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dules

검색결과 1,190건 처리시간 0.035초

Diagnostic Performance of Core Needle Biopsy for Characterizing Thyroidectomy Bed Lesions

  • So Yeong Jeong;Jung Hwan Baek;Sae Rom Chung;Young Jun Choi;Dong Eun Song;Ki-Wook Chung;Won Woong Kim;Jeong Hyun Le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10호
    • /
    • pp.1019-1027
    • /
    • 2022
  • Objective: Thyroidectomy bed lesions frequently show suspicious ultrasound (US) features after thyroid surgery. Fine-needle aspiration (FNA) may not provide definitive pathological information about the lesions. Although core-needle biopsy (CNB) has excellent diagnostic performance in characterizing suspicious thyroid nodules, no published studies hav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CNB specifically for thyroidectomy bed lesions. Therefore, we aim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performance and safety of CNB for characterizing thyroidectomy bed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24 thyroidectomy bed lesions in 113 patients (79 female and 34 male; age, 23-85 years) who underwent US-guided CNB between December 2008 and December 2020 were included. We reviewed the US imaging features of the target lesions and the histories of previous biopsies. The pathologic results, diagnostic performance for malignancy, and complications of CNB were analyzed. Results: All samples (100%) obtained by CNB were adequate for pathological analysis. Pathological analysis revealed inconclusive results in two lesions (1.6%). According to the reference standard, 50 lesions were ultimately malignant (40.3%), and 72 were benign (58.1%), excluding the two inconclusive lesions. The performance of CNB for diagnosing malignant thyroidectomy bed lesions in the 122 lesions had a sensitivity of 98.0% (49/50), a specificity of 100% (72/72),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100% (49/49),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98.6% (72/73). Eleven lesions were referred for CNB after prior inconclusive FNA results in thyroidectomy bed lesions, for all of which CNB yielded correct conclusive pathologic diagnoses. According to the pathological analysis of CNB, there were various benign lesions (58.9%, 73/124) besides recurrence, including benign postoperative lesions other than suture granuloma (32.3%, 40/124), suture granuloma (15.3%, 19/124), remnant thyroid tissue (5.6%, 7/124), parathyroid lesions (4%, 5/124), and abscesses (1.6%, 2/124). No major or minor complications were associated with the CNB procedure. Conclusion: US-guided CNB is accurate and safe for characterizing thyroidectomy bed lesions.

Relationship between 18F-FDG PET/CT Semi-Quantitative Parameters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ung Cancer, American Thoracic Society/European Respiratory Society Classification in Lung Adenocarcinomas

  • Lihong Bu;NingTu;Ke Wang;Ying Zhou;Xinli Xie;Xingmin Han;Huiqin Lin;Hongyan Fe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1호
    • /
    • pp.112-123
    • /
    • 2022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18F-FDG PET/CT semi-quantitative parameters and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ung Cancer, American Thoracic Society/European Respiratory Society (IASLC/ATS/ERS) histopathologic classification, including histological subtypes, proliferation activity, and somatic mutation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419 patients (150 males, 269 females; median age, 59.0 years; age range, 23.0-84.0 years) who had undergone surgical removal of stage IA-IIIA lung adenocarcinoma and had preoperative PET/CT data of lung tumors. The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s (SUVmax), background-subtracted volume (BSV), and background-subtracted lesion activity (BSL) derived from PET/CT were measured. The IASLC/ATS/ERS subtypes, Ki67 score, and epidermal growth factor/anaplastic lymphoma kinase (EGFR/ALK) mutation status were evaluated. The PET/CT semi-quantitative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the tumor subtypes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or the Kruskal-Wallis test. The optimum cutoff values of the PET/CT semi-quantitative parameters for distinguishing the IASLC/ATS/ERS subtypes were calculated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T/CT semi-quantitative parameters and pathological parameters was analyzed using Spearman's correla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 < 0.05. Results: SUVmax, BSV, and BSL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vasive adenocarcinoma (IA) than in minimally IA (MIA), and the values were higher in MIA than in adenocarcinoma in situ (AIS) (all p < 0.05). Remarkably, an SUVmax of 0.90 and a BSL of 3.62 were shown to be the optimal cutoff values for differentiating MIA from AIS, manifesting as pure ground-glass nodules with 100% sensitivity and specificity. Metabolic-volumetric parameters (BSV and BSL) were better potential independent factors than metabolic parameters (SUVmax) in differentiating growth patterns. SUVmax and BSL, rather than BSV, were strongly or moderately correlated with Ki67 in most subtypes, except for the micropapillary and solid predominant groups. PET/CT parameters were not correlated with EGFR/ALK mutation status. Conclusion: As noninvasive surrogates, preoperative PET/CT semi-quantitative parameters could imply IASLC/ATS/ERS subtypes and Ki67 index and thus may contribute to improved management of precise surgery and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SonazoidTM versus SonoVue® for Diagnosing Hepatocellular Carcinoma Using Contrast-Enhanced Ultrasound in At-Risk Individuals: A Prospective, Single-Center, Intraindividual, Noninferiority Study

  • Hyo-Jin Kang;Jeong Min Lee;Jeong Hee Yoon;Jeongin Yoo;Yunhee Choi;Ijin Joo;Joon Koo Ha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11호
    • /
    • pp.1067-1077
    • /
    • 2022
  • Objective: To determine whether Sonazoid-enhanced ultrasound (SZUS) was noninferior to SonoVue-enhanced ultrasound (SVUS) in diagnosing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using the same diagnostic criteria. Materials and Methods: This prospective, single-center, noninferiority study (NCT04847726) enrolled 105 at-risk participants (71 male;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63 ± 11 years; range, 26-86 years) with treatment-naïve solid hepatic nodules (≥ 1 cm). All participants underwent same-day SZUS (experimental method) and SVUS (control method) for one representative nodule per participant. Images were interpreted by three readers (the operator and two independent readers). All malignancies were diagnosed histopathologically, while the benignity of other lesions was confirmed by follow-up stability or pathology. The primary endpoint was per-lesion diagnostic accuracy for HCC pooled across three readers using the conventional contrast-enhanced ultrasound diagnostic criteria, including arterial phase hyperenhancement followed by mild (assessed within 2 minutes after contrast injection) and late (≥ 60 seconds with a delay of 5 minutes) washout. The noninferiority delta was -10%p. Furthermore, different time delays were compared as washout criteria in SZUS, including delays of 2, 5, and > 10 minutes. Results: A total of 105 lesions (HCCs [n = 61], non-HCC malignancies [n = 19], and benign [n = 25]) were evaluated. Using the 5-minutes washout criterion, per-lesion accuracy of SZUS pooled across the three readers (72.4%; 95% confidence interval [CI], 64.1%-79.3%) was noninferior to that of SVUS (71.4%; 95% CI, 63.1%-78.6%), meeting the statistical criterion for non-inferiority (difference of 0.95%p; 95% CI, -3.8%p-5.7%p). The arterial phase hyperenhancement combined with the 5-minutes washout criterion showed the same sensitivity as that of the > 10-minutes criterion (59.0% vs. 59.0%, p = 0.989), and the specific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90.9% vs. 86.4%, p = 0.072). Conclusion: SZUS was noninferior to SVUS for diagnosing HCC in at-risk patients using the same diagnostic criteria.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HCC diagnosis was observed by extending the washout time delay from 5 to 10 minutes.

Coexisting Bronchogenic Carcinoma and Pulmonary Tuberculosis in the Same Lobe: Radiologic Findings and Clinical Significance

  • Young Il Kim;Jin Mo Goo;Hyae Young KIm;Jae Woo Song;Jung-Gi 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권3호
    • /
    • pp.138-144
    • /
    • 2001
  • Objective: Bronchogenic carcinoma can mimic or be masked by pulmonary tuberculosis (TB), a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radiologic findings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bronchogenic carcinoma and pulmonary TB which coexist in the same lobe. Materials and Methods: The findings of 51 patients (48 males and three females, aged 48-79 years) in whom pulmonary TB and bronchogenic carcinoma coexisted in the same lobe were analyzed.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a tumor, such as its diameter and margin, the presence of calcification or cavitation, and mediastinal lymphadenopathy, as seen at CT, were retrospectively assessed, and the clinical stage of the lung cancer was also determined. Using the serial chest radiographs available for 21 patients, the possible causes of delay in the diagnosis of lung cancer were analyzed. Results: Lung cancers with coexisting pulmonary TB were located predominantly in the upper lobes (82.4%). The mean diameter of the mass was 5.3 cm, and most tumors (n=42, 82.4%) had a lobulated border. Calcification within the tumor was seen in 20 patients (39.2%), and cavitation in five (9.8%). Forty-two (82.4%) had mediastinal lymphadenopathy, and more than half the tumors (60.8%) were at an advanced stage [IIIB (n=11) or IV (n=20)]. The average delay in diagnosing lung cancer was 11.7 (range, 1-24) months, and the causes of this were failure to observe new nodules masked by coexisting stable TB lesions (n=8), misinterpretation of new lesions as aggravation of TB (n=5), misinterpretation of lung cancer as tuberculoma at initial radiography (n=4), masking of the nodule by an active TB lesion (n=3), and subtleness of the lesion (n=1). Conclusion: Most cancers concurrent with TB are large, lobulated masses with mediastinal lymphadenopathy, indicating that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lung cancer with coexisting pulmonary TB are similar to those of lung cancer without TB. The diagnosis of lung cancer is delayed mainly because of masking by a tuberculous lesion, and this suggests that in patients in whom a predominant or growing nodule is present and who show little improvement of symptoms despite antituberculous or other medical therapy, coexisting cancer should be suspected.

  • PDF

췌관 내 유두상 점액종양의 치료 전략과 추적 관찰-소화기내과의 관점 (Management Strategy and Surveillance of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Gastroenterologist's Viewpoint)

  • 김태현;전형구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1-7
    • /
    • 2021
  • 췌관 내 유두상 점액종양은 매우 다양한 자연경과와 예후를 가지고 있어 추적 검사방법, 간격, 기간 등이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다. 이 종양에 대한 진료지침들에서는 추적 검사를 받을 환자군과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군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악성화 고위험 특징 또는 절대적 수술 적응증과 걱정스러운 특징 또는 상대적 수술 적응증으로 분류하였다. 걱정스러운 특징이나 고위험 특징이 없는 분지형 유두상 점액종양은 혼합형이나 주췌관 종양에 비하여 악성화 위험성이 매우 낮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저위험 특징을 가진 환자들을 장기간 추적한 연구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췌장암 발생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어 지속적인 장기간 추적 검사가 필요하다. 혼합형과 주췌관형 유두상 점액종양은 악성화 가능성이 매우 높아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무결절이고 주췌관 직경이 10 mm 미만으로 분절형 주췌관 확장을 가진 환자들은 악성화 가능성이 낮아서 즉각적인 수술보다는 주의 깊은 추적관찰을 고려해볼 수 있다. 고령이나 기저질환을 동반한 환자의 치료 방향을 결정할 때는 췌장암 발생의 위험도와 수술의 위험성을 균형있게 평가해야 한다.

결핵성 흉벽농양의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 (CT Findings and Types of Tuberculous Chest Wall Abscess)

  • 홍용국;최규옥;김성규;정경영;장준;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1호
    • /
    • pp.59-68
    • /
    • 1997
  • 배 경 : 결핵성 흉벽 농양은 결핵의 드문 합병증이다. 결핵성 흉벽 농양은 다양한 병인에 따라 CT 소견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차이를 밝히는 것이 결핵성 흉벽농양의 진단 뿐만 병인을 이해하는 것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대상 및 방법 : 결핵성 농양으로 확진된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0명 환자의 29개 농양을 활동성 폐실질 혹은 흉막 병변의 유무와 이들 병변과 농양의 접촉 여부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l형은 폐실질 또는 흉막에 활동성 결핵성 병변이 없는 경우로, 2형은 활동성 폐결핵이나 흉막병변이 흉벽농양과 접하고 있는 경우로, 3형은 폐결핵이나 흉막병변이 있으나 농양과 접하고 있지 않는 경우로 각각 정의하였다. CT 유형에 따른 농양의 크기, 모양 및 위치 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l형에는 6명 환자의 6개의 농양이 속하였다. 이틀 농양은 늑골이나 늑연골의 파괴를 동반하며, 이것을 중심으로 크기가 크고 비교적 구형에 가까운 모양이었다. 2형은 10명 환자의 13개의 농양이 속하였다. 흉막 병변과 접하고 있는 7예와 종격동 림프절염과 접하고 있는 1예는 농양의 중심이 외근육층에 있고, 상하 길이가 긴 타원형의 모양이었다. 폐실질 병변과 접하고 있던 5예는 농양의 중심이 흉막외공간에 있고 크기가 작고 횡축이 긴 타원형이었다. 3형에는 6명 환자에서 10개의 농양이 속하였다. 이것들은 주로 흉막외공간에 생기며 크기가 작고 늑골의 장축을 따라 횡측의 길이가 긴 타원의 모양이고, 다발성의 빈도가 높았다. 결 론 : 결핵성 흉벽 농양은 농양의 모양과 동반된 폐실질 및 흉막 병변에 따라 몇개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러한, 유형의 차이는 다양한 병인에 따른 것으로 추정되며, 결핵성 흉벽 농양의 다양한 형태를 이해하는 것 이 진단 뿐만 아니라 병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CT는 결핵성 농양의 진단 뿐만 아니라 농양의 범위, 동반된 폐실질및 흉막병변을 보는데 유용하다.

  • PDF

기관지확장증 환자에서 폐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증의 유병률 (Prevalence of NTM Pulmonary Infection in the Patients with Bronchiectasis)

  • 이정연;송재우;홍상범;오연목;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동순;김원동;심태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4호
    • /
    • pp.311-319
    • /
    • 2004
  • 연구배경 : 기관지 확장증(BE)이 NTM 폐질환의 선행 요건임은 잘 알려져 왔으나 최근 결절이 동반된 BE의 경우 NTM 폐질환의 결과일 가능성이 제시되어 흉부 CT상 BE 소견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NTM폐질환의 유병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2년 1년간 서울아산병원에서 흉부 CT를 시행하여 BE소견이 있는 1244명 중 항산균검사를 1회 이상 시행한 86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BE군), BE소견이 없고 객담항산균 검사를 1회 이상 시행한 292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BE군은 흉부 CT소견상 주로 우중엽, 설상엽 및 하엽에 양측성으로 분포하는 BE군(1군), 상엽의 공동 및 석회화 등 전통적으로 폐결핵 치료후의 병변으로 알려진 소견을 동반한 BE군(2군), 기타 BE군(3군)으로 구분하였고, 1군은 다발성 소결절 동반 유무에 따라 1-결절군 및 1-비결절군으로 구분하였다. 각 군에서 객담 항산균 도말, 배양, 및 동정결과와 임상상 및 방사선학적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1-결절군은 다른 모든 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NTM 동정률이 높았다(24.2%, p<0.05). ATS 기준에 따른 NTM 폐질환 예도 1-결절군(5/62, 8.1%)에서 대조군, 2군, 3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균주 별로는 MAC이 11예(55%), M. abscessus 5예(25%)로 가장 많았다. 결 론 : 주로 우중엽, 좌 설상엽 및 하엽의 양측성의 BE와 동반된 소결절들의 소견은 NTM 폐 감염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소견이다. 그러나 이러한 소견을 가진 많은 환자에서는 NTM이 동정 되지 않아 이들이 임상 전단계 (subclinical stage)의 NTM증인지 아니면 별개의 다른 질환군 인지 확인되지 않았다. 추후 장기간의 추적관찰 및 조직검사를 통한 규명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버네사이트 합성 시 합성 방법 및 양이온 조건에 따른 생성 광물 및 열수처리 후 상전이 특성 (Mineral Products and Characteristics of Phase Transformation after Hydrotherm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Synthetic Method and Cation Combination during Birnessite Synthesis)

  • 민소영;김영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6호
    • /
    • pp.509-517
    • /
    • 2019
  • 망간단괴를 주로 이루고 있는 망간산화물 버네사이트(7Å manganate, δ-MnO2)는 지표의 주요한 망간 광물로서 다양한 합성법이 연구되어 있으며 또한 토도로카이트 합성의 전구물질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된 합성방법들 가운데 산화-환원반응을 합성기작으로 하는 Feng et al.(2004)와 Luo et al.(1998)의 방법, 환원반응을 합성기작으로 하는 Ma et al.(1999)의 방법 총 3 가지 방법을 참고하여 버네사이트 합성 조건 중 합성에 사용되는 염기(OH-)와 과망간산(MnO4-) 시약의 양이온 종류에 따른 합성 결과물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합성 시약의 양이온을 Na+와 K+ 두 이온으로 조합하여 총 12 가지 버네사이트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버네사이트의 구성 광물종은 XRD를 통해 동정하고 ICP를 통해 광물내의 두 이온 조성비를 측정하였다. 버네사이트를 전구물질로 한 부저라이트(buserite)를 열수처리한 생성물에 대한 XRD 분석 후 토도로카이트로의 상변이 유무 및 양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합성 방법마다 부산물 및 상전이 특성이 다른 경향성으로 나타났으며, 산화-환원반응기작 합성 방법에서 두 방법 모두 허스마나이트(hausmannite, γ-Mn3O4)와 페이크네타이트(feitknechtite, β-MnOOH)가 부산물로 생성되었다. Feng et al.(2004)의 방법에서는 망가나이트(manganite, γ-MnOOH) 상이 Na+가 지배적으로 존재하는 조건에서만 나타났다. 산화-환원반응 기작으로 합성한 두 가지 버네사이트는 공통적으로 NaOH, KMnO4를 사용하여 합성한 시료에서 토도로카이트(todorokite, 10Å manganate, OMS-1)로의 상전이가 나타났다. Ma et al.(1999)의 방법에서는 단일 상의 버네사이트가 합성되었고, 양이온을 Na+으로만 합성한 시료에서만 상전이를 확인하였다.

말초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기관지 세척액 MAGE 유전자 진단의 유용성 (The Utility of MAGE Gene Detection in Bronchial Washing Fluid for Patients with Peripheral NSCLC)

  • 김수현;김호중;권오정;정만표;서지영;고원중;함초롬;남해성;엄상원;권용수;박성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1호
    • /
    • pp.15-21
    • /
    • 2008
  • 연구배경: 기관지 내시경으로 조직 검사가 불가능한 고립성 폐결절 환자에서 경피적 폐생검이 중요한 진단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기흉 및 출혈 등의 합병증 및 접근성 등이 문제가 된다. 흑색종항원유전자(Melanoma Antigen Gene, MAGE)는 악성 흑색종에서 처음 발견된 20 종양 항원 및 유전자로서, 비소세포폐암을 비롯한 다양한 암종에서 발현되며 정상 조직에서는 남성의 생식기 세포 및 태반에서만 발현된다. 본 연구는 기관지내시경으로 보이지 않았던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기관지 세척액을 이용한 MAGE 양성 여부를 검사하여 폐암의 진단에 어느정도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1월부터 2개월간 삼성서울병원 호흡기 내과에서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 내시경적 조직 검사가 불가능한 고립성 폐결절 환자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관지 세척을 시행하여 MAGE A1-6 RT-nested PCR (iC&G Co, Daegu, Korea)검사와 세포진 검사를 시행하였고, 경피적 폐생검 및 수술을 통한 병리학적인 진단과 비교하였다. 결과: 37명 중에서 비소세포폐암 환자는 21명(56.8%) 이었고(선암종 13/21, 편평상피세포암 8/21), 나머지 16명 (43.2%)은 폐결핵(5), 진균 감염(3), 기질화 폐렴(2) 및 유육종증,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과 선천성 낭종 등으로 진단되었다.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세포학적인 검사의 양성률은 9.5% (2/21)에 불과하였으나, MAGE mRNA는 47.6% (10/21)에서 양성을 보여 양성 예측률이 71.4%였다. MAGE 양성률은 편평상피세포암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선암종 30.8%, 편평상피세포암 75.0%, p>0.05). 양성 병변으로 진단된 16명의 MAGE 발현율은 25.0% (4/16)였다. 결론: 기관지 세척액을 이용한 MAGE 검사는 기관지 내시경을 통한 조직검사가 불가능한 고립성 폐결절에서 기존의 세포진검사에 비해 우수한 양성 예측률을 나타내어 폐암의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 3 차원 최대 강도 투사 재건 영상의 유용성 (Usefulness of Three-Dimensional Maximal Intensity Projection (MIP) Reconstruction Image in Breast MRI)

  • 김현성;강봉주;김성헌;최재정;이지혜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3권2호
    • /
    • pp.183-189
    • /
    • 2009
  • 목적 :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 3 차원 최대 강도 투사 (3D MIP) 재건 영상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유방암으로 진단받고 유방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27명의 환자의 54개의 유방을 대상으로 하였다. GE Signa Excite Twin speed (GE medical system, Wisconsin, USA) 1.5 T 기기를 이용하여 기본 영상으로 축면 T2 강조 T1 강조 영상과 시상면 T1 강조 지방 억제 영상, 역동적 조영 증강 영상과 감산 영상을 얻었다. 이후 초기 역동적 조영증강 영상의 감산영상으로 워크스테이견 (GE Medical system)을 이용하여 3D MIP 영상을 얻었다. 3D MIP 영상과 기본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 발견된 병변을 ACR BI-$RADS^{(R)}$ MRI lexicon에 따라 분석하였다. 각각의 영상에서 발견된 병변의 소견들을 비교하고 3D MIP에서 기본자기공명영상에서 보다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 종괴의 경우 기본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 보이는 56개 중 43개가 3D MIP 영상에서 발견되었다 (76.8%). 비종괴성 조영 증강의 경우 20개 중 17개가 발견되었다 (85%). 169개의 초점성 조영증강 병변이 3D MIP 영상에서, 109개가 기본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 확인되었다. 3D MIP 영상에서 60.9%의 category 3병변이 발견되었고(14/23), 68.87%의 category 4 병변 (11/16), 100%의 category 5병변 (28/28)이 발견되었다. 3D MIP 영상에서 분석된 조영증강 병변들의 category가 기본 유방 자기공명 영상의 결과들과 통계적으로 일치하였다(p-value < 0.0001). 기본 유방 자기공명 영상에서 초점으로 분석된 2개의 병변들이 3D MIP 영상에서는 다초점성의 악성 병변으로 발견되었고, 1개의 추가적 병변이 3D MIP 영상에서만 발견되었다. 결론 : 3D MIP 영상은 한계점들을 갖고 있으나, 기본 유방자기공명영상의 분석에 있어 추가적으로 이용 시 유용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