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tional compounds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25초

우산나물(Syneilesis palmata)의 성분 분석 (Analysis of the General Components of Syneilesis palmata Maxim)

  • 이양숙;서수정;김남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12-418
    • /
    • 2009
  • 우산나물의 식품학적 가치와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우산나물의 지상부와 뿌리에 함유된 수용성 단백질과 당, 아미노산, 무기질 그리고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지상부의 수용성 단백질은 210.36 mg%였으며 뿌리는 870.42 mg%, 환원당은 지상부 848.12 mg%, 뿌리 1,420.91 mg%, 그리고 유리당은 각각 14.85 mg%와 355.00 mg%로 뿌리의 glucose 함량이 256.25 mg%로 전체 유리당의 약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지상부에서 1,613.10 mg%으로 glutamic acid(233.24 mg%)와 lysine(211.13 mg%)을, 뿌리에서는 3,282.96 mg%로 arginine(896.32 mg%), alanine(448.37 mg%)의 함량이 비교적 많았다. 아미노산 유도체는 지상부에서 377.83 mg%였으며, 뿌리에서는 1,126.57 mg%를 함유하였다. 무기질은 지상부와 뿌리에서 각각 3,531.53과 1,878.34 mg%으로 K가 75% 이상을 함유하였으며, Ca와 Mg의 함량도 비교적 많았다. 그리고 우산나물 지상부는 1,920.00 mg%의 폴리페놀과 843.95 mg%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며 뿌리에는 각각 487.56과 91.07 mg%를 함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산나물 지상부는 뿌리보다 무기질과 폴리페놀 그리고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이 높았고, 뿌리는 수용성 단백질, 환원당과 유리당 그리고 아미노산의 함량이 지상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우산나물의 어린순만 식용하나 뿌리에서도 다량의 생리활성 물질과 영양성분을 함유하므로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콩나물제조중(製造中) 질소화합물(窒素化合物)의 변화(變化)와 그 영양학적평가(營養學的評價) - 제1보(第一報). 콩나물제조중(製造中) 질소화합물(窒素化合物)의 변화(變化) - (Changes in Nitrogen Compounds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Soybean Sprout - Part I. Changes in Nitrogen Compounds in Soybean Sprout during Culture -)

  • 양차범;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3권1호
    • /
    • pp.7-13
    • /
    • 1980
  • 콩나물제조중(製造中) 질소화합물(窒素化合物)의 변화(變化)를 알기 위하여 제조조건(製造條件)을 달리하여 콩나물을 기르는 과정(過程)에서 전질소(全窒素), 불용성단백태질소(不溶性蛋白態窒素), 수용성단백태질소(水溶性蛋白態窒素) 및 수용성비단백태질소(水溶性非蛋白態窒素)의 함량(含量)을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전질소(全窒素)의 변화(變化)는 콩나물이 자람에 따라 감소(減少)하였으며 제조온도(製造溫度)가 높을수록 더 크게 감소(減少)되어 손실량(損失量)이 더 높았다. 부위별(部位別)로는 자엽(子葉)에서는 현저하게 감소(減少)되나 배축부(胚軸部)에서는 반대(反對)로 증가(增加)되었다. 2. 불용성단백태질소(不溶性蛋白態窒素)의 변화(變化)는 제조온도(製造溫度)가 낮으면 자엽(子葉)에서 약간 증가(增加)되고 배축부(胚軸部)에서는 크게 증가(增加)되는데 온도(溫度)가 높으면 자엽부(子葉部)에서는 오히려 감소(減少)되나 배축부(胚軸部)에서는 더 크게 증가(增加)되였다. 3. 수용성단백태질소(水溶性蛋白態窒素)의 변화(變化)는 자엽부(子葉部)에서 현저하게 감소(減少)되나 배축부(胚軸部)에서는 크게 증가(增加)되였다. 4. 수용성비단백태질소(水溶性非蛋白態窒素)의 변화(變化)는 콩나물제조중(製造中) 자엽(子葉)과 배축(胚軸)다같이 증가(增加)되나 특히 배축(胚軸)에서 더 많이 증가(增加)되었고 또 온도(溫度)가 높을수록 더 크게 증가(增加)되었다.

  • PDF

Varietal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variation of rutin and quercetin in tartary buckwheat (Fagopyrum tataricum)

  • Yu, Je Hyeok;Kwon, Soo Jeong;Cho, Seong-Woo;So, Yoon-Sup;Jung, Hyun-Jin;Chung, Jong-Wook;Ma, Kyung-Ho;Son, Eun-Ho;Lee, Sok-Young;Woo, Sun-H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76-76
    • /
    • 2017
  • Buckwheat has gained scientists concern due to its nutritional and medicinal values in recent years, and many important bioactive compound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varietal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content of rutin and quercetin in Tartary buckwheat germplasm. A total of 44 foreign Tartary buckwheat germplasms were examined and compared their contents based on the collected countries, seed shape, and seed color. The highest number of germplasm (16) was found in ranged from 600 mg/100 g to 800 mg/100 g of rutin content. In case of quercetin content, the highest number of germplasm (19) was observed in ranged from 5 mg/100 g to 10 mg/100 g. However, the rutin content showed the highest value (1326.6 mg/100 g) from CBU408 and quercetin content showed the highest value (22.5 mg/100 g) from CBU456. The number of germplasm showed the highest value (23) in ranged from 3000 mg/100 g to 4000 mg/100 g of rutin content. The number of germplasm is the highest value (30) in ranged from 100 mg/100 g to 200 mg/100 g of quercetin content. When rutin and quercetin content in seed was compared according to collected countries, seed shape, and seed color respectively, no association was appeared with rutin and quercetin content. In sprout of whole Tartary buckwheat germplasm, mean of rutin content and quercetin content was 3362.9 mg/100 g and 14.2 mg/100 g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results observed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highly rutin germplasm could be used more efficiently via breeding to develop a highly rutin content variety for using in sprout. No correlation was appeared in the case of quercetin. However, the quercetin content in sprout was 4~90 times more than seed. So, sprout could be used more efficiently than seed in the case of querceti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varietal variation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 differences of rutin and bioactive compounds may provide important nutrient sources and industrial application of Tartary buckwheat.

  • PDF

돈분액비 토양침투율과 토양내 분포 특성 (Infiltration Rates of Liquid Pig Manure with Various Dilution Ratios in Three Different Soil)

  • 심호영;이교석;이동성;전대성;박미숙;신지수;이연경;구지원;김수빈;송승근;정덕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4-168
    • /
    • 2014
  • BACKGROUND: Increase in application of liquid pig manure(LPM) in agriculture as nutritional source has become a social issue due to its influence on water quality. Also, proper application methods have not been developed with respect to indigenous properties of LPM and soil physical properties. Therefore, we conducted this experiment to observe the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dissolved organic compounds of LPM in soils having different soil textures. METHODS AND RESULTS: To do this experiment, we collected three different soils and LPM. We analyze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both soils and LPM to determine the dilution ratios of LPM. The LPM diluted to 4 different ratios with distilled water was applied to the top of soil column. Infiltration rates were observed by time and depth until the amount of effluent collected from the bottom of the soil columns were stabilized while maintaining the hydraulic head 3 cm above the soil column. The results showed that infiltration rates increased with increasing dilution ratios in the order of sandy, loamy sand, and sandy loam. The time required to reach steady state was increased with decreasing sand contents clay. CONCLUSION: The size and amount of the dissolved organic compounds in LPM that can determine the efficiency as fertilizer and environmental problems as nonpoint pollution source in water quality have not been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behavior and transport of them in soil. Therefore, it requires further research how we can properly apply LPM as valuable fertilizer substitute for inorganic fertilizers.

발효 동충하초의 유용성분 및 생리 활성 작용 (Biological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rdyceps militaris Powder Fermented by Several Microscopic Organisms)

  • 안희영;박규림;윤경훈;이재윤;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7-205
    • /
    • 2015
  • 본 실험은 동충하초 분말과 8가지 균주로 각각 발효한 동충하초 분말의 혈전용해 활성, 항산화 활성, tyrosinase 저해 활성 그리고 총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미네랄 함량을 비교 검토하였다. 발효한 결과 CAo군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발효 전에 비해 가장 증가하였고, 주요 미네랄인 K, Mg, Ca, Zn 등의 함량 역시 증가하였다. 또 native-PAGE를 이용하여 발효 전과 발효 후 단백질을 비교하였을 때, CAo군에서 새로운 단백질이 관찰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는 CMp군이 다른 군에 비해 경미하게 높은 활성을 나타냈지만, 모든 군들이 합성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toluene (BHT)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보았을 때 CAo군이 C군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발효 후 번데기 동충하초의 항혈전을 비교한 결과, CAk군과 CBs군에서 큰 항혈전능을 나타내었다. 두 균주를 1%(v/w), 5%(v/w)로 접종하여 발효 시간과 발효 온도를 조정하면서 각각의 항혈전 최적 조건을 분석한 결과, CAk군과 CBs군 모두 5%(v/w)로 접종하여 $40^{\circ}C$에서 24시간 발효하였을 때 최대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번데기 동충하초는 발효 균주에 따라 건강 기능성식품의 원료 또는 혈전용해제의 원료로써 가능성을 보이며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산 녹차의 채취시기별 활성물질 및 항산화능 변화 (Changes of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Korean Green Tea (Camellia sinensis) with Different Harvesting Periods)

  • 강성구;손미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09-715
    • /
    • 2007
  • 국산 녹차의 채취시기별 주요 화학성분과 항산화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데아닌, 유리아미노산 함량과 항산화 및 라디칼 소거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중작 37.16 mg/g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세작 24.65 mg/g, 대작 23.28 mg/g, 우전 19.55 mg/g 순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는 대작이 350.83 mg%으로 중작 270.36 mg%, 세작 256.88 mg%, 우전 220.81 mg%에 비하여 비교적 높았다. Theanine과 총 유리아미노산은 우전에서 각각 14.11 mg/g, 23.62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후에 나오는 녹차는 그 함량이 점진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수확시기에 따른 항산화능을 linoleic acid peroxidation, DPPH 및 ABTS 자유라디칼 소거능으로 조사한 결과, 녹차 중 중작이나 대작에서는 높았지만, 우전과 세작은 항산화 활성과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거의 없었고, 그 환원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중작과 대작의 항산화능과 자유라디칼 소거능은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관련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GC-MS 및 HPLC를 이용한 대추발효주의 유리 아미노산 및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Free Amino Acids and Flavors in Fermented Jujube Wine by HPLC and GC/MS)

  • 전명숙;김순진;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79-784
    • /
    • 2012
  • 통대추(JW1), 대추과육(JW2), 대추과즙(JW3)에 효모를 사용하여 만든 대추발효주의 제조과정 중 유리 아미노산과 향기성분을 HPLC와 GC-MS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ysteine등 18종의 유리 아미노산이 검출 되었고 시험구별 총량은 각각 통대추구(JW1)가 141-210 ppm, 과육구(JW2)가 147-342 ppm, 과즙구(JW3)가 336-362 ppm이었다. 이 중 다량 검출된 유리 아미노산은 proline, aspartate, glutamate, arginine이었다. 한편 향기성분은 ethyl alcohol, iso-butyl alcohol, n-butyl alcohol, iso-amyl alcohol, n-amyl alcohol, phenethyl alcohol의 alcohol류 6종, ethyl acetate, hexyl acetate, ethyl caprylate, phenethyl acetate의 ester류 4종, diethylacetal, furfural, benzaldehyde의 aldehyde류 3종이 검출 되었으며 이 중 ethyl alcohol(30.50-33.95% peak area), benzaldehyde(2.55-15.97% peak area), iso-amyl alcohol(1.04-14.73% peak area), furfural(0.07-15.28% peak area), phenethyl acetate(0.78-9.28% peak area)가 많이 검출 되었다.

광 조건에 따른 식물공장 재배 쌈 배추의 기능성 성분 변화 (Variation of Functional Compounds in Leafy Chinese Cabbage Grown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in a Plant Factory)

  • 정선옥;김연미;류동기;김선주;박종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26-529
    • /
    • 2014
  • 최근 육종되어 시장에 소개된 신홍쌈 배추를 다양한 광 조건의 식물공장에서 재배하여 그 영양적 특성, 특히 기능성 물질인 phenolic compounds류의 함량을 중심으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LED 광원을 이용하였으며 LED는 적+청, 적+백, 적+청+백 세가지 조합으로 신홍쌈 재배에 사용하였고 형광등을 광원으로 이용하여 재배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LED 적+청 조건에서는 배추가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여 성분 분석연구에 사용하지 않았으며 형광등을 포함한 다른 광 조건에서는 서로 유사한 성장속도를 보였으며 정상적인 형태 및 크기로 성장하였다. Anthocyanidin 중에서는 cyanidin만이 배추 내에 축적되었으며 그 함량은 LED 조건이 형광등에 비하여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henolic acid와 flavonol의 총 함량은 광 조건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특이하게도 caffeic acid는 형광등 조건에서는 거의 축적되지 않았으나 LED 광에서는 형광등 재배 배추에 비하여 70-160배 이상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리 아미노산과 유리당의 전체 함량은 대체로 LED 광 조건에서 높게 측정되었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LED 광 중 R+W 조합이 신홍쌈의 기능성 성분 축적 및 식품적 가치상승에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Antioxidative Activity of Korean Wild Leaf Vegetables : Pleurospemum Kamtschaticum, Aderophora Remotiflor and Aster Glheni

  • Cho, Youn-Ok;Kim, Young-Nam;Ahn, Hee-Jung
    • Nutritional Sciences
    • /
    • 제4권2호
    • /
    • pp.85-9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potential of Korean wild leaf vegetables in vivo as well as in vitro. The antloxidative activities of Pleurospemum kamtschaticum, Aderophora remotiflor and Aster gfheni were evaluated as a reference for Spinacia oleracea. Fifty rats were find either a control diet or one of several vegetable diets for 4 weeks. The level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and the activity of catalase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in the liver were compared.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and triglyceride (TG) in plasma were also compared. Also, the contents of $\beta$-carotene, vitamin C, vitamin E and total phenolic compound, including flavonoid and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using linoleic acid model system, were measured in Korean wind leaf vegetables. The TBARS values of Aderophora remotiflor and Aster giheni tended to be lower than that of Spinacia olerncea. The SOD activity of Artrr glheff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pinacia oleracea and reached 265% that of the control animals,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imals and the vegetable diet animals in terms of catalase activity. Compared to the control animals, TG and TC levels were significantly solver and showed a lower artheriosclerotic index. TBA values of Pleurospemum Kamschaticum and Aderophora remptiflor were only 18% of control value. TBA value of Spinacia olerucra was 41% of control valu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erophora remotinor and Aster glheni could have antioxidative potency in vivo as well as in vitro and potential value far functional flood to improve the plasma lipid profile. flavonoid and phenolic compounds could be the major contributing factor in the antioxidative potential of Aderophora remotiflor and Aster glheni.

  • PDF

Sugar content analysis and expression profiling of sugar related genes in contrasting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cultivars

  • Shanmugam, Ashokraj;Hossain, Mohammad Rashed;Natarajan, Sathishkumar;Jung, Hee-Jeong;Song, Jae-Young;Kim, Hoy-Taek;Nou, Ill-Sup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178-190
    • /
    • 2017
  • $Fragaria{\times}ananassa$, a strawberry evolved from hybridization between F. virginiana and F. chiloensis, is a globally cultivated and consumed fruit crop valued for its flavor and nutritional value. Flavor and quality of fruits are determined by factors such as sugars and organic acids present during fruit development. These characteristics are highly subjective in different genotypes and affect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 this study, we analyzed contents of major sugar compounds including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by HPLC analysis in four cultivars namely, Maehyang, Seolhyang, Festival and Sweet Charlie. We identified 55 genes related to fructose, glucose, sucrose and soluble sugar regulation whose expression were analyzed in four cultivars at thre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fruit namely, green, white and ripened stages. Expression of these genes across these progressive fruit developmental stages varied among cultivars. Among the 55 genes, genes FaFru3, FaSuc11 and FaGlu8 revealed differential patterns of expression along developmental stages of the fruit in high and low sugar-containing genotypes, respectively and may be putative candidates for sugar content in strawberries. Expression of genes are discussed with regard to corresponding sugar content in these genotypes. Further analysis and application of these genes may be valuable in developing high sugar containing cultivars via marker-assisted bree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