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 hydrolysis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7초

Hydrolysis of Empty Fruit Bunch of Oil Palm Using Cellulolytic Enzymes from Aspergillus terreus IMI 28243

  • Kader, Jalil;Krishnasamy, Getha;Mohtar, Wan;Omar, Othm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514-517
    • /
    • 1999
  • Hydrolysis of EFB (empty fruit bunch) derived from oil palm was studied using crude enzyme from Aspergillus terreus IMI 282743 along with commercial enzymes from Trichoderma reesei and Aspergillus niger. Hydrolysis at $40^{\circ}C$ and $50^{\circ}C$ with $\alpha$-cellulose or EFB gave significantly lower yield when commercial enzymes of T. reesei and A. niger were used and the hydrolysis time extended beyond 10 h. After 24 h of hydrolysis at $40^{\circ}C$ and $50^{\circ}C$, the filter paper activity (Fpase) from A. terreus retained as much activity as A. niger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 reesei. Glucose concentration of 0.25% and 0.5% caused significant inhibition in the crude enzyme, but in regards to the commercial enzymes it only showed a slight effect. Crude enzymes from A. terreus could produce the highest reducing sugars when compared to commercial enzymes from T. reesei or A. niger. Nevertheless, low yield of sugar was observed for EFB for all treatments.

  • PDF

물고기 기름의 가수분해에 대한 수학적 모형개발 (Development of Mathematical Model for the Hydrolysis Fish Oil)

  • 김원호;이용훈;박지숙;허병기
    • KSBB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106-111
    • /
    • 2005
  • 물고기 기름을 구성하고 있는 15종류 지방산에 대한 mol수와 가수분해 시간 사이의 함수관계를 대수함수식, $S_i=-{\alpha_i}1n(t)+{\beta_i}$로 나타내었다. 동일 가수분해 시간에서 각 지방산에 대한 대수함수식의 $S_i$ 값과 실측치 사이의 오차가 15 종류 지방산 모두에 대하여 $5\%$ 이내에 분포되었다. 각 지방산의 mol수 $S_i$와 가수분해 시간 사이의 대수함수식으로부터 각 지방산에 대한 가수분해 반응속도를 지방산 mol 수의 지수함수 관계식, $v_i={\gamma_i}exp(\frac{S_i}{\alpha_i})$로 유도하였다. 또한 유도된 $S_i$와 t 사이의 함수관계식으로부터 물고기 기름을 구성하는 15 종류 지방산 각각에 대한 가수분해율을 분석하였다. 가수분해 시간 48시간에서 가수분해율이 $70\%$ 이상인 지방산은 C14:0, C16:0, C18:0, C16:1, C18:1(n-7) 및 Cl8:1(n-9)이였으며, 가수분해율이 $40\%$ 내지 $60\%$ 사이에 분포되어 있는 지방산은 C20:1, C22:1, C18:3, C18:4, C20:4 및 C20:5이였으며, 가수분해율이 $30\%$ 내외인 지방산은 C2l:5와 C22:5이였으며, $20\%$ 이하인 지방산은 C22:6이였다.

In Vitro Digestion에서 팜핵경화유와 시어버터 혼합 비율에 따른 가수분해율 변화 (Change of Hydrolysis Rate on Hydrogenated Palm Kernel Oil and Shea Butter Blendings Using In Vitro Digestion System)

  • 이현화;신정아;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205-1215
    • /
    • 2017
  • 본 실험은 가공식품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는 식용유지인 hydrogenated palm kernel oil(HPKO)과 대칭형 triacylglycerol(TAG)로 주로 구성된 shea butter 및 두 유지의 blends를 대상으로 가수분해율을 비교하여 어떤 특성이 가수분해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녹는 온도가 서로 유사한 HPKO와 shea butter의 blending 비율을 다르게 할 경우 in vitro digestion에 의한 가수분해율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Shea butter의 complete melting point는 $34.5^{\circ}C$였으며, HPKO는 $39.5^{\circ}C$였다. In vitro digestion 실험 결과 shea butter blending 비율이 높아질수록 가수분해율이 낮아졌으며 2:8, 1:9(HPKO : shea butter) blending 유지는 shea butter와 비슷한 가수분해율을 보였다. HPKO에서 유래된 medium chain triacylglycerol(MCT)로 이뤄진 medium-medium-medium(MMM)은 가수분해율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shea butter에서 유래하는 long chain fatty acid로 구성된 saturated-unsaturated-saturated(SUS)나 saturated-saturated-unsaturated(SSU)는 유지의 가수분해와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또한, HPKO에서 유래된 lauric acid, myristic acid와 palmitic acid는 TAG 내 위치에 상관없이 함량이 높아질수록 가수분해율이 높아졌으며, shea butter에서 유래되고 비교적 탄소수가 긴 oleic acid의 경우 분포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유지 내 함량이 많을수록 가수분해율이 낮아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반면 stearic acid의 경우에는 sn-1, 3에 위치한 함량에 따라 가수분해가 저해되는 경향을 보였다. 인체 내에서의 소화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많은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단편적으로 어떤 유지 특성들이 가수분해율에 영향을 미치는지 단언할 수 없다. 그런데도 본 실험에서의 결과는 난 소화성 유지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고, 식품 산업에 이용될 때 영양학적으로 유익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lkaline Protease에 의한 닭 간 단백질의 분해 (Alkaline Protease Hydrolysis of Chicken Liver for Food Utilization)

  • 이근택;박숙영;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5-30
    • /
    • 1991
  • 영양학적으로 매우 우수한 부존자원이라 할 수 있는 닭 간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alkaline protease로 가수분해 시켰다. 가수분해시 최적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온도, 시간, pH 및 효소 첨가량(E/S ratio)의 조건을 검토하고 수분과 기름의 흡수성, 유화활성, 점도등의 기능성을 조사하였으며 냄새와 색에 대한 관능검사를 시행하였다. Alkaline protease로 닭 간 단백질을 가수분해 시켰을 때 온도 $60^{\circ}C$, pH8.0에서 최대활성을 나타내었고, 효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가수분해도는 증가하였다. 수분과 기름의 흡수성은 수분 흡수성에 있어서 0시간에서만 낮은 값을 보여주었고 반응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점도는 증가하였다. 가수분해 1/2시간에서 유화활성도는 가장 낮았고 수분흡수력은 높았으며 1시간 이후에는 시료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동결건조된 닭 간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냄새와 색깔에 대한 관능평가에서는 별차이가 없었으나 색깔에서는 밝기와 붉은색에서 유의성이 있었으며 가수 분해는 닭 간의 밝기를 증가시키면서 녹색을 약간 있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환경인자가 리파제의 가수분해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Hydrolysis Characteristics of Lipase)

  • 박건규;김은기;허병기
    • KSBB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511-516
    • /
    • 1999
  • 유지의 가수분해시, 반응온도, 금속이온, pH, 교반속도, 물-유지의 무게비 및 효소량 등의 환경 및 조성인자가 효소 Lipase-OF의 역가 및 가수분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융점이 낮은 유지의 경우 Lipase-OF의 활성이 가장 높은 온도는 37$^{\circ}C$ 근방이었으나 융점이 4$0^{\circ}C$ 이상의 온도 범위에서는 유지의 종류에 관계없이 온도가 상승하면 Lipase-OF의 활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65^{\circ}C$ 이상에서는 효소의 활성이 정지되었다. 교반속도를 150, 250, 350, 450, 550 및 650 rmp으로 변화시켜가면서 유지의 가수분해실험을 수행하여 350 rpm 이하에서는 교반속도가 상승하면 가수분해율도 상승하였으나 교반속도 350 rpm 이상에서는 교반속도 상승에 대한 가수분해율의 변화를 찾아볼 수 없었다. 유지와 물의 무게비를 9 : 1에서 1 : 9까지 변화시켜가면서 가수분해실험을 수행하여 일정한 가수분해 시간에서 가수분해율이 가장 높은 무게비가 1 : 1 근방의 값임을 규명하였다. 금속 이온 중 $Ca^{2+}와\;Mg^{2+}$ 이온이 가수분해율 상승에 기여하였다. 금속이온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Ca^{2+}$또는 $Mg^{2+}$ 이온 농도가 100 ppm 근방의 값일 때 2 내지 3%의 가수분해율 증가효과를 나타내었다. Lipase-OF에 대한 최적 pH는 7근방이었다. pH가 산성쪽으로 감소하면 가수분해율도 감소하였으며 알칼리쪽으로 증가하여도 가수분해율이 감소하였다. 기질의 0.00075 wt% 와 0.1 wt% 범위내에서 Lipase-OF량이 가수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효소량 0.013 wt% 이하에서는 효소량이 증가하면 가수분해율도 증가하였으나 0.013 wt% 이상에서는 효소량이 증가하여도 가수분해율은 증가하지 않았다. Lipase-OF의 가수분해율에 미치는 환경 및 조성인자의 영향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최적온도는 37$^{\circ}C$, 최적 pH는 7, $Ca^{2+}\;또는\;Mg^{2+}$의 최적농도는 100 ppm, 최적교반속도는 350 rpm, 유지와 물의 최적무게비는 1 : 1 및 최적 효소량은 유지의 0.013 wt%임을 규명하였다.

  • PDF

생분해성 유류고형화제의 제조와 효소에 의한 생분해 특성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Oil Gelling Agent and Biodegradation Characteristics by Enzyme)

  • 김정두;유수용;이민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0호
    • /
    • pp.973-978
    • /
    • 2005
  • Biodegradable oil gelling agent was prepared, and their oil absorption capacities using light oil, lubricant oil and corn oil were investiga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oil absorption capacity was depended on the amount of surfactant and starch added, and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light oil, lubricant oil and corn oil. Also, the oil-absorption capacity was saturated within 30 min at $18^{\circ}C$. The biodegradability of the prepared biodegradable oil gelling agent was also studied by determination of reduced sugar produced after enzymatic hydrolysis. Their surface morphologies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biodegradable oil gelling agent were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respectively.

Aspergillus oryzae 유래의 리파제 Lipolase-100T에 의한 물고기 기름의 가수분해 특성 규명 (Investigation of the Hydrolysis Characteristics of Fish Oil by Means of Aspergillus oryzae Lipase Lipolase-100T)

  • 우동진;조귀준;허병기
    • KSBB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259-263
    • /
    • 1999
  • 물고기 기름에 대한 Aspergillus oryzae 유래의 Lipolase-100T의 가수분해 특성을 규명하였다. Lipolase-100T는 트리글리세라이드의 1과 3의 위치에 작용하여 이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아실 체인을 유리지방산으로 가수분해시키는 1,3-위채특이성을 보였다. 또한 Lipolase-100T는 물고기 기름을 구성하는 다중불포화지방산 보다 포화지방산을 쉽게 가수분해시키는 특성도 나타내었다. 이 특성으로 인하여 가수분해 시간에 따라서 생성되는 글리세라이드 혼합물내의 다중 불포화 지방산중 n-3 PUFAs인 C16:4, C20:5 및 C22:6의 농도는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C22:6의 농도증가가 가장 뚜렷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물고기 기름을 구성하는 n-3 PUFAs는 트리글리세라이드의 2번 위치에 결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방산의 결합위치특이성과 Lipolase-100T 1,3-위치특이성으로 인하여 Lipolase-100T를 반응물의 0.4 wt%사용하여 물고기 기름을 120시간 가수분해 시켰을 때 생성된 글리세라이드 혼합물내의 n-3 PUFAs농도는 50 wt%까지 상승하였다.

  • PDF

튀김과정에서의 Silicone oil의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Silicone oil in Deep Fat Frying Process)

  • 원미량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13-221
    • /
    • 1981
  • This theiss deals with the effects of addition of silicone oil to the polymerization and oxidation of frying oil in the practical deep fat frying process. The measurement of frying oil stability was carried out under various silicone oil content and compared with controlled frying process. In controlled frying process A.V., C.O.V., TBA, and contents of petroleumether insoluble fatty acids were increased as time was increased. It means thermal oxidized polymerization and hydrolysis of frying oil was occurred. When silicone oil was added to frying oil, it's thermal stability was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led oil and the degree of thermal stability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silicone oil. We obtained the highest degree of thermal stability when silicone oil was added 1ppm.

  • PDF

pH-Stat Digestion Model에서 카카오 추출물이 Oil과 Emulsion의 가수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cao Extract on Hydrolysis of Oil vs. Emulsion in pH-Stat Digestion Model)

  • 이지현;신정아;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33-541
    • /
    • 2016
  • 페놀화합물의 함량이 높다고 알려진 카카오(powder)로부터 카카오 추출물(CE)을 획득한 후, CE가 pancreatic lip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과 CE를 함유한 emulsion의 aging에 의한 가수분해율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두 가지 형태의 기질을 사용한 pH-stat digestion model을 이용하였다. Type I 의 경우 소화액에 CE와 콩기름을 첨가하여 emulsion을 제조하였으며 aging time(0, 5, 24시간)에 따른 가수분해 변화를 살펴보았다. CE를 첨가하였을 때의 가수분해율은 CE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CE가 pancreatic lipase 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aging time이 지남에 따라 CE를 첨가하였을 때와 CE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가수분해율 모두 감소하였다. 이는 CE의 영향보다는 aging time이 길어짐에 따라 emulsion의 안정도가 낮아져 지방구 크기가 증가하여 가수분해율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생각되고, 따라서 이 모델에서는 CE에 의한 가수분해 저하가 크지 않았다. 한편 type II의 경우 먼저 콩기름과 CE, Tween 20를 혼합하고 고압균질기를 사용하여 micro-emulsion을 제조한 후, 이를 기질로 하여 aging time(0, 2, 4, 7, 18, 43일)에 따른 가수분해율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aging time에 따라 CE를 첨가하지 않은 control과 CE를 첨가한 CE-emulsion의 가수분해율이 감소하였는데, 특히 control보다 CE-emulsion이 더 많이 감소하여 43일에는 control의 ${\Phi}$ max가 92.13%(0일, 96.53%)였으나 CE-emulsion은 77.69%(0일, 97.91%)를 보이면서 CE-emulsion의 가수분해 반응이 control에 비해 낮았다. 다른 kinetic parameter(k value, $t_{1/2}$ 등)에서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계내에서 리파제의 반응동력학 (Kinetics of Lipase Reactions in Two Phase System)

  • 권대영;이준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8-103
    • /
    • 1987
  • 이상계를 이용해서 올리브유를 가수분해하는 데 있어서, 리파제의 반응동력학을 검토했다. 반응계는 Candide rugosa와 Rhizopus arrhizus 리파제를 수용액상에 녹이고 기질인 올리브유를 유기용매인 이소-옥탄에 녹여서 서로의 계면에서 효소반응이 일어나는 이상계 반응이다. 각각의 리파제에 대해서 이소-옥탄에 올리브유를 여러 농도로 녹여서 유지 분해속도를 측정함으로써 리파제의 반응 동역학을 보았다. 이상계 내에서 반응 속도 방정식은 일반 효소의 속도 방정식의 Michaelis-Menten식을 따르지 않았다. 이 결과는 이상계에서 유기용매내의 올리브유의 농도가 계면면적의 변화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비롯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올리브유의 농도가 계면면적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가정한 식에 변형을 가해서 새로운 식을 유도했다. 이 식은 특히 올리브유가 낮은 농도에서 심하게 Michaelis-Menten 식에서 벗어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