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dontics

검색결과 2,701건 처리시간 0.027초

Managing oral biofilms to avoid enamel demineralization during fixed orthodontic treatment

  • Jung-Sub An;Bum-Soon Lim;Sug-Joon Ah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345-357
    • /
    • 2023
  • Enamel demineralization represents the most prevalent complication arising from fixed orthodontic treatment. Its main etiology is the development of cariogenic biofilms formed around orthodontic appliances. Ordinarily, oral biofilms exist in a dynamic equilibrium with the host's defense mechanisms. However, the equilibrium can be disrupted by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a fixed orthodontic appliance, resulting in a shift in the biofilm's microbial composition from non-pathogenic to pathogenic. This alteration leads to an increased prevalence of cariogenic bacteria, notably mutans streptococci, within the biofilm.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oral biofilms and orthodontic applianc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strategies for effectively managing oral biofilms to mitigate enamel demineralization around orthodontic appliances.

Biocreative Alveolar Molding Plate Treatment (BioAMP) for neonatal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with excessively wide alveolar cleft and maxillary arch width

  • HyeRan Choo;HyoWon Ah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69-73
    • /
    • 2024
  • Since its inception in Europe in the 1950s, alveolar molding treatment for neonates with complete cleft lip and palate has undergone significant evolution in both design and application methodology, demonstrating effectiveness in normalizing the alveolar cleft and nasal shape. However, excessively wide alveolar clefts accompanied by disproportionately wide total maxillary arch pose significant challenges when utilizing conventional alveolar molding methods involving cyclical adding and grinding of acrylic on molding plates. The current report introduces a novel alveolar molding method named Biocreative Alveolar Molding Plate Treatment (BioAMP), which can normalize the maxillary alveolar cleft and arch shape without laborious conventional acrylic procedures. BioAMP sets the target arch form and provides unrestricted space for natural growth of the maxillary alveolar bones while systematically reducing the total maxillary arch width in precise increments. Two exemplary cases are presented as proof-of-concept, showcasing the clinical innovation of BioAMP.

수술-교정 치료 환자의 통제 소재 (Locus of control of surgical-orthodontic patient)

  • 이신재;안석준;백승학;김태우;장영일;양원식;서정훈;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35-240
    • /
    • 2002
  • 교정치료와 악교정 수술을 필요로 하는 환자가 점증하는 현 시점에 비추어, 이에 대한 기술적인 측면의 발전과는 달리 수술-교정 치료 환자에 대한 정신사회학적 혹은 정신심리적 양상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는 그리 많은 주목을 받는 편이 아니었다. 수술-교정치료는 과학적인 치료과정이긴 하지만, 어느 정도 심미적 혹은 예술적인 측면을 지니는 선택 치료의 면모를 지닌다. 그러므로 치료에 대한 환자의 주관적인 느낌은 치료 기술이나 치료의 의학적 성공 여부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술-교정 (혹은 교정)치료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예측하기 위한 정신심리적인 정보는 치료에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통제 소재에 대한 연구는 인간의 다양한 행동을 예측하기 위한 유용한 지표로 알려져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42명의 수술-교정치료 환자와 성별/연령별로 표본 추출된 42명의 통상적 교정치료 환자를 대상으로 삼아 정신-심리적 비교 및 분석의 방법으로 두 가지 종류의 내외 통제 소재(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수술-교정치료군과 교정치료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내외 통제 소재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수술-교정치료군에서만 남자가 여자에 비하여 낮은 외적 통제 (높은 내적 통제)의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수술-교정치료 환자의 정신심리적 기반은 성형 수술 환자와는 달리 교정치료 환자와 유사한 경향을 지닌 것으로 생각되었다.

제II급 치조 전돌 환자에서 설측 견인 장치를 이용한 급속 견치 견인술 (Rapid canine retraction in a Class II bialveolar protrusion case using a lingually extended distraction screw)

  • 안광석;주억;박주영;유영규;차인호;이기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08-320
    • /
    • 2006
  • 견인골 신장술의 개념을 치주인대 조직에 적용한 Liou의 급속 치아 이동 술식은 이동할 견치의 원심부 골 삭제에 의한 치조골 저항의 최소화 및 근심부의 치주조직 견인에 의한 골 형성으로 요약된다. 이는 주로 제1소구치 발치 후 견치의 견인을 요하는 환자들에 적용되어 효과적으로 치료 기간을 단축하고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견인 중 견치의 경사 및 정출 등 문제점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견인이 완료될 때까지 치체이동을 유도하며 경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이러한 급속견인의 예측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측으로 연장된 견인스크류를 순측의 견고한 안내선과 병행 적용하였다. 발치 직후 미리 제작된 견치 치근 모델을 적용하여 발치와의 깊이를 형성하고 또한 교정용 미니스크류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고정원을 보강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여 골격성 II급 관계 및 전치 돌출을 보이는 성인 여환에서 효과적인 견치 및 전치부 견인을 통해 치료기간을 13개월로 단축할 수 있었다. 우려했던 치수의 실활 혹은 치주조직의 병소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치료 후 10개월 유지 시에도 양호한 교합관계 및 치주조직의 건강상태를 보였다. 본 증례에서 소개된 방법을 통하여 급속 견인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보다 예측 가능한 방법으로 효율적인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설측 브라켓 부착을 위한 기준평면 설정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bracket positioning plane in lingual orthodontics)

  • 김선화;박수병;양훈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0-44
    • /
    • 2006
  • 교정치료 영역에서 성인들의 심미적인 요구도가 증가되면서 설측 교정치료는 여러 가지 단점에도 불구하고, 가장 심미적이라는 이유로 많은 주목을 받아왔지만 실제 치아이동을 결정지을 수 있는 브라켓을 부착하는 기준평면의 위치에 대해서는 거의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브라켓이 부착되는 평면의 상하 평행이동이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치아이동 양상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알아보고, 바람직한 전치부 치체이동을 얻기 위해서 힘의 적용점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그리고 전치부에 어느 정도의 모멘트를 부여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치아 변위 및 응력분포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설측 브라켓 부착평면을 치은연쪽으로 평행이동 혹은 회전이동 시키고 견인하였을 경우, 절단연쪽으로 이동시켰을 때와 비교했을 때 비조절성 설측 경사이동이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상하악 전치부 치아들의 설측경사 양상은 지속되었으며, 이러한 양상은 견치 브라켓의 hook 길이를 증가시켜도 계속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설측 중심평면에 브라켓을 부착하고 각 치아별로 모멘트를 부여하였을 경우 설측 방향으로 개개 치아들의 치체이동이 발생하여 설측 교정치료 시 효과적인 전치부 치아의 후방견인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교정 치료 환자에 있어 항균 varnish 처치 전후의 타액 내 Streptococcus mutans 균주의 변화에 관한 연구 (CHANCE IN CONCENTRATION OF SALIVARY STREPTOCOCCUS MUTANS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VARNISH CONTAINING CHLORHEXIDINE IN ORTHODONTIC PATIENTS)

  • 장영일;김태우;정종평;남동석;양원식;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59-672
    • /
    • 1994
  • Dental caries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dental diseases in Korea and its prevention is very important in orthodontic therapy. For the cleansing action of saliva itself and/or tooth-brushing is lowered in patient with fixed orthodontic appliance, oral hygiene of the patient becomes worse, which provides more favorable environment for micro-organisms. Chlorhexidine, one of the series of bisguanide, has been reported to be strong antimicrobial agent and very effective on Streptococcus mut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chlorhexidine as a anticariogenic agent in fixed orthodontic therapy. We used the varnish containing chlorhexidine as a main ingredient for the chemical control of salivary S.mutans in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 therapy We applied the varnish containing chlorhexidine on the labial and interproximal surface of the teeth before bonding and banding teeth of our patients(N=20) and compared to control group patients(N=20). Before the application of chlorhexidine varnish and four times periodically after the completion of fixed appliance set-up, we sampled saliva of both group patients and incuvate S.mutans for 24 hours. In the culture study of sampled saliva, counting the number of S.mutans colonies, we founded as follows : 1. In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 therapy, the risk of dental caries increase when it compared to that of preorthodontic treatment ; The number of salivary S.mutans increase in Patient's oral cavity. 2. The experimental agent that contain chlorhexidine is effective to reduce the number of salivary S.mutans. 3. For the effect of this agent is not ever-lasting, periodical application is needed, and additional study for economical interval and number of application is needed.

  • PDF

Precision TPA로 회전된 편측 구치 치료시 공간변화에 대한 연구 (Spatial changes of the maxillary molar following unilateral derotation with the precision TPA)

  • 김유선;예성필;강대운;전윤식;노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9-227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치아의 이동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고안된 Calorific machine system(typodont simulation system)과 precision TPA를 이용하여, 근심 회전된 (mesial-in rotation) 상악 대구치를 회전 (derotation)시킨 후 해당 치아 및 반대측 고정 원의 공간변화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우측 상악 제 1대구치를 고정원으로 사용하였고 좌측 상악 제 1대구치를 근심 회전된 치아로 사용하였으며, TPA에 부여한 회전각은 $20^{\circ},\;40^{\circ},\;60^{\circ}$였다. 먼저 수동형의 precision TPA를 제작한 후, TPA의 왼쪽 삽입부위(tag)를 각각 $20^{\circ},\;40^{\circ},\;60^{\circ}$로 구부려 실험하였다. 각 군별 실험은 동일한 조건에서 5회 반복한 후 ANOVA와 Tucky's Studentized Range (HSD) test로 검정 하였다. 실험 결과, 교합면에서는 precision TPA의 구부리는 각도가 증가할수록 회전된 구치의 원심 설측 교두가 근심 설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안, 근심 협측 교두는 협측으로 더 많이 움직였고(p<0.001) 원심방향으로는 더 적게 움직였다. (p<0.001) 시상면에서 회전 구치의 구개측 치근은 더욱 근심으로 움직였다. (p<0.001) 횡단면에서는 회전된 치아가 약간의 정출을 보였다(p<0.001). 고정원으로 사용된 우측 상악 제1대구치는 세 평면에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정상골격군에서의 연령에 따른 하악 전치부 치조골 두께의 차이 (Differences in mandibular anterior alveolar bone thickness according to age in a normal skeletal group)

  • 최해리윤;박원;전종국;김연환;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20-230
    • /
    • 2007
  • 골격성 I급이면서 수직적으로 정상인 환자 160명(남자 80명, 여자 80명)의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대상으로 하악 전치부 치조골의 협설측 두께를 치축을 기준으로 계측하여 연령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하악전치부 치조골의 협설측 두께와 하악 전치부 설측 치조골의 두께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여자의 CEJ 하방 2 mm 부위를 제외하고는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반면에, 하악 전치부 협측 치조골의 두께와 하악 이부 최대 풍융부의 두께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한국인에 있어서 수평적으로 I급의 골격형태이면서 수직적으로 정상인 환자에서는 성인보다는 성장기환자에서 하악 전치의 설측 치조골의 두께가 더 두꺼워 발치치료에서와 같은 하악 전치의 설측이동이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Y 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 내원환자의 지역분포와 부정교합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s and Trends in Malocclusion Patients from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유형석;유영규;이장열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7-276
    • /
    • 1999
  • 본 연구는 1992년부터 1997년까지 6년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진단을 받은 부정교합 환자중에서 진단용 석고모형과 진료기록부가 잘 보존되고 지역 거주지가 확실한 9159명을 대상으로 연도별 내원 환자의 성별 분포, 연령별 내원 환자의 분포, Angle씨 부정교합 분류, 제 I급 부정교합 양상의 분류 및 지역적 분포 특성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의 수가 1992년에 비해 1997년 86%가 증가하였으며 1995년 이후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 연령별 내원 분포에서 19세 이상군의 비율이 39.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춘기전 아동의 비율은 점차 감소하는 반면, 성인 교정환자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Angle씨 부정교합 분류에 의한 내원 환자 분포에서 제 III급 부정교합자가 38.1%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제 I급 부정교합이 33.3%, 제 II급 부정교합은 28.6%의 빈도를 보였다. 4. 제 I급 부정교합자중 총생(crowding)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가 3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도별 변화에서는 돌출(protrusion)환자는 점차 증가 양상을 보여 96년에는 33.9%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개교합과 반대교합 환자는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5. 내원 환자의 지역적 분포를 보면 서울시 환자가 전체 내원 환자의 70%이상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서울시 내원환자중 연세대학교 치과병원을 중심으로 반경 3-6km의 거주자가 32.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반경 9Km이내에서 전체의 69%를 차지하였다. 4. 수평피개보다는 수직피개가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개방교합의 경향이 커질수록 치근흡수의 빈도가 높았다. 5. 개개 치아에서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특징에 대해서는 반대교합과 개방교합을 함께 나타내는 치아에서 치근흡수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다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

  • PDF

교정력의 즉시 부하가 미니스크류의 제거 회전력에 미치는 영향의 평가 (Influence of immediate loading on the removal torque value of mini-screws)

  • 선승범;강윤구;김성훈;모성서;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00-406
    • /
    • 2007
  • 교정치료에서 고정원의 조절은 교정 장치의 선택과 적용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교정용 미니스크류의 식립 즉시 교정력을 적용한 군과 교정력을 적용하지 않은 군의 제거회전력 측정과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즉시 교정력을 가한 미니스크류의 고정원으로서의 안정성을 확인하여 식립 후 교정력을 적용 수 있는 시기의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외경 1.6 mm. 길이 8 mm인 총 40개의 타이타늄 미니스크류를 10마리 가토의 경골에 식립하였다. 20개의 미니스크류 실험군은 식립 직후부터 6주 동안 지속적인 200g의 교정력을 적용하였고 나머지 20개의 미니스크류 대조군은 교정력을 적용하지 않았다. 제거 회전력은 디지털 토크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t-test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조직표본은 미니스크류를 제거한 후 H-E 염색하여 조직 소견을 관찰하였다. 제거회전력은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조직학적으로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정용 미니스크류에 즉시 교정력을 가하더라도 안정적인 고정원으로 활용 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