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shoot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6초

Studies on the population biology of some clonal plants in a coastal reclaimed land

  • Choung, Yeon-Sook;Joon-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3호
    • /
    • pp.327-343
    • /
    • 1991
  • Clonal growth and rhizome architecture of calmagrostis epigeios, were studied in a 15-year old coastal reclamed land. As c. epigeios patch grew from center to margin radially over time, concentric annuli were added. the radial increases of the mature patch were 80~130cm/yr. the patch ages of c. epigeios estimated by relationships between the diameter and is radial increament, were 1~6year old. There were the marked variations of density, phytomass, shoot height and inflorecence frequency with increasing age of rhizome system within the patch. the maximum performance occurred at 2-year-old concentric annuli of the patch. The growth phasic continuum with aging was divided into 5 grwth phases ; pioneer, building, matyre, senile and degenerate. The rhizome aging had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the inflorescence frequency than on the other attributes. new rhizomes tended to diverge from the direction of the parent ramet by sympodial growth. in a 1-year-old patch, average length of rhizome segment was 7cm, average number of internode was 6, and the tillering frequency was 27%. The tillering in the early stage resultd in the increase of shoot density and the producation of multibranching rhizome. as the result of that, circular patchwas formed in a year. The branching structure based on such facts was represented graphically in branching degree of 60 and 100. therefore, c. epigeios with clonal growth may establish and grow vigorously earlier than other glycophytes in high salt conditions such as the coastal reclaimed land.

  • PDF

자생 생강나무의 조경적 특성 및 번식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Propagation Methods of Korean native Lindera obtusiloba Blume)

  • 심경구;하유미;김영해;심걸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0-58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pagation methods of L. obtusiloba as a woody landscape plant. The results are obtained as follows: L. obtusiloba was dioecious shrub and shaped with bush type. Leaves were ovate, obtuse, cordate, 7.05 cm long, 7.20 cm wide, and petiole 2.0 cm long. Flowers of L. obtusiloba were diclinous. Soil acidity ranged from pH 4.06 to 5.53 with the lowest at the Mt. Soo-Ri. Mt. Soo-Ri located near factory district, which was considered to damaged by environmental deteoration. While soil organic matter was highest at Mt. Soo-Ri, inorganic nutrients were low. L. obtusiloba grows in the area with low soil acidity and low content of inorganic. Therefore it seemed to be tolerant to air pollution. L. Obtusiloba was high seed germination rate in the plug box and its shoots were longer than seeding box and softwood cutting of L. obtusiloba showed the rooting rate of 50% at 5,000ppm on June 23. To develop a mass propagation method of Korean native L. obtusiloba through an axillary bud culture as a woody landscape plant, about 2∼3 cm shoots induced from explant were subcultured to new media contained different growth regulators. Shoots multiplied most effectively on a WPM containing 1.0 mg/l BA, producing 5.5 shoots with a shoot length of 2.5 cm per shoot explant.

  • PDF

마늘의 유엽(幼葉) 및 양파의 인편배양(鱗片培養)으로부터 기관분화(器官分化)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Organ Formation from the Tissues of Garlic and Onion In Vitro Culture)

  • 이은모;이영복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467-483
    • /
    • 1982
  • 마늘의 유엽(幼葉)과 양파의 인편(鱗片)을 공시재료(供試材料)로 배양(培養)할 때, 엽영(葉齡) 및 부위(部位)에 따른 기관분화(器官分化)의 차이(差異)와 아울러 기관분화(器官分化)에 영향(影響)을 주는 cytokiain과 auxin, 온도(溫度) 및 광(光)의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마늘의 유식물체(幼植物體) 분화(分化)는 $BA\;2mg/{\ell}+NAA\;1mg/{\ell}$ 처리구(處理區)에서 가장 좋았으며, 유엽(幼葉)의 외측부위(外側部位) 중(中) 기부(基部)에서 주(主)로 되었다. 2. 유식물체(幼植物體)는 광조건(光條件)보다 암조건(暗條件)에서 배양(培養)한 것이 분화(分化)가 좋았다. 3. 배양(培養) 온도(溫度)에 있어서는 $20^{\circ}C$$28^{\circ}C$에 비하여 유식물체(幼植物體) 분화(分化)에 효과적(效果的)이었다. 4. 발근(發根)은 무처리구(無처理區) 및 BA 단독처리(單독처理)에서는 불량하였고, $BA\;2mg/{\ell}+NAA\;1mg/{\ell}$ 처리구(處理區) 중(中) 외부(外部) 유엽(幼葉)의 기부(基部)에서 발생이 양호(良好)하였다. 5. 햇 마늘의 유식물체(幼植物體) 분화(分化) 양상(樣相)은 묵은 마늘의 경우와 비슷하였다. 6. 묵은 양파의 맹아엽(萌芽葉) 배양(培養)에서는 엽영(葉齡)이나 부위(部位)에 따른 유식물체(幼植物體) 분화(分化)의 차이(差異)는 보이지 않았고, 전반적으로 $BA\;2mg/{\ell}+NAA\;1mg/{\ell}$에서 비교적 좋은 결과(結果)를 보였다. 7. 묵은 양파나 햇 양파나 내측(內側) 인편(鱗片) 중(中) NAA와 BA의 복합 처리구(처理區)에서 분화(分化)되었다. 8. callus는 NAA처리구(처理區)에서 주로 분화(分化)되며, callus가 분화(分化)된 후에 발근(發根)이 되었다.

  • PDF

Additive Effects of Green Tea on Fermented Juice of Epiphytic Lactic Acid Bacteria (FJLB) and the Fermentative Quality of Rhodesgrass Silage

  • Burrenok, Smerjai;Tamaki, Masanobu;Kawamoto, Yasuhiro;Nakada, Tadash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6호
    • /
    • pp.920-924
    • /
    • 2007
  •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a laboratory scale. The first involved a study of the effect of green tea on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juice of epiphytic lactic acid bacteria (FJLB). FJLB was treated with 50 g/L of green tea products as follows: new shoot powder (FJLB+N), leaf powder (FJLB+L), commercial powder (FJLB+P), sterilized new shoot powder (FJLB+SN), sterilized leaf powder (FJLB+SL) or sterilized commercial powder (FJLB+SP). FJLB without any additive was also prepared (Untreated FJLB). After incubation,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in FJLB were studied. Subsequently, these FJLB were applied at 10 ml/kg to chopped rhodesgrass to study their effects on fermentation. Compared with untreated FJLB, the addition of green tea increased (p<0.05)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also aerobic bacteria counts in FJLB. At 60 d of ensiling, all the FJLB treated silages were well preserved, pH and butyric acid content were lower (p<0.001) and lactic acid was higher (p<0.001) than that of the control. Lactic acid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p<0.001) with treated FJLB than with untreated FJLB. FJLB treated with sterilized green tea decreased (p<0.001) the pH and the lactic acid content was higher (p<0.001) than that in the unsterilized green tea silages.

Development of a new vitrification solution, VSL, and its application to the cryopreservation of gentian axillary buds

  • Suzuki, Mitsuteru;Tandon, Pramod;Ishikawa, Masaya;Toyomasu, Takayuki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2권2호
    • /
    • pp.123-131
    • /
    • 2008
  • Vitrification methods are convenient for cryopreserving plant specimens, as the specimens are plunged directly into liquid nitrogen (LN) from ambient temperatures. However, tissues and species with poor survival are still not uncommon. The development of vitrification solutions with high survival that cover a range of materials is important. We attempted to develop new vitrification solutions using bromegrass cells and found that VSL, comprising 20% (w/v) glycerol, 30% (w/v) ethylene glycol, 5% (w/v) sucrose, 10% (w/v) DMSO and 10 mM $CaCl_2$, gave the highest survival following cryopreservation, as determined by fluorescein diacetate staining. However, the cryopreserved cells showed little regrowth, for unknown reasons. To check its applicability, VSL was used to cryopreserve gentian axillary buds and the performance was compared with those of conventional vitrification solutions. Excised gentian stem segments with axillary buds (shoot apices) were two-step precultured with sucrose to induce osmotic tolerance prior to cryopreservation. Gentian axillary buds cryopreserved using VSL following the appropriate preculturing approach exhibited 78% survival (determined by the regrowth capacity), which was comparable to PVS2 and PVS1 and far better than PVS3. VSL had a wider optimal incubation time (20-45 min) than PVS2 and was more suitable for cryopreserving gentian buds. The optimal duration of the first step of the preculture was 7-11 days, and preculturing with sucrose and glucose gave a much higher survival than fructose and maltose. VSL was able to vitrify during cooling to LN temperatures, as glass transition and devitrification points were detected in the warming profiles from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VSL and its derivative, VSL+, seem to have the potential to be good alternatives to PVS2 for the cryopreservation of some materials, as exemplified by gentian buds.

연초의 형질전환을 위한 새로운 표지유전자로서 Mouse Adenosine Deaminase 유전자의 이용가능성 (Adenosine Deaminase Gene: Possible Selectable Marker for Tobacco Transformation)

  • 양덕춘;한성수;윤의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35-240
    • /
    • 1995
  • 식물세포의 형질전환을 위한 새로운 표지유전자의 개발은 식물유전공학의 중요한 관건이 되고 있다. 본 실험은 독성 adenosine 유도체인 9-$\beta$-D-arabinofuranosyl adenine (Ara-A)과 cordycepin등에 저항을 나타내는 adenosine deaminase (ADA) 유전자를 새로운 식물세포의 형질전환용 표지유전자로 사용코자 수행하였다. 정상식물체에서는 치사하는 농도인 Ara-A 100 $\mu$M과 cordycepin 50 $\mu$M이 함유된 선발배지에서 ADA 유전자에 의하여 형질전환된 연초식물체는 생존이 가능하였으며 성공적으로 형질전환체를 선발할 수 있었다. 또한 형질전환된 연초식물체에서 획득한 종자도 동일한 선발배지에서 ADA 유전자가 유전된 종자와 유전되지 않은 종자를 쉽게 구별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동물유전자인ADA 유전자를 연초조직의 새로운 형질전환용 표지유전자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절접에 의한 헛개나무(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신품종(풍성 1, 2, 3호)의 증식 (New Cultivars Multiplication of Oriental Raisin Tree (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by Veneer Grafting)

  • 송정호;김세현;김혜수;김문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3-187
    • /
    • 2014
  • 헛개나무(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Korea raisin tree)는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식 약용 수종으로서 밀원수종으로도 가치가 증대되고 있는 수종이다. 본 연구는 헛개나무의 절접에 의한 접수의 채취시기와 연령 및 비닐하우스 설치에 따른 접목활착율의 효과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헛개나무 신품종은 절접에 의한 접목 결과 클론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온대 북부 권역에서는 휴먼기인 춘분 전에 접수를 채취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며, 비닐하우스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86% 이상의 높은 접목 활착율을 얻을 수 있다. 접수 연령은 1년지가 가장 적합하며 접목 후 비닐터널을 설치하여 접목상을 관리하면 80% 이상의 높은 접목활착율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수지조의 벌채정도와 신초의 발육과의 관계 (Relation between the growth of mulberry shoots and various sizes of cut down mulberry branch in Spring)

  • 김문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27-31
    • /
    • 1965
  • 춘기발아전에 지조를 각각 선단벌채, 조장의 1/3, $\frac{1}{2}$, 2/3 벌채하여 발아 생장하는 신아의 발육상황을 조사하였다. (1) 지조를 벌채하면 불발아비율이 대체적으로 감소하여 무처리구의 반이하로 되는 것인데 1/3 벌채구가 가장 그 비율이 적어진다. 그리고 또 지조를 벌채하면 불발아는 지조의 하반부에 집중한다. (2) 지조를 벌채하여도 발아를 촉진시키는 일은 없고 도리어 약간 늦어지는 경향이 있는 것 같지마는 발아후의 개엽속도는 매우 빨라져서 탈순에서부터 제 5개엽기까지의 소요일수는 무처리구의 16일에 비하여 벌채 각구는 7~9일이며 그 중 가장 빠른 것은 2/3벌채구의 7일이다. (3) 지조를 벌채하면 신아의 발육을 촉진시켜서 5월 5일부터 6월 10일까지 45일간의 생장량이 무처리구의 34cm에 비하여 벌채각구는 그 1.6~2.5배나 생장하여 가장 생장량이 큰 것이 2/3벌채구의 83cm이다. 그리고 벌채각구는 생장속도도 무처리구에 비하여 빠르다. (4) 엽수의 증가비율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벌채각구가 약간 많기는 하지만 그 차는 그리 크지 않다. (5) 신아의 총생장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벌채각구가 현저하게 많으며 2/3벌채구는 생장계적아수가 벌채각구중에서 가장 적지만은 1아의 평균아장이 가장 길다. (6) 신소삽목의 삽수를 되도록 빨리 채취하기 위해서는 조장의 2/3정도를 벌채하는 것이 적당할 것 같다.

  • PDF

이식된 잘피의 생산성 및 형태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roductivity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Zostera marina Transplants)

  • 박정임;;김정배;이근섭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4권1호
    • /
    • pp.41-47
    • /
    • 2009
  • 최근 훼손된 잘피서식지의 복원이 다양한 이식방법을 통하여 시도되고 있다. 이식된 잘피는 이식시기와 이식방법에 따라 생존율과 착생기간 등이 차이를 보인다. Staple method는 잘피를 직접 식재하는 방법으로 잘피 이식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며, 다양한 퇴적물 환경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이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staple method로 이식된 잘피의 정착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초겨울에 잘피를 이식한 후, 이식된 잘피의 밀도, 형태적 특성, 생산성의 변화와 이식 장소의 환경요인을 2004년 12월부터 약 1년 동안 월별 조사하였다. 조사된 이식잘피의 생리생태학적 특성을 이식 장소 인근에 자생하고 있는 잘피 개체군과 비교하였다. 이식된 잘피는 초기 밀도 감소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잎의 폭, 엽초의 길이 등이 이식초기에 감소하여 이식개체들이 이식충격을 받은 것으로 보였다. 개체별 잎의 생산성도 이식 초기에는 자생개체들보다 현저히 낮은 값을 보이다가 약 4개월 후 이식개체와 자생개체의 생산성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식된 잘피는 자생하는 잘피와 마찬가지로 봄에 급격히 성장하였으며, 자생개체보다 낮은 밀도로 이식되었으나, 약 1년 후에는 자생잘피 개체군의 밀도와 유사해졌다. 이식된 잘피들이 이식초기에 이식충격을 받았지만,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새로운 이식 장소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보리사초(Carer kobomugi Ohwi)의 생육 특성 (Growth Properties of Carex kobomugi Ohwi)

  • 민병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1호
    • /
    • pp.49-55
    • /
    • 2004
  • 해안사구 식물인 통보리사초에 대해 생육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 해안 사구에서 2001년 4월부터 2003년 6월까지 통보리사초의 지상부와 지하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해안사구에서 통보리사초는 갯그령 다음으로 만조선에 가까이 출현하는 식물종이었으며 밀도는 퇴적이 일어나는 지역에서 150개체/㎡으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개화율은 모래 퇴적지역에서 70% 이상을 유지하였으나 안정지역에서는 10% 이내이었다. 따라서 통보리사초는 모래의 퇴적지역에 적응력이 탁월한 식물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상부는 대단히 불규칙한 분포를 하였다. 모래의 퇴적지역과 안정지역에서 토양의 깊이별 지하경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전자에서는 깊이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후자에서는 대부분 20 ㎝ 이내에 위치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하면 지하경은 퇴적지역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안정지역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생장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새로운 지하경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지하경 의 능력은 지표면으로부터 150 ㎝ 이하 혹은 5년 전의 것이었다. 새로 발생하는 지하경의 수와 평균길이는 전년도의 지상부 크기와 관계가 깊었다. 즉, 지상부의 건중량이 0.5 g 미만에서는 1개, 2.0∼2.5 g에서는 2개, 3 g 이상에서는 5개의 지하경을 각각 생산하였다. 한편,지하경의 길이는 10∼100 ㎝ 범위에 있었으며 전년도 지상부의 건중량이 0.5 g미만일 경우는 13.0 ㎝ 이었지만 3 g 이상의 경우 평균 57.6 ㎝로 약 4.4배에 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