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ak fermented sawdust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206초

Development and oviposition characteristics of Protaetia brevitarsis (Coleoptera: Cetoniidae) by additional feeding Korean black raspberry marc and blueberry marc

  • Lim, Ju-Rak;Moon, Hyung-Cheol;Park, Na-Young;Lee, Sang-Sik;Kim, Woong;Choi, Chang-Hak;Kim, Hee-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4권2호
    • /
    • pp.44-54
    • /
    • 2022
  • The food source of white-spotted flower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is important to economical performance. The P. brevitarsis larva were feed by mulberry and oak fermented sawdust. The effect of additional additives, Korean black raspberry (called bokbunja) marc and blueberry marc to fermented sawdust feed on the development and oviposi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periods of P. brevitarsis was decreased from 165.7 d to 40.0 d (mulberry sawdust) and 169.3 d to 39.0 d (oak sawdust), but the survival rate of larva was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Korean black raspberry marc to fermented sawdust. However, blueberry marc addition to the fermented sawdust did not significant effect on the development period and survival rate of P. brevitarsis. The percentage of larva weight over 2.5 g was tend to increase by addition of Korean black raspberry marc and/or blueberry marc. The number of oviposition was also tend to increase by adding additional feed to sawdu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The effect of sawdust fermentation period and storage period after sawdust fermentation on the development of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 Ju-Rak Lim;Sang-sik Lee;Eun-Jin Lee;Woong Kim;Chang-hak Cho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8권1호
    • /
    • pp.33-41
    • /
    • 2024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wdust fermentation period and storage period after fermentation on development as food for P. brevitarsis larvae, individual and group breeding were conducted on berry sawdust and oak sawdust. In individual breeding, the growth period of P. brevitarsis larvae was reduced by 12 days from the 60-day fermentation of berry sawdust to the 40-day fermentation of berry sawdust, 30 days from the 90-day fermentation of oak sawdust, and the weight of the larvae was the heaviest. In group breeding, the time it takes for P. brevitarsis larvae to change from 1st to 3rd instar is about 30 days after hatching from 60-day fermentation of berry sawdust, while 90-day fermentation of oak sawdust took more than 60 days, so the growth speed was fast and the survival rate was good. The results of the farmhouse demonstration test were the same trend, and it was judg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produce P. brevitarsis larvae with berries fermented sawdust, and it would be 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y. In addition, for both individual and group breeding, the growth period of P. brevitarsis larvae was longer as the storage period was longer, the weight of the larvae decreased, and the survival rate was no different. The development period of P. brevitarsis larvae was the longest in the storage period of 18 months for berries fermented sawdust, and the storage period of oak fermented sawdust was longer in the storage period of 12 months and 18 months. Therefore, considering the results of individual breeding and group breeding, the fermentation period was appropriate for 60 days for berries sawdust, and the storage period for berries sawdust was stable from 0 to 12 months, and 0 to 6 months for oak sawdust.

Effects of diets added with mulberry cake on development and oviposition of white-spotted flower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Coleoptera: Cetoniidae)

  • Moon, Hyung-Cheol;Lim, Ju-Rak;Park, Na-Young;Chon, Hyong-G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9권2호
    • /
    • pp.60-66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and oviposition characteristics of Protaetia brevitarsis fed mulberry fermented sawdust added with mulberry cake. The results of rearing of P. brevitarsis larvae on oak fermented sawdust and mulberry fermented sawdust added with different ratio of mulberry cake, the development periods of larvae feed sawdust with mulberry cake were about 41.6~48.5 days and shortened by 117 or more than that without treatment. The development periods were shorter as the ratio of mulberry cake added increase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kind of sawdust. But the weight of the larvae raised in mulberry fermented sawdust added with mulberry cake was heavier than that of the larvae raised in oak fermented sawdust added with mulberry cake. When mass rearing P. brevitarsis larvae in oak fermented sawdust, the addition of 5% mulberry cake was appropriate. Also, the average number of laying eggs of female who fed diet with mulberry cake was 12.3% higher than that of untreated.

The Fruiting Body Formation of Oudemansiella radicata in the Sawdust of Oak (Quercus variabilis) Mixed with Rice Bran

  • Shim, Jae-Ouk;Chang, Kwang-Choon;Kim, Tae-Hyun;Lee, Youn-Su;Lee, U-Youn;Lee, Tae-Soo;Lee, Min-Woong
    • Mycobiology
    • /
    • 제34권1호
    • /
    • pp.30-33
    • /
    • 2006
  • To screen additives and their mixed ratio suitable for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formation of Oudemansiella radicata in the oak sawdust, additives such as rice bran, fermented soybean powder and wheat bran were used. Generally, the mycelial growth of O. radicata has been stable on oak sawdust mixed with rice bran of $5{\sim}20%$. In case that O. radicata was cultured for about 30 days at $22{\pm}1^{\circ}C$ under the illumination (350 lux) of 12 hours and moisture condition of $90{\pm}5%$, the primordia have been formed gradually from red-brown crusts covering the surface of oak sawdust media.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from 9 strains of O. radicata, fruiting bodies were produced widely on oak sawdust medium mixed with rice bran of 5 to 30%. Even though fruiting bodies of O. radicata have been produced well on oak sawdust media mixed with rice bran, fruiting bodies of O. radicata were produced intensively on oak sawdust media mixed with rice bran of 10%. Therefore, this result will provide a basic information for commercial production of fruiting body of wild O. radicata. This result is the first report associated with an artificial fruiting body formation of O. radicata in Korea.

베리류 발효톱밥 종류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 발육 및 산란 특성 (Development and Oviposition Characteristics of Protaetia brevitarsis (Coleoptera: Cetoniidae) fed with Fermented Sawdust from Different Berries)

  • 임주락;문형철;박나영;이상식;이은진;남준희;김웅;최창학;김희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377-385
    • /
    • 2022
  • 뽕나무, 복분자, 블루베리의 전정 가지 대부분은 버려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 버려지는 전정 가지를 활용하여 흰점박이꽃무지의 사육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발육 및 산란 특성을 조사하였다. 베리류 발효톱밥을 먹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육 기간은 뽕나무 발효톱밥 157.3일, 복분자 발효톱밥 130.3일, 블루베리 발효톱밥은 140일로 참나무 발효톱밥 169.3일에 비하여 짧아지고, 유충 무게가 증가하였으며, 생존율이 높았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집단 사육시 2.5 g 이상인 유충 비율은 3종류의 발효톱밥 모두 6주에서 8주사이에 60% 이상인 반면 같은 기간에 참나무 발효톱밥은 10% 이내였고, 10주가 지나야 2.5 g 이상인 유충의 비율이 높아졌다. 흰점박이꽃무지의 평균 산란수는 80개 이상으로 평균 산란기간은 9주정도 소요되었지만, 개체당 편차가 커서 유의차는 없었다. 3종류의 베리류 발효톱밥은 서로 혼합하여 사용해도 참나무 발효톱밥에 비해 유충 발육속도가 빠르고, 산란수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흰점박이꽃무지를 사육하는데 있어서 베리류 발효톱밥이 참나무 발효톱밥에 비하여 효과적으로 추정된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발육에 적합한 베리류톱밥 발효기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uitable Fermentation Period of Berry Sawdust for the Development of Protaetia brevitarsis Larva)

  • 임주락;이상식;이은진;김웅;최창학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183-191
    • /
    • 2023
  • 베리류톱밥 발효기간중 톱밥내 온도변화와 발효기간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발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참나무톱밥에 비해 발효속도가 빠르고, 발효기간 50~70일이 유충 발육에 가장 적합하였다. 발효기간중 톱밥내 온도변화는 발효초기에 베리류톱밥이 참나무톱밥이 40℃이하로 경과한데 반하여 베리류톱밥은 60℃ 이상 고온으로 경과되면서 빠르게 발효가 되었고, 60일 이내에 안정화 되었다. 개체사육에서 발효기간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총 발육기간은 베리류톱밥은 30일간 발효에서 104.8일로 가장 길고,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50~90일 발효는 90일 정도로 차이가 없었다. 참나무톱밥도 베리류톱밥과 마찬가지 경향이나, 유충 발육기간이 30일정도 길었다. 유충 령기별 발육기간은 베리류톱밥과 참나무 톱밥에서 차이가 컸고,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톱밥 발효기간에 따른 유충 무게는 베리류톱밥과 참나무톱밥 모두 발효기간이 긴 90일 발효에서 가장 가볍고, 발효기간 30~70일 발효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생존율은 개체사육에서는 95% 이상으로 발효기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집단사육에서는 개체사육보다 생존율이 낮고, 발효기간 90일에서 가장 낮았다. 집단사육에서 출하기준인 2.5 g 이상 유충 비율은 베리류톱밥 발효기간 30~70일까지는 85% 정도로 차이가 없었지만, 발효기간 90일에서는 70%로 낮고,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참나무톱밥도 마찬가지 경향이며, 베리류톱밥에 비해 10%정도 낮았다. 또한, 베리류톱밥은 40~60일이면 유충의 무게가 2.5 g 이상이 되었고, 참나무 발효톱밥은 75~105일이 걸렸다.

잎새버섯 봉지재배시 적정 배지량 및 발효톱밥 첨가효과 (Determination of Proper Amounts of Media and Effects of Fermented Sawdust Addition on Yields of Grifola frondosa in the Bag Culture)

  • 이재홍;문윤기;정태성;최준근;박영학;김경희;유영복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79-183
    • /
    • 2012
  • 잎새버섯 적정 배지량 구명시험에서 배지량별 균사배양 소요일수는 1kg 30일, 2kg 39일, 2.5kg 42일 및 3kg 45일로서 배지량이 많을수록 배양일수가 늘어났고, 수확 소요일수 또한 93일에서 104일로 늘어났다. 수량에서는 1kg 봉지에서는 103.3g, 2kg 봉지 227.2g, 2.5kg 봉지 245.5g, 그리고 3kg 봉지 312.0g으로 배지량이 증가할수록 수량이 증가하였다. 잎새버섯 발효톱밥 첨가효과 구명시험에서 균사배양 소요일수는 발효톱밥을 첨가한 처리에서 4~7일 정도 빨랐고, 수량은 발효 참나무톱밥을 첨가한 처리에서 함박 1kg 봉지당 145.2g, 잎새1호 121.2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효활엽수 톱밥 첨가율에 따른 시험관칼럼배지를 이용한 균사생장속도조사에서는 발효활엽수 톱밥을 60%까지 증가시켰을 경우 생장속도가 점점 빨라졌으며, 80% 첨가에서는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느타리 톱밥종균 배지조성에 따른 생산성 비교 (Comparison in the productivity of Pleurotus ostreatus sawdust spawn based on the medium composition)

  • 최종인;최준영;김정한;구옥;김연진;하태문;정구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13
    • /
    • 2021
  • 느타리 종균배지재료인 미송톱밥과 미강을 대체할 수 있는 재료를 선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톱밥의 pH는 4.9~6.1, 총질소함량은 0.21~0.26%, 총탄소함량은 49.0~50.2%를 나타내며 조지방은 0.3~0.7%를 함유하고 있다. 종균 혼합배지의 pH는 5.3~5.9, 총질소함량은 0.65~1.11%, 총탄소함량은 47.0~49.1%를 나타내었다. C/N율은 총질소 함량이 낮은 미루나무톱밥 혼합배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단백질 함량은 미송톱밥이 함유되어 있는 배지에서 높게 나타났다. 느타리 균사생장은 미강보다 밀기울이 포함되어 있는 배지에서 균사생장 속도가 빨랐다. 수량은 '곤지7호', '춘추2호', '흑타리', '수한1호' 순으로 높았으며, T4(미루나무톱밥:참나무톱밥:미강) 배지에서 가장 높은 생산성을 나타내었으나 처리 간 유의성이 없었다. 느타리 농가에서는 자가종균 제조 시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미루나무톱밥, 참나무톱밥을 단용 및 혼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보관중에 품질유지가 어려운 미강 대신에 밀기울을 사용하여 종균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비지박 함유 먹이원 급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영양성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of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Fed Soybean Curd Cake)

  • 김선영;유태호;지상민;송정훈;김소윤;장규동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97-1004
    • /
    • 2022
  • 비지박을 포함하는 먹이원을 급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영양학적 우수성과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비지박 함유 먹이원과 참나무 발효톱밥만으로 사육한 유충의 영양성분과 유해물질을 비교분석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비지박 함유 먹이원을 급이한 유충(SCC)에서 50.0%로 참나무 발효톱밥으로 사육한 유충(FOS) 44.7%보다 1.1배 많았다. 다량무기질 중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낸 칼륨은 SCC (3169.6 mg/100 g)에서 FOS(1245.9 mg/100 g)보다 2.5배 더 많았다. 미량무기질 중 아연은 SCC (103.0 mg/100 g)에서 FOS (8.2 mg/100 g)보다 12.6배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유해물질 분석 결과, SCC와 FOS에서 납, 카드뮴, 비소 모두 식용곤충 중금속 기준에 적합하였고, 병원성 미생물인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은 모두 불검출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지박을 급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다양한 영양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안전성 또한 검증되었으므로 식용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체 먹이원으로 한약재 부산물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al medicine by-products on the larval growth of white-spotted flower chafer(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 김미혜;박장우;김미정;박정준
    • 환경생물
    • /
    • 제37권1호
    • /
    • pp.60-6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 부산물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먹이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영양성분 함량, 중금속 함량, 유충의 생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먹이원의 영양성분을 비교한 결과, 조섬유를 제외한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함량이 미발효, 발효조건 한약재 부산물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조단백질의 함량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먹이원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약재 부산물의 카드뮴, 납, 수은 등의 중금속 분석 결과, 모두 불검출로 먹이원으로써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먹이원에 따른 생육 비교에서는 참나무 발효톱밥을 급이한 대조구와 한약재 부산물을 급이한 실험구는 1~3주차까지 큰 차이가 없다가 4주차 유충의 중량이 대조구는 0.137 g, 실험구는 0.671 g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기 시작했다. 한약재 부산물 첨가별 급이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중량을 비교한 결과 7주차에서 HMB40이 가장 높은 중량을 보였다. 통계분석 결과 5주차의 HMB40, HMB80의 각각의 중량과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식용곤충의 출하시기를 3령 유충으로 보았을 때 5주차에 이미 출하시점에 도달했음을 의미하며, 이는 HMB40, HMB80 조건의 급이가 가장 효율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