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arian cyclicity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초

젖소의 분만 후 난소 주기의 재개와 혈장 요소태 질소(PUN)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Resumption of Postpartum Ovarian Cyclicity and Plasma Urea Nitrogen (PUN) in Holstein Cows)

  • 박수봉;손준규;박성재;백광수;전병순;안병석;김현섭;박춘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9-205
    • /
    • 2006
  • 본 연구는 젖소의 분만 후 난소 주기의 재개, 난소 주기 재개와 PUN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정상적인 난소 주기가 진행이 되면 배란된 날에 난소 주기가 재개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공시우의 58.8%(l14/194)가 정상적인 난소 주기의 재개를 하였고 41.2%의 소에서 난소 주기의 재개가 지연되었다. 배란 후 황체기가 20일 이상 유지되는 난소 주기의 재개지연 I형(17.5%)과 분만 후 40일 이전에 첫 배란이 나타나지 않는 난소 주기의 재개 지연 II형(22.7%)이 난소 주기 재개 지연의 일반적인 형태였다. 공시우의 18%(35/194)는 분만 후 60일이 경과되어도 난소 주기가 재개되지 않았다. 황체기의 연장과 첫 배란의 지연이 분만 후 난소 주기 재개를 지연시키는 대표적인 난소 이상이다. PUN의 농도가 <15, $15{\sim}19.9$${\ge}20mg/dl$인 소들의 정상적 난소 주기 재개의 likelihood ratios는 각각 0.9, 1.74와 0.55이었다. $15{\sim}19.9mg/dl$의 PUN 농도가 난소 주기의 재개에 가장 좋았고, 높거나 낮은 PUN 농도는 난소 주기의 재개에 나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젖소 공란우 과배란 처리 후 난소주기 재개에 관한 연구 (Resumption of Ovarian Cyclicity after Superovulation Treatment to Donor Cow in Holstein Donor Cows)

  • 손준규;백광수;윤호백;임현주;권응기;조상래;정연섭;김선규;최창용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7권1호
    • /
    • pp.35-40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bnormal ovarian cycles after superovulation treatment of Holstein Donor Cows. CIDRs were inserted into the vaginas of twenty two head of Holstein cows, regardless of estrous cycle. Superovulation was induced using folliclar stimulating hormone (FSH). For artificial insemination, donor cows were injected with $PGF_2{\alpha}$ and estrus was checked about 48 hours after the injection. Then they were treated with 4 straws of semen 3 times, with 12-hour intervals. Embryos were collected by a non-surgical method 7 days after the first artificial insemination. The cows were considered to have resumed ovarian cyclicity on the day of ovulation if followed by regular ovarian cycles. Seventy two point seven percentage of the cows(16/22) had normal resumption of ovarian cyclicity(resumption within 40 days after superovulation), and 27.3%(6/22) had delayed resumption(resumption did not occur until>40 days after superovulation). Delayed resumption Type II(first ovulation did not occur until ${\geq}40$ days after superovulation, i.e. delayed first ovulation 13.6%) were the most common types of delayed resumptions. The mean numbers of total ova from < 10 and $10{\leq}$ of corpora lutea(CL) was $7.8{\pm}1.8$ and $12.7{\pm}2.7$, respectively. The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differed between < 10 and $10{\leq}$ CL was $5.4{\pm}1.3$ and $8.1{\pm}3.4$, respectively. Four point five percentage of the cows(1/22) did not resumption their ovarian cyclicity until 60 days after superovulation treatment. Diverse researches on the superovulation treatment method that is suitable for high-producing Holstein donor cows would contribute to preventing ovarian cyclicity disorder, as well as to the early multiplication of cows with superior genes 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value of donor cows.

한우 공란우 과배란 처리 후 난소 주기 재개에 관한 연구 (Resumption of Ovarian Cyclicity after Superovulation Treatment to Donor Cow in Hanwoo)

  • 손준규;최창용;조상래;연성흠;최선호;김남태;정진우;김성재;정연섭;복난희;유용희;손동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49-154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bnormal ovarian cycles after superovulation treatment of Hanwoo donors. Thirty six, at random stages of the estrous cycle, received a CIDR. Four days later, the animals were superovulated with a total of 28AU FSH (Antorin, 2AU=1 ml) administered twice daily in constant doses over 4 days. On the 3th administration of FSH, CIDR was withdrawn and 25 mg $PGF_2{\alpha}$ was administered. Cow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twice after estrous detection at 12 hr intervals. The cows received $100\;{\mu}g$ GnRH at the time of Ind insemination. Embryos were recovered 7 or 8 days after the 1st insemination. The cows were considered to have resumed ovarian cyclicity on the day of ovulation if followed by regular ovarian cycles. 50.0 percentage of the cows (18/36) had normal resumption of ovarian cyclicity (resumption within 40 days after superovulation), and 50.0% (18/36) had delayed resumption(resumption did not occur until>40 days after superovulation). Delayed resumption Type II (first ovulation did not occur until $\geq$ 40 days after superovulation, i.e. delayed first ovulation 33.3%) were the most common types of delayed resumptions. The mean numbers of total ova from < 10 and 10$\leq$ of corpora lutea (CL) was 7.3 and 13.9, respectively. The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differed between < 10 and 10$\leq$ CL was 4.2 and 5.1, respectively. 11.1 percentage of the cows (4/36) did not resumption their ovarian cyclicity until 60 days after superovulation treatment.

Endocrine Aspects of Oestrous Cycle in Buffaloes (Bubalus bubalis): An Overview

  • Mondal, S.;Prakash, B.S.;Palta,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1호
    • /
    • pp.124-131
    • /
    • 2007
  • There is worldwide interest in buffalo as an animal for meeting the growing demands of meat, milk and work in the developing countries. One of the major constraints to full exploitation of the productive potential of buffalo has been its inherently low reproductive efficiency as reflected by late maturity, poor expression of oestrus, silent oestrus, irregular oestrous cyclicity, seasonality in breeding, anoestrus, low conception rate, long postpartum interval, repeat breeding etc. Ovarian cyclicity is regulated by endocrine and neuroendocrine mechanisms namely hypothalamic hormones, gonadotropins and ovarian steroids. Detailed endocrine investigations are suggested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hypothalamo-hypophysial-ovarian axi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reproduction in buffalo and to modify it to derive the maximum benefit from this animal.

젖소의 분만 후 생식기의 회복 및 질병 발생 조사 (Postpartum Reproductive Tract Recovery and Prevalence of Health Problems in Dairy Cows)

  • 정재관;최인수;강현구;정영훈;허태영;김일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8-173
    • /
    • 2015
  • 본 연구는 젖소에서 산후 자궁염증 및 난소주기 회복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또한 분만 사고 및 산후 기간 질병 발생에 대한 조사를 위하여 실시하였다. 충청 지역 4개 젖소 목장의 사육 젖소 224두를 이용하였다. 자궁의 염증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분만 후 8주까지 매주 메트리체크 기구를 이용하여 자궁분비물 중 농의 비율에 따른 성상을 점수화(메트리체크 점수; 0-5점) 하였으며, 분만 후 4, 6, 8주에는 백혈구 비율 산정을 위한 자궁세포 검사를 실시 하였다. 분만 후 난소주기 재개 여부 확인을 위하여 4, 6, 8주에 프로게스테론 농도(${\geq}1ng/mL$)를 분석하였다. 분만 후 메트리체크 점수는 1주($3.4{\pm}0.1$)부터 4주($2.0{\pm}0.1$)까지 연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p < 0.0001), 이 후 8주까지 비슷한 점수를 유지하였다(p > 0.05). 자궁세포 검사를 이용한 호중구 비율은 분만 후 4주($22.3{\pm}1.8%$)에서 6주($12.1{\pm}1.4%$)까지 감소하였으며(p < 0.0001), 이 후 8주($9.2{\pm}1.4%$)까지 비슷한 비율을 유지하였다(p > 0.05). 난소주기 재개는 분만 후 2주(12.1%)에서 8주(74.3%)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하였다(p < 0.0001). 난산과 후산정체 발생 비율은 각각 20.5%, 30.4%였다. 분만 후 케토시스, 유열, 4위전위증, 패혈성 자궁염, 자궁내막염, 준임상형 자궁내막염, 자궁축농증 및 난소낭종 발생율은 각각 18.8%, 3.6%, 4.0%, 36.2%, 29.5%, 17.0%, 4.5%, 14.7%였다. 소화기 질병 및 유방염 발생율은 각각 5.4%, 9.6%였다. 도태 및 폐사율은 각각 4.0%, 3.6%였다. 난산, 후산정체, 패혈성 자궁염, 자궁내막염, 난소낭종, 소화기 질병, 유방염 및 도태율은 목장간 차이가 있었다(p < 0.05, p < 0.01). 결론적으로, 분만 후 4주에서 8주까지 자궁염증 상태 및 난소주기 재개 확인은 축군의 번식위생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임상적인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조사 지역에서의 젖소에서 난산, 후산정체, 패혈성 자궁염 및 자궁내막염의 발생율이 높았음을 보여 주었다.

Jeju crossbred에서 계절에 따른 난소주기 변화 연구 (Effect of Ovarian Changes according to Four Season for Reproduction of Jeju Crossbred Horses)

  • 유영주;박설화;신상민;양병철;성필남;우제훈;김남영;손준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77-182
    • /
    • 2017
  • 본 연구는 암말의 계절에 따른 난소주기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마는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에서 사육 보유하고 있는 Jeju crossbred horses(더러브렛${\times}$제주마) 21두를 공시하였으며, 2016년 5월부터 2017년 6월까지 공시하였으며, 암말의 생식기 및 난소 초음파 검사는 주 1회 초음파 진단기를 이용하여 난소 내 난포 및 황체를 확인하였다. 공시마의 호르몬 분석을 위해 일주일에 2회 채혈하였으며 혈중 P4 농도를 분석하였다. 난소주기가 진행이 되면 배란된 날에 난소주기가 재개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총 21두의 공시마 중 13두(61.9%)만이 정상적인 난소주기를 보였으며, 공시마 8두(38.1%)는 난소주기가 지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월에 3두(16.7%), 11월에 5두(27.8%), 12월에 5두(27.8%)가 발정이 정지 되었으며, 나머지 5두(27.8%)에서는 겨울철에도 발정이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정이 정지된 개체는 이듬해 3월까지 발정이 정지되어 있었으며, 비번식계절에도 27.8%는 발정이 지속되었다. 18두 중 4월달에 11두(61.1%), 5월달에 2두(11.1%)가 발정이 재귀되었다.

젖소의 분만 후 비정상적 난소 주기가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bnormal Ovarian Cycle Postpartum on Subsequent Reproductive Performance in Holstein Cows)

  • 박수봉;손준규;박성재;백광수;전병순;안병석;김현섭;박춘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0권3호
    • /
    • pp.213-218
    • /
    • 2006
  • 본 연구는 젖소의 분만 후 난소 주기 재개의 이상이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정상적인 난소 주기가 진행이 되면 배란된 날에 난소 주기가 재개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공시우의 58.8%(l14/194)가 정상적인 난소 주기의 재개를 하였고 41.2%의 소에서 난소 주기의 재개가 지연되었다. 배란 후 황체기가 20일 이상 유지되는 난소 주기의 재개지연 I형(17.5%)과 분만 후 40일 이전에 첫 배란이 나타나지 않는 난소 주기의 재개지연 II형(22.7%)이 난소 주기 재개 지연의 일반적인 형태였다. 정상적인 난소 주기를 가진 개체와 비교해 보면, 황체기가 연장된 소들의 분만 후 100일 이내의 인공수정 공시율, 수태율과 임신율은 더 낮고(각각 84.2 대 40.0%; p<0.01, 24.0 대 21.4%, 20.2 대 11.1%) 분만 후 첫 수정 일수와 공태 일수가 더 길다(각각 $64.7{\pm}2.79$$105.7{\pm}7.48$일; p<0.01, $105.1{\pm}7.16$$133.7{\pm}11.17$일). 정상우와 무배란우를 비교해 보면, 100일 이내의 수태율과 임신율이 낮고(각각 24.0대 20.0%, 20.2 대 16.3%) 분만 후 첫 수정 일수과 공태 일수가 더 길다(각각 $64.6{\pm}2.79$$72.6{\pm}4.45$일, $105.1{\pm}7.16$$120.8{\pm}12.33$일). 결론적으로 젖소의 분만 후 비정상적인 난소 주기는 인공수정 공시율, 임신율, 첫 수정 일수와 공태 기간을 포함하는 번식 성적의 저하를 유발시킨다.

Heat stress during summer reduced the ovarian aromatase expression of sows in Korea

  • Hwan-Deuk Kim;Sung-Ho Kim;Sang-Yup Lee;Tae-Gyun Kim;Seong-Eun Heo;Yong-Ryul Seo;Jae-Keun Cho;Min Jang;Sung-Ho Yun;Seung-Joon Kim;Won-Jae Lee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27-234
    • /
    • 2023
  • It has been addressed that heat stress due to high atmospheric temperature during summer in Korea induces impaired release of reproductive hormones, followed by occurring abnormal ovarian cyclicity, lower pregnancy ratio, and reduced litter siz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compare seasonal change (spring versus summer) of the ovarian aromatase expression, an enzyme for converting testosterone into estrogen. While serum estrogen level in summer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pring group, testosterone was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Consistent with estrogen level, the ovarian aromatase expression in summer at follicular phas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unterpart of spring. The ovarian aromatase expressio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serum estrogen level significantly (r=0.689; P=0.008) and strongly negative correlation was identified (r=-0.533; P=0.078) with atmospheric temperature. The ovarian aromatase expression was not detected in immature ovarian follicles but specifically localized in the granulosa cell layers in both seasons. However, the aromatase intensity in the granulosa cell layers was stronger in spring than summer. Because testosterone level was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lower level of estrogen during summer might be derived by not lack of substrate but lower expression of ovarian aromatase by heat stress.

Effect of Time of Initiating Dietary Fat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and Reproduction of Early Lactation Dairy Cows

  • Son, J.;Larson, L.L.;Grant, R.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2호
    • /
    • pp.182-187
    • /
    • 2000
  • Forty-two Holstein cows (21 multiparous) were assigned by calving date and parity to three dietary sequences to evaluate the effect of time of initiating fat supplementation to diets on lactation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The dietary sequences were: 1) control, no supplemental fat from 1 to 98 days in milk (DIM) ; 2) control diet from 1 to 28 DIM then 3% supplemental fat (calcium salts of long-chain fatty acids) from 29 to 98 DIM; or 3) 3% supplemental fat from 1 to 98 DIM. Feeding supplemental fat did not enhance mean milk and 4% fat corrected milk (FCM) yields, but efficiency of FCM production was higher for cows fed supplemental fat. Milk fat percentage was unchanged whereas milk protein percentage was depressed with fat supplementation. Feeding supplemental fat reduced DMI and energy balance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on time to resumption of ovarian cyclicity or conception rate to first service. Concentrations of progesterone during the first two ovulatory cycles tended to be greater in the fat-supplemented groups. Feeding supplemental fat starting at either parturition or 29 DIM increased efficiency of FCM production, but did not greatly enhance reproductive performance.

암컷 설치류에서의 생식 노화 (Reproductive Aging in Female Rodents)

  • 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1호
    • /
    • pp.13-20
    • /
    • 2007
  • 암컷 포유동물의 노화 과정에서 생식계는 체내 여러 시스템 가운데 가장 먼저 기능 저하가 나타난다. 생식 노화(reproductive aging) 과정 중인 암컷 포유동물은 비록 종 특이성이 있지만 주기성(cyclicity)의 소실과 같은 생식 능력의 감소와 함께 여러 기능들의 변화가 동반되면서 궁극적으로 인간의 폐경 현상과 같은 생식 능력 상실이 나타난다. 본 증설은 암컷 포유동물의 생식호르몬 축, 특히 신경내분비 회로의 노화에 대한 정보들과 노화 연구에 유용한 설치류 모델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암컷 설치류의 중년(middle age, 생후 $8{\sim}12$개월)은 인간의 폐경기 진입 직전에 해당되는 시기로, 이 시기에 시상하부 GnRH 분비의 맥동성과 급등(surge)이 현저히 지연되기 시작하고, 곧 이어 뇌하수체 LH 분비의 맥동성과 급등이 역시 약화 내지 지연된다. 노화와 관련된 GnRH-LH 신경내분비 활성의 결손은 시상하부 GnRH 뉴런의 활성을 조절하는 여러 자극(예, glutamate)들의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이러한 '시상하부 결손(hypothalamic defects)'이 생식 노화의 주된 요인임을 지지하지만, inhibin과 같은 난소 요인의 변화 역시 생식 노화의 유도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생식 노화를 연구함에 유용한 몇몇 설치류 모델이 있다; FSH 수용체 녹아웃(follitropin receptor knockout; FORKO) 생쥐 모델의 경우는 homozygous(null) 뿐만 아니라 heterozygous(haploinsufficient) 상태도 노화에 따른 난자/난포의 고갈을 나타낸다. Dioxin/aryl hydrocarbon 수용체 녹아웃 (AhRKO) 생쥐 모델도 유사한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 생식 노화의 기작에 관한 연구는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수단들, 예를 들어 호르몬 보충요법(HRT)의 장단점을 평가하고 안전성을 제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