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cotinamide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48초

치료제, 조제학 및 식물을 위한 서투인 억제제의 유용성 (A Review of Sirtuin Inhibitors in Therapeutics, Pharmaceutics, and Plant Research)

  • 이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6-105
    • /
    • 2020
  • 서투인 억제제는 유형 III 히스톤 데아세틸라제(HDAC)인 서투인을 억제하는 화합물이며, 약제학적 및 치료학적 가치를 갖는다. 합성 서투인 억제제는 효모 S. cerevisiae 에서 세포-기반 스크린을 사용하여 발견되었고 특성화되었으며 서투인의 기능과 관련된 노화, 발암 및 당뇨병을 연구하는데 사용되었다. 의학 분야에서 합성 서투인 억제제는 보다 강력한 효능과 특이성을 얻기 위해 개발되어 왔다. 니코틴아미드 및 티오아세틸리신 함유 화합물, β-나프톨 함유화합물, 인돌 유도체. 수마린, 테노빈 및 그 유사체가 개발 되었다. 서투인 억제제는 식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식물의 화학적 유전학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시르티놀-내성 돌연변이 체는 알데히드 옥시다제에 대한 몰리브돕테린 보조인자의 생합성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었다. 일부 천연 플라보노이드, 카테킨 유도체 및 퀴르세틴 유도체는 서투인 억제제로서 작용하며 치료 목적을 위한 보다 강력한 억제제를 찾기 위해 연구 되고 있다. 이 리뷰에서, 서투인을 소개하면서 치료제에서 개발된 서투인 억제제를 소개한다. 서투인 억제제인 서티놀은 식물에서 화학적 유전학에 예기치 않게 사용되었습니다. 보다 강력하고 선택적인 서투인 억제제가 치료제에서 개발되어야 하고, 약학에서 개발된 다른 서투인 억제제는 식물에서 보다 진정한 서투인을 찾기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전침자극이 흰쥐 대뇌피질의 NADPH-diaphorase와 NPY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by Different Frequencies and Treatment-times on NADPH-diaphorase and Neuropeptide Y in Sprague-Dawley Rat Cerebral Cortex)

  • 조성규;김창환;김용석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95-106
    • /
    • 2002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electroacupuncture(EA) stimulation on NADPH-diaphorase and Neuropeptide Y(NPY) in the cerebral cortex of Sprague-Dawley Rats. We evaluated the changes of NADPH-d-positive neurons using a histochemical method and the changes of NPY-positive neurons using a double labeling immunohistochemical method. The staining intensities of NADPH-d-positive neuron and NPY-positive neurons were assessed in a quantitative fashion using a microdensitometrical method based on optical density by means of an image analyzer. As to frequency, the optical density of NADPH-d-positive neurons of 2Hz-1 time E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100Hz-1 time EA group in M1, Cg, and that of 100Hz-3 times E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2Hz-3 times EA group in Vi, Au, Cg and Ins. As to treatment-time, the optical density of NADPH-d-positive neurons of 2Hz-1 time EA group was higher than 2Hz-3 times EA group in Vi, Au, Cg and Ins. And in Vi 100Hz-1 time EA group and in M1 100Hz-3 times EA group was more efficient. As to frequency, the optical density of NPY-positive neurons of 2Hz-1 tim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Vi, and that of 100Hz-1 EA group was higher in M1. And that of 2Hz-3 times EA group was higher than 100Hz-3 times EA group in Cg. As to treatment-time, the optical density of NPY-positive neurons of 2Hz-1 time EA group was significantly higer than 2Hz-3 times EA in S1, Vi, Au. And that of 100Hz-1 time E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100Hz-3 time EA in Cg. The present results demonstrated that EA changes the activity in NO and NPY system in the cerebral cortex of SHR and EA stimulation, like frequency and treatment-time, is of importance for this effect.

  • PDF

Carrageenan 염증 유도된 Stat 4 유전자 제거생쥐의 시상하부에서 NADPH-diaphorase 반응에 대한 침의 영향 (Effect of acupuncture treatment on carrageenan-induced inflammation and NADPH-diaphorase reactivity in the hypothalamus of Stat4 knockout mice)

  • 홍미숙;김미자;김진주;박히준;정주호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4권4호
    • /
    • pp.221-231
    • /
    • 2007
  •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상하부에서 침처치에 대한 nitric oxide synthase (NOS)발현을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diaphorase (NADPH-d)를 이용한 조직화학 염색법으로 관찰하였다. 실험방법 : 동물은 Balb/c (wild type) 와 Stat 4 knockout (KO) 생쥐를 사용하였다. 염증유도는 1% carrageenan 용액 (20ul/마리)을 발 뒤꿈치 표피에 주사하였고, 침 처치는 족삼리 (ST36)에 시침하였다. 침 처치 후 5시간까지 부종율을 부종측정기로 측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부종을 측정한 후 동물을 희생하여 뇌를 적출하여 고정하였다. 침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NADPH-d 반응의 조직염색을 실시하였다. 염증유도와 그룹간의 유의성 검증은 one-way ANOVA를 사용하였다. 결 과 : 대조군인 Balb/c와 실험군인 stat4 KO 생쥐를 carrageenan으로 염증을 유도시에 대조군은 90%이상 유도된 반면, Stat4 KO 그룹은 50% 정도의 염증만이 유도되었다. 염증을 유도한 생쥐의 족삼리에 침 처치시 대조군은 1시간에서 약 40%정도 감소하였고 (P<0.05), Stat4 KO 실험군은 유의한 염증 감소율을 보이지 않았다. 시상하부의 lateral hypothalamic area (LHA)와 paraventricular nucleus (PVN)부위의 침에 대한 효과를 NADPH-d 에 양성으로 반응하는 세포수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에서 염증 유도시 시상하부의 PVN는 NADPH-d 양성세포수가 감소하였고, LHA에서는 증가하였다. (2) 염증을 유도한 대조군에 침을 처치시 PVN은 세포수가 증가하였고, LHA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염증을 유도한 Stat4 KO 군에서는 시상하부의 PVN과 LHA부위 모두에서 NADPH-d 양성세포수가 감소하였고, 염증유도그룹에 침을 처치시 PVN과 LHA부위 모두에서 세포수가 증가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4)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 salicylic acid로 비교하였더니 염증유도 효과 및 NADPH-d 세포 수에서 침 처치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 론 : 침은 염증을 유도한 생쥐에서 염증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 염증을 유도한 Balb/c 와 Stat4 KO 생쥐에 침을 처치 시 시상하부의 NADPH-d 발현이 LHA부위와 PVN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침 효과가 시상하부의 위치에 대한 작용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 PDF

감태(E. cava Kjellman) 효소분해산물의 항당뇨 및 알코올 분해능과 미용효과 (α-Glucosidase,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ory Effects of Enzymatic Extracts from Ecklonia cava and its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 김혜윤;조은경;강수희;배정미;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51-7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기장 해안의 해수에서 분리한 해양 미생물로부터 해조류의 난소화성 복합다당류를 분해하는 균주를 분리하고 동정하여 Microbulbifer sp. SC092로 명명하였다. Microbulbifer sp. SC092 미생물에 의하여 생성된 조효소의 기질 특이성 분석으로 agar 및 alginic acid를 분해하는 효소활성이 각각 146.2%로 agarase와 alginase 효소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항산화력은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으로 측정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은 각각 84.1, 89.6%로 나타났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혈당 강하능은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alpha}$-glucosidase 활성은 58.7%로 나타났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항염증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은 인체의 위의 pH와 비슷한 조건에서 아질산염소거능 측정으로 확인하였는데, 0.5 mg/ml 농도에서 56.3%를 나타내어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Vit C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알코올분해능은 ADH와 ALDH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각각 123.3, 215.2%로 나타나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우수한 숙취해소 효능을 보였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기능은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효과로 분석하였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백 및 주름개선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분해산물의 농도 2.5 mg/ml 농도에서 각각 42.2%와 73.1%로 높은 저해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효소 추출법이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발굴하는데 효과적인 추출법인 것으로 기대된다.

Complete Freund Adjuvant에 의한 피부염증에서 통각과민현상의 기전 (Mechanism of Hyperalgesia Following Cutaneous Inflammation by Complete Freund Adjuvant)

  • 정용;임중우;정승수;김윤숙;윤덕미;남택상;백광세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3권2호
    • /
    • pp.164-174
    • /
    • 2000
  • Background: After an injury to tissue such as the skin, hyperalgesia develops. Hyperalgesia is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the magnitude of pain evoked by noxious stimuli. It has been postulated that in the mechanism of hyperalgesia (especially secondary hyperalgesia) and allodynia, a sensitization of central nervous system such as spinal dorsal horn may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hyperalgesia. However, the precise mechanism is still unclea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s of N-methyl-D-aspartate (NMDA) receptor and nitric oxide (NO) system in the mechanism of hyperalgesia, and their relations with c-fos expression Methods: Inflammation was induced by injection of complete Freund adjuvant (CFA) into unilateral hindpaw of Sprague-Dawley rat. Behavioral studies measuring paw withdrawal responses by von Frey filaments and paw withdrawal latencies by radiant heat stimuli and stainings of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NADPH)-diaphorase and c-fos immunoreactivity were performed. The effects of MK-801, an NMDA receptor blocker and $N^\omega$-nitro-L-arginine (L-NNA), a nitric oxide synthase (NOS) inhibitor were evaluated. Results: 1) Injection of CFA induced mechanical allodynia, mechanical hyperalgesia and thermal hyperalgesia. And it increased the number of NADPH-diaphorase positive neurons and c-fos expression neurons. 2) MK-801 inhibited mechanical hyperalgesia and thermal hyperalgesia induced by CFA and reduced the number of NADPH-diaphorase positive neurons and c-fos expression neurons. 3) L-NNA inhibited the thermal hyperalgesia and reduced the number of NADPH-diaphorase positive neurons, but did not affect the number of c-fos expression neuron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mechanism of mechanical hyperalgesia, NMDA receptor but not NO-system is involved and in the case of thermal hyperalgesia both NMDA receptor and NO system are involved. NO system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 of c-fos, but c-fos expression and NOS activity were dependent on the activity of NMDA receptor.

  • PDF

흰쥐의 악안면 통증에서 아사이베리의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caiberry in Formalin-Induced Orofacial Pain in Rats)

  • 김윤경;현경예;이민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40-24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formalin으로 유발된 악안면 염증성 통증모델에서 acaiberry의 진통작용과 항산화작용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의 악안면 통증은 수염부에 5% formalin ($50{\mu}l$)을 주입하여 유발하였고 45분간 행위반응을 측정하였다. Acaiberry의 통증행위반응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formalin 주입 30분 전 실험동물에게 복강투여 하였다. Acaiberry의 통증행위반응조절에 대한 생리적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항염증과 항산화의 지표인 p38 MAPK의 활성 및 NOX4의 발현을 단백정량분석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Acaiberry (16, 80, 160 mg/kg)의 복강투여는 실험동물의 통증행위반응을 대조군($290{\pm}17.4$)에 비해 농도 의존적($205.3{\pm}21.8$, $137.8{\pm}21.8$, $53.5{\pm}30.2$)으로 감소시켰다. 이러한 통증행위반응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를 나타내었다. Formalin의 주입으로 인한 통증행위반응은 15분 이후부터 증가하여 25분, 30분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0분까지 지속되다가 45분에 감소되었으며, 15~40분에서 증가되었던 통증행위반응은 acaiberry의 복강투여로 인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acaiberry의 복강투여는 실험동물의 연수와 부신에서 p38 MAPK활성 및 NOX4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Acaiberry은 포르말린으로 유도한 악안면 통증에서 실험동물의 통증행위반응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이는 p38 MAPK 및 NOX4 경로의 조절을 통한 항염증 및 항산화 작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B Group Vitamins in Supplemented Food Product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Diode Array Detection

  • Suh, Joon-Hyuk;Yang, Dong-Hyug;Lee, Byung-Kyu;Eom, Han-Young;Kim, Un-Yong;Kim, Jung-Hyun;Lee, Hye-Yeon;Han, Sang-Beom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8호
    • /
    • pp.2648-2656
    • /
    • 2011
  • A simple HPLC-DAD method was developed and validated to determine B group vitamin content (thiamine, riboflavin, nicotinamide, pantothenic acid, pyridoxine and folic acid) in supplemented food samples, i.e., infant formula, cereal, low-calorie food, a multi-vitamin pill and a vitamin drink. In this study, the most significant advantages wer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the six B group vitamins in various food matrices and a small number of sample treatment steps that required only an organic solvent, acetonitrile. Moreover, this method prevents reduction of column durability, because the mobile phase does not contain ion-pairing reagents. Analytes were separated on a Develosil RPAQUEOUS $C_{30}$ (4.6 mm ${\times}$ 250 mm, 5 ${\mu}M$ particle size) column with a gradient elution of acetonitrile and 20 mM phosphate buffer (pH 3.0) at a flow rate between 0.8 and 1.0 mL/min. Detection was performed at 275 nm, except for that of pantothenic acid (205 nm). The calibration curves for all six vitamins showed good linearity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r^2$) higher than 0.995. The developed method was validated with respect to linearity, intra- and inter-day accuracy and precision, limit of quantification (LOQ), recovery and stability. The method showed good precision and accuracy, with intra- and inter-assay coefficients of variation less than 15% at all concentrations. The recovery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standard addition procedure, with yields ranging from 89.8 to 104.4%. This method was successfully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vitamin B groups in supplemented food products.

항염증 및 항당뇨 활성에 미치는 현미 추출물의 영향 (Anti-Inflammatory and Antidiabetic Effects of Brown Rice (Oryza sativa L.) Extracts)

  • 조은경;정경임;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6-131
    • /
    • 2012
  • 현미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열수, 에탄올 추출하여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아 질산염 소거능 분석에서는 현미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1 mg/ml 농도, pH 1.2에서 75.4와 94.9%을 나타내었고,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현미 에탄올 추출물 10 mg/ml에서 72.9%로 같은 농도의 열수 추출물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현미의 소화율($44.46{\pm}6.09$%)은 백미의 소화율($62.71{\pm}4.18$%)보다 낮으며 ${\alpha}$-glucosidase 저해능은 현미 에탄올 추출물 10 mg/ml에서 93.1%로 같은 농도의 열수 추출물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현미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10 mg/ml에서 56.4와 44.9%로 유의적인 큰 차이는 없었다. 현미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현미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는데 그 결과, 현미 에탄올 추출물에서 알콜 분해능 증가율이 나타났다.

해양미생물 Microbulbifer sp. AJ-3을 이용한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생리활성 연구 (Biological Analysis of Enzymatic Extracts from Capsosiphon Fulvescens Using the Microbulbifer sp. AJ-3 Marine Bacterium)

  • 배정미;조은경;김혜윤;강수희;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27-63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해수로부터 난소화성 복합다당류를 분해하는 해양미생물 $Microbulbifer$ sp. AJ-3의 효소에 대한 기질 특이성을 분석하고 균주가 생산하는 효소를 이용하여 매생이의 효소분해산물을 조제하여 이에대한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효소의 활성은 agar에 대한 상대적인 활성으로 나타내었는데 chitin 34.8%, fucoidan 36.8%로 비교적 낮은 활성을 보였고, starch 51.2%, agarose와 laminaran은 agar와 비슷한 수준인 115.6%, 103.1%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뿐만 아니라 alginic acid에 대해서는 agar의 2배가 넘는 239.3%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항산화능은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측정으로 분석하였는데 매생이 효소분해산물 2 mg/ml의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2%, SOD 활성은 93%로 나타났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82%, pH 3.0에서 53%, pH 6.0에서 12%로 positive control인 비타민C와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 활성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효소분해산물 2 mg/ml 농도에서 30%의 증가된 알콜 분해능이 나타났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미백 효능에 대해서는 tyrosinase 저해능으로 분석하였으며 2 mg/ml에서 28%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파프리카 추출물이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에 미치는 영향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Activity in Hepatoma Cells by Paprika (Capsicum annuum L.))

  • 유미희;이효정;임효권;이승욱;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07-711
    • /
    • 2006
  • Phase II 효소계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화학물질과 천연 소재들에 의해 유도되며, 이들의 유도는 화학적 발암물질과 그 밖의 여러 가지 독성물질들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의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Hepa1c1c7 세포주를 이용하여 대표적인 암예방 효소인 quinone reductase의 유도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중 QR 유도활성이 가장 높았던 EtOAc 분획물은 $10-50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200\;{\mu}g/mL$의 농도에서 QR 활성이 약 3.3배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파프리카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EtOAc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BP^rcl$ 세포주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QR 유도활성을 보여 파프리카의 EtOAc 분획물의 항암성분은 monofunctional inducer인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