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orchard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초

Physico-chemical properties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kiwifruit orchards in Korea

  • Cho, Y.;Kim, B.;Cho, H.;Jeong, B.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242-246
    • /
    • 2011
  • Organic kiwifruit orchard soils we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ones in Korea. Soil structure of organic soil had higher gaseous and liquous phase as well as soil porosity in the surface soil. Although the nutritional level of each orchards were quite different among soils, the analysis of both system revealed that organic kiwifruit orchard soil had similar or even higher nutrient level (N and organic matter content in surface soil) compared to conventional ones. The organic matter content of deep soil also had the high tendency in deep soil of organic soil. Higher level of nitrogen in organic surface soil is presumably due to the excessive application of organic compost and liquid fertilizer rather than the contribution by grasses such as green manure. Available phosphorous level of organic system was quite high but similar in surface soil of both system, compared to the recommended level.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levels were also enough in organic kiwifruit orchard soils.

유황토분 처리가 사과 부란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Sulfur treatment on Apple Valsa Canker)

  • 전익조;박승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5-134
    • /
    • 2017
  • 본 연구는 친환경 유기과원의 부란병 방제를 위한 유황토분의 효과를 검증코자 2년간 수행되었다. 제조된 유황토분의 사과 부란병 치유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유기과원에는 석회유황합제의 처리와 비교하였으며, 관행과원에서는 석회유황합제, 유황토분 및 네오아소진을 처리하였다. 유기과원의 유황토분의 부란병 치유율은 대조구에 비해 뚜렷하게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2013년 봉현 과원을 제외하고는 석회유황합제와는 큰 차이가 없었다. 유기과원의 과실품질조사 결과, 과피의 붉은 색은 대조구에 비해 석회유황합제 처리구에서 다소 높게 나타냈으며, 과실의 경도에서는 유황토분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관행과원에서의 유황토분, 석회유황합제 및 네오아소진 처리는 대조구에 비해 통계적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유황토분의 부란병 치유율은 유기사과과원 및 관행사과과원에서 87.5~97.5%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행과원에서의 유황토분 처리는 신초생육에 있어 네오아소진에 비해 통계적 유의성이 있게 증가하였다. 과실품질의 경우 유황토분처리는 과실의 붉은 색의 증가를 보였으나, 다른 과실품질인 무게, 경도, 당도 및 적정산도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배 과수원에서 오차드그라스와 여러 종류의 클로버 혼파에 따른 녹비작물의 양분공급량 추정 (Estimated Nutrient Production in Green Manure Crops as Affected by Seeding of Orchardgrass and Various Clovers in a Pear Orchard)

  • 임경호;김월수;최현석;황인택;이진우;이유석;최경주;이연;송장훈;조영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43-551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nutrient production of both orchardgrass and several clovers as a green manure in a 'Niitaka' pear (Pyrus pyriforia) orchar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diligent farmer in Boseong in Chonnam on March 26 of 2010, and the treatments included; 1) orchard grass (2.0kg/$1,000m^2$), 2) orchard grass (1.0kg/$1,000m^2$)+ladino clover (1.0 kg/$1,000m^2$), 3) orchard grass (1.0kg/$1,000m^2$)+red clover (1.0kg/$1,000m^2$), and 4) orchard grass (1.0kg/$1,000m^2$) +white clover (1.0kg/$1,000m^2$). Lengths of orchardgrass and clovers were greater in July than those of June and September. Seeding of orchardgrass without clovers in June and July increased dry weight of green manure crops compared with the seeding of orchardgrass with clovers, resulting in greater annual total dry weight. Various green manure treatments produced different amounts of total N and $P_2O_5$ from each raw materials and did not satisfy amounts of those nutrients for proper annual growth of ten- to twelve-year-old pear tree. Amounts of $K_2O$ producing from green manures, however, satisfied for proper growth of the pear trees.

밭토양에서 지렁이 서식에 영향을 추는 토양특성에 관한 연구 (Soil Properties Influencing on Earthworm Habitation in Upland)

  • 나영은;이상범;한민수;김세근;최동로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5-168
    • /
    • 2000
  • 밭토양에 지렁이가 서식하는지를 알기 위하여 밭토양 이용에 따라 초지, 과수원지, 유기농업 지, 비닐하우스지, 노지에서 지렁이를 조사하였다. 초지와 과수원지는 조사지역 모두에서 지렁이가 서식하였으며, 유기농업지는 8개 조사지역 중에 6개 지역에서만 서식하였고, 비닐하우스지에서는 12개 지역중 5개, 노지는 25개중 5개에서 지렁이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지렁이는 낚시지렁이과 (Lumbricidae)와 지렁이과 (Megascolecidae)에 속하는 지렁이였다. 지렁이 개체수는 과수원지 14마리, 초지가 12마리, 유기농법지가 10마리, 비닐하우스가 7마리, 노지가 3마리 순서로 적었으며 , 생체량은 0.25 m$^2$당 과수원지가 12.3g, 유기농법지가 11.6g, 초지가 10.6g, 비닐하우스지가 4.2 g, 노지가 2.9 g 순서로 적었다. 밭토양의 토양수분이 5% 미만이거나 35% 이상인 경우가 아니면 서식하는 데는 문제가 없었으며, 토양산도는 강산성이나 강알칼리성 토양이 아니면 토양에 적응해 가며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유기물은 1%미만 정도로 적으면 지렁이가 서식하지 않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경남지역 과수원 토양 화학성분이 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 (Response of Microbe to Chemical Properties from Orchard Soil in Gyeongnam Province)

  • 이영한;장용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36-241
    • /
    • 2011
  • 경남지역 과수원 토양 25개소를 대상으로 2010년에 토양 화학성분과 미생물 다양성을 검토하고 토성, 지형 및 작물별 주요 변동요인을 주성분분석으로 해석하였다. 토양 유효인산 및 치환성 칼륨 함량은 적정수준 보다 각각 2.6배 및 2.3배 높았으며 대부분 토양 화학성분의 최소값과 최대값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지형적으로 산록경사지는 토양 유효인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p<0.05) 미사질양토에서 곰팡이와 형광성 슈도모나스균 개체수가 사양토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주성분 분석결과 제 1주성분이 28.4%, 제 2주성분이 20.1%로서 전체 48.5%의 자료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제 1주성분은 토양의 세균 개체수가 가장 크게 기여하였다. 토양 유기물 함량은 곰팡이 개체수와 정의상관을 보인 반면 세균 개체수와 부의상관을 나타냈다.

식물근의 추출물질이 종자발아 및 유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s of plant roots on germination of seeds and growth of seedings)

  • 박찬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23
    • /
    • 1968
  • 작물근의 분비물질이나 함유물질이 그 작물 자체에 나 또는 다른 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작무작촌방식 개선에 기여하고자 본연구를 하였다. 재료와 방법은 우리 나라에 적합한 사료작물중에서 레드클로우버, 옹처드그라스 및 브로움그라스의 생근즙액, 부패근즙액, 수경폐액을 채취하여 레드클로우버, 라디노클로우버, 매듭풀, 콩, 오오처드그라스,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브르움그라스, 보리, 밀, 수수, 옥수수 및 기장 등의 종자발아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식물근의 분비물질이나 함유물질중 기지현상과 관계가 깊은 것은 유기산일 것이라는 견해하에 이들 3개 재료작물의 근에서 유기산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근즙액의 영향 : 레드클로우버즙액 : 라디노클로우버와 매듭풀의 유식물 생장을 제제하였고, 화본과작물에 대하여는 수수를 제외하고는 모든 작물에 생육제제작용을 하였다. 오오처드그라스즙액 : 레드클로우버와 콩의 유식물생장을 촉진하였으며, 오오처드그라스 자체에 대해서 발아와 생장을 제제하고, 보리와 기장의 생육을 제제하는 이외는 그 밖에 작물에 대한 영향을 인정할 수 없었다. 브로움그라스액즙 : 이탈리안라이그라스에 대해서는 영향이 없고, 그 밖의 작물에 대해서는 모두 제제작용을 하였다. (2) 부패근즙액의 영향 : 레드클로우버즙액 : 레드클로우버의 유식물의 생장을 촉진하였고, 수수를 제외한 그 밖의 작물에 대해서는 모두 제제작용을 하였다. 오오처드그라스즙액 : 레드클로우버와 리디노클로우버, 콩, 수수의 생장을 촉진하였고, 보리와 기장의 발아와 발근을 제제하였다. 브로움그라스즙액 : 레드클로우버, 콩, 수수에 대해서는 생장에 촉진적 영향을 미쳤고, 오오처드그라스, 브로움그라스, 보리, 기장에는 제제적 영향을 미쳤다. (3) 수경폐액의 영향 : 레드클로우버의 폐액은 화본과작물의 생장에 제제적 작용을 하였으며, 오오처드그라스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폐액은 레드클로우버의 생장에 촉진적 영향을 미쳤다. (4) 유기산 분석 결과 : 레드클로우버근에는 비휘발성 유기산중, 수산, 구연산, 주석산, 마론산, 사과산, 호백산이 들어 있었고, 오오처드그라스와 브로움그라스에는 수산, 구연산, 주석산, 사과산이 들어 있었다. 그리고, 모두 휘발성 유기산인 의산이 들어있음을 확인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실험의 뿌리의 분비물질이나 함유물질의 영향으로 다음 사항을 알 수 있었다. ${\circled1}$ 레드클로우버는 대체로 화본과작물에는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데, 그 원인은 뿌리가 함유하는 유기산(수산, 구연산, 주석산, 마론산, 사과산, 오백산, 의산)의 종류와 함량이 많기 때문이라고 인정된다. ${\circled2}$ 오오처드그라스는 두과작물에 대체로 유리한 영향을 미치는데, 그 원인은 뿌리가 함유하는 유기산(수산, 구연산, 주석산, 사과산, 의산)의 종류와 함량이 적고, 또 어떤 생장촉진물질이 들어 있기 때문이라고 인정된다. ${\circled3}$ 브로움그라스의 뿌리는 부패하지 않는 근 두과 화본과작물에 모두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데, 그 원인은 확인된 유기산(수산, 구연산, 주석산, 사과산, 의산)이외에 미동정된 수종의 휘발성물질이 들어 있기 때문이라고 인정된다. (5) 근부함유물질의 기지현상에 대한 영향 : ${\circled1}$ 종래 알려진 레드클로우버의 기지현상의 원인은 뿌리의 유독성분에 의하는 것은 아니라고 인정된다. ${\circled2}$ 오오처드그라스 및 브로움그라스는 장기단작의 경우는 뿌리의 유독성분이 기지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인정된다. (6) 근부함유물질의 작부체계상 상대작물에 대한 영향 : ${\circled1}$ 생근즙액 및 수경폐액의 경우(간작, 혼작 상정) : 1) 유리한 조합 : 오오처드그라스->레드클로우버, 콩. 이탈리안라이그라스->레드클로우버. 2) 불리한 조합 : 레드클로우버->라디노클로우버, 매듭풀, 오오처드그라스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브로움그라스, 보리 ,밀, 옥수수, 기장. 오오처드그라스->매듭풀, 오오처드그라스, 보리, 기장. 브로움그라스->레드클로우버, 라디노클로우버, 매듭풀, 콩, 오오처드그라스, 브로움그라스, 보리, 밀, 수수, 옥수수, 기장. 3) 무해한 조합 : 레드클로우버->레드클로우버, 콩, 수수. 오오처드그라스->라디노클로우버,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브로움그라스, 밀, 수수, 옥수수. 브로움그라스->이탈리안라이그라스. ${\circled2}$ 부패근즙액의 경우(후작 상) : 1) 불리한 조합 : 레드클로우버$\longrightarrow$레드클로우버, 수수. 오오처드그라스->레드클로우버, 라디노클로우버, 콩, 수수, 옥수수. 브로움그라스-> 레드크로우버, 콩, 수수. 2) 불리한 조합 : 레드클로우버->매듭풀, 오오처드그라스,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브로움그라스, 보리, 밀, 기장. 오오처드그라스->보리, 기장. 브로움그라스->오오처드그라스, 브로움그라스, 보리, 기장. 3) 무해한 조합 : 레드클로우버->라디노클로우버, 콩, 옥수수. 오오처드그라스->매듭풀, 오오처드그라스,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브로움그라스, 밀. 브로움그라스->라디노클로우버, 매듭풀,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밀.

  • PDF

Chemical and Biological Indicators of Soil Quality in Conventional and Organic Farming Apple Orchards

  • Lee, Yoon-Jung;Chung, Jong-Bae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2호
    • /
    • pp.88-96
    • /
    • 2007
  • Organic farming systems based on ecological concepts have the potential to produce sustainable crop yields with no decline in soil and environmental qualities. Recent expansion of sustainable agricultural systems, including organic farming, has brought about need for development of sustainable farming systems based on value judgments for key properties of importance for farming.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were chosen as indicators of soil quality and measured at soil depth intervals of 5-20 and 20-35 cm in conventional and organic-based apple orchards located in Yeongchun, Gyeongbuk. The orchards were two adjacent fields to ensure the same pedological conditions except management system. Soil pH in organic farming was around 7.5, whereas below 6.0 in conventional farming. Organic farming resulted in significant increases in organic matter and Kjeldahl-N contents compared to those found with conventional management. Microbial populations, biomass C, and enzyme activities (except acid phosphatase) in apple orchard soil of organic farming were higher than those found in conventional farming. Higher microbial quotient ($C_{mic}/C_{org}$ ratio) and lower microbial metabolic quotient for $CO_2(qCO_2)$ in organic farming confirmed that organic farming better conserves soil organic carbon. Biological soil quality indicator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il organic matter content. These results indicate organic-based farming positively affected soil organic matter content, thus improving soil chemical and biological qualities.

Comparison of Soil Physical Properties in Conventional and Organic Farming Apple Orchards

  • Chung, Jong-Bae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9-285
    • /
    • 2007
  • Soil physical properties in organic farming apple orchard were evaluated in relation to conventional farming to better understand the effects of organic farming system on soil quality. Two adjacent apple orchards, matched by soil type, were chosen to ensure the same pedological conditions except management system.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iddle of two adjacent trees along the tree line at two depths of 5-20 and 20-35 cm in September 2006. Contents of organic matter in organic farming soil were twice as much as those found in soil of conventional farming. The higher level of organic matter in organic farming soil was reflected through a consequent trend in improved soil physical properties. Organic farming produced greater aggregation in >2 mm size and increased aggregate stability. Bulk density was lower by 13% and hence porosity was higher in soils of organic farming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farming. Water holding capacity was significantly greater with organic farming by >17% over conventional farming. The capacity of organic farming to improve soil physical properties can be contributed to the regular application of relatively large amount of organic materials and the sustainable ground-cover managements, mulching with compost and cover crop cultivation.

사과원에서 유기질비료시용이 토양화학성 및 사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Orchard Soils and Apple Yield)

  • 최정;이동훈;최충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393-397
    • /
    • 2000
  • 퇴비의 시용량에 따른 사과의 수량과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사과원에 퇴비시용량의 증가에 의해 토양중의 인산함량 및 치환성 양이온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유기물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퇴비의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사과의 수량은 증가하였으나, 경도 및 당도의 차이는 없었다. 화학비료를 감비처리하고 퇴비의 시용량을 높인 결과 퇴비의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토양 중 유기물 및 Ca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 PDF

Comparison of the Surface Chemical Properties of Plastic Film House, Upland, and Orchard Soils in Gyeongbuk Province

  • Park, Sang-Jo;Park, Jun-Hong;Kim, Chan-Yong;Seo, Young-Jin;Kwon, Oh-Heun;Won, Jong-Gun;Lee, Suk-He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15-124
    • /
    • 201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soil fertility about plastic film house, upland, and orchard in Gyeongbuk Province, Korea. The surfac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samples were investigated every 4 year from 2000 year at upland, 2001 year at orchard, and 2002 year at plastic film house. During 12 year's monitoring, mean soil pH was increased by 0.7 and 0.8 pH unit from pH 5.7 in upland and orchard, respectively, 0.5 pH unit from pH 6.5 in plastic film house. About 50% of all the field samples occupied within the recommended pH range (pH 6-7). Although soil organic matter (SOM) was gradually increased by about $10g\;kg^{-1}$ for 12 years, 40% of orchard, 49% of plastic film house, and 77% of upland soil samples were still below the 3% SOM. The mean concentration of available phosphate for 12 years in upland, orchard, and plastic film house were 530, 600, and $760mg\;kg^{-1}$, respectively. The relative frequencies exceeding the recommended available phosphate range ($300-550mg\;kg^{-1}$) were 43%, 53%, and 66% at upland, orchard, and plastic film house soils, respectively. $NH_4OAc$ exchangeable $K^+$ of upland, orchard, and plastic film house in the last soil test were 0.8, 0.9, and $1.6cmol_c\;kg^{-1}$, respectively. The relative frequencies above the recommended K level were 56% and 70% of orchard and plastic film house soil samples, respectively. The levels of crop nutrients except exchangeable Ca and Mg in upland soil were tended to increase gradually in the three fields. Exchangeable Mg, EC, available phosphate, organic matter and soil pH could be used as principle components to differentiate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ree land fields. This analysis revealed that the soil fertility was affected by cropping method and field management, although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assess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many fields indicate an opportunity for improvement in fertilizer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