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ak forest

검색결과 411건 처리시간 0.02초

장마철 표고(Lentinula edodes) 재배사내 발생 유해 진균류의 동정 (Identification of fungal species in oak mushroom cultivation houses during the rainy season)

  • 정상욱;장은경;최선규;이원호;반승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6-70
    • /
    • 2021
  • 표고 재배사내 진균류의 발생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골목에서 발생한 진균류를 분리·동정하고 재배사내 온·습도 환경을 분석하였다. 표고골목에서 발생한 진균을 분석한 결과 Cladosporium sp., C. cladosporioides, C. anthropophilum, Pleosporales sp., Trichoderma harzianum, Acremonium sp. 6종으로 확인되었다. 재배사내 환경을 조사한 결과는 5월 1일부터 10월 12일 사이에 재배사내 최고·저 온도가 14.0~30.1℃, 평균습도는 82.8%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표고 재배과정 중 진균류의 발생이 활발한 초여름부터 가을철 사이에 철저한 재배관리가 중요하며, 한번 발병한 진균류는 연중 재배사내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전에 유해 진균류 발생에 유리한 생육환경을 예방해야 한다.

Voluntary Intake,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Fed Forest By-product Silage, Oak Leaf Hay and Commercial Mixed Ration

  • Jeon, B.T.;Moon, S.H.;Lee, S.M.;Kim, K.H.;Hudson, R.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5호
    • /
    • pp.702-705
    • /
    • 2003
  • Forest by-product silage (FPS) comprised of foliage, shrubs, and wild grasses was prepared to examine feeding value as sole roughage source for spotted (sika) deer. This diet was compared with imported oak leaf hay (OLH) and a commercial mixed ration (CMR) in digestion balance trials with spotted deer. Dry matter intake was highest (p<0.05) on the OLH, whereas intakes of the FPS and CMR were similar (p>0.05). Digestibility of dry matter was highest (p<0.05) for CMR.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was highest in CMR and lowest in OLH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among diets. Average daily gain, digestible dry matter intake and digestibility of crude fibe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diets. Nitrogen intake, urinary and digestible nitrogen were highest (p<0.05) in CMR. However, nitrogen reten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sequently, FPS is a good roughage source for deer having high digestibility, dry matter intake and availability of nitrogen.

도입수종(導入樹種) Picea abies와 Quercus borealis의 묘생장량(苗生長量) (Growth Performance of Picea abies and Quercus borealis Seedlings)

  • 이상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3-35
    • /
    • 1977
  • 한독산림경영사업기구(韓獨山林經營事業機構) 양산사업소(梁山事業所) 묘포장(苗圃場)(경남(慶南) 양산군(梁山郡) 하북면(下北面) 순지리)에서 양묘(養苗)한 2개(個) 산지(産地)의 독일 가문비 1-1묘(苗)와 red oak 1~0묘(苗)의 묘고(苗高)를 특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Fichtel산지(産地)의 독일가문비가 Harz의 것에 비해 묘고성장(苗高成長)이 우수하였으며 Harz산(産)의 묘고성장(苗高成長) Fichtel 것의 70%에 불과 하였다. 2. 그러나 반복(反復)에 의(依)한 분산(分散)은 Harz의 것보다 Fichtel의 것이 크게 나타났다. 3. Red oak 1-0의 묘고성장(苗高成長)은 빠른 것으로 보인다.

  • PDF

지리산국립공원 내 조릿대 임분의 수원함양기능 분석 (Analysis of Water Retention Capacity at Sasa borealis Stands in Jirisan National Park)

  • 지형우;박재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1
    • /
    • 2008
  • Although landslides were frequently occurred under Tripterygium regelii and Rubus sp. vegetations, the damage of landslide was not observed in sasa (Sasa borealis) stands. These phenomena may be affected by forest vegetation types.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landslide occurred in Jirisan (Mt.) National Park may be closely related to water retention capacity at Sasa borealis stand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of each soil horizon of sasa, larch (Larix leptolepis) and mongolian oak (Quercus mongorica) stands. Soil bulk density in A horizon was lower in sasa (0.776g/$cm^3$) than in mongolian oak (0.828g/$cm^3$) and in larch stands (1.282g/$cm^3$). Water permeability in A horizon was 0.02055cm/sec for sasa, 0.00575cm/sec for mongolian oak, and 0.0007cm/sec for larch stands, respectively. The water permeability of sasa stand was about 3.6 times and about 29 times higher than in mongolian oak and in larch stands, respectively. This result indicates that water infiltration of soil surface during a rain event is more rapid in sasa than in other two stands. Soil organic matter content in B horizon was lower in larch (0.7%) than in mongolian oak (6.5%) and in Sasa (3.3%) stands. The solid ratio in A horizon was highest in larch among three stands, but that of mongolian oak and larch stands showed a similar rate. Pore space rates was 70.7% for A horizon and 70.6% for B horizon of sasa, 68.9% for A horizon and 70.6% for B horizon of sasa, 68.9% for A horizon and 70.6% for B horizon of mongolian oak forests and 51.7% for A horizon and 49.2% for B horizon of larch forests, respectively. According to pore space rates,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may be poor in larch stand compared with other two stands. Soil strength in sasa and mongolian stands was over 25kgf/$cm^2$ from 40cm depth, while the strength was over 25kgf/$cm^2$ from 25cm depth in larch stand. The result indicates that tree growth and water permeability in larch stand could be limited due to high soil strength. Larch stand was poor for soil pore space development to be offered to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but water retention capacity of A horizon soil in sasa stand was high than that of other two stands. Therefore, establishment of sasa stand under larch stand could help to prevent landslides.

루브라참나무림과 레시노사소나무림의 토양 질소 무기화에 있어서 개벌의 영향 (Clearcutting Effects on Soil Nitrogen Mineralization in Quercus rubra and Pinus resinosa Stands)

  • 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198-206
    • /
    • 1995
  • 이 연구는 루브라참나무림과 레시노사소나무림의 질소 무기화율이 개벌후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토양상층부 15cm에서의 질소 무기화율이 비닐주머니에 토양을 배양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1991년과 1992년 임목 생장 기간 동안(5월-10월) 조사되었다. 두 임목 생장 기간 동안 추정된 참나무림의 질소 무기화율은 개벌 처리구 67kg/ha, 무처리구 30kg/ha였고, 소나무림은 개벌 처리구 27kg/ha, 무처리구 13kg/ha였다. 총 질소 무기화율은 항상 참나무림이 소나무림보다 높았다. 배양전과 한달 배양후 토양으로부터 질산태 질소는 소나무림의 개벌 처리구에서 검출된 반면(두임목 생장 기간동안 평균 질산화율 : 3.3kg/ha), 두 임분의 무처리구와 참나무림의 개벌 처리구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들은 두 임분내 이용 가능한 질소량에 상당한 증가가 개벌후 발생하였으며, 낮은 질산화율은 이 임분들에 질소 보유를 위한 중요한 작용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팔영산지구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Paryeongsan (Mt.) Zone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 강현미;최송현;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3-486
    • /
    • 2013
  • 본 연구는 2011년 국립공원으로 편입된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팔영산지구의 식생구조와 식생천이계열을 파악하기 위하여 75개의 조사구(단위면적 $100m^2$)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분석 중 TWINSPAN기법을 이용하여 군락을 분리한 결과, 상수리나무군락(I), 졸참나무-개서어나무군락(II), 소나무-신갈나무군락(III), 굴참나무군락(IV), 리기다소나무-굴참나무-소나무군락(V), 편백림(VI)으로 구분되었다. 군락 I, II는 낙엽성 참나무류가 서로 경쟁하거나 개서어나무 등과 경쟁하여 향후 낙엽활엽수림으로의 천이가 예측되며, 군락 III, V는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 등이 낙엽성 참나무류와 경쟁하여 향후 낙엽성 참나무류로의 천이가 예상된다. 군락 IV는 굴참나무가 우점하나 아교목층에서 난온대 수종인 후박나무가 높은 비율로 출현해 점차 후박나무의 세력 확장이 예측된다. 군락 VI은 편백 조림지로 수관층에 편백만이 우점하여 당분간 편백림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편백림은 국립공원의 편입취지에 맞게 편백을 간벌하여 천연림으로 갱신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난온대 기후대에 속하는 팔영산지구에서 출현한 난온대수종은 후박나무, 사스레피나무, 보리밥나무 등 총 9종이었다.

표고 폐골목으로 제조한 목질보드의 성질 (Properties of Wood-Based Board Prepared with Bed-Logs Decayed by Oak Mushroom(Lentinus edodes))

  • 최용순;황원중;한태형;김남훈;권진헌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38-144
    • /
    • 1998
  • 표고폐골목의 재활용을 목적으로 폐골목과 정상재의 칩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목질보드의 성질을 조사, 검토하였다. 그 결과 폐골목의 목섬유는 정상재보다 다소 짧고 표면이 거철었으며 폐골목 변재부의 밀도는 정상재에 비해 상당히 낮았다. 파티클보드의 두께 팽윤율 및 파괴계수의 시험결과 폐골목을 25-50% 정도 혼합한 경우는 정상재와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폐골목은 파티클보드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고 정상재와의 혼합비율은 25~50% 범위에서 조정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집재기계의 견인저항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ctive Resistance Prediction of Logging machine)

  • 오재헌;차두송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62-73
    • /
    • 2001
  • 본 연구는 지면끌기집재에 사용되는 기계에 의해 견인되는 견인목의 견인저항을 예측하기 위해 견인목의 중량, 견인저항계수, 지면의 경사 등의 함수로 표현된 수학적 모델들을 개발하였다. 또한 만능재료시험기와 토양조를 이용한 실험실조건에서 4개 수종(잣나무, 일본잎갈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의 견인저항계수를 산출하였다. 산출한 견인저항계수와 가상 조건을 이용하여 개발된 3가지의 수학적 견인저항 모델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견인목 중량에 대한 견인저항력의 비(T/Wt)는 지면의 경사가 증가할수록 전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반지면끌기집재가 지면끌기집재보다 견인저항력이 더 작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집재작업기계의 선정과 집재윈치의 동력요구량 산정엔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숯 합지 및 내첨지의 가스흡착 성능 (Charcoal Application to Paper and Analysis of Gas Absorption Capability)

  • 고재형;정진모;민경은;이동녕;박종문;김병로
    • 펄프종이기술
    • /
    • 제40권1호
    • /
    • pp.29-34
    • /
    • 2008
  • The charcoal has been used not only as fuel but also as human health care material since it was used. Charcoal's performances were generally investigated in aspects of energy efficiency and caloric valu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crease charcoal's application area and to develop functional paper. Five types of charcoal were used on a basis of gas absorption properties from previous study. Handsheets were made by two methods by internal loading and surface spray on interlayer. Strength properties of internal loading and interlayer spray handsheets were decreased as the charcoal loading increased. Ethylene gas absorption property was higher in both of oak's black charcoal and white charcoal than others. In terms of strength, 5-10% charcoal loading was efficient. Above 10% loading, a rate of strength decrease was higher than that of ethylene gas absorption rate. Formaldehyde absorption property was higher at both of oak's black charcoal and mixed charcoal than others. However, to guarantee enough charcoal loading should be higher than 95 $g/m^2$ for sufficient formaldehyde absorption.

상수리림 부식층으로부터 방향족 화합물 분해세균의 분리 및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bacterial populations and isolation of aromatic compounds utilizing bacteria from humus layer of oak forest)

  • 한송이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75-18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상수리림 부식층으로부터 방향족 화합물(리그닌 polymers) 분해세균을 분리하여 계통학적 특성을 밝히고, pyrosequencing 계통분석을 통해 부식층 내 주요 세균군집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방향족 화합물(p-anisic acid, benzoic acid, ferulic acid 및 p-coumaric acid)을 이용하는 세균 42균주를 분리하여 16S rRNA 계통해석한 결과, Rhizobium, Sphingomonas, Burkhorlderia, Pseudomonas 계통군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방향족화합물 분해세균 중 Burkhorlderia 계통군은 전체 분리균주의 83%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부식층시료로부터 7,862개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얻었으며, 유의성 97% 수준에서 1,821 OTUs와 다양성 지수 6.76가 확인되었다. 상수리림 부식층 내 세균군집은 총 22개 문(phylum)으로 구성되었으며, 주요 세균군집으로 확인된 ${\beta}$-proteobacteria 계통군은 Burkholderia, Polaromonas, Ralstoria, Zoogloea, Variovorax를 포함하는 15개 속으로 세분류 되었다. 이들 세균 중 약 50%가 Burkholderia 속으로 확인되었다. 상수리림 부식층 내 우점군집으로 밝혀진 Burkholderia 계통군은 산림 생태계에서 리그닌 분해 대사 과정에 중요한 미생물생태학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