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bstructive sleep apnea

검색결과 323건 처리시간 0.023초

Associations between obstructive sleep apnea and painful temporomandibular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 Kang, Jeong-Hyun;Lee, Jeong K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8권5호
    • /
    • pp.259-266
    • /
    • 2022
  • The relationship between obstructive sleep apnea (OSA) and diverse types of pain conditions have been proposed. However, no consens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SA and painful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s) has been established. Therefore, this systematic review has been conducted to review the existing literatures and provide comprehensive synthesis of such literatures about OSA and painful TMDs using the evidence-based methodology.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two electronic databases, Scopus, and PubMed. Risk of bias was assessed using the risk-of-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y version 2.0. A total of 158 articles were screened from the initial search and eventually, 5 articles were included in this systematic review. One study adopted both the longitudinal prospective cohort and case-control designs and other 4 articles adopted the cross-sectional design. Two studies employed polysomnography (PSG) for the diagnosis of OSA and mentioned the results from the PSG. All cross-sectional studies demonstrated higher OSA prevalence among patients with TMD, and one cohort study suggested OSA as a risk factor for TMD. OSA appears to have potential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TMD; however, the role of TMD in the development of OSA remains to be unknown owing to the lack of high-quality evidences.

Nasal Breath in the Lateral Position for Sleep Apnea: a Retrospective Case Series

  • Kim, Ho-Sun;Kim, Tae-Hun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18
    • /
    • 2014
  • Objectives: This was a retrospective case series about the clinical effect of integrated approach with behavior therapy for obstructive sleep apnea (OSA). Methods: Medical records of twelve patients with OSA who were treated with behavior modification including nasal breathing with oral appliances and sleep in lateral position, oral administration of herbal medicines and acupuncture treatment between January and September of 2013 were reviewed. Apnea-hypopnea index (AHI), day time sleepiness, apneas and hypopneas counts during sleep, risk indicator (RI), oxygen desaturation index, average saturation during sleep, lowest desaturation, lowest saturation, snoring events ratio and number of desaturations (%)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reatments with the ApneaLink device, which is a portable diagnostic apparatus for monitoring airflows of the patient's breath at home. Results: After an average 62.67 (SD 37.16) days of treatment, AHI (from 17.67, 12.79 to 8.75, 8.25, p=0.007), RI (from 22.00, 13.26 to 12.09, 8.03, p=0.004), oxygen desaturation index (from 17.33, 12.17 to 8.17, 7.86, p=0.005), and number of desaturations (from 7.00 times, 9.79 to 0.92 times, 1.39, p=0.044)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Daytime sleepiness improved from 6.5 (3.2) to 3.8 (1.8)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reatment (p=0.17). No adverse events related to treatment were observed during participation in the treatment. Conclusion: From this case series, we found that behavior modification with herbal medication and acupuncture may be effective for improving sleep apnea without serious adverse events. Futu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ith larger sample size will be necessary for concrete evidence on the benefit of this integrated treatment for OSA.

전신성 고혈압을 동반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에서 각성시와 수면중의 혈장 Catecholamines 농도 변화 (The Changes of Plasma Catecholamines Concentration during Waking and Sleep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tients with Systemic Hypertension)

  • 문화식;노대근;최영미;김영균;김관형;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4호
    • /
    • pp.600-612
    • /
    • 1996
  • 연구배경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은 수면장애와 관련된 여러가지 임상증상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수면중에 발생하는 심한 환기장애는 심혈관계에 영향을 미쳐 이들 환자의 장기 사망율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흔히 동반될 수 있는 심혈관계 합병증으로 심부정맥, 전신성 고혈압 및 폐동맥 고혈압등이 있다. 특히 전신성 고혈압과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과의 연관성을 입증하기 위한 많은 역학적 연구에 기초하여 최근에는 연령, 비만등과 함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이 전신성 고혈압 발생의 독립적 위험인자로 인식되는 경향이다. 현재까지 병태생리학적 기전에 관한 정설은 확립되지 못한 실정이지만 이들 환자에서 예측되는 교감신경계 활성도의 만성적 증가가 전신성 고혈압 발생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저자들은 전신성 고혈압이 동반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들과 혈압이 정상인 환자들 및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각성시와 수면중에 각각 혈장 Catecholamines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함으로서 이들 환자에서 전신성 고혈압의 동반이 교감신경계 활성도의 변화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전체 수면기간동안 실시한 수면다원검사에서 정상소견을 보였고 혈압이 정상인 대조군 13명과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으로 확진된 전체 환자군 35명(전신성 고혈압이 동반된 환자군 14명과 혈압이 정상인 환자군 21명)을 대상으로 각성시와 수면중의 혈장 norepinephrine(NE)과 epinephrine(EP)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수면중 호흡 장애의 정도, 전신성 혈압 및 혈장 NE와 EP농도 상호간의 관련성을 관찰하였다. 결 과 : 대조군,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으로 진단된 전체 환자군 덴 혈압이 정상인 환자군에서는 NE와 EP의 혈장 농도가 각성시에 비해 수면중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던 반면 전신성 고혈압이 동반된 환자군에서는 각성시와 수면중에 측정한 NE와 EP 혈장 농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들은 각성시와 달리 수면중에는 전신성 고혈압의 동반 여부에 관계없이 NE 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반면 EP농도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신성 고혈압의 동반 여부에 따라 분류한 각각의 환자군에서 각성시와 수면중에 측정한 NE와 EP 혈장 농도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신성 고혈압이 동반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군에서 수면중 혈장 NE 농도는 수축기 혈압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또한 수축기 혈압은 수면중 동맥혈 평균산소포화도 및 최저산소포화도와 역상관관계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결 론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들은 정상인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수면중에 교감신경계 활성도가 증가하고, 이들 환자들 중 전신성 고혈압이 동반된 환자들에서는 정상인 및 전신성 고혈압이 동반되지 않은 환자들과 달리 각성시에 비해 수면중에도 혈장 NE와 EP 농도가 감소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수면중의 저산소증과 교감신경계 활성도의 증가가 전신성 혈압의 변화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이들 환자에서 자율신경계 특히 교감신경계의 활성도가 병태생리학적으로 재조정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전신성 고혈압의 발생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무호흡증 환자를 위한 시스템구현 (Implement the system for apnea patient)

  • 예수영;엄상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67-26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어레이 형태로 제작된 압력센서(FSR402)를 이용하여 누워있는 환자의 자세를 판별하였고, air cylinder를 릴레이보드로 제어하여 실린더 상단에 연결된 침대를 상승, 하강 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자세를 변화 시켜 수면 중 환자의 자세를 변환 시켜 폐쇄성 수면 무호흡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폐쇄성 수면 무호흡 측정기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bstructive Sleep Apnea Meter)

  • 백정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393-394
    • /
    • 2014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으로 인한 수면 중 잦은 각성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졸음, 피로, 집중력 저하와 같은 주간 증상을 유발하게 되어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고혈압이나 부정맥 등과 같은 심각한 심폐질환 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코골이와 달리 수면 무호흡증은 본인이나 타인에 의한 정확한 관측이나 진단이 어려워 전문병원에 입원하여 수면다원검사를 통하여 진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밀하고 응답속도가 빠른 온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호흡주기를 측정함으로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진단하고 경보를 발생하는 휴대형 수면 무호흡 측정기의 설계 및 구현 기법을 제안하였다.

  • PDF

항공업무 종사자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평가 및 치료 전략 (Strategy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of the Aviation Workers)

  • 김규성;김영효
    • 항공우주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22
    • /
    • 2018
  •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can lead to severe complications if left untreated, and therefore should be adequately diagnosed and treated, especially in airline workers. The aviation medical examiner (AME) should induce the patient to cooperat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AS, by notifying the subject that it does not cause disqualification of the air service and that it is a disease that can be sufficiently controlled and treated by various treatment options. AME should also warn about medical complications and the possibility of serious air accident risks when untreated, and encourage the subject to receive appropriate diagnosis and steady treatment such as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and/or surgical treatment.

REM 수면 의존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수면 변인에 관한 연구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M Sleep-Dependent Obstructive Sleep Apnea)

  • 이유진;이순정;강동진
    • 수면정신생리
    • /
    • 제15권2호
    • /
    • pp.77-81
    • /
    • 2008
  • 배 경:수면은 크게 비렘수면(non-REM sleep)과 렘수면(REM sleep)으로 나눌 수 있으며 렘수면 중에는 근력의 소실로 상기도 확장 근육의 긴장도가 저하되고 상기도 저항은 증가하여 무호흡증이 발생하거나 악화될 수 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자체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부분이 알려져 왔으나 렘수면에만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렘수면 의존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REM-dependent OSA)은 그 중요성이 간과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REM-dependent OSA 환자들의 임상 특성과 수면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2004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시립은평병원 수면검사실을 방문하여 경도나 중등도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받은(5$53.7{\pm}16.7$, 남성:42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REM-dependent OSA(AHIREM/AHINREM${\ge}$2) 환자군과 No REM-dependent OSA(AHIREM/AHINREM<2) 환자군의 임상적 특성과 수면 관련변인을 비교하였다. 통계분석은 Statistica 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 과:대상군 56명 중 21명(37.5%)가 REM-dependent OSA으로 진단되었다. 두 군사이의 연령, 성별, BMI (Body Mass Index)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별, 연령, BMI, PLMI를 통제한 후, 수면 관련 변인 중 REMdependent OSA 환자군에서 AHI(Apnea Hypopnea Index), ODI(Oxygen Desaturation Index)가 유의하게 낮았다($12.1{\pm}6.4$ vs. $35.9{\pm}24.7$, p=0.010; $6.0{\pm}5.3$ vs. $24.0{\pm}20.4$, p=0.006, respectively, ANCOVA). REMdependent OSA 환자군에서유의하게 높은 2단계 수면이 관찰되었다($58.5{\pm}10.3$ vs. $51.2{\pm}13.2$, p=0.031, ANCOVA). REM-dependent OSA군으로 대상군을 한정하였을 때, 성별, 연령, BMI, PLMI를 통제한 후, 렘수면중 AHI는 전체 수면중 AHI, 비렘수면중 AHI, ODI와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720, p=0.001;r=750, p=0.001;r=0.749, p=0.001, partial correlation, respectively).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 중 37.5%를 REM-dependent OSA 환자로 진단할 수 있었다. REM-dependent OSA 환자는 더 경한 정도의 수면 무호흡증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으며, 2단계 수면 분율의 증가 같은 수면구조의 변화와 연관되어 있었다. 또한, 렘수면중의 무호흡은 산소포화도 저하와 연관되어 있었다.

  • PDF

Polysomnographic Assessment of Nocturnal Enuresis in Adults: A Case Study of Parasomnia Overlap Syndrome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 Jiyeon Moon;Wooyoung Im;Hyeyun Kim
    • 정신신체의학
    • /
    • 제31권2호
    • /
    • pp.173-175
    • /
    • 2023
  • Enuresis nocturia is more prevalent in children than in adults. Using polysomnography (PSG), we investigated the causes of adult enuresis nocturia in a 20-year-old female patient with nighttime bedwetting. In spite of normal urological examinations, her detailed medical history disclosed frequent sleep paralysis and urination during dreams. During PSG, two electromyograms were attached to her anus to assess the tone of her bladder's sphincter while she slept. During REM sleep, the EMG tone of the mandible decreased, but the anal and bladder sphincter tones did not. The polysomnogram revealed moderate obstructive sleep apnea. Consequently, she was diagnosed with adult parasomnia (nocturnal enuresis) overlap syndrome with OSA. This study demonstrates the value of PSG with simultaneous anal tone EMG for diagnosing NREM parasomnia and nocturnal enuresis.

수면무호흡을 가진 성인환자들의 주요인자 진단을 위한 융합 심박변이도 해석 (A Convergence HRV Analysis for Significant Factor Diagnosing in Adult Patients with Sleep Apnea)

  • 김민수;정종혁;조영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87-392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폐쇄성수면무호흡환자들의 수면단계, AHI, 연령대 간 심박변이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수면무호흡 성인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시간영역 및 주파수 영역에서 심박변이도의 주요 파라메타를 평가하였다. 비 램수면 단계는 3개 그룹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AHI 등급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검증되었다. NN50(p=0.043), pNN50(p=0.044), VLF peak(p=0.022) 및 LF/HF(p=0.028) 매개변수들은 대조군에서 수면무호흡증환자의 R-R 간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수면무호흡 환자들의 비 램수면(수면2단계)과 램수면 사이의 LF/HF(p=0.045)과 HF power(p=0.0395)파라메타들은 대조군 그룹에서 통계적 유의하였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폐쇄성 수면무홉증환자들의 AHI, 수면단계 및 연령이 심박변이도 상관관계를 이해하는데 근거를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