖ straw 군이, 8세포기 발달율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나, 배반포기 발달율은 23.1∼30.7%로서 각 군 간에 비슷한 경향이었다. 한편 각각의 배양 용기에서 유래된 배반포의 ICM, TE, TCN 및 ICM/TCN 비율은 유사한 경향이었다.

Rat난소폐쇄에서의 난포의 사망기전 (Follicle Cell Death during Ovarian Atresia in the Rat)

  • 전상영;권혁방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85-393
    • /
    • 1997
  • 다세포 생물에서 몸의 효율적 생존을 위한 각 기관의 homeostasis는 세포 증식과 사망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apoptosis라 명명된 세포사망은 정교한 기전에 의한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사망기전으로써 몸의 정상적 유지를 위한 필수적인 현상이다. 발생기 세포나 신경세포 또는 흉선세포 분화 동안 과다한 세포의 제거가 apoptosis의 대표적인 예이며, 각종 호르몬에 의해 그 기능이 조절되는 난소세포에서도 apoptosis가 활발히 일어난다. Rat난소에는 태어날 때 수십 만개의 난포를 지니고 있는데, 이 중 단지 1%만이 배란에 사용되어질 뿐이고 나머지는 모두 사망하게 된다. 이러한 난포사망은 난소의 적절한 세포 수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 과정이며, 인위적으로 apoptosis를 억제하는 유전자인 bcl-2를 과다 발현시키면 난소암이 발생하는 연구결과가 이를 입증해주고 있다. 이처럼 중요한 난포 사망기전은 apoptosis라는 개념이 정립되면서 최근 들어 점차 그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Apoptosis의 특징 중 뚜렷한 점은 DNA가 일정한 간격으로(180∼200 bp)잘려지는 DNA fragmentation현상으로, 이를 이용하여 DNA3'-end 부위에 방사선동위원소를 label한 후 이를 전기영동으로 분리하면 apoptosis를 손쉽게 측정할 수 있다. 난소의 기능은 시상하부호르몬인 LH와 FSH 뿐만 아니라 난소에서 분비되는 각종 난소국부호르몬들에 의해 조절된다. 특정한 발육단계의 난포는 특정한 호르몬에 의해 그 기능을 조절 받는데, 이러한 난소기능 조절기작은 매우 복잡한 경로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기작으로 인해 초기 연구에서첨 생체 내에서 밝히려는 연구 시도는 어려움에 부딪치게 되었다. 생체내 실험은 난소가 다양한 발육단계의 난포를 동시에 지니고 있어 특정한 발육단계의 난포 사망기전을 연구하기 어렵다. 또한 난포는 생체 내에서 다양한 호르몬을 동시에 분비하기 때문에 특정한 난소국부호르몬이 사망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힘든 점이 있다. 최근 들어 난포체외배양이 다양하게 개발되면서, 이러한 어려운 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각 발육단계의 난포를 절단해 체외배양하면서, apoptosis DNA 절단 현상을 이용하여 각종 난소국부 호르몬들이 난포발육단계별로 사망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해 보였다. 난포는 발육하면서 점차 복잡한 호르몬 경로를 생존을 위해 필요로 한다. Prevulatory난포생존에 필요한 난소국부호르몬들은 early antral 단계의 난포에서는 그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다가 preantral단계의 난포에서는 영향을 전혀 미치지 못했다. 단지 예외는 cGMP처리로써, 세포내 cGMP수준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것이 난포발육단계에 무관하게 생존에 중요한 인자로, 장래 연구는 난포 세포내의 cGMP수준을 조절하는 기작을 규명하는데 있을 것이다.

  • PDF

무지개 송어의 견전 육종학적 연구 IX. 난모세포의 성장 기간중 난포의 미세구조적 변화 (Studies on Genetics and Breeding in Rainbow Trout, Oncorphynchus mykiss IX. Ultrastructural Changes of Ovarian Follicle during Oocyte Growth)

  • 윤종만;김계웅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04-318
    • /
    • 1993
  • 1991년 8월부터 그이듬해 7월까지 채취된 무지개 송어(Oncorhvnchus mykiu) 난모세포의발달 단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광필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본 각구를 실시하였다. 건국 대학교 축산대학 양수.장에서 수온이 14-16$^{\circ}C$이고 용존산소량이 7.6 $\pm$ 0.3ppm. PH 5.8 $\pm$ 0.2인 자연채광 상태인 1개의 10m3 탱크에서 N R.C. 사양표준에 준한 펠렛트 배합사료를 급여하여 연중 사육중인 체중 700-1,2009의 한복새끼인 무지개 송어 암컷 120마리를 공시희.로 이용 하였다. LPO(late perinucleolus oocyte), EMO(early maturing oocyte) 단계에서 과립막 세포와 협막세포와 같은 난포막 세포는 단층구조로 부터 입 방형구조로 변화되었고. 완전한 성장, 성숙 및 과숙기에 방사대(Eons rsdiat3)에 있는 pore canals의 입구가 봉쇄되었다. 방사대는 맨바깥목에 균일하면서 점은 두께의 막과 나선형의 두꺼운 복의 2개의 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숙기에 있는 난모세포에는 수초 및 자갈에 붙을 수 있는 온수성 어종 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점액성의 막이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난모세포가 성장함에 따라 세포질 주변부 및 임립등 세포내에 막대기 형태의 미토콘드리아와 비대해진 내형질세강의 육가 급증하였다. 전자밀도가 높은 소포는 방사대에 인접한 난세포질 주변부에 많이 존재하며. 이는 성장중인 방사대의 pore Canals을 통해서 간으로 부터 합성된 단백질과 탄수화물을 수송하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자연적인 조건하에서 fP포막은 난형성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성호르몬의 발달에 충분한 대르몬을 계절에 따라 분비시키는 데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과배란처리 한우에서 초음파 유도에 의한 난자채란에 대한 연구 (Transyaginal Ultrasound-guided Oocytes Collection in Superovulated Korean Native Cows)

  • 이효종;강태영;조성근;박준규;손우진;최민철;최상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5-202
    • /
    • 1997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superovulation treatments on ovarian responses, oocyte recovery rates and grades of collected oocytes using an ultrasound-guided transvaginal approach in Korean native cows. Superovulation in cows was induced with two different regimenes: 1) FSH-decreasing dose(n=8): the cows were received twice per day for three days of the total dose of 400 mg of FSH-p, 2) FSH-single dose(n=9): the cows were administrated a single dose of 400 mg of FSH-p in 25% PVP. The Observation of visible follicles and collection of oocytes were performed 12 hours following the last FSH in FSH-decreasing dose group and 48 hours after the FSH-single dose injection. All visible follicles larger than 6 mm were punctured and aspirated with a 6.5 MHz convex-array ultrasound transducer designed for intravaginal use. The mean number of visible follicles(> 6 mm)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the FSH-decreasing dose treatment (22.811.9) and FSH-single dose treatment (20.612.0) groups than the non-treatment group(7.0$\pm$8). The mean recovery rate of oocytes was not significantly(P<0.05) different between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but the mean number of collected oocytes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the FSH-decreasing dose treatment( 12.611.5) and FSH-single dose treatment (11.813.6) groups than the non-treatment group(3.7$\pm$0.5). In conclusion, the FSH-single dose treatment at superovulation in cows for ultrasound-guided aspiration might increase the number of aspiratable follicles and the recovery rate of follicular oocytes as the FSH-decreasing dose treatment.

  • PDF

과배란유도에 의해 성숙된 여포의 GTH 활성 도 와 스테로이드합성 (Gonadotropin Bioactivity and Steroids in Ovarian Follicle Matured by Hyperstimulation)

  • 윤용달;전은현;김문규;권혁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6권2호
    • /
    • pp.119-130
    • /
    • 1989
  • 본 연구는 생식주기중 폐쇄여포액내에서 생물학적, 면역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GTH 의 변화를 조사하고 steroid hormone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며 국부조절인자로서 의 GTH의 역 활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가임기간중 215개의 여포와 IVF과정에서 185개의 여포를 얻어 여포액내 GTH의 생물학적 또는 면역학적 활성을 측정하였다. Bioactive LH(bLH)는 생쥐의 Leydig cell-testosterone production assay, bFSH는 흰쥐의 Sertoli cell aromatase assay로 측정 하였 다. Immunological GTH(iLH , iFSH) 는 MaiaClone RIA , Delfia kits를 사용하였다. 여포액내 iLH, iFSH , ihCG 는 hyperstimulation에 의해 형성된 여포의 크기와는 무관하였다. 또 hMG, huFSH 의 처리와도 상관성이 없었다. T의 농도가 높은 여포액내의 iFSH는 현저히 낮았으며 E, P 가 고농도인 여포의 ihCG 양은 현저히 낮았다. 과배란이 유도된 난소의 여포액내 iLH는 LH specific RIA로 측정시 3mIU/ml 이하이었다. 생식주기중 여포액내 bLH, bFSH는 배란기에 현저히 증가 하였다. 혈청내 GTH B/I ratio는 엘정한 반면 여포액내 LH,FSH의 생물학적, 면역학적 활성은 미수정란을 가지거나 폐쇄된 여포내의 활성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위의 결과로 보아 여포액내 생식소자극호르온은 면역학적활성보다 높은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며, 생리적 현상의 지표가 된다고 추론된다. 또한 steroid, bGTH는 여포의 선택, 폐쇄를 구분하는 지표로 사용가능하며, 여포가 폐쇄될때 여포액내 B/I ratio가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로 보아 GTH의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s of supplementation with antifreeze proteins on the follicular integrity of vitrified-warmed mouse ovaries: Comparison of two types of antifreeze proteins alone and in combination

  • Kim, Min Kyung;Kong, Hyun Sun;Youm, Hye Won;Jee, Byung Chul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4권1호
    • /
    • pp.8-14
    • /
    • 2017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supplementing vitrification and warming solutions with two types of antifreeze proteins (AFPs) and the combination thereof on the follicular integrity of vitrified-warmed mouse ovaries. Methods: Ovaries (n=154) were obtained from 5-week-old BDF1 female mice (n=77) and vitrified using ethylene glycol and dimethyl sulfoxide with the supplementation of 10 mg/mL of Flavobacterium frigoris ice-binding protein (FfIBP), 10 mg/mL of type III AFP, or the combination thereof. Ovarian sections were examined by light microscopy after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and follicular intactness was assessed as a whole and according to the type of follicle. Apoptosis within the follicles as a whole was detected by a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eoxyuridine triphosphate nick-end labeling assay. Results: The proportion of overall intact follicl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ype III AFP-supplemented group (60.5%) and the combination group (62.9%) than in the non-supplemented controls (43.8%, p<0.05 for each). The proportion of intact primordial follicl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fIBP-supplemented (90.0%), type III AFP-supplemented (92.3%), and combination (89.7%) groups than in the non-supplemented control group (46.2%, p<0.05 for each). The proportions of non-apoptotic follicles were similar across the four groups.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the vitrification and warming solutions with FfIBP, type III AFP, or the combination thereof was equally beneficial for the preservation of primordial follicles in vitrified mouse ovaries.

Ultrasonographic Measurements in Comparison with the Rectal Palpation and Echotexture of Reproductive Organs of Buffaloes (Bubalus bubalis) during Different Stages of the Estrous Cycle

  • Honparkhe, M.;Gandotra, V.K.;Nanda, A.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7호
    • /
    • pp.919-923
    • /
    • 2004
  • Ultrasonographic study was undertaken to establish the echogenecity and size of reproductive organs of 18 cycling buffaloes of different parities and compared with the sizes measured by palpation per rectum at estrus (day 0), met estrus (day 2), mid diestrus (day 10) and late diestrus (day 16). The overall mean size of cervix, uterine body, right horn, left horn, right ovary and left ovary measured by palpation per rectum were 2.70$\pm$0.43, 2.36$\pm$0.36, 2.17$\pm$0.37, 2.12$\pm$0.38, 2.63$\pm$0.41 and 2.72$\pm$0.37 cm, respectively. The corresponding ultrasonographic observations were 2.10$\pm$0.40, 1.85$\pm$0.30, 1.73$\pm$0.36, 1.64$\pm$0.37, 2.16$\pm$0.36 and 2.29$\pm$0.38 cm respectively. Variations in the size of genitalia due to stages of estrous cycle were non-significant. The size of genitalia measured by palpation per rectum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by ultrasonography. However, there was linear positive correlation (r=+0.87) in the measurements by the two techniques. The ultrasonographic characteristics of tubular genitalia revealed different echogenic gray shades around the nonechogenic (black) central area of lumen depending upon the stage of cycle. The ovarian stroma appeared as hyperechoic (white) area with nonechogenic (black) follicle. The corpus luteum (CL) exhibited different echogenic texture viz. grayish black, grayish granular and grayish white at met estrus, mid diestrus and late diestrus, respectively. Therefore, ltrasonography can be effectively employed to record the exact size and echotexture of the buffalo genitalia during different stages of estrous cy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