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rgan preservation treatment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52초

냉한에서 보관된 황견의 폐에서 장기 보존액에 따른 조직 세포의 변화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Cold-Stored Dog Lungs to the Preservation Solutions)

  • 김해균;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8호
    • /
    • pp.816-821
    • /
    • 1996
  • 장기이식 수술의 개발과 성공은 신장, 간장, 췌장, 심장 및 폐와 이식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공여 장기 의 후송, 장시간 보관의 어려움과 이식 중에 발하는 허혈성 손상에 대한 예방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현 재까지 폐의 장기 보존에 있어서 그 보존용액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혓태학적 연구가 부족 한 것 같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Euro-Collin용액과 University of wisconsin용액의 효과를 시간에 따 른 형태학적 변화와 폐의 수분도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냉한에 보존된 폐의 변화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은 황견을 세 군으로 나누어 보존액을 Group 1(n:5)은 normal saline으로, Group 2(n:5)는 Euro-Collins solution으로, Group )(n:6)는 University of Wisconsin solution등으로 나누어 60시 간까지 냉한에 보존하면서 시간에 따른 형태학적 변화와 폐의 수분율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를 보면 폐의 수분율은 보존 후 6시간부터 증가하여 12시간 후 최대치가 되나,각군 별로는통계 적 인 차이는 없었다. 형 태학적 인 변화로는 제 1군에서 5예 중 1예에서 냉한 보존 1시간 후 자장 먼저 al- veolar septum의 변화를 \ulcorner였고, 2군은 냉한 럴존 6시 간 후부터 5예 중 )예에서 alveolar septum의 distor- tion과 swelling이 있었으며 또 pneumocyte의 변화를 보였고, 3군에서는 6시간 후에는 5예 중 I예에서, 12시간 후에는 5예 중 4예에서 alveolAr septum의 swelling을 보였다. 또 pneumocyte에 대한 변화는 1군 에서는 24시간 후부터, 2군에서는 48신간 후부터, 3군에서는 냉한 보존 60시 간 후에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세포의 형태학적 보존은 3군에서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두 군간에 퇴원일자가 P value 0.03으로 의의 있게 흥강경으로 수술한 군에서 짧았다. Group C는 평균연령 45.8세, 수술시간 105분, 통증제거 3.2회, 흥관삽관 6.1일이 었으며 진단율은 81.8 % 였고 group D는 평균연령 53.3세, 수술시간 121분, 통증제거 2.6회, 흥관삽관 10.5일이었으며 진단율 은 100%였다.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으로 Group A는 수술중 혈액 량감소성쇽과 심장마비가 각각 1예씩 있었으나 회 복이 되었고수술후농흥과출혈이 각각 1예씩, 일시적 호흡정지 1예, 흉관 7일 이상유지가)예 있었다. Group B에서는 성Til마비와 흥관 7일 이상 유지가 각각 2예씩 있었으며 Horner's 증후군과 brachial neuropathy가 각각 1예씩 있었다. 본 저자들은 비디오 흥강경을 이용한 종격동 종양의 제거를 비교적 안전하게 하였으며 입원기간도 짧 고 수술과 관련된 이병율 및 사망율도 적어 환자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서 비디오 흥강경수술이 종격동종 괴 절제시 에 좋은 치료방법이라고 사료된다.지수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수술 \ulcorner 동반된 폐동맥 성형술등의 영향이 있었음을 감안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수술전 폐동맥 크기에 대한 지표로서 폐동맥 지수(PAI)와 McGoon 비(MGR)와는 다음과 같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상관식 : PAI : MGRxl18.0-12.4. 결론적으로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술이 동맥혈내 산소포화도는 증가시키나 폐동맥 지수는 단기간의 본 연구에서는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박동성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 술이나 또는 Blalock-Taussig 단락술등이 폐동맥의 성 장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0s, in addition to the topics which were interested in before

  • PDF

T1N0 성문암의 방사선치료관련 예후 인자 분석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reatment-Related Prognostic Factors for Local Recurrence after Primary Radia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Primary T1N0 Glottic Cancer)

  • 김수산;김상윤;남순열;최승호;조경자;김종훈;안승도;신성수;송시열;최은경;이상욱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4-40
    • /
    • 2003
  • Objective: To analyze the treatment-related parameters after the radiotherapy of T1N0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glottic larynx.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October 1989 and August 2000, 54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T1N0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glottic larynx who received definitive radiation therapy i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Asan Medical Center were analyzed. They were all males with age ranged from 31 to 80 years (median 61 years). 1997 AJCC stages were 31 T1a, 23 T1b. Patients were treated with 4-MV X-rays with a parallel-opposed two-field technique. Ten patients received 66.0-68.4Gy at 1.2Gy per fraction twice daily, 21 patients received 64.8-66.6Gy at 1.8Gy per fraction once daily, and 23 patients received 66.0Gy at 2.0Gy per fraction once daily. Follow-up period was 16-119 months (median 56 months). Results: 5-year overall survival and local control rates for patients with T1 lesions were 87.0% and 88.5%, respectively. 5-year local control with larynx preservation rate was 90.5%. Host and tumor-related prognostic factors including age, stage, anterior commissure involvement and tumor bulk proved not to be significant. Only shorter overall treatment time among treatment-related factors had correlation with imporved local control. Conclusion: Comparable high local control rate with organ preservation was achieved with primary radiation therapy and salvage surgery. Shortening of overall treatment time is related to improved local control rate. To determine the optimal fractionation scheme, randomized trial is mandatory.

비장 손상의 임상적 치료 결과 (Clinical Outcomes of Splenic Injury)

  • 백승현;박성진;김재훈;김현성;김대환;조홍재;서형일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5권2호
    • /
    • pp.44-48
    • /
    • 2012
  • Purpose: The management of splenic injuries has shifted from a splenectomy to splenic preservation owing to i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kinds of management and outcomes through a review of our experience with splenic injuri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47 patients with traumatic splenic injuries using by electronic medical records from Jan. 2007 and Dec. 2011. Splenic injur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urgery of Trauma (AAST) grading system. Results: There were 11 falls, 11 traffic accidents, 10 motorcylcle accidents, 10 pedestrian accidents and 5 abdominal blunt traumas. Low-grade injured patients (${\leq}$ Grade III) were 29 of 43(61.7%), and High-grade injured patients (${\geq}$ Grade IV) were 18 of 43(38.3%). In 34 patients, non-surgical treatment was performed, and 14 patients underwent a splenectomy. There were relatively more high-grade in older patients, and the high-grade-injury group showed need for a transfusion (p=0.002), more need for a splenectomy (p<0.001), a longer mean hospital stay (p=0.036), a longer ICU stay (p=0.045) and more combined organ injury (p=0.036). Conclusion: Conservative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in low-grade-injury patients (${\leq}$ Grade III). A Splenectomy was performed on 56% of the patients with Grade IV injuries, so a splenectomy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in such patients. In patients with a grade V injury, we think surgical treatment may be needed.

수술 전 선행보조치료를 받은 직장암 환자의 직장 자기공명영상의 해석 (Interpretation of Rectal MRI after Neoadjuvant Treatment i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 서니은;임준석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550-564
    • /
    • 2023
  • 자기공명영상은 현재 선행보조치료 후 직장암을 평가할 수 있는 가장 우수한 영상검사이다. 선행보조치료 후 시행하는 직장 자기공명영상의 목적은 직장암의 절제가능성을 평가하고 임상적으로 완전관해로 생각되는 환자들에서 장기 보존 전략을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번 종설에서는 선행보조치료 후 자기공명영상에서 평가해야 할 중요한 소견들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다루고자 한다. 먼저 원발 종양의 치료 반응을 평가하고, 완전관해를 시사하는 영상 소견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보조치료 후 원발 종양과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 임파절, extramural venous invasion, tumor deposit의 소견을 다루고자 한다. 이러한 영상 소견 및 임상적 중요성에 대한 지식은 정확하고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판독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두경부 영역에서의 로봇 수술 (Robotic Surgery in Head and Neck)

  • 태경;신광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32
    • /
    • 2010
  • Organ preservation surgery and minimally invasive surgery have been developed during the past 20 years with major focus on transoral laser surgery, endoscopic surgery, and robotic surgery. Two major robotic surgeries in head and neck area are transoral robotic surgery (TORS) and robotic thyroidectomy. Transoral robotic surgery is a safe and efficacious method of surgical treatment of oropharyngeal. hypopharyngeal and laryngeal neoplasm. Advantages of the technique include adequate ability to visualize and manipulate lesions with two hands. TORS can provide magnified three dimensional views and overcome the limitation resulting from the "line of sight" which hinders transoral laser procedure. The swallowing function following transoral robotic surgery show superior and patients were able to retain or rapidly regain swallowing function in the majority of cases. Recently, robotic thyroidectomy has also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e [imitation of endoscopic thyroidectomy. Robotic thyroidectomy by a gasless unilateral axillo-breast or axillary approach using a da Vinci S Surgical Robot is a feasible and cosmetically excellent procedure. It can be a promising alternative to endoscopic thyroidectomy or conventional open thyroidectomy.

  • PDF

하악골에 발생한 재발성 법랑아 세포종의 치험례 (A CASE REPORT OF TREATMENT OF RECURRENT GRANULAR-TYPE AMELOBLASTOMA)

  • 윤규호;노영서;박성원;신명상;전인성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6권2호
    • /
    • pp.179-185
    • /
    • 1994
  • 본 환자는 하악우측골체부의 심한 종창 및 동통으로 인한 안모 불균형을 주소로 내원한 50세의 남자환자로 조직검사상 법랑아세포종으로 진단하에 하악골 하연을 보존한 marginal resection을 시행한 뒤 임상적 소견 및 주기적인 방사선 사진상을 관찰한 후 장골이식을 시술하여 술후 2년이 경과한 지금까지 재발의 소견없이 기능 및 심미적으로 양호한 치유과정을 보이고 있다.

  • PDF

급성 외상 환자 치료에서 인터벤션 영상의 역할: 임상화보 (The Role of Interventional Radiology in Treatment of Patients with Acute Trauma: A Pictorial Essay)

  • 강경식;이무숙;김두리;김영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2호
    • /
    • pp.347-358
    • /
    • 2021
  • 외상은 40세 이하에서 가장 흔한 사망의 원인 중에 하나이다. 과거에는 외상 환자의 치료로 대부분 수술적 치료가 우선 되었다. 하지만 점차 외상 환자의 치료에서 장기 보존이 중요하게 되었으며, 외상 후 환자의 치료는 수술적 치료에서 비수술적 치료로 바뀌고 있다. 외상 환자의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협력이 필요하다. 그중 인터벤션 영상 의학은 외상 환자를 평가하고 치료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인터벤션 치료가 급성 외상 환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다양한 증례들에 대해 소개해 보고자 한다.

폐이식 실험견에서 LPDG용액을 이용한 20시간 이상 폐보존효과 관찰 (Lung Preservation Study for Above 20 Hours of LPDG Solution in Canine Lung Allotransplactation)

  • 박창권;권건영;유영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0호
    • /
    • pp.949-960
    • /
    • 1997
  • 연구배경. 폐이식 분야에서 이식받아야 할 공여폐의 부족은 많은 문제점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상적인 폐관류-보존액인 세포내액성 용액이나 세포외액성 용액의 개발을 위하여 안전하고 장기간의 폐보존이 가능 한 많은 동물실험 연구가 시행되어 지고 있다. 연구자들은 세포외액성 용액인 LPDG용액을 이용하여 20시간 이상 폐보존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대조군으로 세포내액성 용액인 modified Euro-Collins(MEQ용액을 사 용하였다. 방법. 실험은 평균 20 Kg 이상의 한국산 잡종견 34마리를 구하여 17마리씩 공여견과 수용 견으로 암수 구 분없이 나누어 LPDG-꽁액군이 9례 MEC용액군이 8례로써 좌측 일측폐이식술을 시행하였다. 공여폐의 보존은 1$0^{\circ}C$에서 20시간 이상 저장하였으며 각 폐관류-보존용액에 prostaglandinEl(PGEI)을 공여폐획득시에 례동맥을 통해 주입하였다. 이식폐기능의 평가는 이식폐의 재관류후에 30분, 1시간, 2시간후 그리고 술후 3일째와 7일 째 폐동맥 clef를 이용하여 혈역동학적 검사와 동맥혈액가스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재관류 3시간후와 술후 3일, 7일째에 단순흉부 X-선 촬영, 전산화 흉부 단층촬영 및 99mTc폐관류 스캔\ulcorner 실시하였다. 전 례에서 부검 을 실시하여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얻었으며 20시간 이상 폐보존후에 각 용액별 전자현미경적 폐포구조와 폐 동맥내피세포의 소견을 비교하여 보았다. 결과 이식폐의 동맥혈가스분석에서 동맥혈산소분압은 두 용액 모두에서 재관류직후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재관류 2시간까지 서서히 회복이 되었으며 이는 LPDG군에서 더 증가되었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재 관류 1시간후 MEC군이 LPDG군보다 평균폐동맥압이 상승하였고(p<0.05) 재관류 1시간과 2시간에서 LPDG군 이 심박출량이 더 높았다똘<0.05). 그리고 케혈관저항도는 양군 모두 재관류 2시간까지는 감소되거나 큰 변 화가 없다가 3일과 7일까지 점차 상승되었다. 전산화 흉부단층촬영에서 LPDG군이 MEC군보다 폐음영이 재 관류직후와 술후 3일, 7일째에 비교적 나쁘게 나왔으며 폐관류 스캔에서는 재관류직후, 3일후 및 7일후에서 LPDG군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으나 전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얼었다. 병리조직검사에서 양 군모두 82%에서 이식폐의 폐렴소견이 있었고 MEC에서 8례에서 염증소견과 그중 5례는 이식폐치 부전소 견을 보였으며 20시간 이상 폐보존후 \ulcorner자현미경검사에서 양군에서 경증의 폐동맥내피세포의 부종과 불규칙 한 돌출이 관찰되었다. 내피세포의 불규칙한 돌출은 MEC군에서 더 심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두 용액 모두에서 재관류직후 폐기능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2시간까지 LPDG용액은 MEC용액보다 비교적 나은 회복을 보였고 재관류 3일과 7일의 폐기능 평가에서 두 용액 모두에서 폐기능의 점차적 소실을 보였으며 이는 병리조직검사에서 보듯이 폐혐에 의한 외적인 요소라고 생각되며 따라서 LPDG용액은 허혈재관류손상 방지 및 급성폐렴 등 염증을 잘 관리한다면 20시간 이상 LPDG용액의 안전한 폐보존의 가능성 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Management of Traumatic Pancreatic Injuries: Evaluation of 7 Years of Experience at a Single Regional Trauma Center

  • Lee, Min A;Lee, Seung Hwan;Choi, Kang Kook;Park, Youngeun;Lee, Gil Jae;Yu, Byungchul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4권3호
    • /
    • pp.177-182
    • /
    • 2021
  • Purpose: Traumatic pancreatic injuries are rare, but their diagnosis and management are challeng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report our experiences with the management of pancreatic injuries. Methods: We identified all adult patients (age >15) with pancreatic injuries from our trauma registry over a 7-year period. Data related to patients' demographics, diagnoses, operative information, complications, and hospital course were abstracted from the registry and medical records. Results: A total of 45 patients were evaluated. Most patients had blunt trauma (89%) and 21 patients (47%) had pancreatic injuries of grade 3 or higher. Twenty-eight patients (62%) underwent laparotomy and 17 (38%) received nonoperative management (NOM). The overall in-hospital mortality rate was 24% (n=11), and only one patient died after NOM (due to a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Twenty-two patients (79%) underwent emergency laparotomy and six (21%) underwent delayed laparotomy. A drainage procedure was performed in 12 patients (43%), and pancreatectomy was performed in 16 patients (57%) (distal pancreatectomy [DP], n=8; DP with spleen preservation, n=5; pancreaticoduodenectomy, n=2; total pancreatectomy, n=1). Fourteen (31%) pancreas-specific complications occurred, and all complications were successfully managed without surgery. Solid organ injuries (n=14) were the most common type of associated abdominal injury (Abbreviated Injury Scale ≥3). Conclusions: For traumatic pancreatic injuries, an appropriate treatment method should be considered after evaluation of the accompanying injury and the patient's hemodynamic status. NOM can be performed without mortality in appropriately selected cases.

Ex Vivo Lung Perfusion of Cardiac-death Donor Lung in Pigs

  • Paik, Hyo Chae;Haam, Seok Jin;Park, Moo Suk;Song, Joo Han
    • 대한이식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54-159
    • /
    • 2014
  • Background: Lung transplantation (LTx) is a life-saving treatment for patients with end-stage lung disease; however, the shortage of donor lungs has been a major limiting factor to increasing the number of LTx. Growing experience following LTx using donor lungs after cardiac death (DCD) has been promising, although concerns rem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CD lung harvest model using an ex vivo lung perfusion (EVLP) system and to assess the function of presumably damaged lungs harvested from the DCD donor in pigs. Methods: The 40 kg pig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control group with no ischemic lung injury (n=5) and the study group (n=5), which had 1 hour of warm ischemic lung injury after cardiac arrest. Harvested lungs were placed in the EVLP circuit and oxygen capacities (OC),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PVR), and peak airway pressure (PAP) were evaluated every hour for 4 hours. At the end of EVLP, specimens were excised for pathologic review and wet/dry ratio.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C (P=0.353), PVR (P=0.951), and PAP (P=0.651) was observed in both groups. Lung injury severity score (control group vs. study group: 0.700±0.303 vs. 0.870±0.130; P=0.230) and wet/dry ratio (control group vs. study group: 5.89±0.97 vs. 6.20±0.57; P=0.560) also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The function of DCD lungs assessed using EVLP showed no difference from that of control lungs without ischemic injury; therefore, utilization of DCD lungs can be a new option to decrease the number of deaths on the waiting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