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mal embryo

검색결과 428건 처리시간 0.058초

Effect of Heavy Metals on Embryonic Development in the Mussel, Mytilus galloprovincialis

  • Sung, Chan-Gyoung;Kim, Gi-Beum;Lee, Chang-Hoo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7-173
    • /
    • 2006
  • The embryos of marine bivalves have been commonly used in bioassays for quality assessments of marine environments. Although several standard protocols for the developmental bioassay of bivalves have been proposed, only a few trials for application of these protocols in environmental assessments or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protocol with Korean species have been conducted. As such, there is a strong need to establish standard bioassay protocols with bivalves commonly found in Korean waters. To determine the sensitivity of Mytilus galloprovincialis to establish a standard bioassay, their fertilized eggs were exposed to six metals (Ag, Cd, Cr, Cu, Ni, and Zn). The order of biological impact was Ag > Cu > Ni > Zn > Cr > Cd and their lowest 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were 5, 16.4, 25.4, 142, 187 and 1,500${\mu}g/l$,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normal larvae appeared to decrease linearly with the logarithm of each toxicant concentration within the tested range. The average values of median effective concentrations $(EC_{50})$ from the triplicate experiments for Ag, Cd, Cr, Cu, Ni, and Zn were 6.8, 1,797, 786, 16.6, 68.1, and 139.2${\mu}g/l$, respectively. There was a more than 100-fold difference in $EC_{50}$ values of Cu and Cd. The value of $EC_{50}$ or median lethal concentration of Cu was within the range observed for other bivalve developmental bioassays. The overall sensitivity of M. galloprovincialis in the present developmental bioassay was also similar to that of other marine organisms commonly used in aquatic bioassays (e.g. sea urchins, oysters). Hence, the bioassay using the embryo of M. galloprovincialis is considered to be a useful tool to monitor and evaluate the quality of marine aquatic environments.

  • PDF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SCNT Pig Embryos Knocked-out of Alpha-1,3-Galactosyltransferase Gene

  • Shim, Joo-Hyun;Park, Mi-Rung;Yang, Byoung-Chul;Ko, Yeoung-Gyu;Oh, Keon-Bong;Lee, Jeong-Woong;Woo, Jae-Seok;Park, Eung-Woo;Park, Soo-Bong;Hwang, Seong-Soo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3권3호
    • /
    • pp.157-162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rehen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loned embryos knocked out (KO) of $\alpha$-1,3-galactosyltransferase (GalT) gene. Immature oocytes were collected and cultured for 40 hrs (1-step) or 20hrs (with hormone) + 20hrs (without hormone) (2-step). The embryos transferred with miniature pig ear fibroblast cell were used as control. The reconstructed embryos were cultured in PZM-3 with 5% $CO_2$ in air at $38.5^{\circ}C$ for 6 days. To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blstocysts, TUNEL and quantitative realtime RT-PCR were performed. The embryos were transferred to a surrogate (Landrace) at an earlier stage of the estrus cycle. The matur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2-step method than that of 1-step (p<0.05). The blastocyst development of GalT KO embryo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cloned embryos (p<0.05). The total and apoptotic cell number of GalT KO blastocysts was not different statistically from control. The relative abundance of Bax-$\alpha$/Bcl-xl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cloned blastocysts than that of in vivo blastocysts (p<0.05). Taken together, it can be postulated that the lower developmental potential and higher expression of apoptosis related genes in GalT KO SCNT embryos might be a cause of a low efficiency of GalT KO cloned miniature pig production.

고구마 경단 유래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on Plant Regeneration in Shoot-Tip-Derived Embryogenic Callus Cultures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 이은모;;아키라사쿠라이;문창식;노태홍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81-286
    • /
    • 1994
  • 고구마 경단배양에 의한 우량종묘 대량증식 과정에서 분화 및 생육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구마 경단조직은 1 mEm/L 2,4-D 첨가된 MS배지에서 배양 40일경 배발생 캘러스가 형성되었다. 또한 형성된 배발생 캘러스는 0.1 mg/L GA$_4$ 첨가된 배지에 배양한 경우, 효과적으로 배발생 캘러스를 유지 및 증식이 가능하였으며, 배발생캘러스로부터 shoot 재분화는 0.1mg/L BA가 유효하였다. 체세포배로부터 shoot 재분화는 0.01 ngh BA와 0.01 mg/L GA$_4$ 혹은 0.1 mg/L BA와 0.01mg/L GA$_4$ 혼합배지에서 양호하였으며, 0.1-1 mg/L BA를 첨가된 배지에서는 배발생 캘러스 및 체세포배로부터 녹색의 단단한 캘러스가 형성되었다. 체세포배를 배양하여 얻어진 5 mm 크기의 shoot 정단을 재배양 시, 0.1 mg/L jasmonic acid 또는 0.01 mg/L brassnlolide가 첨가된 배지에서 소식물체의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 PDF

맥류의 종속간 교잡에 관한 연구 제1보 교배방법 및 교배촉진물질의 처리가 교잡종자 생산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Intergeneric Crosses in Triticeae I. Influence of Crossing Methods and Chemicals on the Hybridization Rate in Wheat-barley Crossings)

  • 김봉연;홍병희;조장환;제상율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1-115
    • /
    • 1982
  • 속간교잡을 실시함에 있어서 교배방법 및 교배촉진 물질로 알려진 EACA와 $GA_3$의 처리가 결실율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교배시기에 있어서 뢰수분과 노화수분중 어떤 처리가 교잡종 생산에 유리한가를 검토하여 생장조절제인 EACA와 $GA_3$를 함께 처리한 구와 EACA만을 처리한 구를 두고 생장조절제의 효과도 아울러 구명코저 시험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맥$\times$소맥 속간교잡을 실시할 때는 노화수분의 결실율(4.5%)이 뢰수분보다 훨씬 높았다. 그러나 배형성율은 오히려 뢰수분쪽이 높았다. 2. $GA_3$ 처리 효과는 크게 인정되었으나 EACA 단독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3. 대맥$\times$소맥을 속간교잡하여 2개체의 형태적으로 소맥쪽을 더 닮은 식물체를 얻었으며 이는 생육이 진행될수록 더욱 소맥과 유사하였다. 이밖에도 시험관내에서 얼마간 자란 9개의 식물체도 얻을 수 있었다.

  • PDF

완만동결이 생쥐 초기배 난할세포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low Freezing on Development of Blastomeres Separated from Mouse Preimplantation Embryos)

  • 진동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63-268
    • /
    • 2000
  • 본 연구는 2-, 4- 또는 8-세포기 생쥐 수정란으로부터 분리된 단일 할구의 발달 및 완만동결 후 생존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2-, 4-또는 8-세포기 생쥐 수정란에서 각각 223개, 60개, 188개의 할구를 분리하여 96시간 배양하였는데 이중 2-세포기 수정란으로부터 분리된 할구는 111개(49.8%)가 배반포기까지 발육하였으며, 4-세포기와 8-세포기 수정란으로부터 분리된 할구는 각각 12개(20.0%)와 31개(16.5%)가 배반포기까지 발육하였다. 분리된 할구를 완만 동결한 후 융해하여 배양했을 때 배반포기까지의 발육율은 2-세포기 할구는 27.1%(16/50), 4-세포기 할구는 36.4%(4/11) 그리고 8-세포기 할구는 17.6%(3/17)였으며, 융해 후 할구 회수율은 각각 54.2%(65/120), 46.4%(13/28), 24.3%(17/70)을 나타냈다. 2-세포기 할구를 동결 융해한 후 동기화시킨 생쥐 자궁에 이식하여 정상적으로 발달한 태아를 생산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 완만동결방법이 생쥐의 할구를 동결 보존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형광직접보합법을 이용한 착상전 유전진단 기법의 최적화와 경험 축적에 의한 임신율의 향상 (Improvement of Pregnancy Rate in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with FISH Procedure by the Laboratory Optimization and Experiences)

  • 임천규;민동미;이형송;변혜경;박소연;류현미;김진영;궁미경;강인수;전진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1권1호
    • /
    • pp.29-39
    • /
    • 2004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laboratory system for successful PGD using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and the clinical outcome of PGD cycles in five years experiences. Methods: A total of 181 PGD-FISH cycles of 106 couples were performed, and diagnosed chromosome normality in the preimplantation embryos. The laboratory and clinical data were classified by the following optimization steps, and statistically analyzed. Phase I: Blastomere biopsy with two kinds of pipettes, removal of cytoplasmic proteins without treatment of pepsin and culture of biopsied embryos with single medium; Phase II: Blatomere biopsy with single pipette, removal of cytoplasmic proteins with pepsin and culture of biopsied embryos with single medium; Phase III: Blastomere biopsy with single pipette, removal of cytoplasmic proteins with pepsin and culture of biopsied embryos with sequential media. Results: A total of 3, 209 oocytes were collected, and 83.8% (2, 212/2, 640) of fertilization rate was obtained by ICSI procedure. The successful blastomere biopsies were accomplished in 98.6% (2, 043/2, 071) of embryos, and the successful diagnosis rate of FISH was 94.7% (1, 935/ 2, 043) of blastomeres from overall data. Embryo transfers with normal embryos were conducted in 93.9% (170/181) of started cycl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uccessful rate of biopsy and diagnosis among Phase I, II and III. However, the pregnancy rate per embryo transfer of Phase III (38.8%, 26/67)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Phase I (13.9%, 5/36) and Phase II (14.9%, 10/67). Conclusions: The laboratory optimization and experience for the PGD with FISH procedure can increase the pregnancy rate to 38.8% in the human IVF-ET program. Our facility of PGD with FISH provides the great possibility to get a normal pregnancy for the concerned couples by chromosomal aberrations.

자연 분만 및 예정된 제왕절개 수술 랫드에 있어서 모성 행동의 차이에 대한 검토 (Evaluation of Maternal Behavior between Normal Parturition and Expected Cesarean Section in Rats)

  • 이상규;강현구;김일화;정재민;황대연;김철규;채갑용;조정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1-165
    • /
    • 2007
  • 포유류에서 옥시토신은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신경뇌하수체 호르몬이다. 옥시토신은 주로 젖의 분비를 일으키고 분만 시 자궁의 수축 및 모성 행동과 관계가 있다. 모성 행동은 스트레스에 의해 억압을 받으며 옥시토신에 의해 촉진된다. 본 연구는 제왕절개의 스트레스와 자궁내 옥시투여에 따른 모성 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실험 결과, 자연 분만 예에서 스트레스를 준 개체와 스트레스를 주지 않은 개체에서 새끼의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를 준 군에서 새끼의 생존율이 낮아 스트레스가 모성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왕절개 수술을 실시한 예에서 옥시토신을 투여한 군은 마취의 회복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다음 새끼를 잡아먹는 식자증이 나타난 반면, 옥시토신을 투여한 군에서는 마취에서 회복한 다음 곧바로 새끼를 확인한 다음 살해하는 행동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새끼를 관리하고자 하는 모성 행동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말초에 옥시토신을 투여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분만 시 모체에 대한 스트레스는 새끼의 관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실험은 랫드를 대상으로 제왕절개라는 새로운 스트레스의 실험적 이용, 임상적으로 제왕절개시 수행하는 자궁 내 옥시토신 투여의 임상적 평가, 그리고 제왕절개 수술을 실시한 다음 마취 회복 후 새끼를 탐색하는 모성 행동관찰의 요인을 추가한 새로운 실험이라는데 의의가 있다.

돼지에서 Open Pulled Straw(OPS) 방법에 의해 동결-융해한 수정란의 생존능력 (Survival and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Produced in vitro Using Open Pulled Straw Methods)

  • 이상영;유재숙;사수진;박춘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5-262
    • /
    • 2006
  • 본 연구는 Open Pulled Straw(OPS)방법에 의해 동결-융해한 돼지 수정란의 체외 생존 능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미성숙 난자의 체외 성숙을 위하여, 돼지 난소는 도축장에서 회수하였으며, 난구세포로 쌓여있는 난자는 직경 $2{\sim}6mm$의 난포로부터 난포액과 함께 흡입에 의하여 회수하였다. 회수된 미성숙 난자의 체외 성숙을 위하여 5 mM hypotaurine, 0.57 mM cysteine, 10% 난포액, 10 IU/ml PMSG 및 10 IU/ml hCG가 함유된 NCSU-23 배양액 내에서 $21{\sim}22$ 시간 배양 후, 호르몬 물질을 제거한 성숙 배양액 내에서 $21{\sim}22$ 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한편 체외 수정을 위하여 동결-융해한 정액은 5.56 mM glucose, 0.33 mM na-pyruvate, 100 IU/ml penicillin, $100 {\mu}g/ml$ streptomycin 및 4 mg/ml BSA가 첨가된 D-PBS 액을 가지고 1,500 rpm에서 10분간 2회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세척하였다. 체외 수정을 위한 배양액은 pH $7.2{\sim}7.4$에서 2 mM caffeine과 2 mg/ml BSA가 첨가된 mTBM 배양액을 이용하였다. 체외 수정시 정자의 최종 농도는 $2.5{\times}10^6cells/ml$로 조정하였다. 수정 8시간 후, 체외 발육을 위하여 5.0 mM hypo-taurine, 4 mg/ml BSA 및 10 ng/ml EGF가 첨가된 NCSU- 23액으로 옮겨 7일간 배양을 계속하였다. 그 후 배반포의 여러 단계에서 OPS 법에 의해 동결-보존하였다. 그 결과, 동결-융해 후 형태학적으로 정상적인 수정란의 비율은 초기 배반포(28.3%)보다는 확장 배반포(38.9%)단계에서 동결했을 때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한편, 동결-융해 후 상해를 입은 수정란의 비율은 확장 배반포보다는 초기 배반포 단계에서 동결된 수정란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성적을 보였다(p<0.05). 또 다른 실험에서, 수정란의 동결-융해 후 형태학적으로 정상인 수정란을 48시간 추가 배양했을 때, Hatching 된 수정란의 비율은 초기 배반포, 배반포 및 확장배반포기 단계에서 동결-융해한 수정란에서 각각 6.7, 20.0 및 33.3%로 발육 단계가 높을수록 동결-융해 후의 생존율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돼지에서 수정란의 동결-융해 후 생존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발육 단계가 높은 배반포기 단계에서의 동결이 요구되며 본 연구에서 이용된 OPS 동결 방법이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형질전환 돼지의 정자와 일반돼지의 정자성상에 대한 비교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n Sperm Parameter of Transgenic Pigs with General Pigs)

  • 박상현;이건섭;이주영;김경운;변승준;옥선아;황성수;양현;우제석;오건봉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7-233
    • /
    • 2017
  • Pig has been known to be one of the most feasible animals as a bioreactor to produce pharmaceuticals in milk and as a mediator in xenotransplantation research. Previously, we generated transgenic pigs for both purposes, which were expressing Factor 8, vWF, hTPA, and hEPO in milk, along with expression of MCP at GalT gene locus ($GalT^{-MCP/-MCP}$) as well as expressing MCP at GalT gene loci with CD73 expression ($GalT^{-MCP/+}/CD73$). In this study, we performed comparative analyses of sperm parameters between wild type male (WT) pig and those transgenic male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nsgenes integrated into the pigs on motility, morphology, viability, and acrosome integrity of the spermatozoa. Our results showed that the rates of actively motile spermatozoa of WT, Factor 8, vWF, hTPA, hEPO, $GalT^{-MCP/+}/CD73$, and $GalT^{-MCP/-MCP}$ pigs were 85.0%, 83.3%, 82.5%, 83.3%, 82.5%, 77.5%, and 78.7%, respectively. Whereas, the rates of morphologically normal spermatozoa of WT, Factor 8, vWF, hTPA, hEPO, $GalT^{-MCP/+}/CD73$, and $GalT^{-MCP/-MCP}$ pigs were 90.0%, 80.0%, 80.0%, 83.3%, 85.0%, 91.8%, and 80.8%,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viability in spermatozoa of WT, Factor 8, vWF, hTPA, hEPO, $GalT^{-MCP/+}/CD73$, and $GalT^{-MCP/-MCP}$ pigs were 93.9%, 82.4%, 89.9%, 83.9%, 87.4%, 92.8%, and 83.6%, respectively. The rates of spermatozoa with normal acrosome integrity in WT, Factor 8, vWF, hTPA, hEPO, $GalT^{-MCP/+}/CD73$, and $GalT^{-MCP/-MCP}$ pigs were 98.1%, 98.6%, 98.6%, 98.7%, 98.1%, 99.5%, and 95.1%,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ility, morphology, viability, and acrosome integrity of the spermatozoa among WT, Factor 8, vWF, hTPA, and hEPO, $GalT^{-MCP/+}/CD73$, and $GalT^{-MCP/-MCP}$ pigs. These mean that neither random integration nor targeted integration of the transgene into chromosome of pig effect on characteristics of spermatozoa. Ultimately, the transgenic male pigs subjected in this study could apply to propagate their progenies for production of human therapeutic proteins and advancing the xenotransplantation research.

Xenopus laevis 초기 배의 동물극 분리배양에서 bFGF와 HGF 혼합처리에 의한 기관유도 (Organ Induction by Combined Dose of bFGF and HGF in Animal Cap Assay of Early Xenopus laevis Embryos.)

  • 진정효;윤춘식;이호선;박용욱;정선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75-384
    • /
    • 2004
  • FGFs는 Xenopus의 초기 배발생에서 중배엽 형성, 전후축패턴형성, scatter factor로서 낭배기의 기관형성에 관여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bFGF는 배양 분리편으로부터 다양한 기관을 유도해낼 수 있으며 그 효과는 처리시간 및 농도 의존적이라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Xenopus의 예정표피역을 분리하여 bFGF와 HGF을 단독 및 복합처리 하였을 때 기관분화 및 유도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단독처리 및 복합 처리된 배양액에 동물극 분리편을 정상배가 st. 43에 이를 때까지 2$0^{\circ}C$에서 3일간 배양하여 조직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조직의 분화양상을 확인하였다. 성장인자는 bFGF를 0, 0.5, 1. 10. 50 ng/ml의 농도와 HGF를 0, 1, 10, 50, 100ng/ml의 농도로 조합하여 처리한 결과 bFGF 단독처리 때보다 HGF와의 혼합처리에서 기관분화율의 상승효과가 관찰되었다. 분화된 기관은 1 ng/ml의 bFGF 와 10ng/ml의 HGF, 10ng/ml의 bFGF와 1ng/ml의 HGF의 농도에서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눈은 1과 10ng/ml의 bFGF ,그리고 1과 10 ng/ml의 HGF 농도조합에서 높은 비율로 분화하였다. 또한 분리편 배양에 의해 유도된 눈과 정상 배의 눈에서 RPE65를 인식하는 단일클론 항체 40All, 25F5를 사용하여 AP 반응이 강하게 나타나 눈의 유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