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ogen fertilizer

검색결과 1,661건 처리시간 0.028초

시비수준(施肥水準) 및 재배지역(栽培地域)이 쌀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Fertilizer Levels and Cultivated Regions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 Grains)

  • 홍영표;김성렬;임정남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85-92
    • /
    • 1993
  • 벼 4 품종(品種)(금강(錦江)벼, 밀양(密陽) 23호(號), 추청벼, 칠성(七星)벼)을 무질소구(無窒素區), 질소적량구(窒素適量區), 다질소무가리구(多窒素無加里區) 등(等) 3 수준(水準)의 시비처리(施肥處理)로 수원(水原)(중서부(中西部) 평야지대(平野地帶)), 이천(利川)(중부(中部) 내륙지대(內陸地帶)) 및 계화도(界火島)(부안군(扶安郡), 차령남부(車領南部) 평야지대(平野地帶))에서 재배(栽培)하여 수확(收穫)한 벼를 조제(調劑)하여 얻은 정조(正租), 현미(玄米), 백미(白米)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질소시비증가(窒素施肥增加)는 정조(正租)의 입장(粒長) 증가(增加)와 백미(白米)의 폭(幅)/두께 비(比)를 감소(減少)시켰고 질소(窒素)의 과소(過少), 과다시용(過多施用)은 천립중(千粒重)을 감소(減少)시켰다. 계화도(界火島)에서 생산된 벼의 입폭(粒幅)과 입(粒)두께는 다른 지역(地域)에서 생산된 벼보다 적어서 장(長)/폭(幅) 비(比)나 장(長)/두께 비(比)가 컸다. 무질소(無窒素)와 다질소무가리(多窒素無加里) 처리(處理)는 천립중(千粒重)을 감소(減少)시켰다. 정조(正租)의 왕겨비율(比率)은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 증가(增加)에 따라서 감소(減少)한 반면(反面) 현미(玄米)의 쌀겨비율(比率)은 일정(一定)하였다. 이 결과(結果)는 쌀의 정상적(正常的)인 발육(發育)을 위해서 일정비율(一定比率)의 쌀겨층(層)이 필요(必要)함을 암시(暗示)하고 있다.

  • PDF

하해혼성(河海混成) 논토양(土壤)의 양분수지(養分收支)에 관한 연구 (Study on Nutrient Balance in Paddy Field of Fluvio-Marine Deposit)

  • 유철현;양창휴;강승원;한상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253-263
    • /
    • 2002
  • 벼 재배시 시용한 비료와 자재양분의 이동과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전북통에서 동진벼를 공시하여 2개년간(1999~2000)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후 토양의 pH는 생우분 시용구에서 높아졌고 유기물, 인산, 규산, 칼리, 석회, 전질소함량이 증가하였고, 토층내로의 침투수중 무기태질소함량은 $NH_4-N$보다 $NO_3-N$함량이 월등히 많았으며 그 정도는 생우분시용구에서 높았으며, $PO_4-P$함량은 생우분시용구에서 타처리 보다 높았으나 K함량은 표준시비구에서 높았다. 벼 생육기간중 물의 소비량은 477mm였으며, 양분의 공급량과 소비량 중 질소는 무질소구, LCU20%감비구, 무비구에서 공급량보다 소비량이 많았으며, 인산의 경우는 무인산, 무비구를 제외하고는 공급량보다 소비량이 적었다. 또한 칼리는 모든 처리에서 공급량보다 소비량이 많았다. 양분의 침투수 중 시비질소는 진단시비, 표준시비+생우분+규산시용구에서 많았고 수확물의 질소회수율은 LCU20%감비구에서 높았다. 시비인산의 침투율은 생우분시용구에서 많았고, 시비칼리는 LCU20%감비구에서 많았다. 수도체 질소이용율은 LCU20%감비, 인산과 칼리의 이용율은 표준시비+규산시용구에서 높았다. 쌀수량은 진단시비 대비 LCU20%감비>표준시비+규산=표준시비+생우분+규산>표준시비+생우분 순으로 높았다.

수도(水稻)에 대(對)한 분얼비(分蘖肥)와 수비량(穗肥量) 결정(結定)에 관(關)한 연구 (Study on Determine the Amount of Nitrogen to be Applied at Tillering and Reproductive Stages of Rice)

  • 오왕근;박준규;김웅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5-159
    • /
    • 1971
  • 1. 수도품종(水稻品種), 진흥(振興)을 써서 1969년(年)에 한 농가(農家)포장에서 실시(實施)한 비료시험결과(肥料試驗結果)에 입각(立脚)하여 유효분얼기와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시비(施肥)할 질소비료량(窒素肥料量)을 결정(決定)하는 한 방법(方法)이 연구(硏究)되었다. 본시험(本試驗)에서는 0.1 ha 당(當) 4kg 상당(相當)의 질소(窒素)가 기비(基肥)로 각처리구(各處理區)에 시비(施肥) 되었다. 2.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시비(施肥)한 질소(窒素)는 수량(收量)을 현저히 증가시켰고 또 분얼기(分蘖期)에 시비(施肥)해야 할 질소량(窒素量)을 절하(切下)하고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0.1 ha 당(當) 6.82kg의 질소(窒素)를 시용(施用)했을 때의 수량(收量) 670kg/0.1ha은 분얼기(分蘖期)에 8kg 이상(以上)의 질소(窒素)를 시용(施用)했을 때의 수량(收量) 644kg/0.1ha 보다 높았다. 이러한 사실(事實)은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주는 추비(追肥)가 얼마나 중요(重要)한 것인가를 시조(施調)해 주는 것이다. 3. 분얼기(分蘖期)과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주어야 할 질소량(窒素量)은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에 따라 다른 것이기 때문에 이 양생육기(兩生育期)에 주어야 하는 질소량(窒素量)과 토양분석치(土壤分析値)와의 상관연구(相關硏究)는 필요(必要)한 것으로 그 시행(施行)을 제안(提案)한다. 4. 합리적(合理的) 시비법(施肥法)의 수립을 위하여 각생육기(各生育期)에 시비(施肥) 해야 하는 비료량(肥料量)과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와의 관계(關係)에 대(對)한 연구(硏究)는 필요(必要)한 것으로 간주된다.

  • PDF

질소 동위원소비를 이용한 관행농업과 유기농업에서의 질산태 질소 오염원 구명 (Investigation of Nitrate Contamination Sources Under the Conventional and Organic Agricultural Systems Using Nitrogen Isotope Ratios)

  • 고한종;최홍림;김기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481-490
    • /
    • 2005
  • Nitrate contamination in water system is a critical environmental problem caused by excessive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and concentration of livestock. In order to prevent further contamin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rigin of nitrate in nitrogen loading sources and manage the very source of contamin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itrate contamination sources in different agricultural system by using nitrogen isotope ratios. Groundwater and runoff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on a monthly basis from February 2003 to November 2003 and analyzed for nitrogen isotopes. The nitrate concentrations of groundwater in livestock fanning area were higher than those in conventional and organic fanning area and exceeded the national drinking water standard of 10mg N/ l. The ${\delta}^{15}N$ranges of chemical fertilizer and animal manure were - 3.7${\sim}$+2.3$\textperthousand$ and +12.5${\sim}$26.7$\textperthousand$, respectively. The higher ${\delta}^{15}N$ of animal manure than those of chemical fertilizer reflected isotope fractionation and volatilization of '''N. The different agricultural systems and corresponding average nitrate concentrations and ${\delta}^{15}N$ values were: conventional farming, 5.47mg/e, 8.3$\textperthousand$; organic fanning, 5.88mg/e, 10.1$\textperthousand$; crop-livestock farming, 12.5mg/e, 17.7%0. These data indicated that whether conventional or organic agriculture effected groundwater and runoff water quality. In conclusions, relationship between nitrate concentrations and ${\delta}^{15}N$ value could be used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nitrate derived from chemical fertilizer and from animal manure. Additional investigation is required to monitor long-term impact on water quality in accordance with agricultural systems.

Effects of Stubble Height, Irrigation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Rice Ratooning in Korea

  • Shin, Jong-Hee;Kim, Sang-Kuk;Park, Sang-G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31-435
    • /
    • 2015
  • Rice (Oryza sativa L.) ratooning is the production of a second rice crop from the stubble left behind after the main crop harves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s of main-crop stubble height, irrigation and fertilization on ratoon grain yield. Main crop 'Jinbuol' rice cultivar was harvested to leave with 10, 20, 30, or 40 cm stubble height. When the main crop stubble was harvested with 10 cm height, ratoon rice grain yield was increased by 2,810 kg/ha. Irrigation on stubbles after main crop harvest did not affect the ratoon crop yield and rice quality. The results showed a large variation in the ratoon performance by fertilizer application methods. Top-dressed nitrogen fertilizer on the stubble after harvest caused increase in panicle production and higher maturity rat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tein content, amylose content of milled rice and cooked rice characters between plots managed with and without nitrogen fertilizer.

작목별 비료투입에 따른 경제적 효과 추정 (The Economic Effects of Chemical Fertilizer in Big Data)

  • 이상호;송경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19-628
    • /
    • 2018
  • This study analyze the economic effect of chemical fertilizer. We used the input and output data, and the analysis variables include production output nitrogen, phosphoric acid, potassium, seeds, and labor.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spring potatoes, potassium increases to a certain level of output, but over a certain stage, the output decreases as the input increases. Optimal use of potassium in the calculation of spring potatoes can achieve the effect of reducing input costs and increasing output simultaneously. Second, radish In autumn, nitrogen increases to a certain level, but over a certain stage it represents a reverse U-shaped relationship in which output decreases as input increases. This means that reducing the amount of fertilizer input increases the output. This means that soil-related agricultural big data can contribute to the management of nutrients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in agricultural land.

토양검정에 의한 시설재배 토마토의 적정 시비량 추천 (Fertilizer Recommendation Based on Soil Testing for Tomato in Plastic Film House)

  • 홍순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50-358
    • /
    • 1998
  • 시설재배 토양의 염류집적 방지를 위한 적정 시비량 추천방안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7년도에 영동군, 보은군, 청원군, 및 청주시의 시설재배지로부터 염류농도가 다양한 18개 토양을 채취하여 폿트 시험으로 무비구와 시비구로 구분하여 토마토의 생산성과 비료효과를 조사하였다. 무비구의 토마토 건물중 및 질소, 인산, 칼륨 흡수량을 비옥도 요인으로 그리고 이들의 시비구와 무비구의 차이 값을 비료 전체효과 및 비료 질소, 인산, 칼륨효과로 고려하였다. 비옥도 및 비료효과 요인들은 토양 화학성들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시설재배지 토마토의 시비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평가방법을 검토하였다. 비옥도 요인들에 대한 무기태 질소($NO_3-N$, $NH_4-N$) 함량의 표준화 편회귀계수는 247~1159의 범위를 보여 다른 화학성들의 0.02~4.02에 비하여 수백배의 높은 가중치를 보였다. 또한 무기태 질소($NO_3-N$, $NH_4-N$) 함량은 전기전도도에 대한 표준화 편회귀계수가 35.2-36.0으로 다른 화학성들의 1.0이하에 비하여 수십배의 높은 가중치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무기태 질소함량은 시설재배 토양의 비옥도와 전도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지표로 확인되었다. Cate-Nelson split 평가방법에 의한 토마토 최대 생산력과 비료효과 0가 되는 무기태 질소($NO_3-N+NH_4-N$) 함량은 $220mg\;kg^{-1}$으로 배추의 경우와 동일하게 추정되었다. 따라서 시설재배지 토양의 무기태 질소($NO_3-N$, $NH_4-N$) 함량이 $220mg\;kg^{-1}$ 이상인 토양은 무비 재배로 추천하고, 기준치 이하인 토양은 비료효과와 무기태질소 함량의 회귀식을 이용하여 시비기준의 추천이 가능하다.

  • PDF

유수형성기전(幼穗形成期前), 한발피해(旱魃被害)를 입은 벼에 대한 N, K 시용(施用)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and Potassium Fertilizer Application on Yield of Rice Damaged by Drought before Panicle Initiation Stage)

  • 이영한;김종균;김인하;이한생;조재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19
    • /
    • 1996
  •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전에 한발피해를 입은 벼에 대한 피해경감을 위하여 질소와 카리비료 시용과 관수(灌水) 처리로 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의 수량(收量)은 정상구에 비해 질소 30~60 kg/ha시용구는 90~95%. 카리 시용구는 87% 수준이었으며, 대조구는 정상구 수량의 86% 수준이었다. 관수(灌水)만한 대조구에 비해 한발피해를 입은 무비무관수(無肥無灌水)의 수량(收量)은 34%에 불과하였다. 2. 한발피해시 대조구에 비해 관수(灌水)와 동시 질소 30~60 kg/ha 시용으로 각각 수량(收量) 이 5. 10% 증수(增收)되었고, 질소 60kg/ha처리구는 5%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출수기(出穗期)는 정상구에 비해 질소 시용구가 3일(日), 카리 시용구가 4일(日), 대조구가 8일(日) 정도 늦었다. 3. 한발피해를 입은 벼의 수량 확보를 위한 방법으로 관수(灌水)를 하는 것이 효과가 컸으며, 카리시용보다 질소시용이 효과가 있었다.

  • PDF

Jet Loop 반응기를 이용한 화학비료폐수의 생물학적 질소제거 연구 (A Study on the Biological Nitrogen Removal of the Chemical Fertilizer Wastewater Using Jet Loop Reactor)

  • 서종환;이철승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7-165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optimum design parameters in nitrification and denitrf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wastewater using pilot plant, Jet Loop Reactor. The chemical fertilizer wastewater which contains low amounts of organic carbon and has a high nitrogen concentration requires a post-denitrfication system. Organic nitrogen is hydrolyzed above $86\%$, and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nitrogen was influent wastewater 126mg/L and of effluent wastewater 16.4mg/L, respectively. The nitrification above $90\%$ was acquired to TKN volumetric loading below $0.5\;kgTKN/m^3{\cdot}d$, TKN sludge loading below $0.1\;kgTKN/kgVSS{\cdot}d$ and SRT over 8days. The nitrification efficiency was $90\%$ or more and the maximum specific nitrification rate was $184.8\;mgTKN/L{\cdot}hr$. The denitrification rate was above $95\%$ and the concentration of $NO_3-N$ was below 20mg/L. This case was required to $3\;kgCH_3OH/kgNO_3-N$, and the effluent concentration of $NO_3^--N$ was below 20mg/L at $NO_3^--N$ volumetric loading below $0.7\;kgNO_3^--N/m^3{\cdot}d$ and v sludge loading below $0.12\;kgNO_3^-N/kgVSS{\cdot}d$. At this case, the maximum sludge production was $0.83\;kgTS/kgT-N_{re}$ and the specific denitrfication rate was $5.5\;mgNO_3-N/gVSS{\cdot}h$.

호남평야지에서 벼 건답직파 조기파종재배에 알맞은 질소 분시방법 (Reasonable Split Application Method of Nitrogen Fertilizer for Early Dry Seeding Culture of Rice in Honam Plain Area)

  • 김상수;최원영;백남현;최민규;박홍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60-464
    • /
    • 2007
  • 호남평야지에서 건답직파 조기파종재배에 알맞은 질소 분시방법을 구명하고자 '97~'98년에 호남농업시험장 수도포장인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동진벼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질소분시방법간 토양 중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을 보면 5엽기에는 관행(T1, 기비시용)보다 추비중점시비(T2, T3)에서 많았고 그 이후는 점차 줄어들어 출수기에는 질소 분시방법간에 차이가 적었다. 엽면적 및 지상부 건물중은 생육초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최고분얼기 이후에는 3엽기:7엽기:수비=40:30:30%로 분시 한 처리에서 가장 많았다. 질소 흡수량과 질소 이용율은 관행 분시방법보다 추비중점시비에서 높았는데, 2차 추비시기 간에는 5엽기보다 7엽기에 시비한 처리에서 높았다. 수량구성요소 중 등숙비율과 현미천립중은 질소 분시방법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m^2$당 수수는 T3 > T2 > T1 순으로 많아, 쌀 수량은 관행에 비하여 3엽기:5엽기:수비=40:30:30%로 분시한 처리에서 3%, 3엽기:7엽기:수비=40:30:30%로 분시한 처리에서 6% 증수되었다. 따라서 벼 건답직파 조기파종재배에 알맞은 질소분시방법은 3엽기:7엽기:수비로 각각 40:30:30%로 분시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