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arian cells

검색결과 473건 처리시간 0.026초

Multi-Parameter Approach for Evaluation of Genomic Instability in the Polycystic Ovary Syndrome

  • Sekar, Nishu;Nair, Manju;Francis, Glory;Kongath, Parvathy Raj;Babu, Sandhya;Raja, Sudhakaran;Gopalakrishnan, Abilash Valsal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6호
    • /
    • pp.7129-7138
    • /
    • 2015
  • Background: The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characterized by hyperandrogenism and chronic anovulation, is a common endocrine disorder in women. PCOS, which is associated with polycystic ovaries, hirsutism,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is a leading cause of female infertility. In this condition there is an imbalance in female sex hormones. All the sequelae symptoms of PCOS gradually lead to cancer in the course of time. It is heterogeneous disorder of unknown etiology so it is essential to find the exact cause.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both invasive and non-invasive techniques were employed to establish the etiology. Diagnosis was based on Rotterdam criteria (hyperandrogenism, ovulatory dysfunction, PCOM) and multiparameters using buccal samples and dermatoglypic analysis and cytogenetic study for 10 cases and four age and sex matched controls. Results: In clinical analysis we have observed the mean value of total testosterone level was 23.6nmol/L, total hirsutism score was from 12-24, facial acne was found in in 70% patients with 7-12 subcapsular follicular cysts, each measuring 2-8 mm in diameter. In dermatoglypic analysis we observed increases in mean value ($45.9^{\circ}$) of ATD angle wh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nd also found increased frequency (38%) of Ulnar loops on both fingers (UU), (18%) whorls on the right finger and Ulnar loop on left finger (WU) and (16%) arches on right and left fingers (AA) were observed in PCOS patients when compared with control subjects. Features which could be applied as markers for PCOS patients are the presence of Ulnar loops in middle and little fingers of right and left hand. The buccal micronucleus cytome assay in exfoliated buccal cells, we found decrease in frequency of micronuclei and significant increases in frequency of karyolysed nuclei in polycystic ovarian syndrome patients. Chromosome aberration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increase in frequency of chromosome aberrations (CAs) in PCOS patients when compared with controls. Conclusions: From this present work it can be concluded that non-invasive technique like dermatoglypics analysis and buccal micronucleus cytome assays with exfoliated buccal cell can also be effective biomarkers for PCOS, along with increased CAs in lymphocytes as a sign of genetic instability. There is a hypothesis that micronuclei and chromosomal aberrations could have a predictive value for cancer. From this present work it can be concluded to some extent that non-invasive technique like dermatoglypics and buccal cell analysis can also be effective for diagnosis.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의 난자형성과정에 관한 미세구조적 기재 (Ultrastructural Description on Oogenesis of the Melania Snail,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 (Gastropoda: Pleuroceridae))

  • 김은경;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5-151
    • /
    • 2009
  • 담수 복족류인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의 난자형성과정 동안 생식세포의 미세구조 변화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난소는 나탑 후방부의 간췌장의 표면에 위치하며, 성숙시기에는 녹색을 나타내었다. 난소는 다수의 난자형성소낭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난자형성과정은 5단계로, 난원세포기, 난황형성전기, 난황형성개시기, 난황형성활성기, 성숙기로 구분하였다. 난원세포는 직경 $4-6\;{\mu}m$의 원형으로 커다란 핵을 가진다. 난황형성전기의 난모세포는 직경이 약 $20\;{\mu}m$이며, H-E 염색에서 세포질은 호염기성을 나타냈다. 난황형성개시기의 난모세포는 직경 $60-80\;{\mu}m$ 내외로 세포질에는 전자밀도가 낮은 난황과립들을 가지며, 난병에 의하여 난자형성소낭에 연결되어 있었다. 난황형성 활성기의 난모세포는 직경 $100-120\;{\mu}m$로 난황과립의 전자밀도, 크기, 양이 증가하였으며, 세포질에는 골지체, 미토콘드리아, 조면소포체들이 발달하였다. 성숙기 난모세포의 세포질 대부분은 전자밀도가 높은 단백질성의 난황과립들로 채워져 있었으며, 난막에서는 길이 약 $1.1\;{\mu}m$의 미세융모가 관찰되었다.

  • PDF

성스테로이드 호르몬과 고수온 처리가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x Steroid Hormones and High Temperature on Sex Differentiation in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치훈;나오수;여인규;백혜자;이영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73-377
    • /
    • 2000
  • 조피볼락, S. schlegeli 치어에 $estradiol-l7{\beta}\;(E_2)$$17{\alpha}-methyltestosterone$ (MT) 그리고 고수온을 처리하여 성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어는 출산 후 56일부터 72일까지 $E_2\;20,\;40,\;60\;{mu}g/g\;diet$ 농도로 경구투여 하였고, MT는 $20, 50{\mu}g/g diet$ 농도로 경구투여 하였다. 고수온 처리는 대조구 그리고 호르몬 처리구와 비교하여 약 $10^{\circ}C$ 이상인 $27.0{\pm}0.5^{\circ}C$로 사육하였다. 출산 후 56일까지 성분화 과정에서, 생식소는 대부분 생식원세포로 구성되어 있어 성적으로 미분화 단계였다. 그러나 출산후 128일째에, 난소는 난소강파 난소박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난원세포와 주변인기난모세포는 난소박판에 분포하고 있다. 그리고 정소는 많은 정세관으로 이루어 졌고, 이들 세관내에는 정원세포들이 무리를 지어 분포하고 있긴 또한 색소포들이 정소의 수질층과 기부에 드문드문 분포하고 있다. 성비에 있어,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모든 $E_2$, 처리구는 더 많은 암컷이 관찰되었고, 반면에, 모든 MT 처리구와 고수온 처리구에서는 더 많은 수컷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에서,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와 종류 그리고 고수온 사육이 조피볼락의 성분화 과정에 있어서 성결정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PDF

Antitumor Activity of 7-[2-(N-Isopropylamino)ethyl]-(20s)-camptothecin, CKD602, as a Potent DNA Topoisomerase I Inhibitor

  • Lee, Jun-Hee;Lee, Ju-Mong;Kim, Joon-Kyum;Ahn, Soon-Kil;Lee, Sang-Joon;Kim, Mie-Young;Jew, Sang-Sup;Park, Jae-Gab;Hong, Chung-I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1권5호
    • /
    • pp.581-590
    • /
    • 1998
  • We developed a novel water-soluble camptothecin analobue, CKD602, and evaluated the inhibition of topoisomerase I and the antitumor activities against mammalian tumor cells and human tumor xenografts. CKD602 was a nanomolar inhibitor of the topoisomerase I enzyme in the cleavable complex assay. CKD602 was found to be 3 times and slightly more potent than topotecan and camptothecin as inhibitors of topoisomerase, respecitively. In tumor cell cytotoxicity, CKD602 was more potent than topotecan in 14 out of 26 human cancer cell lines tested, while it was comparable to camptothecin. CKD602 was tested for the in vivo antitumor activity against the human tumor xenograft models. CKD602 was able to imduce regression of established HT-29, WIDR and CX-1 colon tumors, LX-1 lung tumor, MX-1 breast tumor and SKOV-3 ovarian tumor as much as 80, 94, 76, 67, 87% and 88%, respectively, with comparable body weight changes to those of topotecan. Also the therapeutic margin (R/Emax: maximum tolerance dose/$ED-{58}$) of CKD60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opotecan by 4 times. Efficacy was determined at the maximal tolerated dose levels using schedule dependent i.p. administration in mice bearing L1210 leukemia. On a Q4dx4 (every 4 day for 4 doses) schedule, the maximum tolerated dose (MTD) was 25 mg/kg per administration, which caused great weight loss and lethality in <5% tumor bearing mouse. this schedule brought significant increase in life span (ILS), 212%, with 33% of long-term survivals. The ex vivo antitumor activity of CKD602 was compared with that of topotecan and the mean antitumor index (ATI) values recorded for CKD60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noted for topotecan. From these results, CKD602 warrants further clinical investigations as a potent inhibitor of topoisomerase I.

  • PDF

Differential Expression of Gangliosides in the Ovary and Uterus of Streptozotocin-Induced and db/db Diabetic Mice

  • Kim, Sung-Min;Kwak, Dong-Hoon;Kim, Sun-Mi;Jung, Ji-Ung;Lee, Dae-Hoon;Lee, Seoul;Jung, Kyu-Yong;Do, Su-Il;Choo, Young-Ku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8호
    • /
    • pp.666-676
    • /
    • 2006
  • Gangliosides are widely distributed in mammalian cells and play important roles in various functions such as cell differentiation and growth control. In addition, diabetes and obesity cause abnormal development of reproductive processes in a variety of species. However,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se effects, and how they are related, are not fully understoo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gangliosides is implicated in the abnormal follicular development and uterine architecture of streptozotocin (STZ)-induced and db/db diabetic mice. Based upon the mobility on high-performance thin-layer chromatography, mouse ovary consisted of at least five different ganglioside components, mainly gangliosides GM3, GM1, GD1a and GT1b, and diabetic ovary exhibit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ganglioside expression with apparent changes in the major gangliosides. A prominent immunofluorescence microscopy showed a dramatic loss of ganglioside GD1a expression in the primary, secondary and Graafian follicles of STZ-induced and db/db diabetic mice. A significant decrease in ganglioside GD3 expression was also observed in the ovary of db/db mice. In the uterus of STZ-induced diabetic mice, expression of gangliosides GD1a and GT1b was obviously reduced, but gangliosides GM1, GM2 and GD3 expression was increased. In contrast, the uterus of db/db mic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gangliosides GM1, GD1a and GD3 expression. Taken together, a complex pattern of ganglioside expression was seen in the ovary and uterus of normoglycemic ICR and $db/^+$ mice, and the correspoding tissues in diabetic mice are characterized by appreciable changes of the major ganglioside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erations in ganglioside expression caused by diabetes mellitus may be implicated in abnormal ovarian development and uterine structure.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이 Estradiol Valerate로 유발된 다낭성 난소 모델에서 난포의 성숙 및 NGF 발현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J okyeongjongok-Tang on the Maturation of Follicles and NGF Expression in Rats with Estradiol Valerate-induced Polycystic Ovaries)

  • 양준모;서일복;이동녕;김형준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2-67
    • /
    • 2011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kyeongjongok -Tang(JJT) on the progression of the estradiol valerate(EV)-induced polycystic ovaries(PCO) in rats. Methods: PCO was induced by single intramuscular injection with estradiol valerate(EV)(4 mg) in female rats. Normal group(n=8) were injected with sesame oil and orally administrated distilled water for sixty days. PCO control group (n=8) were injected with EV and orally administrated distilled water for sixty days. JJT treated group(n=8) were injected with EV and orally administrated JJT for same duration. At the end day of experiment, we measured weights of body, ovaries, adrenal glands and uterus.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ovaries were also evaluated. And we observed the NGF and CRF expression by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weights(mg) of ovaries of JJT treated group($58.4{\pm}9.4$)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01) compared with PCO control group($42.3{\pm}8.5$). - The numbers of mature follicles of JJT treated group($10.1{\pm}2.5$)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01) compared with PCO control group($6.1{\pm}2.1$). - The numbers of cystic follicles of JJT treated group($1.8{\pm}1.4$)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05) compared with PCO control group($3.8{\pm}1.5$). - The expressions of NGF-immunoreactive cells in the ovaries of JJT treated group were weaker than PCO control group. Conclusions: From the above results, we concluded that Jokyeongjongok-Tang (JJT) contributes to a normal maturation of follicles and has the effects of promoting a normal ovulation. And these effects may be related with the decreased NGF activities in the ovaries.

항암제 tubastatin A에 의한 생쥐 미성숙 난모세포의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 Anti-cancer Drug, Tubastatin A,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Immature Oocytes in Mice)

  • 최윤정;민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5-111
    • /
    • 2019
  • Histone deacetylase (HDAC)-6은 전사조절 및 세포질 내 다양한 단백질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난소암의 유발에 관여한다. 최근, HDAC-6을 표적으로 하는 특이적 억제제를 활용하여 암세포의 신호전달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새로운 항암제로서의 개발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난소암 치료를 위한 화학요법에서는 생식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하나의 중요한 난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HDAC-6 억제제가 난소암세포 이외의 생식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DAC-6 억제제의 하나인 tubastatin A (TubA)가 생쥐의 난소 내 미성숙 난자에 미치는 영향을 RNA sequencing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러한 유전자 집합을 이용한 통계적 분석은 기존의 개별 유전자분석의 한계를 극복하여 대량의 생물학적 정보를 산출함으로써, 세포 내 신호전달경로와 같은 복잡한 생물학적 변화상태를 보다 더 광범위하고 민감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미있는 결과의 도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Gene set enrichment analysis (GSEA) 결과, 세포주기와 감수분열의 조절 및 진행에 관여하는 gene sets의 발현이 germinal vesicle (GV)과 비교하여 TubA 처리군에서 대부분 감소되었다. 또한, ingenuity pathway analysis (IPA)를 통하여 TubA가 난모세포 내 p53 및 pRB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CDK4/6 및 cyclin D의 발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G2/M 단계의 DNA checkpoint 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TubA가 난소 내 미성숙 난자의 DNA 손상과 세포주기 관련 신호전달경로 유전자들의 발현변화를 유도함으로써, 세포주기의 중지와 세포사멸을 초래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따라서, 특히 생식주기 이전의 난소암을 표적으로 하는 HDAC-6 억제제를 이용한 항암제의 개발에 있어 난소 내 미성숙 난자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위한 대안적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생쥐 생식소의 발달 단계에 따른 일주기성 유전자 발현에 관한 연구 (Expression of the Circadian Clock Genes in the Mouse Gonad)

  • 정미경;최윤정;정경화;김은아;정형민;이숙환;윤태기;채영규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8권1호
    • /
    • pp.57-64
    • /
    • 2004
  • 본 연구는 생쥐의 난소 및 정소 조직에서 발달 단계에 따라 나타나는 일주기성 clock유전자의 발현과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생쥐의 난소 및 정소에서 일주기성 변화와 연관된 유전자(Period1(Per1), Period2(Per2), Period3(Per3), Cryptochromel(Cry1), Cryptochrome2 (Cry2), Clock, Bmall)와 시교차 상핵에서 분비되어 표적 조직 또는 기관으로 전달되는 물질로 알려진 Prokineticin (Prok2)에 대 한 수용체들 (Prok1r과 Prok2r), PERI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발달 단계에 따라 (post partum day; ppd 1, 7, 10, 21, 35) 확인하였다. 주요 clock 유전자들은 생후 발달 단계에 따라 각각 다양한 발현양상을 보였다. 난소의 경우 많은 난포가 성장을 시작하는 시기인 생후 7일과 10일을 전후하여 발현량이 대부분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정소의 경우에도 발달 단계에 따라 7일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clock유전자들은 생후 7일과 10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발현 양상을 보였다 시교차 상핵에서 분비되어 표적기관으로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진 Prok2의 수용체의 경우에도 주요 주기성 유전자들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과 같은 시기에 발현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생식소 발달 초기에 강하게 발현되나 차후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ER1의 발현양상을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 난포의 각 발달 단계에서 난소 내 정상적인 난포의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높게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상기의 결과는 Perl 유전자의 발현 양상과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소 내 Per1 유전자와 PER1 단백질의 발현은 모두 생후 10일과 21일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성적으로 성숙됨에 따라 다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PER1 단백질은 생식소의 발생 단계별로 다양한 발현 양상의 차이를 보이며, 정자와 난자의 정상적인 발달에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일주기성 clock유전자들 중 특히 Per1이 생식소의 정상 발달에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여 차후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미성숙난자의 형태학적 지표와 체외성숙능과의 관계 (Morphologic Parameters and in vitro Maturational Competence of Human Immature Oocyte Obtained from Stimulated IVF Cycle)

  • 안소정;지병철;문정희;이정렬;서창석;김석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4호
    • /
    • pp.285-291
    • /
    • 2008
  • 목 적: 미성숙 난자의 체외성숙에 있어 난구세포의 양상 및 미성숙 난자의 크기가 영향 인자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체외수정을 위한 과배란유도 후 난자채취를 시행한 21명의 환자로부터 41개의 난포 단계의 난자를 얻었다. Denudation 이전의 난구세포의 모양에 따라 dispersed 난구세포와 compacted 난구세포로 나누었다. Denudation 이후 투명대를 포함하는 난자외직경 (outer oocyte diameter)과 투명대를 포함하지 않는 난자내직경 (inner oocyte diameter)을 측정하고 체외성숙 배양액에서 체외성숙을 시도하였다. 난자의 성숙은 제1극체가 나온 경우로 정하였다. 성숙이 확인된 난자는 ICSI 방법을 이용하여 수정시키고 다음날 두 개의 전핵이 뚜렷이 보이는 경우에 수정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 과: 전체적인 체외성숙률은 56.1%, 수정률은 73.9%이었다. Dispersed 난구세포 난자 중에서 성숙된 난자 비율 (91.3%)은 비성숙 난자 비율 (55.6%)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23). 성숙 또는 비성숙 난자에서 난자외경($155.7{\mu}m$ vs. $152.4{\mu}m$, NS)과 내경 ($114.3{\mu}m$ vs. $113.4{\mu}m$, NS) 및 투명대 두께 ($41.3{\mu}m$ vs. $39.1{\mu}m$, NS)는 차이가 없었다. 체외성숙률은 dispersed 난구세포 난자에서 compacted 난구세포 난자보다 의미있게 높았으나 (67.7% vs. 20.0%, p=0.044), 수정률에 있어 두 군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난자의 외경, 내경 및 투명대 두께에 따른 체외성숙률 및 수정률의 차이가 없었다. 결 론: Dispersed 난구세포를 가진 미성숙 난자가 compacted 난구세포를 가졌던 난자에 비하여 더 높은 체외수정능을 가진다는 결과는 dispersed 난구세포가 미성숙 난자의 체외성숙 예측을 위한 하나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성선(性腺)자극호르몬과 우태아혈청(牛胎兒血淸)첨가가 돼지난포란(卵胞卵)의 체외성숙(體外成熟) 및 체외수정(體外受精)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tal Calf Serum and Gonadotropins Supplemented to the Medium on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In Vitro of Porcine Follicular Oociytes)

  • 김규현;정범식;박수봉;박항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8권
    • /
    • pp.45-50
    • /
    • 1990
  • 본 실험은 성선(性腺)자극호르몬과 우태아혈청(牛胎兒血淸) 첨가가 돼지 난포란(卵胞卵)의 체외성숙(體外成熟) 및 체외수정(體外受精)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미경산돈(未經産豚)(체중 80~90kg)의 난소(卵巢)를 도살된 직후에 절취하여 $37{\sim}39^{\circ}C$의 보온병에 담아 실험실로 운반하여 난포(卵胞)직경이 3~5mm되는 것만을 골라 난포(卵胞)를 찔러서 난포란(卵胞卵)을 채취하였다. 성숙모돈(成熟牡豚)(체중 130~150kg)의 정소상체미부정자(精巢上體尾部精子)를 $4{\times}10^8cells/m{\ell}$ 농도로 희석하여 체외수정(體外受精)에 이용하였다. 본 실험의 경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m-KRB와 10% FCS를 m-KRB에 첨가한 경우 성숙율(成熟率)은 82.37%이며, 10% FCS가 첨가된 배양액에 PMSG, hCG 그리고 PMSG와 hCG를 각각 $10IU/m{\ell}$ 첨가한 경우 66, 58, 68%로서 성숙율(成熟率)이 향상되었다. 2. 난구세포(卵丘細胞)의 팽화(膨化)는 m-KRB와 10% FCS가 첨가된 배양액에서 일어나지 않았으나 10% FCS가 첨가된 배양액에 PMSG, hCG 그리고 PMSG와 hCG를 각각 $10IU/m{\ell}$ 첨가시 92, 13, 91%로서 팽화율(膨化率)이 향상되었다. 3. m-KRB에서 성숙된 난포란(卵胞卵)의 체외수정(體外受精)에서 정자침입율과 웅성전핵(雄性前核) 형성율은 각각 93.7%였으나 FCS와 성선(性腺)자극호르몬을 첨가한 경우 각각 100, 80%로서 웅성전핵(雄性前核) 형성율이 향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