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9초

콩나물 생장중 세포벽 비섬유성 중성당의 변화 (Changes of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of Cell Wall in Soybean Sprouts)

  • 신승렬;박찬성;김주남;김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41-1046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and composition of the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in cell wall of soybean sprouts during growth. The composition of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in cell of soybean sprouts was rhamnose, fucose, xylose, arabinose, mannose, galactose and glucose. The galactose content of cell wall was higher than other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and was remarkably decreased during growth. The major non-cellulosic sugars of pectic substances were rhamnose, arabinose, and galactose. The arabinose content of pectic substance was increased in cotyledon and hypocotyl during growth. The contents of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were decreased in hypocotyl during growth. The galactose content of pectic substance was higher in cotyledon than those in hypocotyl, and was increased in cotyledon. The content of rhamnose was higher in ionically associated pectic substance than that in covalently bounded pectic substance. The major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of hemicellulose were glucose, rhamnose, arabinose and galactose. The galactose of hemicellulose was decreased remarkably during growth.

  • PDF

세포벽분해효소의 처리에 따른 감과실의 세포벽 유리 다당류의 변화 (Changes on the Components of Free Polysaccharide from Cell Wall of Persimmon Fruit by Treatments of Cell Wall Degrading Enzymes)

  • 신승렬;김미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73-183
    • /
    • 1995
  • This paper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nges in chromatograms of polysacctatides and soluble pectins on Sephadex G-50 and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cell wall of persimmon fruits treated with polygalacturonase and $\beta$-galactosidase in vitro. The chromatogram pattern of soluble pectins extracted from cell wall treated with $\beta$-galactosidase on Sephacryl S-500 column were similar to those of untreatment, but contents of soluble pectins treated with $\beta$-galactosidase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untreatment. The patterns of chromatograms In soluble pectins extracted from cell wall treated with polygalacturonase were more complex and lower molecular polymer than those of other cell wall-degrading enzyme treatments. Non-cellulosic neutral sugar of polysaccharides in fraction I of soluble material treated with polygalacturonase was rhamnose, those in fraction II were similar to those in fraction III and contents of arabinose, xylose and glucose were higher than contents of other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of polysaccharides in fraction I in soluble material by $\beta$-galactosidase treatment were rhamnose, arabinose, galactose and mannose. Content of glucose of polysaccharides in fraction II was higher than that in fraction I .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treated with mixed enzyme were rhamnose, fucose, arabinose, xylose, mannose, galactose and glucose. Compositions of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of polysaccharides in fraction I were similar to those in fraction II and III.

  • PDF

감과실의 성숙과 추숙중의 세포벽 다당류의 비섬유성 단당류의 변화 (Changes in the Non-cellulosic Monosaccharides of Cell Wall Polysaccharides of Persimmon Fruits during Maturation and Postharvest)

  • 신승렬;송준희;김순동;김광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743-747
    • /
    • 1990
  • 감과실의 성숙중 알콜 불용성 물질의 glucose, arabinose 및 총 비섬유성 중성당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연시에서는 감소하였다. 세포벽을 구성하는 주요 비섬유성 중성당은 galactose, arabinose, glucose이었고, arabinose와 galactose는 성숙과 연화중에 감소하였다. Pectin질은 uronic acid가 $70{\sim}82%$ 정도 차지하였으며 uronic acid, galactose, arabinose는 성숙과 추숙중에 감소하였다. Hemicellulose의 주요 중성당은 glucose, xylose, galactose이었고, 성숙과 추숙 중 특히 galactose가 감소하였으며 연시에서는 대부분의 구성당이 감소하였다.

  • PDF

세포벽 분해효소의 처리에 따른 감과실의 세포벽 구성 비섬유성 중성당의 변화 (Changes in the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of Cell Wall of Persimmon Fruit by Treatment of Cell Wall-Degrading Enzymes)

  • 김광수;신승렬;송준희;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47-253
    • /
    • 1995
  • 추출한 감과실의 세포벽에 polygalacturonase, ${\beta}-galactosidase$ 및 이들의 혼합한 효소액을 in vitro에서 처리하여 세포벽 구성 비섬유성 중성당의 변화를 연구, 검토하였다. 세포벽 구성 비섬유성 중성당의 변화는 효소 처리구에서 무처리 보다 많았으며, polygalacturonase 처리구에서는 rhamnose, xylose, galactose 등이 감소하였고, 혼합효소 처리구에서는 arabinose, galactose, rhamnose, xylose 등이 감소하였으며, ${\beta}-galactosidase$ 처리구에서 arabinose, galactose 등이 감소되었다. Pectin의 비섬유성 중성당은 모든 효소처리구에서 rhamnose, galactose, arabinose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특히 polygalacturonase 처리시에 보다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Hemicellulose I의 경우 polygalacturonase 처리구는 rhamnose, arbinose, xylose의 함량이 무처리구에 비해 높았으며, ${\beta}-galactosidase$ 처리구에서는 rhamnose와 xylose의 함량은 높았고, arbinose, mannose, galactose는 감소하였다. 혼합효소 처리구에서는 xylose, mannose, galactose가 높은 반면 arbinose와 galactose는 낮았다. 한편 hemicellulose II에서 비섬유성 중성당의 변화는 polygalacturonase 처리구에서 xylose와 glucose가 감소하였으나 다른 처리구에서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polygalacturonase는 pectin을 분해함으로써 arbinose, galactose, rhamnose를 유리하고, ${\beta}-galactosidase$는 galactan과 arabinogalactan을 분해하여 galactose와 arabinose를 유리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minoethoxyvinylglycine 침지처리가 '쓰가루' 사과의 저온저장중 에틸렌발생과 세포벽성분들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inoethoxyvinylglycine Dipping Treatment on Ethylene Production and Cell Wall Composition of 'Tsugaru' Apple Fruits during Cold Storage)

  • 강인규;최철;최동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99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postharvest dipping treatment with aminoethoxyvinylglycine (AVG) on ethylene production and composition of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in cell walls of 'Tsugaru' apple fruits during storage. Fruits were harvested on August 20, soaked in AVG 50 and 75 $mg L^{-1}$ solution for 5 minutes, and stored in cold storage chamber at $0{\pm}1^{\circ}C$ for 60 days. Fruit quality factor, ethylene productions, and cell wall component changes were investigated at 20 days interval. As a result, the fruit firmness and acid content were much higher in AVG treated fruits than those of untreated one during 60 days of cold storage. Ethylene production of AVG treated fruits was reduced to the level of 1/10 compared with untreated one. As to the change of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in the cell walls of 'Tsu- garu' fruits, the major sugar was arabinose and galactose in water, CDTA and $Na_2CO_3$ soluble fractions. The content of arabinose and galactose in untreated fruits increased as the softening of fruits was in progress, but the fruits treated with AVG showed a little change during storage, so it is predicted that these two cell wall compositional sugars were not solubilized by the treatment of AVG. Accordingly, the marketability of 'Tsu- garu' fruits could remarkably increase when soaking the fruits in AVG solution after harvest.

에틸렌 처리에 의한 감 과실 세포벽성분의 변화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Cell Wall in Persimmon Fruits with Ethylene Treatment)

  • 강인규;장경호;변재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47-255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독숙기와 성숙기의 감 과실에 외부 에서 에틸렌($50\mu\ell.L^{-1}$)을 처리하였을 때 처리시간에 따라 과실의 경도, 에틸렌 발생량, 세포벽 성분의 변 화 그리고 세포벽 팩틴의 주사슬을 형성하는 polyuuronide(PU) 및 곁사슬을 형 성하는 polysaccharide (PS)의 가용화와 분해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고저 하였다. 에틸렌을 처리하였을 때 녹숙기와 성숙기 감 모두 처리 시간이 경과될 수록 과실의 경도가 급격히 감 소하였으며, 감소의 정도는 녹숙기 감에서 더 심하였 다. 녹숙기에 에틸렌을 12시간 처리한 과실에서는 처 리 3일 후부터 에틸렌이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에 멸렌 발생량은 24시간 에틸렌 처리에서는 최대 $16,000\mu\ell.L^{-1}$에 달하였다. 성숙기의 감에서는 24시 간 동안 에틸렌을 처리하여도 처리후 7일까지는 에 틸렌발생이 없었다. 에틸렌 처리 시간의 증가에 따른 세포벽 펙틴물질의 변화를 보면, 증류수, 0.05M N NazC03, 4M 및 8M KOH 가용성분획에서는 연화가 진행됨에 따라 펙틴함량은 감소하였다. 각 분획별 비 섬유성 중성당의 종류를 보면 0.05M CDTA 및 0.05M $Na_2CO_3$ 가용성 분획에서의 주요 구성당은 arabino않 와 galactose이었고, 4M KOH 가용성 분획에서는 glucose, galactose 및 xylose였다. 에틸렌 처리 시간별 P PU와 PS의 가용화와 분해정도를 보면, 증류수, CDTA, $Na_2CO_3$ 및 4M KOH 가용성 분획에서는 에틸 렌 처리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고분자 PU와 PS의 가 용화와 저분자화가 진행되었다.

  • PDF

더덕 부위별 세포벽 물질의 페놀성화합물과 항산화 활성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Cell Wall Materials from Deodeok (Codonopsis lanceolata))

  • 강윤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45-349
    • /
    • 2009
  • 더덕의 육질과 껍질의 부위별 세포벽 물질(CWM)로부터 uronic acid, 총 당, 비섬유성 중성당,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더덕의 육질과 껍질의 uronic acid와 중성당의 비는 4, 6이었다. 총 당 함량은 육질과 껍질에서 각각 788.6, 824.9 ${mu}g/g$ CWM이었다. 주요 비섬유성 중성당은 galactose와 arabinose였다. 더덕 CWM으로부터 분석된 주요 페놀성 화합물은 vanillic acid, p-OH-benzaldehyde, vanillin, ferulic acid 및 8-O-4' diferulic acid 였다. 이들 중 p-OH-benzaldehyde, vanillin, 8-O-4' diferulic acid는 더덕에서 처음으로 동정된 것으로 인삼의 세포벽 페놀성 화합물 조성과 유사하였다. 더덕의 껍질 AIR에 함유된 8-O-4' diferulic acid의 함량은 56.1 ${mu}g/g$ CWM이었다. 더덕의 CWM로부터 얻은 ethanol 분획, ethanol 분획의 ethanol-NaOH 분획, ethanol 분획 후 잔사로부터 얻은 AIR 분획의 항산화 활성의 크기는 ethanol-NaOH 분획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AIR 분획, ethanol 분획의 순으로 나타났다.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Water Holding Capacity of Fibre-rich Feedstuffs Used for Pigs in Vietnam

  • Ngoc, T.T.B.;Len, N.T.;Lindberg, J.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6호
    • /
    • pp.861-868
    • /
    • 2012
  • During two years, four samples per year were collected in Vietnam from rice bran, cassava residue, brewer's grain, tofu residue, soybean meal, coconut cake, sweet potato vines and water spinach for chemical analysis and assessment of water holding capacity (WHC). The selected feedstuffs represent fibre-rich plant sources and agro-industry co-products commonly used in pig feeding in Vietnam. The content (g/kg DM) of crude protein (CP), ether extract (EE) and non-starch polysaccharides (NSP) varied between feedstuffs and ranged from 21 to 506 for CP, from 14 to 118 for EE and from 197 to 572 for NSP. Cassava residue had a high starch content of 563 g/kg DM, while sweet potato vines, water spinach, coconut cake and soybean meal had a high content of sugars (63-71 g/kg DM). The content of individual neutral sugars varied between feed ingredients, with the highest content of arabinose, galactose and glucose in tofu residue, the highest content of xylose in brewer's grain and the highest content of mannose in coconut cake. The content of uronic acid was high for cassava residue, tofu residue, sweet potato vines and water spinach (57-88 g/kg DM). The content of soluble non-cellulosic polysaccharides (S-NCP) was positively correlated ($r^2$ = 0.82) to the WHC. The content (g/kg DM) of CP, NDF, neutral sugars, total NSP, total NCP, S-NCP and total dietary fibre in tofu residue, water spinach and coconut cake varied (p<0.05) between years. In conclusion, diet formulation to pigs can be improved if the variation in chemical composition of the fibre fraction and in WHC between potential feed ingredients is taken into account.

대추 천일건조 중 세포벽 구성성분의 변화 (Changes on the Cell Wall Components of Jujube Fruits during Drying)

  • 손미애;김미현;신승렬;송준희;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50-354
    • /
    • 1998
  • 대추의 연화현상을 연구하고자 건조중에 세포벽 구성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알코올 불용성 물질, 세포벽 및 수용성 물질의 함량은 건조 6일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건조 9일째에는 알코올 불용성 물질과 세포벽은 감소하였으나 수용성 물질은 증가하였다. 펙틴질과 헤미셀룰로오스는 건조 6일까지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건조 P일째에는 펙틴질과 알칼리 가용성 헤미셀룰로오스가 감소한 반면 산가용성 헤미셀룰로오스는 증가하였다. 셀룰로오스는 건조 중에 증가하였다. 수용성 펙틴질은 건조 6일째까지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나 건조 9일째에 현저히 증가하였다. EDTA-soluble 펙틴, 불용성 펙틴, 총 펙틴의 함량은 건조 6일째 이후에 감소하였다. 세포벽의 비섬유성 중성당은 건조 6일째까지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나 arabinose와 galactose의 함량은 건조 9일에 감소하였다. 총 비섬유성 중성당도 건조 6일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9일째에는 뚜렷이 감소하였다.

  • PDF

'쓰가루'사과의 연화에 따른 세포벽성분의 변화와 펙틴 및 중성다당류의 가용화와 분해 (Changes in Cell Wall Components, and Solubilization and Depolymerization of Pectin and Neutral Sugar Polymers during Softening of 'Tsugaru' Apples)

  • 최철;강인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834-839
    • /
    • 2006
  • '쓰가루' 사과의 연화동안에 일어나는 세포벽 성분의 변화와 펙틴 및 중성당류의 가용화와 분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과실의 연화단계별로 펙틴다당류들을 증류수, 0.05 M CDTA, 0.05 M $Na_2CO_3$, 8 M KOH를 이용하여 분획하였다. Uronic acid (UA) 함량은 과실의 연화가 진행되면서 증류수 가용성 분획에서는 저장 4주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각 분획별 비섬유성 중성당의 종류를 보면 증류수, 0.05 M CDTA 및 0.05 M $Na_2CO_3$ 가용성분획에서의 주요 구성당은 galactose와 arabinose였으며, 8 M KOH 가용성분획에서는 glucose, galactose 및 xylose였다. 특히 증류수 가용성 분획에서 과실의 연화가 진행되면서 galactose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그리고 증류수 가용성인 물질을 Sepharose CL-2B를 이용하여 uronic acid polymers (UAP)와 carbohydrate polymers (CP)를 분획한 결과를 보면 고분자의 UAP 및 CP가 수확후 과실의 연화가 진행될수록 저분자화 되었다. 고분자 중합물의 양은 과실이 연화됨에 따라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