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pedic materials

검색결과 1,046건 처리시간 0.023초

생체분해성 폴리카프로락톤(PCL) 미세혈관 문합커플러의 사출성형조건에 따른 문합강도 및 in-vitro 분해능 평가 (Evaluation of Anastomotic Strength and in-vitro Degradability with Microvascular Anastomosis Coupler Based on Injection Molding Condition made by Biodegradable Polycaprolactone(PCL))

  • 안근선;한기봉;오승현;박종웅;김철웅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1권2호
    • /
    • pp.167-177
    • /
    • 2013
  • 최근 미세혈관 문합수술 시 봉합사 대신 기계식 문합커플러를 사용하는 수술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비분해성 문합커플러는 염증반응 뿐만 아니라 수술 후 영구적으로 인체 내에 잔존한다는 한계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비분해성 문합커플러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사출성형공정을 이용한 생분해성 PCL 문합커플러 제작을 채택하였다. 사출성형 공정조건 중 실린더온도와 사출압력에 따른 수축률을 계산하고 이에 따른 문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핀보다는 홀 파트의 수축률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수축률은 실린더온도가 상승할수록 증가하였으나 반대로 사출압력이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PCL 문합 커플러의 in-vitro 분해거동을 12주간 평가한 결과, 수분흡수는 증가하고 분자량은 감소하여 생체분해를 동반한 질량 및 문합강도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문합강도의 저하 수준이 전임상 요구조건을 충분히 상회하기에 PCL 문합커플러는 미세혈관수술에 적합한 후보재료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의 분석을 통한 체성기능부전 환자의 특성 및 M99 진단명의 사용현황 분석 (Through analyzing the health insurance data provided by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IRA) of Korea,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of patient who were diagnosed somatic dysfunction and analysis of the current local status of the usage of code M99)

  • 신재권;주환수;이성엽;신예슬;고원일;박기병;김민규;하인혁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3-64
    • /
    • 2016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usage of diagnosis codes for somatic dysfunctions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diagnosed with the code, by analyzing health insurance data provided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HIRA) of Korea. This investigation is intended to outline future and willing to contribute to further use of diagnosis code and the approach of Oriental Medicine to somatic dysfunction. Materials and Methods : By analyzing HIRA data, those diagnosed with M99 codes, a code attributed to somatic dysfunction, were selected for analysis. Patients included were assessed for the relevant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specific diagnostic criteria. The current usage rates and noteworthy characteristics of diagnostic codes of somatic dysfunctions were assessed.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linical departments and subcategories, and a comparative analysis to data of 2014 was conducted. Results : Patients given M99 codes constituted a small minority of all patients diagnosed in 2011 as shown by HIRA data. The codes were more frequently to older patients, females, outpatients, and those who filed for Health Insurance compensation. Medical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the diagnosis were mostly primary care facilities, usually specializing in orthopedic(Western medicine sector) and internal medicine (Oriental Medicine sector). The most registered code in 2011 and 2014 was M995. The same trend can be observed in Oriental/Western medicine institutions and Public health center, on the other hand, between them, have some different patterns both 2nd and 3rd. Conclusions : This investigation is that of current usage of diagnostic codes of somatic dysfunction. HIRA insurance claim data was analyzed. Based on the current results, more precise diagnostic standards of somatic dysfunction are warranted. This study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future Oriental Medicine approach to somatic dysfunctions.

  • PDF

프로 축구팀의 시즌 전 체력검사 (Pre-seasonal Physical Examination of Professional Soccer Team)

  • 이경태;최병옥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9-134
    • /
    • 2006
  • 목적: 국내 프로 축구팀에서 시즌 전 체력검사를 시행하여 포지션에 따른 자료를 분석하고 표준화하고자 했다. 대상 및 방법: 34명으로 구성된 한 개의 축구팀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평균 나이 24.9세였다. 설문지를 통한과거 병력 조사, 이학적 검사를 통한 근 골격계 검사, 등속성 근력기기를 이용한 근력 검사, 생리적 검사, 기능적 검사를 시행하고 포지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과거력 상 슬관절 손상이 23예 중 11 예(47%)로 가장 빈번했고, 이학적 검사 결과 총 40예 중 족관절 손상이 14예 (46%)로 슬관절 손상 11예 (24%)보다 많은 손상이 있었다. 위치 별로 공격수는 장무지 굴곡 건염, 미드필드는 만성 족관절 불안정성 수비수는 아킬레스 건염이 많았고 근력 검사상 우세 $60^{\circ}$ 신전/굴곡 체중당 최대 염력비 평균이 55.1%였다. 생리학적 검사상 미드필드 체 지방율이 17.8% (표준편차 2.9)로 높게 측정되었고 기능적 검사 결과 배근력 125.5N (표준편차 28.3), 서전트 점프 59.6cm, 반응시간 208 5초, 유연성 19.2 m/s, 사이드 스텝 39.9 cm였다. 결론: 시즌 전 체력검사를 통하여 선수들의 체력을 평가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재 손상에 대한 예방적 수단을 강구 할 수 있다.

  • PDF

만성 내측 족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진단 및 치료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ronic Medial Ankle Instability)

  • 김진수;양기원;이한상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7-41
    • /
    • 2013
  • 목적: 만성 내측 족관절 불안전성을 진단하고, 내측 삼각인대 봉합술로 치료한 단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 5부터 2009. 11까지 만성 족관절 불안정성을 호소하였던 262명의 남자 군인 중 만성 내측 족관절 불안정성으로 진단한 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은 진찰소견과 방사선 소견 및 관절경적 소견에서 족관절 내측 이완 소견이 관찰된 경우로 하였으며, 수술은 손상된 삼각인대의 거골-주상골 인대를 봉합 나사를 이용하여 단축, 봉합하는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수술 전후의 미국 족부 족관절 학회 족관절-후족부 점수(AOFAS), 시각 동통 점수(VAS) 및 수술후 족관절 기능 만족도를 측정하여 임상적인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족관절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 중 11.1%에서 만성 내측 족관절 불안정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내측 거골-주상골 인대 봉합술을 시행한 후 AOFAS는 수술전 평균 64.5점(범위: 43~83점)에서 수술후 평균 82.0(범위: 60~100)점으로 증가하였으며, VAS는 수술전 평균 6.0점(범위: 4~10점)에서 수술후 평균 3.2점(범위: 1~7점)으로 감소하였다. 만족도는 우수가 13명 (44.8%), 만족이 11명(37.9%), 불만족이 5명(17.2%)이었다. 재발한 경우가 2례 있었으며, 타가인대(allo-tendinous graft)를 이용한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만성 내측 족관절 불안정성에 대하여 거골-주상골 인대를 봉합하는 수술을 시행한 후 약 83%에서 만족한 성적을 얻었다.

  • PDF

요골두 치환술의 임상적 적용 (Clinical Application of Radial Head Prosthesis)

  • 문준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140-145
    • /
    • 2011
  • 목적: 금속 요골두 치환술은 주관절 불안정성을 동반한 고정할 수 없는 분쇄된 요골두 골절의 치료로 최근 다양한 임플란트의 개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저자는 금속성 요골두 치환술의 적응증과 국내에 사용중인 임플란트의 종류와 수술 술기를 문헌 고찰과 함께 기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요골두 치환술의 주 적응증은 동반된 연부조직 손상으로 인한 주관절의 불안정성이 있고, 요골두의 분쇄 골절로 안정적인 내고정이 불가능한 골절이다. 이러한 경우 과거 시행되었던 요골두 절제술은 많은 합병증의 발생으로 금기시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양극성, 압박 고정 단극성 및 이완 고정 단극성 임플란트의 3종류가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요골두 치환술은 궁극적으로 원래의 요골두의 크기와 길이로 복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도하게 긴 요골두의 삽입은 흔한 합병증으로 수술 시 주의가 필요하다. 결과 및 결론: 요골두 치환술은 적절한 적응증과 정확한 수술 술기로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향후 장기추시 연구와 다양한 치환물들의 임상적인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간섭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상완 이두건 대흉근 상부 건 고정술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Biceps Long Head Tenodesis Above the Pectoralis Major Using an Interference Screw)

  • 최상수;강홍제;김정우;김종윤;김동문;김광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94-99
    • /
    • 2013
  • 목적: 간섭나사(interference screw)를 이용한 관절경적 상완 이두건 대흉근 상부 건 고정술의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0년 1월까지 간섭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상완 이두건 장두의 대흉근 상부 건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회전근 개 파열을 동반한 경우는 20예였다. 결과는 VAS, ASES, 상완 이두건 구의 통증, 고정실패 및 변형 정도로 판단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모든 환자에서 수술 전에 비해 VAS, ASES점수는 의미 있게 호전되었으나(p<0.05), 5예(17%)에서 견관절 전방 통증 및 상완 이두건 구의 압통이 존재하였고, 3예(10%)에서 고정실패로 인한 Popeye 변형이 존재하였다. 또한, 회전근 개 파열을 동반하지 않는 군에서 파열을 동반한 군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p<0.05). 결론: 상완 이두건 근위부 병변에 의한 통증이 있는 환자에서 간섭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상완 이두건 장두의 대흉근 상부 건 고정술은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 유용한 치료방법으로 사료되나, 17%에서 상완 이두건구에 압통이 존재해 이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 (Osteoarthrit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 이정윤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1호
    • /
    • pp.87-95
    • /
    • 2013
  •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은 측두하악장애의 한 형태로 관절조직의 생리적 내성을 초과하는 기능적 부하가 지속적으로 관절에 가해졌을 때 관절연골 및 연골하 골조직의 점진적 파괴와 이차적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관절면에 가해지는 물리적 하중은 관절내에서 기질파괴 단백효소나 염증성 cytokine, 유리기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골조직의 퇴행과 재형성 사이의 균형을 깨뜨려 골조직의 흡수를 야기한다. 최근에는 물리적 하중 이 외에 비만세포에서 유래하는 adipokine이 골흡수를 증가시킨다는 보고들이 있으나 측두하악관절에 적용하기에는 아직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므로 현재로서 골관절염의 치료는 관절의 기능적 부하를 줄이고 환자의 생리적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임상증상은 충분한 기간 정확한 술식대로 시행한 물리치료, 약물치료, 교합안정 장치치료 등의 보존적 처치와 관절강내 주사요법이나 관절세척술 및 관절경 수술과 같은 추가적인 외과적 처치에 의해 성공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나, 임상증상의 개선이 골파괴의 중지와 재형성을 담보하는 것은 아니므로 임상증상의 개선 이 후에도 지속적인 골변화의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또한, 골변화 활성 자체를 직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활용 가능한 치료법이 없는 한, 지속적인 동기유발과 행동조절을 통해 관절에 가해지는 기능적 부하를 환자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교육하는 것이 골변화를 겪는 측두하악관절로 하여금 보다 이른 시기에 보다 유리한 정형적 안정에 도달하게 함으로써 골관절염을 보다 성공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길이라고 할 수 있다.

외과적 술식을 동반한 급속 상악 확장술의 임상 연구 (CLINICAL STUDY OF SURGICALLY ASSISTED RAPID MAXILLARY EXPANSION)

  • 양찬영;민승기;오승환;권경환;이준;차재원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1권1호
    • /
    • pp.60-69
    • /
    • 2005
  • Orthopedic rapid maxillary expansion(RME) has been a common treatment modality used to widen narrow maxillae in young children. However, since more skeletally matured adolescents or adults has closed midpalatal suture, the result of RME was undesirable because of dental tipping with little or no basal skeletal movement and resulted to many other complications. After such treatment, complications often occurred such as alveolar bending, compression of periodontal ligament, extrusion, buccal tipping, and severe relapse. Thus, surgically assisted rapid maxillary expansion(SA-RME) is required, especially for patients over 14 years old, to skeletally release maxillary expansion. We used two methods of maxillary expansion surgery. Surgically assisted rapid maxillary expansion(SA-RME) & surgically assisted posterior segmental expansion(SA-PSE) were used for narrow maxilla. The study was divided into two groups(SA-RME group and SA-PSE group). SA-RME group was consisted of 2 males and 4 females, and the ages of materials ranged from 15 years to 25 years with a mean of 20.2 years. SA-PSE group was consisted of 1 male and 5 females, and the ages ranged from 13 years to 23 years with a mean of 18.7 years. Dental study models were fabricated before starting the expansion and immediately after the expansion was completed. It was fabricated again 1 month later, 3 months later when the expansion device was removed, and 6 months later after the expansion was completed. A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ANOVA) test was applied to assess changes between each groups over time. The amount of expansion and the amount of tipping movement each in both groups were compared by using paired t-test and it was also compared between each subjects within the group by using independent t-test. Both SA-RME and SA-PSE group showed stable results, but SA-PSE group showed statical significance in tipping movement of second premolar. We compared 6 patients who recieved SA-RME with 6 patients who received SA-PSE, and appraised the clinical usefulness.

U2OS 골육종 세포주의 세포자멸사에서 MMP억제제와 Doxorubicin 작용의 비교연구 (A Comparison Study of MMP Inhibitors' and Doxorubicin's Effects on the Apoptosis of U2OS Osteosarcoma Cell Line)

  • 문정석;염범우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8-95
    • /
    • 2007
  • 목적: wild-type p53 단백질을 가지고 있는 U2OS 인간 골육종 세포주의 세포자멸사에서 MMP억제제와 doxorubicin의 작용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배양한U2OS 세포주에 Doxorubicin, MMP억제제(MMPI III)를 따로 투여한 것과 두 약물을 동시에 투여한 것을 비교하였다. 또한 Doxorubicin의 작용이 Fas/FasL 경로를 통해 유발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Fas 중화항체를 doxorubicin과 함께 투여하였다. 약물을 처리하여 배양한 세포에서 발생한 세포자멸사와 세포괴사를 확인하기 위해서 유세포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Doxorubicin을 처리한 세포가 처리하지 않은 세포보다 약물 농도에서 더 많은 세포괴사(p=0.000)를 보였다. 이에 반해 MMPI III를 처리한 세포는 약물 농도와 반응시간에 따른 세포자멸사 및 세포괴사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약물을 동시에 투여한 군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세포 자멸사 및 세포괴사에서 차이가 없었다. Doxorubicin에 Fas 중화항체를 추가한 군과 doxorubicin 단독 투여 군 사이에 세포자멸사 및 세포괴사에서 차이가 없었다. 결론: Doxorubicin과 같이 MMP 억제제를 골육종 치료에 사용하려면 wild-type p53 뿐만 아니라 wild-type p14를 가지고 있는 골육종 세포에 대한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종골 길이와 너비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종골 너비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Calcaneal Width Using a Correlation of Calcaneal Length and Width)

  • 천동일;황수강;조재호;최성우;김용범;원성훈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1-65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and ratio between the calcaneal length and width for predicting the width of calcaneu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90 feet (190 patients) were included based on computed tomography scans. The length of calcaneus (CL) was measured on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a circle tangent to the cortical margin in the anterior and posterior parts of the calcaneus in a sagittal plane (W1, W2). The width of the calcaneus was defined as the horizontal line of each part (W1, W2, W3) on the same axial pla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ment was determined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The reliability was assessed based on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CL and widths of calcaneus (W1, W2, W3) had a good positive correlation (r=0.848 [W1/CL], r=0.738 [W2/CL], r=0.769 [W3/CL]; p<0.001). The mean CL and widths ratios were 0.33 (W1/CL), 0.37 (W2/CL), and 0.37 (W3/CL). Using these ratios to estimate the widths by multiplying each ratio by the measured calcaneal length, we found a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calcaneal widths and the actual measured calcaneal widths values was 0.25 mm, 0.43 mm, and 0.16 mm. All measurements showed good-to-excellent inter- and intraobserver reliability. Conclusion: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and ratio betwee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calcaneus. The results will help orthopedic surgeons fixate screws in a stable manner to prevent iatrogenic injuries to the medial neurovascular structures of the calcane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