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ylon powder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2초

건고추의 감마선 조사 후 저장 중 수분활성과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s in Water Activ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Dried Red Pepper during Post Irradiation Period)

  • 권중호;이기동;변명우;최강주;김현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58-1063
    • /
    • 1998
  • 감마선 조사에 의한 건고추와 고춧가루의 위생화 및 장기저장을 위한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면서, 감마선 조사후 저장조건 별 시료를 대상으로 수분활성과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건고추의 부위별 일반 성분 조성에서 수분함량은 과피 21.75%와 씨 9.30%였고, 조지방 함량은 과피 7.20% (신선물 기준)와 씨 22.50%였으며, 일반성분은 감마선(max. 10 kGy) 조사에 의해서도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건고추와 고춧가루는 PE (0.1 mm)/폴리마대 및 nylon $15\;{\mu}m/PE\;100\;{\mu}m$에 각각 포장하였을 경우 실온$(3{\sim}30^{\sirc}C,\;RH\;50{\circ}95%)$ 저온$(5{\sim}10^{\circ}C)$에 각각 9개월간 저장 하여도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Aw)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건고추의 주요 지방산은 $8{\sim}9$종으로 linolen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nic acid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히 고추씨$(84{\sim}85%)$에는 과피$(73{\sim}76%)$에 비해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매우 높아았으나 감마선 조사 직후나 6개월 간 저장된 시료에서도 지방산 조성에는 뚜렷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 PDF

저장중 호박분말의 카로테노이드 색소 변화 (Changes of Carotenoids of the Pumpkin Powder during Storage)

  • 박용곤;강윤한;이병우;석호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2-36
    • /
    • 1997
  • 열풍건조한 호박분말을 2$0^{\circ}C$에서 1개월 저장하였을 때 저장 초기 총 카로테노이드 함량이 14.46mg%이던 것이 저장 1개월후 빛의 유무에 관계없이 약 65~70% 감소하였으며, TLC 분리에서 빛의 영 향에 관계없이 5개 의 반점으로 분리되었으나 저장시일의 경과에 따른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차이를 구별하기는 어려웠다. HPLC에서 lutein의 경우 빛을 조사한 분말은 저장 15후 부터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고, 빛을 차단한 분말은 1개월간 함량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lycopene은 모두 저 장 말기까지 거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beta$-Carotene 의 경우 빛을 조사한 처리구가 15일경부터 그 함량이 감소한 반면 빛을 차단한 분말은 저장말기에 가서야 감소하였으며, $\alpha$-carotene은 저장 전 기간을 통해 두 처리구 모두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색도조사에서 황색 도인 b값은 두처리구 모두 저장 10일 이후부터 감소하 였으나 빛 차단구의 경우가 그 감소폭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어린 감 과실 분말 첨가가 쌀쿠키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oung persimmon fruit powder on rice cookie quality)

  • 성종환;박한솔;정헌식;김동섭;김한수;이영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060-1066
    • /
    • 2017
  • 어린 감 과실의 활용과 쌀쿠키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밀가루나 글루텐 무첨가 쌀쿠키의 품질특성에 어린 감 분말의 첨가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쌀쿠키는 쌀가루 대비 감 분말을 0, 1.5, 3, 6 및 12%를 각각 첨가하여 반죽을 한 다음 두께 3 mm 직경 35 mm 원판으로 성형한 후 $170-180^{\circ}C$ 오븐에서 굽고 그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손실률과 퍼짐성 지수는 감 분말첨가량에 따라 증가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는 감 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높아짐을 나타내었다. 색도 $L^*$값과 $a^*$값은 감 분말 첨가량의 증가와 함께 증가됨을 보였다. 총페놀 함량과 DPPH 유리기 소거능은 감 분말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DPPH 유리기 소거능은 첨가량 3%에서 큰 폭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따라서 어린 감 과실 분말첨가가 쌀쿠키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확인되었고, 쌀쿠키의 일반 품질특성 저하 없이 항산화능 증대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감 분말의 첨가량은 3% 정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노 섬유를 혼합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미세구조와 강도에 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Strength and Microstructure of Hardened Cement Pastes Including Nanofibers)

  • 응유옌 트리;김정중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2호
    • /
    • pp.177-18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페이스트에 혼합된 나노 섬유가 경화된 시멘트페이스트의 압축강도와 인장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2종류의 나노 섬유를 사용하였다. 나일론 66 나노 섬유와 카본 나노 튜브로 보강된 나일론 66 나노 섬유를 전기방사로 제작하여 시멘트 파우더에 각각 혼합하였다. 물-시멘트비 0.5의 시멘트 페이스트 시편을 제작하고 28일간 양생하였다. 실험 결과, 나노섬유의 혼합이 시멘트 페이스트 시편의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나노 섬유의 보강 매카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 전계방사 투과전자 현미경(FE-TEM) 분석 및 열 중량 분석(TGA)을 수행하여 나노섬유를 포함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미세 구조를 분석하였다.

화장품용 분체의 분쇄방식에 따른 특성연구 (Th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Cosmetic Powder by Using Various Grinding mill)

  • 심승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500-507
    • /
    • 2008
  • 파우더류 화장품의 제조 시 사용되어지는 분쇄기 중 스크린밀, 핀밀, 제트밀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화장품용 안료(탈크, 마이카, 나이론파우더, 실리카, 이산화티탄)를 분쇄하여 각 안료들의 분쇄 특징과 분쇄기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분쇄평가를 위해 산화철을 흔적물질로써 사용하여 실험하여 CIE LAB의 변화로써 평가하였다. 스크린밀과 핀밀의 분쇄는 박편상 분체에서는 종횡단면의 분쇄 중 종단분쇄가 더 많이 발생하고 제트밀에서는 종횡 단면의 분쇄가 모두 발생하는 것으로 사료되고 구상파우더인 나이론파우더와 실리카의 경우, 1차 입자화 혹은, 역으로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약한 응집이 나타나지만, 제트밀에서는 분쇄압력 2bar의 조건 이상에서는 나이론파우더의 합일 혹은 변형이 발생하고, 실리카는 심한 파쇄가 발생하였고, 이산화티탄은 모든 분쇄기에서 1차입자화가 되었다. 분쇄에 따른 산화철의 색상변화는 핀밀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실질적인 제품 제조 공정에서는 박편상 및 침상 원료의 사전처리 이용에는 제트밀을 이용하고, 색상 발현을 위한 분쇄, 즉 조색은 스크린밀과 핀밀을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산업적인 공정조건을 고려하면, 스크린밀은 4회 분쇄 시, 핀밀은 2회 분쇄 시, 제트밀은 1bar의 분쇄압력 조건 하에서 전반적인 분쇄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폴리머코어 게이트 크기 변화가 두께 방향 수축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polymer core gate sizes on thickness shrinkage rate)

  • 최한솔;정의철;박준수;김미애;채보혜;김상윤;김용대;윤경환;이성희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14권1호
    • /
    • pp.1-7
    • /
    • 2020
  • In this study, the variation of the shrinkag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olded parts according to the gate size of the polymer core fabricated through the 3D printer using the SLS method was studied. The polymer cores are laser sintered and the powder material is nylon base PA2200. The polymer cores have lower heat transfer rate and rigidity than the metal co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Therefore, the injection molding test conditions are set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core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The resin used in the injection molding test is a PP material. The packing condition was set to 80, 90 and 100% of the maximum injection pressure for each gate size. The runner diameter used was ∅3mm, and the gates were fabricated in semicircle shapes with cross sections 1, 2, and 3 ㎟, respectively. Thickness measurement was performed for 10 points at 2.5 mm intervals from the point 2.5 mm away from the gate, and the shrinkage to thickness was measured for each point. The shrinkage rate according to the gate size tends to decrease as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s the maximum injection pressure increases. The average thickness shrinkage rate was close to 0% when the packing pressure was 90% for the gate area of 1mm2. When the holding pressure was set to 100%, the shrinkage was found to decrease by 3% from the standard dimension due to the over-packing phenomenon. Therefore, the smaller the gate, the more closely the molded dimensions can be molded due to the high pressure generation. It was confirmed that precise packing process control is necessary because over-packing phenomenon may occur.

감마선 조사에 의한 건고추의 위생화와 장기 안전저장 (Improvement of Hygienic Quality and Long-term Storage of Dried Red Pepper by Gamma Irradiation)

  • 변명우;육홍선;권중호;김정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82-489
    • /
    • 1996
  • 건고추를 통고추와 분말고추로 구분하고 감마선 조사기법을 이용, 포장재별(통고추; PC 마대 및 PE/PC 마대, 분말고추; NY/PE - laminated film) 및 저장온도별 품질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여 위생화와 장기 안전저장성을 검토하였다. 건고추(통고추)는 실온조건에서 6개월 저장후 기존의 PC마대로 단독포장한 경우에 중량변화, 해충발생, 변색, 성분변화 등의 품질열화로 상품가치를 완전 상실하였으나, PE/PC병용포장후 5-7.5 kGy 범위의 감마선 조사는 실온에서 2년간 장기 안전저장이 가능하였다. 7.5-10 kGy 조사된 분말고추에서도 실온 및 저온($5-10^{\circ}C$)에서 2년간 저장동안 양호한 위생적,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을 유지하였다.

  • PDF

강자성-강유전성 복합체를 활용한 자기-기계-마찰전기 변환 발전소자 (Magneto-Mechano-Triboelectric Generator Enabled by Ferromagnetic-Ferroelectric Composite)

  • 임예슬;황건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7권1호
    • /
    • pp.112-117
    • /
    • 2024
  • The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is a key component for Industry 4.0, which is the network in homes, factories, buildings, and infrastructures to monitor and control the systems. To demonstrate the IoT network, batteries are widely utilized as power sources, and the batteries inevitably require repeated replacement due to their limited capacity. Magneto-mechano-electric (MME) generators are one of the candidate to develop self-powered IoT systems since MME generators can harvest electricity from stray alternating current (AC) magnetic fields arising from electric power cables. Herein, we report a magneto-mechano-triboelectric generator enabled by a ferromagnetic-ferroelectric composite. In the triboelectric nylon matrix, a ferromagnetic carbonyl iron powder (CIP) was introduced to induce magnetic force near the AC magnetic field for MME harvesting. Additionally, a ferroelectric ceramic powder was also added to the MME composite material to enhance the charge-trapping capability during triboelectric harvesting. The final ferromagnetic-ferroelectric composite-based MME triboelectric harvester can generate an open-circuit voltage and a short-circuit current of 110 V and 8 μA, respectively, which were enough to turn on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charge a capacitor. These results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MME triboelectric generator for not only harvesting electricity from an AC magnetic field but also for various self-powered IoT applications.

오미자 분말 및 추출물 첨가 설기떡의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eamed rice cake with Schisandra chinensis powder or extract added prior to storage)

  • 김대현;조정석;박정훈;김재환;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23-930
    • /
    • 2016
  • 열풍건조 오미자 분말(DP), 열풍건조 오미자 추출물(DE), 동결건조 오미자 분말(FP), 동결 오미자 추출물(FE)을 각각 1% 첨가한 설기떡을 $25^{\circ}C$에서 5일간 저장하며 이화학적 특성,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연구하였다. pH는 동결 오미자 추출물 첨가 설기떡이 4.19로 낮은 값을 나타냈으며, 대조구는 6.43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대조구는 저장기간 중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오미자 분말 및 추출물 첨가구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L^*$ value는 가공 직후 대조구의 값이 가장 높았으나, 저장기간 중 감소하였다. $a^*$ value는 동결건조 오미자 첨가구가 열풍건조 오미자 첨가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b^*$ value는 열풍건조 오미자 첨가구가 동결 오미자 첨가구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 함량 및 FRAP 활성은 동결 오미자 첨가구가 열풍건조 오미자 첨가구 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Anthocyanin 및 schisandrin은 대조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열풍건조 오미자 첨가구 보다 동결 오미자 첨가구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Schisandrin 함량은 오미자 분말 첨가구보다 오미자 추출물 첨가구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능을 고려하여 볼 때 동결 오미자 추출물을 설기떡에 첨가하면 우수한 설기떡을 제조할 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Packing Conditions on Apparent Resistivity Measurements of Polymer Powders

  • Park, K.S;S. Kawai;Kim, T.Y.;M. Yamaguma;T. Kodama;J.H Joung;M. Masui;M. Takeuchi
    • KIEE International Transactions on Electrophysics and Applications
    • /
    • 제12C권4호
    • /
    • pp.229-235
    • /
    • 2002
  • The apparent volume resistivity of powders measured by both the tapping and the compressing methods was compared in this study. Factors such as applied voltage, pressure, corona charging, and so on affecting the apparent volume resistivity of polymer powders were also examined experimentally. Powders of polyacrylonitrile and Nylon 11 were mainly used. The values of the apparent resistivity of polymer powders taken by the tapping method turned out to be larger than those taken by the compressing method, which indicates that the apparent volume resistivity of polymer powders depends strongly on the measurement method. The apparent resistivity of polymer powder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applied voltage while it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pressure, tapping time, and particle size. The influence of the moisture content of powder and corona charging on the resistivity of polymer powders is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