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freshmen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5초

디지털 게임 기반 학습 방법을 이용한 대화형 교육 게임의 설계 (Design of the Interactive Educational Game using the Digital Game-based Learning Methodology)

  • 아리아 비스마 와휴타마;리린 드위 아구스틴;황민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337-1344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개발자에게 다목적의 대화형 교육용 게임 개발을 지원하는 DGBL(Digital Game-based Learning) 기반의 교육용 게임 설계 과정을 제시하였다. DGBL은 분석, 디자인, 개발, 품질 보증 및 구현 평가 이렇게 다섯 단계로 구성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DGBL 기반의 게임 설계 과정에 포함되는 분석과 디자인 단계에 대해서만 초점을 맞추어 세부 기술을 다루었다. 먼저 첫번째 단계인 게임 분석 과정에서는 요구사항 수집, 게임 아이디어 및 학습 목표를 설정하게 되고, 두번째 단계인 게임 디자인 과정에서는 게임 구조 정립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정의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DGBL 기반의 교육용 게임의 분석과 디자인 단계에 대한 접근 사례 연구로서 신입생을 위한 강사 소개 게임을 예로 들어 그 분석 과정을 제시하고, 스토리보드 형태로 디자인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Impact of Nursing Students' Knowledge, Moral Sensitivity, and Behavioral Beliefs on the Nursing Intention of COVID-19 Patients

  • Jae eun LIM;Yunmi KIM;Jaemo AN;Sangwoo YU;Jisu YUN;Dayoung LEE;Yewon LEE;Minjeong LIM;Gyuri JEONG;Heekyung JUNG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9권3호
    • /
    • pp.19-25
    • /
    • 2023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nursing inten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will nurse COVID-19 patients. This study was analyz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or freshmen, sophomore, junior, senior attending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E University in Gyeonggi-do from May 17 to August 11, 2022.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ntention to care for COVID-19 patients increased by 20% every time the knowledge score on COVID-19 increased by 1 point . If the average score for each item in the moral sensitivity question increased by 1 point, the nursing intention increased significantly by 5.21 times, and it was found that the nursing intention for COVID-19 patients increased significantly by 6.93 times each time the average score for each behavioral belief item increased by 1 poi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knowledge, moral sensitivity, and behavioral beliefs of nursing students, the higher the intention to care for new infectious disease pati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 programs and integrated nursing ethics programs.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교육성과 코호트의 구축과 운영 사례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an Educational Outcome Cohort at the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김순구;이애화;이가람;황일선
    • 의학교육논단
    • /
    • 제25권2호
    • /
    • pp.109-113
    • /
    • 2023
  • An educational outcome cohort has been established at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to help make educational policy decisions and improve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data. The purpose of the educational outcome cohort is to support educational policy decisions for achieving graduation outcomes smoothly and to accomplish the intende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through objective analyses and regular monitoring, providing continuous feedback. The data collected for the educational outcome cohort include the student identifications of freshmen, entrance exam scores, premedical and medical school grades, titles and forms of student academic research, the results of psychological testing, scholarship recipient lists, volunteer clubs, and so forth. The data are collected using an information utilization agreement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and the collected data are encrypted and stored on a dedicated computer for enhanced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Proposals to access and utilize the educational outcome cohort data must be discussed and approved by the Educational Outcome Cohort Committee, which decides on the scope and method of utilization. The collected and managed educational outcome cohort data have been used to develop comparative programs to improve students' competency and to support admission policy decisions through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medical school students. The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the educational outcome cohor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School of Medicine's educational policies and suggesting new directions for educational policies in the future.

문제해결형 일반화학 실험에서 나타나는 대학생의 반응유형 (Undergraduates' Response Pattern on the Problem-Solving-Type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 임희영;강성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3-202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문제해결형 탐구실험(Problem-Solving Laboratory)에서의 문제 상황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문제 해결과정의 특징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문제해결형 일반화학 실험을 1학기 동안 수강한 1학년 1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문제 상황에 대한 반응유형은 문제해결형 탐구실험에서 발생한 문제 상황에 대한 반응유형은 새로운 방법으로 문제해결 시도, 실험매뉴얼 내에서 본인 간과한 변인 탐색 시도, 문제 상황을인식하였으나 같은 과정의 반복 시도, 결과에 만족하나 실험 수행 중에 발생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 실험결과에도 만족하고 자신의 실험수행과정에 의심하지 않고 실험 중단의 5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과정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자기가 수행한 과정을 되돌아보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 이미지 변화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nge i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Images of Young Children)

  • 이춘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219-23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이미지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학생 31명으로 4년 동안 이루어진 장기연구이다. 연구대상자들에게 1학년 때와 4학년 때(동일인), '유아는 - - 이다'라는 질문과 이미지 변화의 요인을 질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1학년 때는 활력소 같은 존재의 이미지, 외부환경에 반응하는 존재의 이미지, 개성이 다양한 존재의 이미지, 사랑과 정성이 필요한 존재의 이미지로 분석 되었다. 4학년 때는 1학년 때의 활력소 같은 존재의 이미지, 개성이 다양한 존재의 이미지 외에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변할 수 있는 존재의 이미지, 유아 자신이 목적인 존재의 이미지가 추가되었다. 둘째, 유아에 대한 이미지 변화에 영향을 준 요인은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보조교사, 실습(교육/보육), 수업이었다. 따라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아동중심에 대한 합의된 개념과 보조교사 제도를 체계화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대학 미적분학 교과에 대한 탐색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University Calculus Reflect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김윤아;김경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3호
    • /
    • pp.349-366
    • /
    • 2017
  •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국가 사회적 요구를 학교교육과정에 반영한 문 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이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교육부에서는 2017년부터 대학교 4학년 때까지 전공을 변경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였다. 따라서 각 대학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을 맞이하기 전에, 교육과정 및 제도 변화를 반영할 준비를 해야 한다. 대학은 신입생들이 수강하는 미적분학 교과목 운영과 교육내용을 준비할 때 2015 개정 교육과정 시행과 전공변경 시기 확대에 대한 대응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한동대학교는 무전공무학부제로 1학년 때 전공을 결정하려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수준별 미적분학 교과목은 운영하고 사전시험을 실시하여 신입생들에게 적합한 미적분학 분반을 배정하는 등 다양한 운영 방안을 모색해왔다. 이 사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 취지와 유사하므로 교육과정 개정 후 대학 미적분학 수업 운영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해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5년간 한동대학교 신입생 수학시험 결과와 학생들의 미적분학 교과 성적을 분석하여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한동대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미적분학 교과목 내용과 2015 개정 고등수학 교육과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대학 전공계열에 적합한 미적분학 교과목을 5개 수준으로 구성하여 제안하였으며, 대학 미적분학 교과과정에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부족한 구분구적법을 포함하여야 함을 찾을 수 있었다.

심폐소생술 방법 변화에 따른 quality 비교 - 30:2와 2:30 비교분석실험 - (Comparison of quality of 30:2 vs. 2:30 CPR in manikins)

  • 엄태환;유순규;최혜경;정지연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71-81
    • /
    • 2010
  • Purpose: To minimize an interruption in chest compression, reduce the hands-off time,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has recommended the ratio of chest compression to ventilation ratio to 30:2 from 2005 CPR guideline to 2010 CPR guideline. However, current studies have shown that the hands-off time was > 10 seconds with that method. For this reason, we devised new CPR method that a ventilation to chest compression ratio of 2:30 to reduce pt assessment time and skipped the assessment step of carotid artery pulse would be a more effective way to reduce the hands-off time & the time to set the CPR. According to the more detailed purpose are listed below. 1) We would like to confirm efficiency of a ventilation to chest compression ratio of 2:30 than a chest compression to ventilation ratio of 30:2 to reduce the hands-off time & the time to set the CPR. 2) We would like to evaluate possibility of increasing for chest compression accuracy of a ventilation to chest compression ratio of 2:30 than a chest compression to ventilation ratio of 30:2 3) We would like to evaluate possibility of increasing for ventilation accuracy of a ventilation to chest compression ratio of 2:30 than a chest compression to ventilation ratio of 30:2 Methods: According to 2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60 paramedic students(20 students X freshmen, sophomore, junior) performed 5 cycles of 3~ chest compressions : 2 ventilations after A, B, C evaluation with Laerdal Resusci R Anne SkillReporters. After 5 minutes rest, the 60 students performed 5 cycles of 2 ventilations : 30 chest compressions after A, B evaluation with the manikins between 13 and 17 September 2010. The short reports including speed & accuracy of chest compression, respiratory, CPR cycle were gained from the manikins. Hands-off times were measured by assistants. Results: Recently, the importance of high quality CPR was emphasized in order to perform the CPR faster and more accurate. To find out improving the conventional CPR method, we switch the procedure of the compression and the ventilation. By switching the procedure back and forth, we are able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CPR between two type of CPR method which are 2:30 and 30:2 methods. 2:30 is that the breaths is delivered twice, first and perform 30 compressions while 30:2 perform 30 compressions first and give 2 breaths followed by the ABC method. Also, we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hands off time, compression accuracy of the compression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two procedure as mentioned earlier. Consequently research verified that 2:30 is the efficient by providing faster set up delivering more accurate chest compression. Conclusion: 2:30 can minimize a time delay from cardiac standstill until starting the chest compression. In addition, hands-off time which is an interruption in chest compression can be shortened by 2:30 method, which result to effective oxygenation of coronary artery & maintenance of the bloodstream. Once again, performing the 2:30 method provide lessen hands off time and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chest compression.

  • PDF

은유 분석을 통해 본 실습 전 예비유아교사의 실습 전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fore Practicum on Teaching Practicum through Metaphor Analysis)

  • 정혜영;김미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5-44
    • /
    • 2015
  • 본 연구는 은유를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러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통해 학교현장실습에 관한 실천적 시사점을 얻어 보다 적합한 학교현장실습 기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장실습에 관한 실천적 시사점을 얻어 보다 적합한 학교현장실습 기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이며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1, 2학년 예비유아교사 12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은유를 표현하는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학교현장실습에 대해 114개의 은유를 제시하였고, 이를 코드화하여 분류한 결과, 힘들지만 보람 있어요, 새로운 경험이에요, 힘들고 어려워요, 의미 있고 중요해요, 두렵고 걱정돼요, 많이 배워요, 꼭 거쳐야 해요, 노력해야 해요, 즐거워요, 평가 받아요, 기타의 11가지로 유목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현장실습이 예비유아교사에 어떤 의미인지 검토해 보고, 예비유아교사들이 학교현장실습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이를 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학·과학 성취도의 요인 분석으로 본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화학 교과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Students' Cognition of Chemistry in Science High School by Factor Analysis of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 신동선;최호준;김봉곤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2호
    • /
    • pp.119-129
    • /
    • 2020
  • 과학 고등학교에서 다양한 재능을 지닌 학생들의 효과적인 교수- 학습 활동을 위해서, 교수자는 학생들의 다양한 재능과 교과목의 특성에 따라 자연세계의 정보를 인식하고 처리과정에서의 개인차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과학 성취도의 교과 간 상관 및 요인 분석으로 과학고 학생들의 화학 교과에 대한 인식을 규명하는데 있다. 아울러 R&E 학급에 따른 화학 교과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입학 전형과 교육과정의 개편 시기에 따른 G과학고 3개년 입학생(296명)이 주 연구 대상자이고, 경남·울산 지역 2개 과학고를 포함하였다. 성취도의 상관 및 요인 분석은 SPSS 25를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법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수학·과학 성취도 간의 상관분석에서 화학의 Pearson 상관계수는 다른 교과목들에 비해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수학·과학 성취도의 요인 분석에서 요인 지표는 수리-논리(수학, 물리)와 자연 이해(생명과학, 지구과학)의 2개 요인으로 구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요인 분석에서 화학 교과는 수리-논리와 자연 이해 능력이 모두 요구되는 교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R&E 학급에 따라서 화학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R&E 화학반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과 달리 화학 교과를 수리-논리가 요구되는 과목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운항실습선 교육생의 승선 숙련도에 따른 피난행동특성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Evacuation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rainees according to Experience Level on board a Training Ship)

  • 황광일;이윤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33-238
    • /
    • 2014
  • 다양한 여가 활동 수요증가와 함께 국내에서도 여객선과 크루즈선의 이용자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 10년간 연평균 15건 이상의 여객선 안전사고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승조원과 승객의 피난행동특성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승선생활 환경에 익숙한 3학년과 승선생활이 생소한 1학년을 대상으로 선박에서의 승선생활 숙련도에 따른 각 피난행동특성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학년 실험에서 승조원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재난대응 시나리오의 개발과 실천 교육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1학년 실험에서는 신규 승조원과 승객을 대상으로 한 초기 피난안전교육과 선내구조에 익숙한 기존 승조원에 의한 피난안전 유도 임무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재난상황과 그 전개과정에 대한 상황인식 공유가 전체 피난시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설명할 수 있으며, 피난상황 발생 시 승선자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는 피난계획기법 상 선장과 관련 승조원이 반드시 선내 모든 피난경로와 경로별 피난자수를 통제할 수 있어야만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