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article explores religious responses to significant cultural and social change in a northern Vietnamese delta village from 1996 to 2008-the second decade after de-collectivization. Drawing upon extensive fieldwork in both the village and surrounding religious networks, the article teases out the meanings of the new religious movements for northern rural people in the new era of market economy; the symbols, language, and metaphoric resources people used in response to their uncertainty and mistrust of the new social landscape; and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rapid societal development such as marginalization, tensions, and social disintegration. The article argues that as in milleniarism elsewhere, new religious movements in northern rural Vietnam embody unorthodox syncretism between world religious and local traditions, thus linking past, present, and future. However, when drawing upon a common reservoir of memories and experiences to cope with risks and challenges of the new market world, local people not only drew on the power and imperial metaphor of deities in their traditional religion and belief, but became more creative to recuperate meanings, standards, and symbols from revolutionary discourse to reorient themselves, and overcome alienation and marginalization.
Throughout the Chinese sphere, that i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aiwan, tea houses, tea stores, and tea meditation groups often without a particular religious orientation have appeared in the past decades. Tea lovers groups with various philosophical discussions appear throughout cyberspace, where people show their appreciation for tea as a drinkable delicious product and a spiritual tool. The question to be asked here is whether it should be recognized as a religious or spiritual practice agent in and of itself? Should we then talk about the present-day movement of teaism? If we do recognize this as a spiritual phenomenon, should it then be labeled as a New Religious Movement? The trajectory of tea in China is intrinsically connected to religious traditions. This connection is historical, yet it plays a part in the contemporary religious and spiritual sphere. The article explores the continuation and developments of tea culture in the context of the religious sphere of China, looking at practices connected to tea of communities, religious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The author explores how tea drinking, commercializing and tea related practices intersect with politics, materiality, and spirituality in contemporary society. In this context it is then argued that tea is a cultural element, religious self-refinement tool, and an active material agent with social-political capacities. The study includes historical narratives, ethnographic data, and literary sources about tea, making up a genealogy of tea which encompasses ritualistic aspects, economic aspects, and power relations related to tea in Chinese society.
The map where so-called 'New Religion' of Korea in the Colonial Era is entangled with 'Religion (Christianity, Buddhism, Shindo)' recogniz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nationalism. Accordingly positive research on how religious ideal and ideology in 'New Religion' in Korea was practically applied and practiced in the society is a crucial task. Meanwhile there is survey data representing the status in the long term from 1860s to early 1930s in regard to 'New Religion' of Korea in the Colonial Era. In other words it is 'Pseudo Religion in Joseon' by Murayama Jijun published in 1935. Most part of them are shown through statistics data. In particular he took a look at the distribution of 'Pseudo Religion', ups and downs of religious influence, faith consciousness, its impact and religious ideological movement and social movement. Therefore, if this statistical data could be utilized through quellenkritik, it is thought to have value of significant reference in research on Korea's 'New Religion'. This paper utilizes many statistics included in the survey data among critical review on recognition in Murayama's 'New Religion in Korea' as basic texts. During the procedure this paper seeks to look at the geology of Korean 'New Religion' and attempts basic consideration in the quantitative term related to trend and ups and downs of the groups. Through this basic research I hope that 'public concern of New Religion' in modern Korea and research on re-establishment will move forward.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new religious ritual dress in Korea to help understand new religions more completely. A new religion means 'Newly born religions'and it is an opposite conception of the existing religion. The new religions in Korea have been established, changed and become extinct beginning with 'Dong-Hak'movement by Choi Jea Woo in 1860. Sometimes they've caused social problems with their number increasing after the rapid industrialization in 1970's. There are about 350 new religions and 2,000,000 christians in Korea now. Some of theme are pseudo religions wearing the mask of religion and also there are great new religions that will contribute to our spiritual history. The latter shows the thoughtful properties of the union of religion, postnatal creation, nation's independence, and human's centralization. There are properties of pluralism, nation's independence, symbolism, and thoughts in a new religious ritul dress.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ole of children in the Korean new religious movement, Daesoon Jinrihoe. The research method combined archival studies with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s with two members involved in educating youth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Youth Camps and Donggeurami, the order's youth magazine. Our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1. Do children play a central role in the millennial vision of this NRM? 2. Are children separated from the world? 3. Have Daesoon childrearing methods been challenged by secular authorities or anticult groups? 4. Are there procedures to educate children in the religious beliefs and values of their parents and the community? Our results found that Daesoon Jinrihoe appears to be a religion designed for adults. Children do not usually participate in religious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since 2005 there has been a strategic effort to educate the children in the faith of their parent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Youth Camps and the youth magazine, Donggeurami.
This paper aims to cast light on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new religions' utopian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ology and apply the findings to the utopian theory of the new religions in Korea. The utopian theory of the new religions in Korea occurred to meet people's aspiration towards a new world on the background of the national ordeal and its consequential psychology in the late Chosun dynasty. As a result,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hift from a pure religious framework to participation in reality to realize religious ideals 'right here, right now'. Thus, it basically defined an utopian theory as the product of a society and history, and explained the utopian theory as the projection of the thoughts about current conflicts. However, an approach in this way may leave the likelihood tha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Daesoonjinrihoe would be overlooked and the utopian theory would be limited to the byproduct of the age, only. Thus, this paper has dealt with the religious experience of the founders as the lead of discussion, not a sociological approach. In this context, the religious experience of founders can be more significant clues to view the characteristics of an utopian theory. This directivity of a study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improve the previous sociological methodologies, the leading discourses, and to contribute to the different perspectives on an understanding of the utopian theories of Daesoonjinrihoe. Furthermore, this paper is anticipated to give salience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the new religions in Korea and to enhance its status in the history of thoughts, not as the trend of the thought limited to the past.
태평천국운동은 현대중국의 성립과 관련하여 차지하는 특별한 위상으로 인하여 세계 여러 곳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상당한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적 측면의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이 글은 이 점을 중시하여 태평천국운동과 기독교와의 관계 중 19세기 중국 개신교가 홍수전과 태평천국운동에 끼친 영향을 먼저 파악한다. 홍수전은 양발과 이사카 로버츠로부터 유일하신 존재 하나님께만 예배드려야 함을, 예수님을 구세주로 고백해야 함을, 그리고 성경을 배우고 익혀야 함을 깨달았다. 심오한 여러 기독교 사상을 배웠고 영생을 소망하며 천국과 지옥이 존재함을 믿었다. 그러나 이런 믿음을 이 땅에서, 특히 19세기 중국에서의 삶 속에 적용함은 이와는 다른 별개의 이야기였다. 우리가 잘 아는 것처럼 홍수전은 19세기 중국이라는 시공간적인 토대 위에 생성된 중국문화의 영향 아래 살아가고 있었다. 따라서 그의 서양 기독교적 믿음은 중국화 되고 또 그들 중국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문화와 세계관으로 재해석되어 실행되었던 것이다.
The author examines three new religious movements in South Korea: Jehovah's Witnesses, the Unification Church, and the Daesoon Jinrihoe, and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re conducive to the growth of each. All three organisations believe in a coming paradise, and the article explores their respective attempts to interest the populace in their appeal. Discussion is given to membership statistics and the problems of measuring allegiance and moves on to consider methods of propagation. Most obviously, evangelisation strategy is important: Jehovah's Witnesses and Unificationists have tended to engage the interest of strangers, while followers of Daesoon Jinrihoe are more inclined to evangelise family and friends. Additionally, there are other factors that determine an organisation's progress: cultural appropriateness, engagement in social and educational work, and attitudes to conflict and peace, the latter being particularly important in a society that has experienced war and occupation. Reference is made to the ways in which these three organisations finance themselves, and it is argued that financial resources merit greater attention in the scholarly study of religion, since monetary assets are needed to secure a spiritual movement's existence. Of the three organisations under discussion, the Daesoon Jinrihoe has been the most successful, being South Korea's largest new religion, while Jehovah's Witnesses are in steady state, and the Unification movement is experiencing slight decline.
본 연구는 현대교회 건축 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끼친 도미니크 수도회 신부 마리 알랭 쿠튀리에(Marie Alain Couturie)가 주창한 성미술(L'Art Sacre) 운동의 추진과정과 건축적 특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미술 운동의 전개과정을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성미술 운동 속에 내재해 있는 건축적 담론, 특히 쿠튀리에가 주창한 건축개념의 특성이 무엇인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1차적으로 1936년부터 1954년 사이에 성미술 운동의 기관지 라르 사크레지에 기고 된 쿠튀리에의 글 속에 나타난 언설을 분석하고, 2차적으로 성미술 건축 프로젝트의 현지답사를 통해 성미술 운동의 실체를 파악하였다. 성미술 운동의 대표적인 건축물인 아시성당과 로사리오성당, 롱샹교회, 라투렛수도원, 로스코채플 등 5개의 프로젝트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쿠튀리에의 건축개념의 특성은 '시적'(Poetic) 분위기의 창출에 기초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재료의 즉물성과 순수함은 모더니즘기의 추상적 사유와 연결되어 있음을 규명할 수 있었다. 쿠튀리에 신부는 르 코르뷔지에를 성미술 운동을 구현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건축가로 인식하였으며, 이러한 사유는 롱샹 성당과 라투렛 수도원을 탄생시키는 직접적 동인이 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중반 교회건축의 혁신을 일으켰던 성미술 운동의 전개과정과 쿠튀리에 신부가 펼친 건축개념의 분석을 통해 현대교회건축의 공간이미지 구성과 디자인에 지침과 교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1945년 해방 이후 한국 사회는 일제강점기와 항일독립운동의 기억을 끊임없이 소환한다. 그 과정에서 소수의 신종교단체들이 항일독립운동의 주체로 호명되지만, 종교와 항일독립운동을 연결하는 논리는 미약하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이 연구의 목적은 정산과 무극도의 활동을 항일독립운동의 차원에서 조명하고, 이를 통해 종교와 항일독립운동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쟁점들을 성찰하는 데에 있다. 이와 관련해, 종래 항일독립운동과 연결된 정산과 무극도의 활동에 대해 대순진리회의 내부 자료(제II장)와 외부 자료(제III장)를 분석해 향후 과제를 제기하면서 종교와 항일독립운동 사이를 연결할 때에 성찰해야 할 부분들을 제시하였다(제IV장). 구체적으로, 제II장에서는 정산과 무극도의 항일독립운동에 대해 가족을 배경으로 한 정산의 항일의식과 3·1운동 참여 지시, 그리고 무극도의 산업활동으로 구분해 검토하였다. 제III장에서는 제2장의 내용에 대해 외부 자료들을 활용해 검토한 후 정산과 신자들의 항일독립운동에 대한 교단 내부와 외부 자료를 적극 발굴하는 일, 아울러 천자등극운동과 후천개벽 등을 항일독립운동 차원에서 조명하는 일을 연구 과제로 제시하였다. 정산과 무극도의 항일독립운동에 대해 전자는 무극도 내부와 외부 자료의 교차 검토를 가능하게 자료 내용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에, 후자는 종교적 항일독립운동의 외연을 확대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이어, 제IV장에서는 종교와 항일독립운동을 연결할 때 성찰할 부분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종교 관련 활동의 포함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항일독립운동의 범주 설정 기준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두 번째, 환원주의적 접근은 항일독립운동가들이 '신종교 형태'를 취한 이유, 그리고 종교를 가장했다고 평가한 단체들이 해방 이후에 종교적 정체성이나 성격을 유지·지향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종교와 항일독립운동 사이의 연관성을 정교하게 밝히기 위해 '부수적 차원'과 '목적적 차원'을 구분해서 '그 활동이 종교적 세계관에 근거하는지의 여부'와 '그 활동의 최종 목적이 항일독립인지 종교적 세계관의 구현인지의 여부'를 살펴야 한다는 점이다. 앞으로, 항일독립운동에 대한 사회적 기억 장치들을 고려한다면, 종교계나 학계는 이 주제와 관련된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자료들을 발굴하고 축적하는 일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동시에, 이러한 관심은 항일독립운동의 근거를 종교적 세계관에서 찾으려는 노력을 수반해야 한다. 정산과 무극도의 여러 활동을 항일독립운동 차원에서 정교하게 조명하는 일도 이러한 관심과 노력을 통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