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o-civilization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5초

신구(新舊) 관념의 교차와 전통 지식 체계의 변용 (The Conceptual Intersection between the Old and the New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 이행훈
    • 한국철학논집
    • /
    • 제32호
    • /
    • pp.215-249
    • /
    • 2011
  • 본고는 서양 근대 문명 수용 초기(1890~1910)에 발생한 신구 관념의 대립과 충돌을 중심으로 전통 지식 체계의 변용을 역사의미론적으로 탐색함으로써 한국의 근대를 성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 신구 관념을 놓고 벌어진 주체 간의 투쟁은 전통개신론자들과 문명개화론자들의 주장에서 첨예하게 드러났다. 서양의 충격에서 비롯된 신구 관념의 대립과 충돌은 우주 자연으로부터 사회 정치체제, 학술?문화 등 모든 부문에서 인식의 전환을 요구하였지만, 전통 지식 체계를 이해하는 시각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신구 관념에 따른 전통 지식 체계의 구축과 변용과정에서 문명개화론자들에게 '구(舊)'는 단순히 과거의 '지나간', '오래된' 것이 아니라 파괴하고 제거하지 않으면 새로운 문명 건설을 방해하는 장애물이었다. 그러나 전통개신론자들에게 '구(舊)'는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이념 속에서 다시 '신(新)'으로 거듭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함하고 있는 '개신(改新)'의 대상이었다. 박은식의 "유교구신론(儒敎求新論)"이나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은 전통 지식 체계를 '신학(新學)'으로 재편하려한 대표적인 시도였다. 보편성과 객관성, 합리성을 추구하는 과학적 방법을 수용함으로써 전통 지식 체계는 근대적인 학문으로 변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신학(新學)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성학(聖學)으로서의 위상은 탈각되었고, 신앙과 종교적 전통 또한 약화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전통 지식 체계의 변용과 '구학의 신학화' 과정에서 신구 관념의 교차가 발생하였다. 여기서 특히 신구 관념의 교차를 가능하게 한 '실(實)(학(學))' 개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세기 전후 발간된 다종의 근대 매체는 신구 관념의 다층적 전개 양상을 여실히 보여주는데, 전통 지식 체계가 신학(新學)으로 변용될 수 있었던 계기로서 '실학'이라는 개념적 준거틀이 작동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 시기 실학이 지칭하는 대상은 대체로 서양의 학문인 '신학(新學)'을 표상하고 심지어 등치되기도 했지만, 전통개신론자들은 문명개화론자들이 점유하였던 '실학' 개념과 그 의미를 재해석함으로써 전통 지식 체계를 신학으로 바꿀 수 있었다. 이들은 과학 기술에 압도되어 점차로 거세되어가던 전통적 가치를 '신학' 수용의 토대로 인식하고, '실학(實學)'을 개념을 준거로 하여 '신학(新學)'을 재전유(再專有)(re-appropriation)하였다. 일제의 강점이 구체화 되어 전통 지식 체계의 주체적 변용 시도는 일정한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지만 '구학의 신학화'는 '동도서기(東道西器)' 논리가 지닌 모순과 문명개화론의 탈주체성을 넘어서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도덕 원리와 경쟁 원리가 충돌하고 '진화'와 '진보'가 대세인 현실에 대응하려했던 '동도서기(東道西器)' 논리는 이미 분리될 수 없는 도(道)와 기(器)를 분리 가능한 것으로 상정해야만 성립되는 모순을 안고 있었고, 문명개화론은 서양을 내면화하여 자기 비하와 멸시로 주체의 균열을 야기하고 전통 지식 체계로부터 단절됐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Neo-Catastrophism and a New Global Interpretation of History

  • Yi, Tae-Jin
    •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 /
    • 제1권1호
    • /
    • pp.85-116
    • /
    • 2013
  • The theory of terrestrial impact which has been developed by the astronomy scientists since 1970s is employed for this article in a new angle that atmospheric conditions of our planet should be adopte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of mankind. Large and small terrestrial impacts must be acknowledged as key tasks in terms of the study of 'world history'. The Society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has already advocated that the 'Bronze Age Civilization'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long term terrestrial impact phenomena.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rea, the present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years 680-880, 1100-1220, 1340-1420, and 1490-1760 as periods in which territorial impacts occurred.

맬더스(Malthus)와 그의 인구론 : 역사적 재조명 (MaIthus and his Population Theory: A Re-appraisal)

  • 이흥초
    • 한국인구학
    • /
    • 제8권2호
    • /
    • pp.30-45
    • /
    • 1985
  • The "Dismal Theorem" (Essay) of Maithus is juxtaposed to the utopianism of both Marquis de Condorcet and of William Godwin who believed in the perfectibility of man and of the greater power of civilization over that of population. The socio-political environment that gave birth to the neo-Maltbusianism and of the economic Malthusianism is briefly sketched on, along with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arly theories (1978) of Malthus and the later Malthusian theory; nemely, the biological population principles of his early period runs head-on into his theory of effective demand and underconsumption. Malthus belonged to both the anti-Ricardian and the Ricardian classical tradition, and his attempt to reconcile the anomalies was not very satisfactory. Karl Marx criticized Malthus for his incon-sistent radical conservative theory of population and John Maynard Keynes came to the rescue of this Maltbusian dilemma in the 1930's, with but a morsel of success.f success.

  • PDF

현대 패션에 나타난 연속성의 트랜스 미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a Trance Aesthetic Consciousness of Continuity in Contemporary Fashion)

  • 양희영;이경희
    • 복식
    • /
    • 제58권8호
    • /
    • pp.74-90
    • /
    • 2008
  • Since the late of 20th Century, philosophy, art, and aesthetics have attention to the movement of object that persue the dynamics and qualitative change, not existing fixed and quantitative object. Qualitative continuity, including discontinuity of specific spot and surface that occurs sudden change, is distinct characteristics considered in contemporary logo civilization, which combines and disperses according as various purpose among the different elements and objects. Therefore, I studie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continuity that creates the change and the differentiation continuously through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ontinuity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of my preceding paper. This paper is the following study of above mentioned paper, and Investigates about aesthetic consciousness leading to the various change. This is intends to consider the trans-aesthetic consciousness that accepts dynamic movement and change the different object and reforms new relationship continuously. This studies' conclusion is as follows; 1) sublimity-Infinity, de-constructive, excessive 2) jouissance - functional, structural 3) paradox-perceptual, spatial. A study about the trans-aesthetic consciousness would help to offer philosophical basis, and make a change building aesthetic foundation in explaining various relationship like as phenomenon of the retro, neo, post, fusion expressed since the late of 20th Century.

태국 근대건축의 역사적 배경과 초기 형성과정 고찰 - l8C 말-20C 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ailand Modern Architecture, from the late 18C to the early 20C)

  • 박순관;김경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5권2호
    • /
    • pp.53-68
    • /
    • 1996
  • This study is on the early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modern architecture in Thai, during the period from 1782(King Rama 1) to 1934(King Rama 7). Thai started tn form a connection with western nations from the late 18C, founded the Bangkok Dynasty. Since then, Thai was increasingly influenced by western civilization and this trend included an increasing influence of western architecture. In this paper, the centeral objective is to observe the architectural change during the period from King Rama 1(1782-1809) to King Rama 7(1925-1934). This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 During the first period, from King Rama 1 to King Rama 3(1824-1851), Thai architecture showed a tendency to follow the preceding traditional example and to imitate Chinese architecture. The second period is from King Rama 4(1851-1868) to King Rama 5(1868-1910). During this period, Thai architectural design was increasingly influenced by western concepts, specially European Neo-classicism Style. During the third period, from King Rama 6(1910-1925) to King Rama 7(1925-1934), Thu had been enjoying extensive commerce with western nations. The great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during this reign were apparent in the construction of public utilities and facilities. These buildings were designed by western architects. At this time, modern architectural concept of western was introduced.

  • PDF

개항기 격물치지학(格物致知學)(science)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cience on Gaining Knowledge of the Study of Things (格物致知學))

  • 박정심
    • 한국철학논집
    • /
    • 제30호
    • /
    • pp.59-86
    • /
    • 2010
  • 본 논문은 '격물치지'란 개념의 의미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근대'를 인식하는 사상적 전환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격물치지란 성리학의 사유를 해명하는 주요개념어였다. 그러나 근대공간에서 격물치지는 science의 번역어로서 자리잡았다. 성리학의 격물치지는 천리를 체인하는 방법으로서 인간의 도리(道理) 및 가치판단의 영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근대적 함의를 지닌 격물치지학(格物致知學)은 객관사물에 대한 과학적 탐구에 국한된 것으로서, 결과적으로 성리학적 사유를 해체하는 중요한 기제였다. 넓게는 자연과학을 좁게는 물리학(物理學)의 의미로 사용된 격물치지학은 서구 근대 자연과학 및 기술 적극 수용해야하는 주장을 뒷받침하였다. 개화파는 서구의 격물치지학이 바로 그들의 문명과 부국강병의 근본적인 원동력이라고 파악했기 때문에, 서구처럼 문명국이 되기 위해서는 격물치지학을 적극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격물치지학을 수용한다는 것은 곧 그들의 앞선 문명성을 새로운 전범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하였다. 성리학의 해체와 문명의 수용은 곧 근대(近代)와 전근대(前近代)를 가르는 기준이기도 하였다. 격물치지학은 자원화된 만물에 대한 과학기술적 탐구였다. 이것은 성리학의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유기적 연관성을 탈각함으로써 가치판단영역과 분리된 기술적 발전을 추구하였다. 서구열강이 앞선 과학기술의 물리력을 앞세워 제국주의침략을 자행하던 시기였기 때문에 과학기술을 수용하는 것이 절박한 시대문제이긴 했다. 그러나 문명화에 함몰되어 서구 근대문명에 대한 도덕적 성찰을 도외시함으로써 근대문명이 지닌 야만적 침략성을 비판할 수 있는 근거를 상실했다. 더 나아가 서구근대를 진보적 전범으로 수용하고자 하는 강렬한 욕망이 야만적 근대 너머를 상상할 수 있는 여지마저 봉쇄함으로써 스스로 '결핍된 타자'로 전락하였다. 개화파가 결과적으로 친일파가 되었던 것은 바로 이러한 몰주체적(沒主體的)인 문명관(文明觀)에 기인한 것이다.

진암(眞庵) 이병헌(李炳憲)의 「경설(經說)」에 나타난 종교적 성향 (A Study on Religious Tendency shown in 「Gyeongseol」 by Jinam Lee Byeong-hun)

  • 이상하
    • 동양고전연구
    • /
    • 제41호
    • /
    • pp.385-406
    • /
    • 2010
  • 이병헌은 27세 때부터 면우 곽종석을 스승으로 섬겨 한주학(寒洲學)과 접한다. 한주학파는 당시로서는 개방적인 성향을 보였다는 점에서 이병헌의 사상 형성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을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병헌은 중국 강유위(康有爲)의 금문경학(今文經學)을 받아들이고 공자교(孔子敎) 운동을 전개하면서 성리학을 오히려 배척하였다. 서구문물을 접하고 강유위의 사상을 받아들인 뒤로 이병헌의 저술에서 한주학은 찾아볼 수 없다. 이병헌이 금문경학을 연구하게 된 것은 천(天), 상제(上帝) 대신 리(理)를 내세움으로써 유교를 철학으로 만든 성리학(性理學)을 떠나야 유교에 종교성을 다시 살려낼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리하여 그는 공자를 교조로 추숭하고, 지금까지 성리학에서 중시하던 리(理), 경(敬)과 같은 개념을 버리고 "중용"의 성(誠)과 신(神)을 매우 중시하였다. 그리고 그 자신이 유교를 종교화하여 기도, 염송(念誦)과 같은 종교생활을 실천하였다. 그가 "중용"의 대효(大孝)를 하늘의 효자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기독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 분명하다. 그는 유교를 종교로 만들기 위해 공자를 유일한 교조로 삼고 상제를 신으로 받들었다. 그가 요(堯) 순(舜) 우(禹) 탕(湯) 문(文) 무(武) 주공(周公) 등 전통 유가의 성인들을 젖혀두고 공자만을 교조로 추숭한 것은 불교, 기독교 등 의 종교에 교주가 한 사람이기 때문에 그렇게 한 것다. 그가 말하는 상제(上帝)는 기독교의 하느님과 통하는 것이었고, 나아가서 그는 유교 사상과 배치되는 불교의 윤회를 긍정하기도 하였다. 이병헌의 "경설(經說)"을 읽어보면, 유학이 망해가는 시대에 유학이 생존할 길을 찾기 위해 유학의 종교화를 선택한 것보다 유학이 종교라는 신념이 그의 내면에 더 먼저 자리했던 것 같다.

Ludwig Mies van der Rohe의 가구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urniture design of Ludwig Mies van der Rohe)

  • 이란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34-141
    • /
    • 2005
  • Ludwig Mies van der Rohe, one of the influential modernist architects in early 20th century, had an great effort to found the modern architecture through various kinds of works. Conceptually he tried to develop the trans-temporal architecture language by involving a reintegration of countermanding principles in both ideas and practices for designing buildings. The model for his striving to find such a synthesis or a dynamic form was the neo-classicism of K. F Schinkel, inasmuch as Schinkel endeavored to combine the classical rationalistic order with the creative act of construction and to make these two melt into his age. In the same horizon with that Mies van der Rohe attempted to express the industrialized civilization of his time as a given fact, though this phenomenal substance was the only authentic form that has been conceivable to the people. For him the modern technology was regarded as the manifestation of rationalistic transcendency, which can be interpreted always consequentially. Here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purposed to consid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round ideas of architecture and the designed chairs, how commensurable the tectonic value (in the architecture) that is constantly evident in his works and the various autonomous drives toward deformalization (in the furniture design) that is concerned with his interest for cultural situation and materiality of form are with each other. And then it will be tried to prove, that on the ground of the trans-temporal achitecture language the furniture design of Mies van der Rohe, which emphasizes curves as individual forms, could correspond to his architecture that lays priority to space and construction

'정보격차' 연구에 대한 검토와 미래 연구 방향 (A Critical Review of 'Digital Divide' Research: Trend, Shortcomings and Future Directions)

  • 김문조
    • 정보화정책
    • /
    • 제28권4호
    • /
    • pp.3-18
    • /
    • 2021
  • '정보격차'는 공유성, 이전성 및 복제성과 같이 평등화에 기여함직한 정보의 내재적 속성에 반하는 정보화 시대의 예기치 않은 역기능으로 간주되어 학술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주목받아 왔다. 더구나 그것이 정보의 불균등한 분포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불평등과 맞물려 사회체계의 안정성을 해치는 요소가 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은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를 촉진시켜 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 1970년 이후 국내외에서 수행된 정보격차 연구들을 총괄적으로 일람하고, (2) 상론할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는 연구물들을 섭렵해 정보격차 담론의 성과와 한계를 검토한 후, (3) 정보격차 연구의 새로운 과제와 방향을 탐지하였다. 그 결과, 학계 안팎에서 의미 있는 성과가 축적되어 왔음이 확인되었으나, 순수연구와 정책연구 간의 괴리 및 시대 변화에 뒤진 '지적 지체' 현상이 한계점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지능정보화 시대에는 운용격차, 선정격차 및 증강격차가 정보격차 연구의 새로운 의제로 대두할 것임을 밝힐 수 있었다.

동무(東武) 이제마(李齊馬)와 최문환(崔文煥)의 난(亂) (Dong-Mu Lee Je-Ma and The Rising of Choi Moon-Hwan)

  • 박성식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9-55
    • /
    • 1997
  • 연구 목적 : 동무 이제마는 1984 년에는 '한국문화예술선현(韓國文化藝術先賢)' 50인 중의 한 사람으로 지정되고, 1996년에는 12월이 '이제마의 달'로 지정되어 그의 업적을 기념하였으나, 일부 역사가는 그가 1896년 함경도(咸慶道) 의병장(義兵將) 최문환(崔文煥)을 잡아 가둔 인물이라 하여 그의 업적 평가에 문제를 제기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1896년 함흥에서 일어난 소요를 중심으로 당시의 시대 상황 및 발생 동기와 경과 과정을 규명함으로써 이 사건에 대한 정확한 평가(評價)를 내리고 이를 통해 이제마(李濟馬)의 사상적(思想的) 연원(淵源)을 연구하는데 단서를 찾고자 한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먼저 조선 후기의 시대적 배경과 을미의병에 대해 살펴 보고 1896년 (병신(丙申)) 함흥에 서 최문환을 중심으로 일어난 사건을 정부측(政府側) 기록, 의병(義兵)(최문환(崔文煥))측(側) 기록, 이제마측(李濟馬側) 기록, 그리고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이 나타나는 기타(其他) 사료(史料)들을 중심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및 결론 : 1896년 2월 함흥(咸興)에서 일어난 혼란은 을미사변(乙未事變)과 단발령(斷髮令)으로 폭발한 을미의병운동의(乙未義兵運動)의 일환으로 최문환(崔文煥)이 중심이 되어 단발(斷髮)을 강요하던 관리(官吏)들을 살해한 사건이다. 이 때 이제마(李濟馬)는 최문환을 붙잡아 가두고 난(亂)을 진압하여 훗날 '의병을 탄압했다'는 비난을 받게 된다. 그러나 당시는 수구(守舊)와 개화(開化)가 충돌하는 시기였으며, 이러한 혼란으로 말미암아 있을 수 있는 원산(元山) 일본군(日本軍)의 공격으로부터 주민(住民)의 안전(安全)을 최우선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행동이었다. 이와 같은 행동을 근거로 보아 이제마는 유생의병(儒生義兵)들이 주장하던 위정척사(衛正斥邪)의 주자학적(朱子學的) 문화이념(文化理念)이나 복고주의적(復古主義的) 정치이념(政治理念)과는 다른 사상(思想)을 가지고 있었으며, 내면적으로는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한국(韓國) 민족운동사적(民族運動史的) 측면(側面)에서 의병장(義兵將) 최문환(崔文煥)에 대한 좀 더 많은 연구(硏究)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