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ocyte transfer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25초

정상배란성 월경주기에서 혈청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결합단백질의 양상 (Serum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s Profiles During the Normal Oulatory Menstrual Cycle)

  • 정재훈;김정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1호
    • /
    • pp.67-73
    • /
    • 1999
  •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s are believed to one of several growth factors that play an adjunctive role in ovarian follicular development. These factors circulate bound to a family of IGF-binding protein (IGFBP)s. It is known that circulating IGFBPs are involved in the transport of IGFs to tissues and modulate IGFs actions at local tissu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changes in serum IGFBPs profiles during normal ovulatory menstrual cylce and to compare serum IGFBPs profiles in periovulatory phase of between normal ovulatory menstrual cylce and controlled hyperstimulated cycle. Fasting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rom 15 normal healthy women throughout normal ovulatory menstural cyle and on the day of aspiration of oocyte from 10 patients undergoing ovarian hyperstimuation for in vit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Serum IGFBP-1 - IGFBP-4 were measured by western ligand blot and immunoprecipitation. Serum $17{\beta}$-estradiol was determined by radioimmunoassay. Type and molecular weight of serum IGFBP did not changed during normal ovulatory menstural cycle. No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relative proportion and level of each IGFBP was found throughout normal ovulatory menstural cyle. Also, the relative proportion and level of each IGFBP did not correlated with serum $17{\beta}$-estradiol leve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ve proportion and level of each serum IGFBP between on the day of ovulation in normal ovulatory menstrual cylce and on the day of aspiration of oocyte in controlled hyperstimulated cycle. Our data indicate that IGFBPs have regulatory functions in ovary through an paracrine and autocrine rather than endocrine mechanism during normal ovulatory menstural cycle.

  • PDF

체외수정과 배이식에 의한 임신성공예에 관한 연구 (Pregnancies by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 구병삼;유동화;이규완;나중열;홍성봉;배인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3권2호
    • /
    • pp.121-127
    • /
    • 1986
  • We have reviewed 59 cases of patients amoung 65 cases who underwent IVF and ET with reasonable indications irom 1984 and the results as follows. 1. Major indications for IVF and ET were tubal factor (40.7%), unexplained infertility (25.4%), endometriosis (15.3%), failed AID and AIH (10.1 %), and sperm abnormality (8.5%). 2. For superovulation of human oocytes, l00mg of clomiphene citrate and 75 IU of HMG used. The monitoring of oocyte maturation was bone by ultrasound examination and serum 17-${\beta}$ estradiol, LH values. The peak $E_2$ value was 956.36${\pm}$702.13 pg/ml. 3. The oocytes were obtained by laparoscopy 24-36 hours after the injection of HCG. 4. The mean numbers of follicles at laparoscopy was 3.06 and the successful rate of laparoscopy was 79.7%. 5. And 165 follicles were aspirated from which 98 oocytes were recovered, 59.4% of all follicles had at least one oocyte aspirated. 21.4% of the eggs were mature, 52.0% were moderate, 26.5%. were immature. 6. 67.3% of oocytes were cleaved and were transferred at 4-6 cell stages. 7. Four pregnancies including one chemical pregnancy and one spontaneous abortion were established by ${\beta}$-subunit, u-hCG and ultrasound examinations.

  • PDF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 세포질내 정자주입술(ICSI)의 수정률과 임신율 (Fertilization and Pregnancy Rate of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ICSI))

  • 전진현;이호준;김정욱;박용석;이유식;홍재엽;손일표;전종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1권3호
    • /
    • pp.247-252
    • /
    • 1994
  •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ICSI) was known as effective method in treatments of couples who unable to be helped by conventional in vitro fertilization. In 78 treatment cycles of 78 infertile couples using ICSI performed at our infertility clinic between May and August 1994 were analyzed. These patients were classified two groups, andrological factor(AF) and non-andrological factor(non-AF) group. The AF group, which had abnormal sperm physiology, included oligozoospermia, asthenozoospermia, oligoasthenoteratozoospermia(OATS) and microsurgical epididymal sperm aspiration(MESA) patients. The non-AF group, which had abnormal oocyte physiology, included abnormal zona pellucida, poor quality of oocyte and immune factor infertile patients. A single spermatozoon was injected into the ooplasm of 776 metaphase II oocytes. The fertilization rate was 44.6%(346/776) and 319 embryos were transferred. After 73 embryo transfers(93.6% of treatment cycles) 23 pregnancies were estabilshed, i. e. pregnancy rate of 29.4% per started cycle and 31.5% per embryo transfer. Fertilization rate of AF and non-AF group was 46.2% and 35.8%, pregnancy rate was 34.5%(20/58) and 20.0%(3/15), respectively. In order to increase the pregnancy rate, assisted hatching(AHA) has done after lCSl in 47 treatment cycles. Pregnancy rate of ICSI with AHA and without AHA group was 34. 0% (16/47) and 26.9%(7/26), respectively. ICSI was more effective in andrological factor infertility and the pregnancy rate was increased by ICSI with AHA procedure.

  • PDF

TGF-beta1, and TGF-beta Receptor Type I and Type II are present in Bovine Embryos

  • Kim, B. K.;H. J. Chung;Park, J. H.;J. H. Woo;Park, M. Y.;H. H. Seong;W. K. Chang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69-69
    • /
    • 2003
  • Although effect of TGF$\beta$$_1$ on preimplantation embryo development was reported at mice, little information relevant to this subject is known in bovin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GF$\beta$$_1$, and TGF$\beta$$_1$ receptors type I and II expression, known as important factors in the embryo development, at unfertilized oocytes and fertilized embryos that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be compared to NT embryos. We postulated that TGF$\beta$$_1$ may have a beneficial effect on the preimplantation embryo and show different expression patterns as embryo stages change. We have used immunocytochemistry to investigate the presence in unfertilized oocytes and preimplantation embryos of TGF$\beta$$_1$ and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TGF$\beta$$_1$ signalling pathway, TGF$\beta$$_1$ receptors type I and II. We found that both receptors, as well as TGF$\beta$$_1$, were present in the unfertilized oocytes. This indicates that TGF$\beta$$_1$, is a maternally expressed protein. At the morulae and blastocyst stages the TGF$\beta$$_1$ receptor type II was not present, but the TGF$\beta$$_1$ receptor type I was present at both stages and we can confirm the TGF$\beta$$_1$ expression of high level at 8-cell stage. These findings support our hypothesis that the TGF$\beta$$_1$, and TGF$\beta$$_1$ receptors may interact with the oocyte and preimplantation embryo, and that TGF$\beta$$_1$ signalling may be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oocyte and the preimplahtation embryo.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mitochondrial DNA in porcine-mouse cloned embryos

  • Hyeonyeong Shin;Soyeon Kim;Myungyoun Kim;Jaeeun Lee;Dongil Ji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4호
    • /
    • pp.767-778
    • /
    • 2023
  • The aim of the research is to identify that porcine oocytes can function as recipients for interspecies cloning and have the ability to develop to blastocysts. Furthermore each mitochondrial DNA (mtDNA) in interspecises cloned embryos was analyzed. For the study, mouse-porcine and porcine-porcine cloned embryos were produced with mouse fetal fibroblasts (MFF) and porcine fetal fibroblasts (PFF), respectively, introduced as donor cells into enucleated porcine oocytes. The developmental rate and cell numbers of blastocysts between intraspecies porcine-porcine and interspecies mouse-porcine cloned embryos were compared and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performed for the estimate of mouse and porcine mtDNA copy number in mouse-porcine cloned embryos at different stages.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al rate or total blastocyst number between mouse-porcine cloned embryos and porcine-porcine cloned embryos (11.1 ± 0.9%, 25 ± 3.5 vs. 10.1 ± 1.2%, 24 ± 6.3). In mouse-porcine reconstructed embryos, the copy numbers of mouse somatic cell-derived mtDNA decreased between the 1-cell and blastocyst stages, whereas the copy number of porcine oocyte-derived mtDNA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is period, as assessed by real-time PCR analysis. In our real-time PCR analysis, we improved the standard curve construction-based method to analyze the level of mtDNA between mouse donor cells and porcine oocytes using the copy number of mouse beta-actin DNA as a standard. Our findings suggest that mouse-porcine cloned embryos have the ability to develop to blastocysts in vitro and exhibit mitochondrial heteroplasmy from the 1-cell to blastocyst stages and the mouse-derived mitochondria can be gradually replaced with those of the porcine oocyte in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s of mouse-porcine cloned embryos.

재래산양의 체세포 핵이식에 의한 복제수정란의 체외발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 Vitro Development of Cloned Embryos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in Korean Native Goats)

  • 박희성;김태숙;정수영;이윤희;정장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5-112
    • /
    • 2005
  • 본 연구는 재래산양에서 복제 수정란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체세포 핵이식을 실시하여 공핵세포의 종류, 핵이식란의 활성화 처리 방법 및 수핵난자의 조건이 체외발달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검토하여 핵이식란 생산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공핵세포의 종류에 따른 핵이식란의 체외발달율은 융합이 이루어진 핵이식란의 활성화 처리 후 분할율은 귀 유래 섬유아세포를 공핵세포로 사용하였을 때가 $40.5\%$로서 태아 유래 섬유아세포를 공핵세포로 사용하였을 때의 $55.5\%$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상실배 또는 배반포기로의 발달율도 각각 $6.7\%$$16.0\%$로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핵이식란의 활성화 방법에 따른 체외발달율은 ionomycin+6-DMAP 처리를 하였을 때 분할율은 $79.0\%$로서 전기자극을 주었을 때의 $9.5\%$보다는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상실배 또는 배반 포기로의 발달율도 ionomycin+6-DMAP 처리를 하였을 때는 $15.6\%$가 발달하였으나, 전기 자극을 주었을 때는 4-세포기 이후로의 발달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체세포 핵이식란은 단위발생란에 비하여 분할율$(66.1\%\;vs\;59.18\%)$ 및 상실배 또는 배반포배로의 발달율$(19.0\%\;vs\;0.0\%)$이 유의적 (P<0.05)으로 낮았다. 단위발생란의 분할율은 체내 성숙난자에서 $86.8\%$로서 난포란의 $69.0\%$보다는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단위발생란의 상실배 또는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에 있어서도 체내 성숙난자$(50.0\%)$가 난포란$(23.6\%)$보다 유의적 (p.<0.05)으로 발달율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재래산양의 체세포를 이용한 복제수정란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난자 확보를 위한 과배란처리 방법의 개선, 난포란의 이용효율 개선 및 활성화 처리방법 등이 확립되어야 하며, 후기배로의 발달율 향상을 위해서는 최적의 체외 배양조건 확립이 시급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우 체세포를 이용한 핵이식에서 전기융합 방법이 융합율 및 배발달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ic fusion Methods on Cell Fusion Rate and Embryo Development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in Korean Native Cattle(KNC))

  • 김은국;김정욱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1-178
    • /
    • 2003
  • 복제수정란 생산에 있어서 수핵란 내 체세포 주입 후 전기적인 융합은 필수과정인데, 이 과정을 거치는 동안 많은 수의 체세포 주입 난자가 융합에 실패하거나 lysis가 일어나게 된다. 본 실험에서는 한우 체세포를 이용하여 핵이식을 실시한 후 수핵세포질과 응합을 시도할 때 전기융합 방법에 따른 융합율과 배발달율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여세포는 한우 귀 세포조직을 채취하여 0.05% trypsin과 EDTA가 첨가된 D-PBS로 세포를 분리한 후 DMEM 배양액으로 계대배양을 실시하여 사용하였다. 핵이식을 위하여 체외성숙시킨 난자를 탈핵용 micro pipette을 이용하여 투명대를 절개하고 수핵 난자의 극체 와 핵을 제거한 후 공여세포를 주입하였으며, 핵이식 수정란은 직접, 간접적인 전기적 자극으로 융합을 실시한 후 calcium iono-phore와 6-DMAP를 이용하여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활성화된 수정란은 38.5$^{\circ}C$, 90% $N_2$, 5% $CO_2$로 조정된 배양기에서 처음 3일은 0.3% BSA가 첨가된 CR1-aa 배양액에서, 배양 4일째부터는 10% FBS가 첨가된 CR1-aa 배양액에서 배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기자극 융합방법에 따른 수핵난자의 융합율과 lysis율은 electric chamber를 이용하여 간접융합을 실시하였을 경우 51.6%와 10.7%를 보였고, needle을 이용하여 직접 융합을 실시하였을 경우 68.9%의 융합율과 11.5%의 lysis율을 보임으로써 needle을 이용한 직접융합 방법이 유의적으로 높은 융합율을 보였다(P<0.05). 융합 후 체외 발달과정을 살펴보면 난할율에 있어서 needle을 이용했을 시 80.3%로 chamber를 이용했을 시 73.2%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난할율을 보였다. 초기배 발달단계인 2∼4세포기의 발달율 역시 needle을 사용한 구가 61.1%로 chamber를 사용한 구 54.1%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차이를 보였다. 상실배 단계는 chamber를 사용한 구가 6.7%로 needle을 사용한 구 6.2%보다 약간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이식 가능한 단계인 배반포배 발달율에 있어서는 needle을 사용하여 융합을 시도한 구가 26.3%로 chamber를 사용한 구 18.4%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발달율을 보였다(P<0.05). electric chamber를 이용하여 전기융합을 시도시전류가 흐르는 wire와 주입된 체세포가 직각을 이루도록 정렬을 시키느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주입한 체세포가 세포질과 떨어진 난자는 전기자극을 주어도 융합이 일어날 수 없으며, 높은 전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융합된 복제란의 lysis가 많이 발생하는게 가장 큰 단점으로 꼽을 수 있다. 하지만 미세조작기와 needle 방법을 이용하면 낮은 전압을 이용하여 융합을 시도하기 때문에 복제란의 lysis를 줄일 수 있고, 전극과 체세포 주입란을 정렬시키는 과정이 생략되어 시간이 절약되며, 결정적으로 주입된 체세포가 세포질과 떨어져 있더라도 미세조작기로 약간의 압력을 가하여 전기자극을 가할 수 있어서 보다 높은 융합율과 배반포배 발달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needle을 이용한 직접적인 전기융합 방법이 체세포 복제수정란 생산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햄스터난자에서 신전에 의해 활성화되는 통로의 성상 (Characterization of the Stretch-Activated Channel in the Hamster Oocyte)

  • 김양미;홍성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9-99
    • /
    • 2004
  • 음압에 의한 세포막 신전으로 열리는 Stretch-activated channel(SAC)은 세포의 부피조적, 세포의 분화, 혈관 긴장도의 조절, 호르몬 분비 조절에서 SAC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patch clamp기법을 시행하여 SAC의 조절기전과 전기생리학적인 성질을 조사하였다. 음압이 주어지기 전에는 관찰되지 않던 단일통로 전류가 -20 cm$H_2O$이하의 음압이 주어졌을 때 관찰되었다. 음압에 의해 열리는 단일통로 전류는 $Na^+$이나 $K^+$과 같은 일가 양이온이 존재할 때 관찰되었으나 대신 비투과성인 tetramethylamonium이나 meglumine과 같은 양이온으로 교환해 주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이 단일 통로 전류가 양이온만을 투과시키는 nonselective cationic channel(NSC)을 통하여 이동하는 stretch-activated NSC(SA-NSC)임을 시사하였다. 이 SA-NSC 전류는 적혈구나 양서류 난자에서 관찰된 SAC의 전류-전압 관계와 유사한 inward rectification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PKA에 의하여 통로활성이 증가하였다. 햄스터 난자에서 관찰되는 SA-NSC는 수정 전부터 2-세포 배아기까지 관찰되었으며 통로전류의 크기는 수정란과 1-세포기 배아에서 가장 크게 관찰되었으며 2-세포기 배아에서는 그 크기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햄스터 난자의 발생 초기 단계에서 전기생리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처음으로 SA-NSC존재를 직접 확인하였다. 세포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이 통로의 일반적인 속성으로 미루어 보아, 햄스터 난자의 수정 전후 난자의 활성과 초기 배아 분화 및 발달에 필수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1.50개였다. 또한 배란된 성숙난자의 채란 율은 각각 70.2, 74.7 및 54.3%로서 41~50시간째에 회수하였을 때가 가장 낮았다. 두당 회수율에 있어서도 8.25${\pm}$1.34, 8.87${\pm}$1.10 및 5.00${\pm}$1.30개로서 회수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회수한 난포내 미성숙 난자의 등급에 있어서 회수시간대별 1등급은 각각 24.2, 19.5 및 12.0%였으며, 2등급의 경우는 41~50시간이 4.0%로서 29~34시간과 35~40시간의 14.4% 및 16.2%보다 유의적(P<0.05)으로 낮았다. 난자의 pH 조절과 용적조절과 같은 생리적 환경 조성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았으며, 난포내 난자의 회수율은 투여 호르몬 및 반복사용 여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떤 특정한 질환의 환자가 상대적으로 많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국내에서의 소아 신질환의 발병형태를 보다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자료화하기 위해서는 개별 기관들의 연구결과만으로는 미흡하다고 생각되며, 이를 위해서는 전국적인 협동조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9%$, 좌측 $22.2{\pm}3.9%$, 전체 $44.2{\pm}7.8%$보다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1). 4) 양측성 미만성 결손을 보인 급성 신우신염시 상대적 신섭취율은 우측 $48.9{\pm}1.9%$, 좌측 $51.0{\pm}1.9%$로 대조군의 우측 $49.4{\pm}2.6%$, 좌측 $50.2{\pm}2.5%$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절대적 신섭취율은 우측 $18.1{\pm}3.9%$,

돼지 난자의 직경이 체외성숙 및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Porcine Oocyte Diameter in Relation to Maturational and Development Competence)

  • 정기화;허태영;곽대오;박충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22
    • /
    • 1999
  • 도축장에서 채취한 돼지난자를 직경별로 $5\mu\textrm{m}$ 간격으로 나누어, 난자의 크기에 따른 체외성숙과 발육능을 구명코자 체외성숙과 체외수정 후의 배 발달율을 조사하였다. 채취한 난자의 투명대를 제외한 평균직경은 $114.4\pm5.45\;\mu\textrm{m}$ 이었으며, 직경별 분포는 < 105, 105~110, 110~115,115~120, 120~125, $125\;\mu\textrm{m}$<이 각각 3.0, 11.0, 31.2, 41.5, 13.0 및 0.4%로 72.7%가 110부터 $120\;\mu\textrm{m}$ 사이였다. 체외성숙율에 있어서 직경 $105\;\mu\textrm{m}$ 미만난자는 66.7%인 반면 $105\;\mu\textrm{m}$ 이상의 난자는 91.8~100%로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체외수정율도 직경 $105\;\mu\textrm{m}$ 미만인 난자는 50% 이었던 반면, $105\;\mu\textrm{m}$이상은 8106~85.5%로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다정자침입율에 있어서 $110\;\mu\textrm{m}$이상의 난자는 17.8~27.7%로 $105~110\mu\textrm{m}$ 의 37.5% 보다 낮았다. 난자의 직경별 배반포기까지의 발달율은 $105\;\mu\textrm{m}$ 이하는 전혀 발달하지 않았고(0%), $105~110\mu\textrm{m}$는 701%, $110~11\;5\mu\textrm{m}$ 12.5%, $115~120\; \mu\textrm{m}$ 24.0%, $120~125\; \mu\textrm{m}$ 18.3%, $120\; \mu\textrm{m}$<0%로, $115~120\; \mu\textrm{m}$ 직경난자의 체외발달율이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돼지의 체외수정용 나자는 직경 $110\; \mu\textrm{m}$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재래산양의 비번식기에 과배란 처리에 의한 난자 회수와 단위발생란의 체외발달 (Effect of Non Breeding Season on Oocyte Recovery from Superovulated Korean Native Goats)

  • 윤윤진;박희성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24
    • /
    • 2013
  • 본 연구는 연중 비번식기에도 효율적인 재래산양 난포란의 확보가능성을 검토하고자 비번식기에 과배란 처리를 실시하여 체내 성숙난자 및 난포란을 회수하였으며, 회수란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체외발달율을 조사하였다. 비번식기에 과배란 처리에 의한 배란점은 각각 $13.9{\pm}6.5$개로서, 번식의 $13.0{\pm}3.8$개와 차이가 없었다. 난관에서 외과적 관류방법으로 체내성숙난자를 회수하였을 회수율은 43.9%로서 번식기의 67.1%보다 낮았다(p<0.05). 공란 산양 두당 회수 난자수는 비번식기가 $5.9{\pm}5.2$개로서, 번식기의 $8.8{\pm}3.2$개보다 적었다. 공란 산양으로부터 체내 성숙난자 회수 후 난소의 난포로부터 주사기로 흡입하여 채란 시에 공란 산양 두당 난포수는 비번식기가 $5.8{\pm}4.6$개로서 번식기의 $7.5{\pm}3.9$개보다 적었으며(p<0.05), 회수율은 각각 68.7 및 54.7%로서 차이가 없었다. 공란 산양 두당 회수난자 수도 $3.9{\pm}3.2$$4.1{\pm}3.4$개로서 차이가 없었다. 회수한 난포란의 등급도 비번식기와 번식기간에 차이가 없었다. 비번식기에 회수한 체내성숙 난자를 단위발생을 유도하였을 때 분할율은 76.4%로서 번식기의 83.6%와 차이가 없었으며,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은 비번식기가 23.8%로서 번식기의 43.5%보다 유의적(p<0.05)으로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