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ospor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5초

Pseudoperonospora humuli의 실험실상의 난포자 형성 (Laboratory Production of Oospores in Pseudoperonospora humuli)

  • 지희윤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18-621
    • /
    • 1998
  • In pseudoperonospora humuli, the cause of hop downy mildew, environmental and host factors affecting laboratory production of oospore were examined. After 7 days incubation of leaf disk inoculated with sporangia on water, additional incubations were carried out under different conditions of temperature and moisture. Oospore production was also compared between very susceptible (Nugget) and resistant (Fuggle) hop cultivars. Oospores were not produced at 18$^{\circ}C$ regardless of other incubation conditions. Leaf disks failed to produce oospore when incubated on water for up to 18 days at 8$^{\circ}C$. No oospores formed on infection sites without necrosis. However, abundant oospores were produced at necrotized infection sites when inoculated leaf disk incubated on dry filter paper for 5 days at 8$^{\circ}C$. Both susceptible and resistant hop cultivars produced abundant oospores. In the measurement of optimal temperature for oospore production, oospores were produced at 6 to 12$^{\circ}C$ Most abundant oospores were produced at 8$^{\circ}C$. We suggest that proper combination of low temperature, dryness and necrosis may be a critical environmental factors for oospore production of P. humuli.

  • PDF

고추 역병균(Phytophthora capsici)의 액체배지에서 난포자 형성과 발아 (Oospore Production in Broth Media and Oospore Germination of Phytophthora capsici)

  • 김병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4-116
    • /
    • 2009
  • 본 연구는 P. capsici의 난포자를 다량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우수한 액체 배지를 선발하고 난포자의 발아율을 조사할 뿐만 아니라 $F_1$ progeny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한 8개 액체배지 중 carrot broth와 V8C broth가 난포자형성을 위해 가장 적당한 배지였다. 총 11균주의 P. capsici(CapA형)과 P. tropicalis(CapB형)를 선발하였고 P. capsici(CapA형)에 P. tropicalis(CapB형)을 교배하는 서로 다른 9개 조합의 교배에서 얻은 난포자로부터 총 129 균주의 $F_1$ hybrid progeny를 얻었으며 난포자의 발아율은 0.64-4.0%(평균 1.85%)이었다.

고추 역병균(疫病菌) (Phytophthora capsici)의 난포자(卵胞子) 형성(形成)에 미치는 온도(溫度) 및 영양(營養)의 효과(效果) (Effect of Temperature and Nutrition Affecting Oospore Formation of Phytophthora capsici Causing Red Pepper Fruit Rot)

  • 정봉구;강미정
    • 한국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03-208
    • /
    • 1990
  • 고추 역병균(疫病菌) 유성세대(有性世代)인 난포자(卵胞子)는 원형(円形)이며 막(膜)이 두텁고 크기는 $24.4\;{\mu}m$$(20{\sim}32.5{\mu}m)$ 이며 장난기(藏卵器)는 $26.7\;{\mu}m$$(21{\sim}37.5{\mu}m)$이고 장정기(藏精器)는 도우낫모양으로 크기는 $6.5{\times}4\;{\mu}m(6{\sim}8{\times}5{\sim}6\;{\mu}m)$이었다. 난포자(卵胞子)의 형성단계(形成段階)는 접종(接種) 직후(直後) 각(各) 배우자형(配偶者型)의 균사(菌絲)가 신전(伸展)되어 접촉(接觸)되고 확장기(擴張期)로 이어지면서 완숙난포자(完熟卵胞子)로 되기까지 사단계(四段階)로 구분(區分)되었다. 난포자(卵胞子) 형성(形成)에 최적온도(最適溫度)는 $20{\sim}24^{\circ}C$이었고 온도(溫度)가 $25^{\circ}C$ 이상되면 오히려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새로운 호박배지는 기존(旣存) V-8 한천배지(寒天培地)보다 많은 난포자(卵胞子) 형성(形成)을 보였으나 고추잎배지(培地)에서는 난포자(卵胞子)가 형성(形成)되지 않았다. $1800{\pm}300$$800{\pm}300$ Lux의 주야(晝夜) 광조사(光照射)는 암조건(暗條件)보다 오히려 난포자(卵胞子) 형성(形成)에 저해적(沮害的)이었다.

  • PDF

과수목(果樹木)의 역병(疫病)을 유발하는 Phytophthora cactorum의 유주자(遊走子)와 난포자(卵胞子)의 균사생장과 균총의 형태 (Growth Rate and Colony Morphology of Progenies of Zoospores and Oospores of Phytophthora cactorum causing Phytophthora rots in Apple Trees)

  • 심재욱;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81-285
    • /
    • 1994
  • Phytophthora cactorum으로부터 분리된 유주자(遊走子)는 균사 생장이 상대적으로 균일하고 균사 생장분포가 모체(母體) 균주(菌株)와 유사하였으나, 분리된 난포자(卵胞子)는 균사생장분포가 매우 다양하였다. 또한, 균총의 특징은 난포자에서 크게 다양한 반면, 유주자에서는 균일하였다. 이 결과는 P. cactorum의 균사생장과 균총의 모양을 결정하는데 있어 다양한 유전자가 관여하고 있으며, 몇몇 역병균이 생장하는 동안에 이배체성 생식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감자 역병균에 대한 스테롤류의 영향 및 감자절편에서의 난포자 형성 (Effect of Sterols on Phytophthora infestans and Oospore Production on detached Potato Plants)

  • 이왕휴;이용훈;이두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14
    • /
    • 2001
  • 역병균 (Phytophthora infestans)의 균사 신장 및 난포자 형성에 미치는 생리 화학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국내에서 분리된 $A^2$형인 KM10, U6, MHB6, CDB6, JD1과 일본에서 분양 받은 $A^1$형인 F8l7, DNC303, $A^2$ 형인 IB908, DN107 균주를 이용하여 공시 배지별 및 V-8A 배지에 cholesterol, $\beta$-sitosterol및 lecithin을 첨가했을 때의 영향을 조사하고, 식물체상에서의 난포자 형성여부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균사 신장은 V-8A, RMA에서 양호하였고, 난포자 형성은 V-8A에서 가장 많았다. V-8A에 cholesterol, $\beta$-sitosterol 및 lecithin을 첨가하였을 때 접종 10일 후 균사 신장은 무처리 대비 각각 16.6, 8.3, 5.2% 더 신장하였으며, 난포자 형성수는 각각 76.0, 58.0, 34.6% 크게 증가하였다. 2. $A^1$형과 $A^2$형이 동시에 존재할 경우 식물체상에서 난포자를 형성하는지 알아보고자 식물체 조직편에 $A^1$, $A^2$형을 대치 배양하여 난포자 형성을 유도한 결과, 난포자의 형성률 및 수는 적었으나, 식물체 상에서도 난포자 형성이 가능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금후 이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Metalaxyl에 대한 저항성 고추 역병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hytophthora capsici Causing Pepper Phytophthora Blight Resistant to Metalaxyl)

  • 이수민;신진호;김선보;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83-289
    • /
    • 2009
  • 고추 재배지에서 시들음 증상을 보이는 고추에서 2008년에 총 95개의 역병균(Phytophthora capsici)을 분리하여 metalaxyl에 대한 저항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저항성 균주의 분리 비율이 38.9%에 달하였다. 감수성 균주와 저항성 균주를 모두 4균주씩 선발하여 metalaxyl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유주포자낭의 발아와 유주포자의 나출에 영향이 거의 없으나 균사 생장 억제 효과는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감수성 균주 P. capsici 06-119, 06-143, P08-7, P08-31에서 metalaxyl의 균사 생장 억제에 대한 $EC_{50}$값은 0.204, 0.151, 0.379, $0.215\;{\mu}g\;mL^{-1}$인데 비하여 저항성 균주 P. capsici 06-125, 06-155, P08-50, P08-60의 $EC_{50}$값은 5.242, 5.724, 6.621, $5.377\;{\mu}g\;mL^{-1}$으로 나타났다. 각 균주의 기주 식물을 침입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 균사생장, 유주포자낭 발아, 유주포자의 나출, 그리고 고추 품종에 대한 병원력을 조사하였지만, 두 그룹 간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저항성 균주의 경우가 포장에서의 생존력에 관여하는 유주포자낭과 난포자의 형성량이 감수성 균주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이유가 포장에서 저항성 균주의 비율이 증가하는 원인 중 하나로 생각한다.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ytophthora katsurae, Causing Chestnut Ink Disease in Korea

  • Lee, Jong-Kyu;Jo, Jong-Won;Shin, Keum-Chul;Lee, Sang-Hyun;Lee, Sang-Yo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2호
    • /
    • pp.121-127
    • /
    • 2009
  • Since July 2005, survey of chestnut ink disease was carried out in chestnut stands located at southern parts of Korea. Dead chestnut trees showing inky ooze on necrotic trunks were found in two different locations. In order to isolate and identify the causal fungus, infected tissues and soil samples around dead or dying trees were collected and placed on Phytophthora-selective medium. Rhododendron and chestnut tree leaves were used as a bait to isolate the fungus from soil samples by attracting zoospores in soil suspensions. On V-8 culture medium, the isolates produced homothallic oogonia with protuberances ($34.0-46.2{\times}21.9-26.7{\mu}m$) abundantly, but did not produced sporangia. Mass production of sporangia was possible by immersing agar plugs with actively growing mycelium in the creek water at $18^{\circ}C$ for 3 days. Sporangia were papillate, and ovoid to obpyriform ($17.0-38.9{\times}14.6-29.2{\mu}m$) in shape. Comparison of the ITS sequences revealed that the isolates had 100% identity to the P. katsurae isolates from Japan and New Zealand and 99.6% identity to other P. katsurae isolates. All of the examined isolates from Korea were completely identical to each other in ITS sequence. Numerous sporangia were formed in filtered as well as unfiltered creek water, but no sporangia formed in sterilized distilled water. Light induced sporangia formation, but has no influence on oospore formation. Amendments of ${\beta}$-sitosterol in culture media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mycelial growth but significantly stimulate oospore and sporangia formation.

흰녹가루병균(Albuginales; Oomycetes)의 다양성, 진화, 계통분류학 연구의 진보 (Recent Advances of the Diversity, Evolution, and Systematics of White Blister Rusts (Albuginales; Oomycetes))

  • 최영준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73-81
    • /
    • 2016
  • 흰녹가루병균류(난균류)는 인공배양이 불가능한 순활물 병원균이다. 이들은 많은 속씨식물들에서 흰녹가루병을 일으키는데, 경제적으로 중요한 기주식물로는 해바라기, 와사비, 갓, 유채, 무, 배추, 시금치 등이 있다. 최근에 분자분석 방법과 분류학적으로 유용한 형태적 특징들이 제안되면서, 흰녹가루병균류의 다양성, 진화, 계통분류에 대한 연구에 큰 진척이 있었다. 본 논문은 국내에 덜 알려진 흰녹가루병 균류를 소개하고 최근의 연구성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Pythium subutonaiense, A New Aquatic Oomycete from Southern China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s

  • Chen, Jia-Jia;Zheng, Xiao-Bo
    • Mycobiology
    • /
    • 제47권3호
    • /
    • pp.273-279
    • /
    • 2019
  • A new species, Pythium subutonaiense, isolated from aquatic environments (lake) in China is being describe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molecular evidence. The isolates grew at temperatures between $5^{\circ}C$ and $38^{\circ}C$, and the optimum temperature was $30^{\circ}C$, with a radial growth rate of 17.6 mm at $25^{\circ}C$ per day. It is homothallic and characterized by globose to sub-globose shaped and mostly terminal or sometimes catenulate hyphal swellings, filamentous non-inflated sporangia, and smooth oogonia with hypogynous and monoclinous antheridia that contained one plerotic oospore. In phylogenetic analysis, inferred based on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of the ribosomal RNA gene and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gene, the new species formed a distinct lineage in Pythium clade B. Differences between the new species and phylogenetically related and morphologically similar species are discussed.

Characterization of Sclerospora graminicola Isolates from Pearl Millet for Virulence and Genetic Diversity

  • Pushpavathi B.;Thakur R. P.;Rao K. Chandrashekara;Rao V. P.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28-35
    • /
    • 2006
  • Virulence and genetic diversity were studied using 21 isolates of Sclerospora graminicola, the pearl millet downy mildew pathogen collected from major pearl millet growing areas of India. Variability for virulence was determined by inoculating a set of 10 differential hosts with the S. graminicola isolates in a greenhouse. The isolates varied for latent period (6.4 to 11 days), disease incidence (0 to $98\%$), virulence index (0 to 18.7) and oospore-production potential (1 to 4). Among the 21 isolates, Sg 139 (Rajasthan) was the most virulent and Sg 110 (Tamil Nadu) the least virulent. Based on virulence index (disease incidence$\time$slatent $period^{-1}$), the 21 isolates were classified into eight virulence groups. Genetic diversity among isolates was studied using AFLP markers. Based on similarity index of banding pattern, the 21 isolates were clustered into eight genotypic groups. The AFLP groupings, however, did not match with that of the virulence groupings, and these two were found independent. The isolate Sg 139 that remained distinct in both pathogenic and genetic groupings indicated its highly virulent natur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in downy mildew resistance breeding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