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te contents

검색결과 432건 처리시간 0.023초

미성숙 목화다래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평가 (Evaluations on Antioxidant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Immature Cotton Boll)

  • 박희정;이기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6-43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미성숙 목화다래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알아보기 위해 다래를 크기별로 구분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radical의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및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목화다래의 크기가 작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DPPH radical 소거능 및 ABTS radical의 소거능 또한 작은 크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는 다른 선행연구들에서와 같이 페놀함량이 높은 실험군에서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이 높게 나타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인체 위 내부환경과 같은 pH 1.2에서는 높은 활성을 보이다가 pH 4.2에서는 점차로 활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중성에 가까운 pH 6.0에서는 아질산염 소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SOD 유사활성은 대조군인 ascorbic acid에 비하면 낮은 활성이었지만, 기 보고된 다른 천연물들의 효소활성과 비교하였을 때 더 높거나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이 본 실험을 통해 미성숙 목화다래의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화장품이나 기능성 식품 등에 있어서 새로운 소재개발의 가능성을 시사해주는 것으로서, 그동안 주로 천연 솜의 생산을 위해 재배되어왔던 목화의 제한적 활용성을 더욱 다양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머루 과피 용매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The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Vitis Coignetiea) Skin)

  • 최선영;조현소;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961-966
    • /
    • 2006
  • 머루 과피 용매추출물의 전자공여 작용, 환원력, SOD 유사활성, TBARS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측정하여 항산화 기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ethyl acetate 추출물의 경우 전자공여 작용도 $100\;{\mu}g/mL$ 농도에서 $79.2{\pm}0.06%$로 BHT$(74.1{\pm}0.15%)$보다 더 활성이 높았고,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전자공여 작용과 환원력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100\;{\mu}g/mL$ 농도에서 ethyl acetate와 butanol 추출물에서 각각 $25.1{\pm}0.41%$$20.2{\pm}0.13%$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였다. $FeCl_2$$CuSO_4$에 대한 항산화 활성도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ethyl acetate 추출물은 ascorbic acid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머루 과피 용매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 2.5에서 ethyl acetate$(90.5{\pm}0.75%)$>butanol$(65.9{\pm}2.16%)$>hexane$(58.1{\pm}1.74%)$>chloroform$(55.4{\pm}1.02%)$>water$(40.9{\pm}0.35%)$ 추출물의 순으로 소거작용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머루 과피의 항산화 활성은 ethyl acetate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산지별 유자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Yuza Grown in Different Areas)

  • 신정혜;이수정;강민정;양승미;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485-1491
    • /
    • 2009
  • 거제, 고성, 고흥 및 남해산 유자의 생리활성 규명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자를 과육과 과피로 분리하여 주요 생리활성 성분을 분석하고 과피 물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을 비교하였다. 비타민 C 함량은 과육에서 6.34${\Pm}$0.12-10.74${\Pm}$1.25 mg/100 g의 범위였으며, 과피에서는 과육에 비하여 2.17-3.57배 정도 더 높은 함량이었다. 카로티노이드 함량도 비타민 C와 동일한 경향이었으며 고성산과 남해 재래종의 과피에서 6 mg/100 g 이상으로 타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남해 개량종에서 가장 높아 과육과 과피에서 각각 11.11${\Pm}$0.10 mg/100 g 및 31.76${\Pm}$0.30 mg/100 g이었다. Hesperidin과 naringin의 함량도 과육보다는 과피에서 4.81-7.80, 3.07-4.62배 정도 더 높은 함량이었으며, 과피에서 hesperidin은 45.30${\Pm}$1.18-85.76${\Pm}$3.72 mg/100 g, naringin은 28.69${\Pm}$0.85-44.96${\Pm}$1.75 mg/100 g의 범위였다. 과피 물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5 mg/mL 이상 첨가 시 활성은 52.78${\Pm}$1.13-66.88${\Pm}$0.53%의 범위였으며 남해산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활성이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0.5 mg/mL 농도에서는 10% 미만으로 낮았으나 시료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높아져 10 mg/mL 농도에서는 24.95${\Pm}$1.82-29.72${\Pm}$1.84%의 범위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2.5 mg/mL의 농도에서는 남해산 시료에서만 5.06${\Pm}$1.27%의 낮은 활성이 확인되었으나, 10 mg/mL 농도에서는 32.76${\Pm}$1.43-69.21${\Pm}$1.91%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한국 재래식 간장의 니트로소화합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N-Nitrosamine of Korean Ordinary Soysauce)

  • 성낙주;황외자;이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5-135
    • /
    • 1988
  • 예부터 우리나라 특유의 조미료로 상용되어온 재래식 간장을 제조함에 있어 강한 발암성 물질인 N-nitrosamine(NA)의 생성유래를 밝히고, 나아가서 이들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방안의 일환으로써 몇몇 종의 식품첨가제를 이용하여 NA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고, 동시에 NA 생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유리아미노산, dimethylamine(DMA), 질산염 및 아질산염의 변화를 검색하였다. 간장숙성중 DMA 질소는 다소간 불규칙한 변화를 보이고 있으나 대체로 숙성과 더불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DMA의 억제효과는 ascorbic acid 및 sodium benzoate 처리구가 DMA생성을 숙성초기에 크게 억제시켰으나 숙성말기에는 큰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질산염질소는 간장이 숙성되는 과정중 계속해서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반면 아질산염질소는 증가하였다. 아질산염의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ascorbic acid가 가장 효과적인 식품첨가제였다. N-nitrosodimethylamine (NDMA)은 간장숙성중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대조구의 경우 숙성 30일에 $2.7{\mu}g/kg$, 숙성 90일에 $10.7{\mu}g/kg$검출되었다. 그러나 N-nitrosodiethylamine(NDEA) 및 N-nitrosodipropylamine(NDPA) 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식품첨가제가 NDMA의 생성에 대한 억제효과는 시판식염으로 제조한 간장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ascorbic acid 처리구가 $82.2{\sim}87.0%$, sorbic acid 처리구 $25.9{\sim}65.4%$ 및 sodium benzoate 처리구에서는 $13.2{\sim}63.5%$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순 NaCI로 제조한 간장중 NDMA의 함량은 ascorbic acid 처리구가 1.5㎍/㎏이하로서 대조구에 비해 NDMA의 생성이 크게 억제되었다. 간장중에 존재하는 유리아미노산이 NDMA의 생성을 억제시킨다는 것이 본 실험에서 밝혀졌고, 이중 특히 glutamic acid, proline 및 histidine이 주된 아미노산으로 추정되며 모델실험결과 간장중 유리아미노산을 제거할 경우 NDMA의 생성을 30.3%나 촉진시켰다.

  • PDF

방아풀, 쑥부쟁이 및 씀바귀 나물의 건조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y of Bang-A, Aster and Lettuce Greens by the Different Drying Methods)

  • 김영민;최미승;배종향;유성오;조자용;허북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0-66
    • /
    • 2009
  • 나물로 이용되는 방아풀, 쑥부쟁이 및 씀바귀의 효율적인 건조방법을 구명하고자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건조한 후 메탄올을 용매로 한 추출액 $1,000mg{\cdot}L^{-1}$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방아풀과 쑥부쟁이는 동결건조 한 것에서 각각 65.1 및 $60.2mg{\cdot}L^{-1}$로, 씀바귀는 오븐에서 건조한 것에서 $51.2mg{\cdot}L^{-1}$로 가장 많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방아풀은 오븐건조 처리구에서 $70.6mg{\cdot}L^{-1}$로, 쑥부쟁이와 씀바귀는 동결건조 처리구에서 각각 53.9 및 $35.8mg{\cdot}L^{-1}$로 가장 많았다. 전자 공여능은 방아물의 경우동결건조 한 것에서 78.8%로 가장 높았으며, 쑥부쟁이는 $89.8{\sim}90.9%$로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씀바귀 추출물의 전자 공여능은 오븐으로 건조한 것(91.9%), 자연건조 한 것(91.0%), 동결건조 한 것(90.9%) 순으로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방아풀과 쑥부쟁이는 자연건조 한 것에서 각각 73.3및 78.2%로 높았으며, 씀바귀는 동결건조 한 것에서 75.1%로 가장 높았다.

시판 흑마늘의 항산화 및 Nitrosodimethylamine의 생성억제 (Antioxidant and Inhibition of Nitrosodimethylamine Formation in Marketing Black Garlics)

  • 차지영;이수정;신정혜;성낙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2호
    • /
    • pp.151-162
    • /
    • 2012
  • 시판되는 남해산 흑마늘 4제품(A, B, C 및 D)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아질산염 소거 및 nitrosodimethylamine(NDMA) 생성억제 활성을 비교하였다. 마늘 중 total pyruvate와 thiosulfate 함량은 생마늘보다 흑마늘에서 높았으며, B제품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흑마늘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물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흑마늘은 생마늘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으로 A제품에서 다소 높게 정량되었다. 항산화 활성으로 DPPH, ABTs, hydroxyl 및 nitric oxide 라디칼 소거활성을 비교한 결과, 흑마늘이 생마늘보다 높았으며, 물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고, A와 B제품간의 항산화 활성은 비슷한 경향이었다. 아질산염 소거활성과 NDMA 생성억제 활성은 항산화 활성과 동일한 경향이었으며, A제품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흑마늘의 NDMA 생성억제 활성이 항산화 활성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는 바, 흑마늘은 생체 내 암 발생의 억제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었다.

완도읍 및 평일만 김밭에 있어서의 동계 오개월간 수질의 조수에 따른 변동 (Tidal Variations of the Chemical Constituent Contents in the Laver Bed Sea Waters in Wan Do Gun From October 1968 to February 1969)

  • 원종훈;박길순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29
    • /
    • 1970
  • 김의 성장과 품질에 대한 환경수질의 중요성은 다시 말할 필요가 없다 김 양식기에 있어서의 환경수질의 변동을 보기 위해 저자의 한 사람은 섬진강 및 낙동강 하구 김밭에 대해 이미 조사한 바 있거니와 이번에는 우리나라 유수의 김 생산지인 완도군하 김밭의 수질을 전보와 같은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조사지점으로서는 완도군 에서대체로 대표적 김밭이라 볼 수 있는 두 지점을 선정하여 1968년 10월부터 1969년 2월까지 매월 대조일에서의 수질변동을 조수의 일조기에 걸쳐 1시간마다 각 성분량을 측정하므로써 조사하였다.

  • PDF

굴비 가공중 N-nitrosamine의 생성 (The Formation of N-nitrosamine in yellow Corvenia During its Processing)

  • 성낙주;이수정;정미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5-131
    • /
    • 1997
  • Gulbi, salted and dried yellow corvenia, is a favorite diet food in Korea from the ancient times. A Few studies have dealt with sanitary concerns related to its products, while a number of investigators studied its taste compounds. This study attemps to establish the basic data for ensuring the safety of Gulbi. The contents of nitrate and nitrite were detected 1.2 and <0.1 mg/kg in raw sample, but their contents were detected 3.6~3.9 and 1.2~2.0 mg/kg during its processing and storage of Gulbi, respectively. TMAO contents decreased while betaine, TMA, DMA and formaldehyde increased in yellow corvenia during its processing and storage. Recovery from raw, salted, salt-dried and stored sample spiked with 10$\mu\textrm{g}$/kg for NDBA was 83.2~102.7% average 92.7%). N-nitrosamine such as NDMA, NDEA and NDPA was not detected in raw sample and drastically increased during Gulbi processing and storage. The levels of NDMA, NDEA and NDPA in Gulbi stored for 30 days were about 2.7,4.5 and 5.3 times higher than those in salted sample, respectively. Regardless of cooking methods, NDMA, NDEA and NDPA during cooking when sample were cooked using direct heating methods such as a gas and a briquet fire than when sample were cooked using indirect methods such as an microwave oven and a fried pan. Indirect cooking methods was effective to minimize the N-nitrosamine formation such as NDMA, NDEA and NDPA during cooking of Gulbi.

  • PDF

Changes of Nitric Oxide Synthase Activity and Free Methylarginines Contents in Regenerating Rat Liver after Partial Hepatectomy

  • Lee, Young-Jin;Nam, Suk-Woo;Seo, Dong-Wan;Ahn, Seong-Hoon;Ko, Young-Kwon;Sung, Dae-Suk;Han, Jeung-Whan;Hong, Sung-Youl;Lee, Hyang-W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239-246
    • /
    • 1997
  • In the present study, liver regeneration rate (%) was increased up to 70% 3 days after partial hepatectomy (PH). Nitric oxide synthase (NOS) activity in liver tissue as well as serum nitrite/ nitrate content had no timed response, reveal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hamoperated and partially hepatectomized rat liver. Contents of free methylarginines in liver tissue were increased biphasically in a time-dependent manner after PH. However, those in serum did not exhibit the same patterns as in liver. Taken toge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N^{G}$-monomethyl-L-arginine (MMA) and $ N^{G}, N^{G}$-dimethylarginine (DMA) play a role in inhibiting nitric oxide (NO) synthesis in regenerating rat liver because the increase of their contents was synchronized with NOS expression.

  • PDF

효소처리에 의한 천도복숭아 음료의 기능성 증진 (Effect of Enzyme Treatment on Functional Properties of Nectarine Beverage)

  • 윤선주;이은탁;조준구;김덕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379-138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효소 처리에 의하여 제조한 천도복숭아 주스에 함유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대조구의 경우와 cellulase만을 처리한 처리구의 경우 각각 0.146 mg/mL, 0.148 mg/mL로 유사하였으나 pectinase만을 처리한 처리구와 pectinase와 cellulase를 혼합하여 처리한 처리구의 경우 각각 0.167 mg/mL와 0.171 mg/mL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작용, 즉 전자공여능(DPPH) 조사한 결과는 효소 처리구들이 대조구의 13.42%보다 높은 28.98% 이상으로 2배 이상의 활성을 나타나 효소처리에 의해 제조된 천도복숭아 주스가 열수추출에 의해 제조된 주스보다 높은 항산화기능이 유지될 수 있음을 유추할 수가 있었다. pH 조건별 아질산염 소거 효과를 비교하여 본 결과 대조구의 경우에서는 아질산염 소거능이 pH 1.2에서 약 79%로 나타났으나 효소 처리구들은 90%를 이상의 결과들을 보였으며, pH 3.0, pH 4.0, pH 6.0에서도 대조구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천도복숭아를 이용하여 제조한 주스의 유리아미노산 분석결과 aspartic acid, serine, alanine, GABA, glutamic acid가 총 유리아미노산 검출양의 86.71%에서 94.14% 범위로 대부분의 유리아미노산을 구성하는 것으로 검출되었으며, ornithine과 taurine 또한 검출이 되었다. 각종 무기원소 함량 조사의 결과는 질소성분(T-N)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효소처리구가 다소 높게 나왔으며, 인성분($P_2O_5$)의 경우는 대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칼슘성분(CaO)의 경우 45 mg/L 이상의 마그네슘성분(MgO)의 경우에서는 85 mg/L 이상의 농도를 보여 역시 높은 함유율을 보였으며, 칼륨성분($K_2O$)의 경우에서는 2,133 mg/L 이상의 농도를 보여 역시 상당히 높은 함유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