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rating rooms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5초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의 기본 안전 및 필수 성능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Criteria of Mobile Computed Tomography)

  • 김은혜;박혜민;김정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4권3호
    • /
    • pp.261-267
    • /
    • 2021
  • As the number of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patients increases in a global pandemic situation, the usefulness of mobile computed tomography (CT) is gaining attention. Currently, mobile CT follows the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of whole-body or limited-view X-ray CT in order to obtain device approval and evalu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Unlike stationary CT, mobile CT is not operated in shielded areas but rather areas such as intensive care units, operating rooms, or isolation rooms. Therefore, it requires a different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 than stationary CT. In this study, four derived basic safety evaluation criteria related to electrical, mechanical, and radiation safety were included (dose indication test, protection against stray radiation, safety measures against excessive X-rays, half-value layer measurement); and seven essential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were included (tube voltage accuracy, mAs accuracy, radiation dose reproducibility, CT number of water, noise, uniformity, and spatial resolution); total eleven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were selected.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ppropriate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for simultaneously obtaining images with diagnostic value and reducing the exposure of nearby patients, medical staff, and radiologic technologists during the use of mobile CT.

핵의학과 환경미화원의 일시 출입자 분류에 대한 고찰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Temporarily Access Group about Sanitation Workers in Nuclear Medicine Department)

  • 유재숙;장정찬;김호성
    • 핵의학기술
    • /
    • 제16권1호
    • /
    • pp.50-56
    • /
    • 2012
  • 일시 출입자로 분류된 핵의학과 출입 환경미화원은 주기적으로 타과와 업무순환을 하고, 또한 작업 시간과 환경 등의 변화가 많기 때문에 관리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으며 따라서 이들의 분류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핵의학과에서 근무하는 환경미화원의 피폭 상황을 분석하여 일시 출입자로 분류된 조건의 타당성에 대하여 검토해 보고 작업 환경의 변화 및 근무 시간의 조절이 필요한가를 알아보았다. 우선 먼저 PET실과 혈액 검사실에서 근무하는 환경미화원과 감마 카메라실에서 근무하는 환경 미화원 2명을 대상으로 한 달간 근무 시간 중에 OSL을 각각 착용시켜 개인 피폭 선량을 측정하였다. 둘째로 survey meter를 이용하여 두 명의 환경미화원의 작업 환경, 근무 형태에 따라 시간대 별로 핵의학과 내 14개 구역을 선정, 총 10회 공간 선량률을 측정한 결과 이들의 피폭 선량은 연간 1mSv를 초과하지 않았으며, survey meter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또한 연간 1 mSv를 초과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수치가 1 mSv에 근접하였다. 따라서 일시 출입자로써의 분류를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PET 안정실과 같은 피폭이 상대적으로 많은 구역에서의 노출 확률을 줄이기 위하여 이들에게 방사선 관리 구역내 교육을 실시하고, 또한 근무시간 및 근무 형태를 적절히 변경한다면 이들의 피폭 선량은 확연히 줄어들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수술실 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실천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vels of Awareness of Nosocomial Infection and Management Practices by Operating Room Nurses)

  • 김경희;최미혜;강미경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27-334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awareness and management practice of operating room nurses, to prevent nosocomial infection, to identify problems and to propose solutions. Method: The research tools used were the hospital infection control guideline and a modified version of the measurment tools used in the study of Cho (1998).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on hand washing, personal hygiene and clothes control, cleaning and environment control, sterilizing supplies and disposal of contaminated materia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the SPSS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for domain-specific awareness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was 4.81 out of a possible 5 points. The highest score was for sterilizing supplies and disposal of contaminated materials. The mean score for domain-specific practices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was 4.40, out of a possible 5 points. Sterilizing supplies and disposal of contaminated materials had the highest scores. The mean score for awareness in all domains was higher than mean score for practic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nurses, high awareness was found only in the provision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and it had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xamination of rel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to practice showed that for age, career, the provision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and experience in infection control educ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For the relation between awareness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and practice,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all domains, thus high awareness leads to high practice.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lans are needed that promote virtual practice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 PDF

Four-Year Experience Using an Advanced Interdisciplinary Hybrid Operating Room : Potentials in Treatment of Cerebrovascular Disease

  • Jeon, Hong Jun;Lee, Jong Young;Cho, Byung-Moon;Yoon, Dae Young;Oh, Sae-M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2권1호
    • /
    • pp.35-45
    • /
    • 2019
  • Objective : To describe our experiences with a fully equipped high-end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system within a hybrid operating room (OR). Methods : A single-plane DSA system with 3-dimensional rotational angiograph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and real-time navigation software was used in our hybrid OR. Between April 2014 and January 2018, 191 sessions of cerebrovascular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our hybrid OR. After the retrospective review of all cases, the procedur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subcategorical procedures : combined endovascular and surgical procedure, complementary rescue procedure during intervention and surgery, and frameless stereotaxic operation. Results : Forty-nine of 191 procedures were performed using hybrid techniques. Four cases of blood blister aneurysms and a ruptured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aneurysm were treated using bypass surgery and endovascular trapping. Eight cases of ruptured aneurysm with intracranial hemorrhage (ICH) were treated by partial embolization and surgical clipping. Six cases of ruptured arteriovenous malformation with ICH were treated by Onyx embolization of nidus and subsequent surgical removal of nidus and ICH. Two (5.4%) of the 37 cases of pre-mature rupture during clipping were secured by endovascular coil embolization. In one (0.8%) complicated case of 103 intra-arterial thrombectomy procedures, emergency surgical embolectomy with bypass surgery was performed. In 27 cases of ICH, frameless stereotaxic hematoma aspiration was performed using $XperGuide^{(R)}$ system (Philips Medical Systems, Best, the Netherlands). All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single sessions without any procedural complications. Conclusion : Hybrid OR with a fully equipped DSA system could provide precise and safe treatment strategies for cerebrovascular diseases. Especially, we could suggest a strategy to cope flexibly in complex lesions or unexpected situations in hybrid OR. CBCT with real-time navigation software could augment the usefulness of hybrid OR.

미래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교과교실 교육 환경을 위한 기초 연구 - K중학교 & S중학교 수요자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realization of the future school - Focused on the consumer needs analysis of K middle school & S middle school -)

  • 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1권2호
    • /
    • pp.11-24
    • /
    • 2022
  • 본 연구는 학생중심의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운영하기 위한 교과교실 환경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각 교과목별 장기 및 단기 프로젝트수업의 유형 구분 없이 대부분 강의, 토론과 협의, 자료 검색, 보고서 작성, 발표, 작품전시, 기타 등이 공통적으로 도출되었다. 특히 다양한 수업이 동일 시간대 운영 될 필요성이 제시되어 단위 교과교실 내 통합 교수학습운영 환경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습교과의 특성상 하나의 주제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강의 및 토론 수업 등과 함께 동시에 실습수업이 연계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습교육과 동시에 강의 등 다양한 수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전문 교과교실 체계로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미래 다양한 수업 유형의 실현을 위한 교과교실 공간크기의 적정성을 파악한 결과 특히 실습교실의 공간 크기는 이론수업용 모둠교구 배치 영역과 함께 실습전용 공간 및 작품 전시 영역 등을 포함한 공간 규모가 확장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래 교수학습 수업운영을 위한 공간 환경으로는 교과공용교실제를 기본으로 학생수 규모 및 수업 비중에 따라 강의전담실, 토론 및 발표 전담실, 프로젝트학습실 등 전문 교과교실을 확보하는 것이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의 다양한 운영을 실현 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수술실 간호사의 물품관리 업무역량과 업무만족도 연구 (The Competence and Satisfaction on Inventory Management of the Operating Room Nurses)

  • 손정숙;최경숙;김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449-458
    • /
    • 2016
  • 본 연구는 700병상이상 병원의 3개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물품관리 업무역량(물품관리능력, 인식정도, 지식정도)과 업무 만족도를 파악한 후에, 3개 수술실 간에 결과의 차이가 있는지 여부와 물품관리 업무역량과 업무만족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관련된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수술간호 업무역량과 업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교육과 간호업무 개선활동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으로 시행되었고, 연구대상은 현재 6개월 이상 수술실에서 수술간호에 참여 중인 간호사로 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181명이였다. 연구결과 물품관리능력의 평균평점은 4.2점(${\pm}0.56$), 인식정도 3.4점(${\pm}0.76$), 지식정도는 3.5점(${\pm}0.40$)이고 업무 만족도는 3.4점(${\pm}0.55$)이었다. 3개 수술실 간호사 그룹 간의 물품간호 업무역량과 업무만족도의 결과에 차이는 없었고, 물품관리능력과 지식정도는(r=.627, p<0.01)이고, 지식정도와 인식정도는(r=.663, p<0.01)이며, 인식정도와 만족도는 (r=.485, p<0.01)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수술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이 물품관리 업무역량과 업무만족도에 미치는 관련요인으로는 연령이 물품관리 업무역량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고, 그 외의 항목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병원 간호사들의 지속적인 인력관리와 교육, 병원간의 의사소통 채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여 수술실 간호사 역량과 만족도의 유지 및 향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문헌정보학 실습실의 교수매체 센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Laboratories into Instructional Media Centers for Educ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이만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65-29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32개 대학 문헌정보학과 실습실의 시설과 비품, 그리고 교수 학습자료를 조사 분석하고 교수와 사서들의 의견을 정리하여, 21세기 정보사회에 부응할 수 있는 정보전문가인 사서 양성을 위하여 문헌정보학 교과 운영을 충실히 할 수 있는 실습실의 발전된 모형으로서 교수매체 센터의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였는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문헌정보학 교수매체 센터에는 분류와 편목의 실습 수업을 할 수 있는 분류 편목 실습실과 첨단의 매체나 시청각 기재 또는 실습용 교구를 사용하여 수업을 할 수 있는 영상매체 실습실,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정보 검색 방법을 체득하게 하고, 정보 활용 능력을 길러 주며, 컴퓨터 관련 정보학 교과 수업을 할 수 있는 정보처리 실습실을 둔다. (2) 분류 편목 실습실과 영상매체 실습실, 정보처리 실습실의 배치도는 <그림4-1>, <그림4-2>, <그림4-3>과 같다. (3) 각 실의 면적은 각각 $162m^2$(49.1평)이며, 수용인원은 40-50명 정도, 전담운영 관리자로 매체 전문가 1 명과 전담 조교 1명을 둔다. (4) 문헌정보학 교수매체 센터에 소장해야 할 교수 학습자료는 컴퓨터와 주변기기, 시청각 기재, 도서정리를 위한 용품, 각종 장비 및 용구 등과 같은 교구와, 실습용 교재, 실습용 분류와 편목에 관한 도서, 기타 실습용 도서 및 참고도서 등과 같은 교재이다. (5) 문헌정보학 교수매체 센터의 비품으로 실습용 테이블, 서가 등 일반 비품과 CD 보관함 등 각종 자료 보관함을 둔다.

  • PDF

수술실 근무자의 업무수행 관련 근골격계 부담정도와 통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usculoskeletal Symptom and Pain related to Working Posture of Operation-Room Workers.)

  • 김지연;정애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906-2916
    • /
    • 2010
  • 목적 : 본 연구는 수술실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 부담정도와 통증에 대한 상태를 파악 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수술실 근무자 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동영상 촬영을 통하여 수술실 근무자의 작업 평가를 REBA 이용하여 인간공학적 작업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REBA로 측정한 수술실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부담정도와 근골격계 통증 정도는 상당히 높은 상태였으며 이것은 조치수준 2에 해당되며 '대상자에게 어떠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상자 대부분이 주 3~4회 통증을 경험하고, 다리, 목, 어깨에서 심한 통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통증간의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로는 성별, 연령, 결혼상태, 체중, 과거직장 경험, 하루 평균 근무시간, 근무형태, 근무부서에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결론: 수술실 근로자는 작업과 관련하여 높은 근골격계 부담과 심한 근골격계 통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병동 아동 간호사의 신체활동과 피로 (Physical Activity and Fatigue among Pediatric Nurses in a Special Care Unit)

  • 채선미;서은영;정현명;이지혜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18-28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nd fatigue among nurse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s: Participants were 89 nurses working at an intensive care unit and an operating room in a children's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and Brief Fatigue Inventory. Results: Most of the nurses' physical activity was work relat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working unit. Nurses with higher work stress and lower job satisfaction showed higher levels of fatigue than their counterparts did. Work-related physical activity and the interference of fatigue with relationships were related positively, whereas transport and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were negatively related to usual fatigue and the interference of fatigue with life enjoyment. Conclusion: The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nd fatigue of nurses were higher than those observed among other populations. The appropriate level of physical activity for these nurses needs to be investigated carefully. Also, in the intervention for nurses' fatigue, their level of work-related an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should be considered separately, and their work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level should be included.

재난현장 소방공무원의 회복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habilitation Room of Firefighters at Disaster Spot)

  • 채진;임동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3호
    • /
    • pp.116-125
    • /
    • 2020
  • 본 연구는 재난현장 소방공무원 회복실 설치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여 소방공무원의 안전과 회복탄력을 위한 회복실 설치 모델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리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회복실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설문조사 및 빈도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회복실을 운영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각 소방본부에 회복실 운영을 위한 조직이 구축되어야 하고, 회복실 운영을 위한 인적자원을 확보하여야 한다. 그리고 회복실 운영책임자의 임무 내용, 회복실 운영자의 임무 내용, 회복실 운영절차 등 세부적인 운영기준이 마련되어야 하고, 회복과 회복실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