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namentation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8초

Typology of Lao Vernacular Dwellings and Settlements in Context of Cultural and Physical Environment

  • Vongvilay, Xayaphone;Kang, Young-Hwan;Kim, E-doo;Seong, In-Soo;Choi, Joong-Hyun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7권4호
    • /
    • pp.127-137
    • /
    • 2015
  • A typology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uilt environment divided into distinct types such as architecture, culture, and environment. Lao vernacular dwellings were initially created based on the Lao people's behavior in terms of beliefs, traditional culture, lifestyle, and local wisdom with regard to the environment, climate, geography, and materials. The main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hree ethnic dwellings. The multiple data collection tools employed included second source data and primary data to analyze the findings of the unique characteristic typology of Lao vernacular dwelling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cultural and physical contexts, the patterns and origins of settlement, the architecture, the cultures, and the local indigenous knowledge related to the dwellings and settlement of the three main ethnic groups. These three groups are rich in tradition and their documentation is therefore essential for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society of Lao; this research could therefore aid in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the three typologies of Lao vernacular architecture and settlement within the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contexts of each ethnicity to convey an understanding of Lao vernacular dwellings by analyzing their different types to help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mong architectural artifacts by recognizing the invisible connections between them, whereby the figurative ornamentation i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This study also provides a glimpse of the living culture and characteristic features of Lao vernacular architecture.

미이스 반 데르 로에 주택과 르 꼬르뷔제 주택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Houses of Mies van der Rohe and Le Corbusier)

  • 김용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21-31
    • /
    • 2004
  • There are probably no architects of the 20th Century who had more influence on modern architecture than Mies van der Rohe and Le Corbusier. Although the two architects share one thing in common, namely, both are master of modernism, each has developed unique architecture of his ow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works through a comparison analysis of the Ideas, design principles and architectural language reflected in the works, focusing on the houses. this study will also aim to provide a foundation for a new design that harmonizes the design principles and architectural language of the two. Through the study the following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houses of the two. A) Common points: Both architects avoided ornamentation In houses while placing weight on the functions of houses and they tried to plan rational floor plans by separating the wall from the structure. B) Differences: \circled1 The houses of Mies express the structure in a straight forward manner, while those of Corbusier are formative houses focusing more on shapes. \circled2 The shapes of the houses of Mies are limited to basic shapes, quadrangle while those of Corbusier employ various geometric curves. \circled3 Using steel and glass, the houses of Mies are light and transparent. On the contrary, using concrete, the houses of Corbusier are somewhat bulky with Three-dimensional changes. \circled4 The houses of Mies show the value of moderation based upon the classical principles of design, while the houses of Corbusier show the value of moderation based upon geometry. \circled5 The houses of Mies feature horizontal intoners with flexibility. However, Corbusier's houses have vertical interiors with some changes in the cross sections. \circled6 In terms of material, the interiors of Mies' houses employ materials with various tones and textures, while interiors of Corbusier's houses are painted in simple white. Summing up these characteristics, it could be said that the houses of Mies have logical and rational beauty, whereas the houses of Corbusier have more emotional beauty.

조선시대 펠트(Felt) 사용범위와 특성 (The Usage and Feature in Joseon Dynasty's Felt)

  • 민보라;홍나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1559-1570
    • /
    • 2008
  • Since brought into from the economic life of nomads, the felt, the target of this study,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of giving the functions of class symbol as well of protection against the cold and of ornamentation. Therefore, the study on how the felt was developed in Joseon Dynasty and how different culture from nomadic tribes it formed is significant in comprehensively under,;landing the economic, social and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Dynasty. The felt named "Jeon" has been constantly appearing in Korea from the ancient time, but it was not produced actively in the early part of Joseon Dynasty. That's why it was not a climatic condition suitable for sheep-breeding, and the government managed sheep-breeding but it aimed primarily at not producing clothing materials but having memorial ceremonies. Since sheep-breeding was not widely spreaded, production of Jeon was limited and some part was imported from China, so it was one of rare valuable goods. Therefore, the felt of wools named "Yangmojeon", the colored felt named "Chaejeon", etc. were used as liking items in the high-class society, and their materials and components were a little different depending on the official post. On the other hand, people in the low-class society used to wear the felt hats made of cattle feathers and miscellaneous fur, named "Jeonlip" and "Beougeoji". Since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use of the felt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users and the function, along with successful spreading of cotton and development of market economy. The function of Jeon to protect against the cold was replaced by cotton, but the felt hats of Beongeoji, Jeonlip, etc. were worn by common people continuously. As seen above, it is considered that the felt culture in Joseon Dynasty was formed very differently from the nomadic culture, because of its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t had unique developing progress among all available fabrics.

신라시대 천마총 출토 직물의 유형과 특성 -현 경주박물관 소장직물을 중심으로- (Type and Characteristics of fabrics excavated from Chonmachong of Shilla Era - focused on the fabrics which are in the Kyongju Museum′s collection -)

  • 권영숙;조현혹;장현주;김종오
    • 복식
    • /
    • 제50권7호
    • /
    • pp.129-139
    • /
    • 2000
  • The Chonmachong (Tumulus No. 155 in Whangnam-dong, Kyungju, Korea), which was unearthed in 1973, is an ancient tomb built in the Shilla Era between the 5th∼6th centuries by the method of Juk-suk-mok-gwak. With the excavation of this tomb more than 11,500 articles of luxurious and splendid relics including gold and silver ornaments, weaponry and horse gears were obtained. Among the excavated articles, the saddle flap with a drawing of flying horse on it is the first relic of its kind from the Shilla Era. and 'Chonma'(a flying horse), the name of the tomb. was named after this drawing. The saddle flap is highly valuable in that it provides the idea of how goad the people of Shilla were at drawing. Although a lot of researches have been released about the relics from the Chonmachong,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fabrics from the excavation, all of which are in the Kyongiu Museum's colle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mainly on the fabrics used in horse gears, the pieces of cloth that were used to spread on a saddle or to underlay beneath a saddle. As the Shilla Dynasty tried to restrict excessive ornamentation on horses and it is assumed that the fabrics used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2. The subject articles are four plain fabrics, three fabrics of combined -construction and one braid, the warp-faced compound woven silks of combined-construction was found for the first tinge in Korea, and is the typical quality sick with patterns woven with dyed threads in different colors. 3. It is ascertained by the Chonmachong excavation that polychrome woven silk was used not only for the clothes of the upper classes but also for the ornaments of their horses in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 PDF

한국산 처녀고사리과 식물의 포자형태 (Spore morphology of Korean Thelypteridaceae)

  • 문수미;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59-476
    • /
    • 2008
  • 한국산 처녀고사리과 6속 17종에 대한 포자의 형태, perispore와 exospore의 형태을 관찰하여 기재 및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포자의 형태는 모두 단립으로 좌우상칭의 단지형이었다. perispore는 모든 종에 존재하였으며, 지네고사리, 참지네고사리 및 제비꼬리고사리는 perispore와 exospore의 형태가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분류군에서는 perispore와 exospore의 형태가 뚜렷이 구분되어 속간 또는 일부 속에서는 종간에도 차이를 보였다. 별고사리속과 진퍼리고사리속의 경우, 기존의 보고에서 exospore와 perispore의 구분이 어렵다고 하였으나, perispore의 경우, 별고사리와 탐라별고사리는 계관상 돌기를, 검은별고사리와 진퍼리고사리는 자상 돌기를 가졌으며, exospore의 경우 별고사리와 탐라별고사리는 미립상 돌기를, 검은별고사리는 과립상 돌기를, 그리고 진퍼리고사리는 추문상 무늬를 가져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시고사리속은 exospore에 망상 돌기가 있다는 기존의 보고와는 달리 미립상 돌기가 분포하였다. 사다리고사리, 탐라사다리고사리 및 드문고사리는 모두 망상 돌기의 perispore와 추문상 무늬의 exospore를 가져서 포자 형태로 식별이 불가능하였다.

현대패션에 나타난 컷 아웃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ut-Out Designs in Contemporary Fashion)

  • 김선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1호
    • /
    • pp.36-48
    • /
    • 2012
  •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develop creative high-value designs, proving that the cut-out technique, a decorative element of fashion design, can be used to express various visual effects. The author performed a literature review of such publications as Gap Press, Fashion News, and Mode & Mode from 2001S/S to 2010S/S, referring to Internet data to empirically analyze the cut-out technique in contemporary fashion. The study found that the cut-out design is effective overall, but is best suited for one-piece designs and for partial rather than whole items of clothing. The basic motif of the cut-out is a geometrical pattern based on a line, a tear, or is shapeless. The cut-out design is mostly shown as an overall pattern or as a symmetrical shape. Analysis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fashion utilizing the cut-out technique are as follow: First, the cut-out technique exposes the curves of a woman's body in a direct or indirect way, thereby emphasizing her sexuality and maximizing the value of female beauty. Second, through the cut-out technique, we can highlight the various types of space formed by the technique and repeated patterns; we may also elaborate on single-patterned laser-cut designs, which will show that the particular surface effect of the material can strongly impact the attractiveness of the design through emphasis and decoration. Third, damaging or destroying clothes on purpose, showing surprising concepts through optical illusions, and expressing humor by ignoring existing clothing styles show our willingness to escape from traditional or obvious design ideas, as well as demonstrating individuality and playfulness.

죽세장식타일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amboo Decorating Tiles)

  • 조규춘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117-126
    • /
    • 2001
  • 대나무의 시대적 사상 의미를 재분석하여 21C 문화산업 시대에 천연 소재로서 새로운 의미와 환경친화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대나무의 잠재유효성과 함께 미래 죽재산업과 죽세공예의 발전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죽매합판 및 대나무 모양지가 개발됨에 따라 지역 직능별 기술제휴로 시장 활성화를 꾀하고, 고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죽세장식타일을 개발하였다. 대나무 수종과 특성, 원자재 가공 및 표현 방법을 고찰하였고 급변하는 기술로 전통 기능과의 접목 표현상 기술(記述)적 오류를 재 규명하였으며, 죽재합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국내외 응용 개발 사례를 분석하였다. 죽세장식 타일은 대나무 모양지를 바탕으로 한 가구문(door)장식과 실내장식용으로 개발하였다. 문양 디자인은 한국 전통 문양으로 십장생의 장수, 새천년을 의미한 거북, 학, 사슴을 단순하게 패턴화하여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으며, 해, 산 시리즈는 대쪽의 바림 효과를 통한 빛살 이미지와 죽재질의 효과를 극대화했다. 卍 문양은 우주의 신비, 불교시찰 의미와 함께 전통 조각보완 칠교판 놀이, 아리랑 등의 이미지를 총합하여 한국 문양으로 장식성을 높였다. 죽세장식타일은 본 연구자의 20여 년 간 죽세가공 기술경험 축척과 담양 죽물공예단지 설비 및 가구 제작업체의 공조하에 이루어졌다. 현재 원자재 가공은 현지(담양) 설비를 이용하고 있으며, 시제품 개발과 함께 대학 내 디자인 벤처 '조선대방'에서 제작 납품하고 있다. 개발 제품은 가구 업체 주문에 의해 가구문에 장식되어 시판 중에 있다.

  • PDF

동유럽의 건물벽면녹화에 관한 사례 연구 (Researches on the Case Study of Facade Greening in East Europe)

  • 박용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3-32
    • /
    • 2008
  • In order to discer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creating, properly managing, and characterizing the types used in facade greening, this article examines the instances of facade greening of Bulgaria, Greece and Turkey which is not only located in the latitude similar to South Korea's but also influenced by the both continental and oceanic climate. The study was carried out for 11 months from October 2002 to September 2003. The total 242 places were researched and they were 83 sites in Athens, 77 sites in Istanbul, and 82 sites in Sofia. Varieties, usage, configuration, found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lants were studied. The goals of greening, and building's surface roughness and thickness, direction of the wall were also researched. The result of survey are as follows; 17 families and 33 species of climbing plants were found in Athens, Istanbul, and Sofia. Thickness of facade greening in the three cities is 46cm in Athens, 39cm in Istanbul, and 53cm in Sofia. The possible facade greening size per a climbing plant, Parthenocissus tricupidata takes up the largest portion of the wall in the three cities similarly followed by Vitis vinifera and Wistaria spp. By its diversity it can be assumed that these plants are most practical for large scale of facade greening and full covering. Evergreen climbing plants such as Hedera helix and Ficus niponica are useful plants for relatively large scale of facade greening area. In the facade greening types, the climbing type is the most dominant in the three cities and most of the climbing type was planted on the natural foundation but the hanging and combination types were planted on an artificial foundation located on the balcony or on the roof of the building. In the directions of the walls for facade greening, the west direction are most popular which is for the improvement of sun shading in summer season. In Sofia the apartments were most applied with facade greening but In Istanbul and Athens the residential buildings and the public buildings were adapted with facade greening actively as well as residential building. The purpose of lowering summer heat took up the highest portion followed by the purpose of ornamentation and maintaining privacy in all surveyed cities.

고려시대 풍탁(風鐸)의 전개와 독창성 (The Development and Originality of Wind Chimes of the Goryeo Dynasty)

  • 이영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2호
    • /
    • pp.292-307
    • /
    • 2019
  • 불교에서는 부처의 위엄, 부처의 세계가 멀리 있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방편으로 불상과 그 주변을 아름답게 꾸몄다. 여기에 이용된 각종 불구를 장엄구라고 한다. 장엄구는 불상을 꾸미는 장신구, 광배, 보개, 번 등 다양하며, 건물 밖에 걸었던 풍탁 또한 불교 장엄구의 일종이다. 풍탁은 지금까지도 사원에서 널리 쓰이는 불교 장엄구이다. 중국에서는 낙양 영녕사 목탑, 둔황석굴 등으로 미루어 보아 적어도 6세기 무렵에는 이미 풍탁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불교사원은 삼국시대에 중국에서 불교가 전래한 것과 동시에 지어졌으므로 사원 건물에 매다는 풍탁도 사원 조성과 그 시작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현존하는 가장 이른 풍탁은 백제 미륵사지 <금동풍탁>이다. 우리나라 풍탁은 입면에 따라 종형과 제형으로 구분된다. 이는 옆 변의 형태에 따라 세분화할 수 있다. 종형과 제형 풍탁은 시대가 흐르면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었는데, 이러한 모습이 고려시대 풍탁에 가장 잘 드러나고 있다. 고려시대 풍탁은 이전의 형식, 구조, 의장 등을 계승하면서도 기술적으로 발전을 도모하고, 자유로우면서도 과하지 않은 의장을 표현하였다. 특히 고려 소종의 입상연판문대(立狀蓮瓣文帶), 왕실의 위엄을 드러내는 불문(?文), 고려 향로 속 삼환문(三環文)과 범자문(梵字文), 석조물의 창호문(窓戶文) 등 동 시기의 불교 미술품과의 교류를 짐작하게 하는 의장은 고려시대 풍탁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부분이다. 이처럼 고려 풍탁은 특정한 규격에 얽매이지 않으면서도 그 역할에 충실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확인된 우리나라 풍탁을 조사한 결과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이 가장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시작되었다. 풍탁 연구는 다른 불교 장엄구에 비해 미진한 실정이기에 가장 많은 고려시대 풍탁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선 풍탁이 왜 만들어졌는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풍탁의 형식을 알아보겠다. 이를 토대로 고려시대 풍탁의 시기별 전개와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아라사국립애이미탑십박물관(俄羅斯國立艾爾米塔什博物館)·서북민족대학(西北民族大學)·상해고적출판사(上海古籍出版社) 편(編) 『아장구자예술품(俄藏龜玆藝術品)』, 상해고적출판사(上海古籍出版社), 2018 (『러시아 소장 쿠차 예술품』) (The State Hermitage Museum·Northwest University for Nationalities·Shanghai Chinese Classics Publishing House Kuche Art Relics Collected in Russia Shanghai Chinese Classics Publishing House, 2018)

  • 민병훈
    • 미술자료
    • /
    • 제98권
    • /
    • pp.226-241
    • /
    • 2020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에르미타주 박물관 3층 맨 우측에는, 세계 유수의 실크로드 미술 컬렉션을 상설전시하는 "중앙아시아실"이 자리 잡고 있다. 20세기 초 실크로드를 학술조사한 러시아의 코즐로프(Pyotr Kozlov), 베레조프스키(Mikhail Berezovsky), 올덴부르그(Sergey Oldenburg) 등에 의해 수집된 고고 미술품 들이다. 에르미타주 박물관 소장의 방대한 이들 유물은 그 대강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역별로 분류하여 공개중이며, 이제까지 독일과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한국, 일본 등에서 개최된 특별전시를 통해 그 일부를 소개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러시아 실크로드 탐험대의 성과물을 종합적으로 공개한 대형 기획전시 이 2008년에 에르미타주 박물관에서 개최됨으로써, 러시아의 실크로드 관련 유물이 세상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번에 간행된 『아장구자예술품(俄藏龜玆藝術品)』(2018)은 중국의 상해고적출판사(上海古籍出版社)가 에르미타주 박물관과 공동으로, 당관 소장 실크로드 유물 가운데 쿠차 지역의 예술품만을 선정하여 출판한 도록이다. 이 도록의 편집과 논고 및 유물 해설은 에르미타주 박물관 동양부(Oriental Department)의 시니어 큐레이터 키라 사모슉(Dr. Kira Samosyuk)이 담당하였다. 키라 박사는 하라호토(Khara-Khoto)와 서역(西域) 미술 전문가로, 그 이름이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중앙아시아 불교미술 연구의 석학이다. 본서에는 에르미타주 박물관 소장의 쿠차 지역 출토 유물을 망라하여, 중앙아시아 불교미술에 있어서의 쿠차 지역의 특징을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 탐험대가 남긴 현장사진과 스케치 등에 이르기까지 빠짐없이 소개함으로써, 수집 유물 이외의 귀중한 정보도 아울러 제공하고 있다. 키라 사모슉 박사는 본서의 게재 논문 「The Art of the Kuche Buddhist Temples」에서, 러시아의 실크로드 탐험의 개요를 소개하고, 주로 불교시대 쿠차의 역사 전개 과정과 쿠차에 전래된 불교의 양상 그리고 석굴의 벽화 묘사와 그 연대 문제를 논한 후, 벽화의 주제와 소상(塑像), 석굴사원이 예배의 장으로서 어떻게 운용되고 있었는지에 대해 상세하게 언급하고 있다. 키라 박사는 결론으로서, 쿠차 문화는 불교 전파의 역사 가운데 독립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이나 유목세계의 여러 민족과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간다라 미술, 헬레니즘, 고대 이란, 중국 문화와의 관련성 속에서 독자적인 성격을 구축하였음을 논하고 있다. 그리고 쿠차 지역에서 형성된 문화는 타림분지뿐만 아니라 돈황(敦煌)과 중원(中原) 지역의 석굴예술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으로 문장을 마감하고 있다. 키라 박사의 논고 가운데 주목할 부분은 쿠차 지역 석굴의 조성(造成) 연대(年代)에 관한 것이다. 그녀는 이제까지 여러 학자들에 의해 제기된 벽화의 조성 연대에 관한 견해를 소개하며, 벽화의 인물이 착용하고 있는 갑주(甲冑)의 도상(圖像) 특징 등을 소그드 미술 등 주변 지역에서 출토된 관련 자료와 비교하여, 키질의 조성 연대를 기존의 학설보다 백여 년 이상 소급해야 함을 주장하며, 5세기 이전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쿠차 지역 석굴의 조성 시기의 문제는 석굴의 형식 문제를 비롯하여 불화(佛畫)의 주제(主題)와 양식(樣式), 안료(顔料)의 문제, 복식(服飾)이나 두발(頭髮), 제 장식(裝飾) 요소 등을 학제적(學際的) 연구 방법으로 재조명하고, 그 과정에 나타나는 주변 문화권과의 관련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위에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 등 과학적 방법을 보조 자료로 활용하는 수밖에 없다. 에르미타주 박물관에는 제2차세계대전 때 베를린에서 전리품으로 가져온 벽화편이 다수 소장되어 있다. 일반인에게는 물론 학계에서도 그 행방을 전혀 모르고 있었던 이들 벽화편이 최근에 보존처리를 마치고 일반에게 상설전시를 통해 소개되고 있다. 본서 출판의 경위를 서술한 서언(序言)에는 이번 간행이 에르미타주 박물관 소장 쿠차 예술품의 제1차 출판이라고 한 점으로 보아, 아마도 보존처리가 끝난 독일 컬렉션을 소개하는 도록의 편집도 예정되어 있는 듯하다. 아울러 투르판과 호탄 지역 문물을 소개하는 도록의 간행도 기대해본다. 현재 쿠차의 석굴사원에서 절취한 벽화편은 러시아와 독일, 한국 등 여러 국가에 분장되어 있다. 이번 도록 출판을 계기로 쿠차 현지의 키질 석굴을 비롯한 제 석굴사원의 잔존벽화를 중심으로, 세계 각지에 흩어져 있는 벽화를 함께 소개하여 이들 석굴사원 벽화의 원래 모습을 온전하게 소개하는 종합도록의 간행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 그리고 동서의 문화가 혼합되어 있고 쿠차 지역 특유의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석굴사원의 벽화류 등을 소개하는 도록에는, 각 유물에 대한 보다 상세한 해설이 요망된다. 그리고 미술사 이외에도 보존과학적 측면에서의 안료 분석 등 학제적 조사연구 성과도 포함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작금의 중국 서부 개발 정책에 따라, 신장 지역의 오아시스에 인구가 과밀 거주함으로써 유발되는 기후변화 등으로 석굴사원의 벽화는 현재 심각한 위기에 처해있다. 이러한 난관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문화계뿐만 아니라 문화재 보존수복(保存修復)의 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여러 국가들이 실크로드 석굴벽화의 보존수복을 위해 공동 노력하고 아울러 관련 인적자원 양성 등을 위해 보존과학센터를 운영하는 등 모두의 중지를 모아야할 때다. 본서는 20세기 초 서구 열강에 의해 추진된 실크로드의 고대 유적 조사 결과 가운데, 러시아 조사대가 쿠차 지역의 석굴사원을 중심으로 거둔 성과를 종합적으로 소개하는 출판물이지만, 향후 에르미타주 박물관 소장의 독일 컬렉션 벽화까지 전부 소개될 경우, 쿠차의 불교미술과 실크로드 연구에 크게 공헌할 것임에 틀림없다. 이런 의미에서 본서는 이제까지 축적되어 온 쿠차 지역에 대한 고고미술 연구의 마지막 퍼즐 조각이자 실크로드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학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서는 에르미타주 박물관의 실크로드 미술 연구의 성과물이자 새로운 편집 체계로서 학적 편의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을 기획하고 실크로드 미술 연구에 새로운 경지를 개척한 키라 사모슉 박사에게 경의를 표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