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mortality

검색결과 372건 처리시간 0.021초

제강슬래그의 매체접촉형 재활용에 따른 중금속 용출특성 및 물벼룩 생태독성 평가 (Leaching and Acute Toxicity Test of Steel-making Slags for Media Contact Recycling)

  • 김동현;조봉석;신원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9권1호
    • /
    • pp.72-83
    • /
    • 2024
  • Most of the slags generated from steel-making industry in Korea are recycled into media-contact aggregates such as fill and cover materials. For their use as media-contact aggregates, the slags must meet not only the waste quality criteria, but also the Daphnia magna acute toxicity test criteria. In this study, Korean Leaching Test ES 06150.e (Korea), Japanese Leaching Test JIS K 0058-1(Japan), Detuch Leaching Test DIN 19529 (Germany), Toxicity Characteristic Leaching Procedure (USA) were conducted for batch leaching test of slags from 6 Korean steel-making companies. In addition, Korean Standard up-flow percolation test (ES 06151.1) mimicking field condition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impact of the slag leachate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directly. Heavy metals such as Cr6+ and Zn2+ were detected from both extractant and leachate samples, but all of them did not exceed waste quality criteria of each country. However, Daphnia magna acute toxicity tests using the leachate samples from up-flow percolation test with slag alone and slag/natural soil conditions exceeded ecotoxicity standard (TU=2) due to their high pH (11.3-12.5). After neutralizing the pH of the slag leachate to 6.5~8.5, the Daphnia magna mortality and immobilization were reduced to satisfy ecotoxicity standard. As the reducing pH of slag leachate would be extremely difficult, appropriate recycling management considering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e slags should be stuided further.

Immunological Analysis of Postoperative Delirium after Thoracic Aortic Surgery

  • Haein Ko;Mukhammad Kayumov;Kyo Seon Lee;Sang Gi Oh;Kook Joo Na;In Seok Je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3호
    • /
    • pp.263-271
    • /
    • 2024
  • Background: Delirium is a recognized neurological complication following cardiac surgery and is associated with adverse clinical outcomes, including elevated mortality and prolonged hospitalization. While several clinical risk factors for post-cardiac surgery delirium have been identified, the pathophysiology related to the immune response remains unexamin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munological factors contributing to delirium in patients after thoracic aortic surgery.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43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thoracic aortic surgery between July 2017 and June 2018. These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2 groups: those with delirium and those without it. All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nd tested on the day of admission, as well as on postoperative days 1, 3, 7, and 30. Levels of helper T cells (CD4), cytotoxic T cells (CD8), B cells (CD19), natural killer cells (CD56+CD16++), and monocytes (CD14+CD16-) were measured using flow cytometry. Results: The median patient age was 71 years (interquartile range, 56.7 to 79.0 years), and 21 of the patients (48.8%) were male. Preoperatively, most immune cell count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However, the patients with delirium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interleukin-6 and lower levels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than those without delirium (p<0.05).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lower TNF-α levels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postoperative delirium (p<0.05). Conclusion: Postoperative delirium may be linked to perioperative changes in immune cells and preoperative cytokine levels.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to elucidate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delirium.

Sprague-Dawley Rats을 이용한 결명자 물 추출물의 26주 반복 경구투여 독성시험 및 4주 회복시험 (A 26-Week Repeated Oral Dose Toxicity Test and a 4-Week Recovery Test of Cassia tora L. Water Extract in Sprague-Dawley Rats)

  • 노종현;이무진;정호경;장지훈;심미옥;장민철;용주현;서형식;안병관;김종춘;조현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7-169
    • /
    • 2018
  • Background: Cassia tora L., an annual or perennial plant of the Fabaceae family, is traditional medicine with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constipation and, anti-inflammation. Chemical compounds such as anthraquinone glycoside and naphthalene derivatives have been isolated from this plant. Cassia tora L. is a common contaminant of agricultural commodities, but is toxic to cattle and poultry. Methods and Result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toxicity, Cassia tora L. aqueous extract (CO) was administered orally to rats for 26 weeks at 0 (control), 300, 1,500 and 3,000 mg/kg/day (n = 10 for male rats for each dose). The positive control comprised animals orally administered anthraquinone 100 mg/kg/day. There was no treatment-related mortality. An increase in the kidney weight was observed at 3,000 mg/kg/day of CO and anthraquinone 100 mg/kg/day. Macrophage infiltration in the colon was observed at CO 1,500 and 3,000 mg/kg/day and anthraquinone 100 mg/kg/day,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toxicological changes in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the finding. Conclusions: The oral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NOAEL) of CO was 3,000 mg/kg/day in male rats and no target organ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300 mg/kg was found to be the no-observed-effect level (NOEL) for systemic toxicity under the conditions of the study.

국화로부터 추출한 천연염료에 대한 급성경구독성 및 피부자극성 시험에 대한 연구 (Acute Oral Toxicity and Skin Irritation Studies on Natural Dyes Extracted from Chrysanthemum)

  • 권중기;안인정;이진석;김혜리;박하승;김동찬;최병준;이규민;박용진;정지윤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8-193
    • /
    • 2012
  • 본 연구는 SD 계통의 랫드에서 국화 염료인 백색국화, 백색국화 잎과 줄기, 황색국화의 급성경구독성 및 피부자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하였다. 수컷 랫드에 처치한 물질은 백색국화, 백색국화 잎과 줄기, 황색국화를 각각 1 ml/kg, 2 ml/kg를 D.W에 용해시켜 단회 경구 투여하였으며, 수컷 SD rats에 투여 후 14일 동안 관찰하였으며, 피부자극성 시험은 피부의 찰과 및 비찰과부의 대조부, 처치부에 국화 염료를 처치하여 3일 동안 관찰하였다. 단회 경구 투여 및 피부 자극성 시험 후 국화 염료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체중과 사료 섭취량, 임상증상, 안과학적 검사, 사망률, 피부자극성을 관찰하고, 랫드 피부에서의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체중, 사료섭취량, 병리조직학적 변화가 대조군과 비교시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피부자극성을 확인 한 결과 1차 자극 지수가 0으로 비자극성 물질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국화에서 추출한 염료가 급성 경구독성 시 안전한 물질이며, 피부 자극성을 야기 하지않는 물질로 평가된다.

PED 바이러스 Spike 단백질의 세포 수용체 결합 부위 확인 (The N-terminal Region of the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Spike Protein is Important for the Receptor Binding)

  • 이동규;차세연;이창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0-145
    • /
    • 2011
  • 돼지유행성설사 바이러스(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는 자돈에게 감염 시 수양성설사를 동반한 급성 장염을 유발하며 매우 높은 폐사율을 보이는 그룹 1 코로나바이러스이다. PEDV는 다른 그룹 1 코로나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숙주 세포에 감염 시 aminopeptidase N (APN)을 세포 수용체로 이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코로나바이러스의 spike(S) 단백질은 숙주세포의 표면에 부착과 관련하여 감염 개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S 단백질의 S1 도메인은 세포 수용체에 특이적인 결합을 매개하는 수용체 결합 도메인(receptor binding domain: RBD)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미 많은 코로나바이러스의 RBD의 위치가 확인되어져 있지만 PEDV의 RBD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 APN 수용체와 결합을 매개하는 PEDV의 RBD를 규명하기 위해 S1 도메인을 주형으로 하는 일련의 재조합 truncated variant들을 제작하였고 각각의 truncated들이 실제로 pAPN과의 결합을 이루는지에 대하여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S1 도메인의 N 말단 부분이 pAPN과의 결합에서 중요한 부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향후 PEDV의 S 단백질과 pAPN간의 분자적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계배 발생과정에서 benzophenone의 독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oxicity of Benzophenone in the Developing Chick Embryo)

  • 유민;김수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309-1313
    • /
    • 2009
  • 내분비교란물질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발견되는 화학물질이다. Bisphenol A, DDT, benzophenone, phenylphenol 등과 같은 화학물질들은 플라스틱 식품용기나 살충제 등을 통해서 체내에 흡수된다. 내분비교란물질은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기 때문에 인체에 해로우며, 매우 독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내분비교란물질은 심혈관계, 생식계, 신경계뿐만 아니라 인체의 여러 기관에 심각한 타격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enzophenone과 같은 내분비교란물질이 계배의 발생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계배의 기형을 유도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Benzophenone $1{\mu}g$/egg에서 $500{\mu}g$/egg까지를 투여한 후 부화기에서 발생을 유도한 후 각각 6. 9. 12. 15. 18. 21일째마다 확인하였다. 체장의 경우에는 중용량($40{\mu}g$/egg $\sim$ $60{\mu}g$/egg)에서 감소가 시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용량의 실험군($80{\mu}g$/egg $\sim$ $500{\mu}g$/egg)에서는 높은 사망률을 보였으며, 부리 이상이나 안구 기형과 같은 기형의 징후를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benzophenone은 계배의 기형을 유도하며, 발생단계에서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물의 번식 효율 증진을 위한 한약제의 활용 (Application of pure organic phyto-formulations to optimize performance results in the conventional European animal breeding and production)

  • Gupte, Ss.;Dickie, Mb;Bacowsky, H. Dvm.
    • 한국수의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의병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초록집
    • /
    • pp.5-6
    • /
    • 2002
  • 유럽에서 돼지 번식 효율 증진과 비육을 위한 적절한 활용방법과 몇 가지 잘 조제된 한약제가 규격화되어 나왔다. 이 자료에는 한약제의 효능의 기준을 비롯하여 위생에 대해서도 제시하고 있다. 대학 및 연구기관, 임상 수의사들과 사료업체들이 수행했던 지난 수년간의 실험과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돼지 번식효율 증진을 위한 한약제를 사료첨가제로 활용하여 최적화시켰다. 유럽의 수의분야에서 사용되었던 4가지의 특정 한약제를 기본으로 하여 돼지 사양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들의 대부분이 성공적으로 해결되었다. 즉 수정률, 호흡기질병, 설사와 스트레스에 관한 문제들인데 면역이 억압되고 저질의 자돈이 생산됨에 따라 생산성 저하에 따른 엄청난 경제적인 손실을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임상증상을 치료하면서 동시에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자기방어체계를 증진시킨다는 것이다. 이로써 동물의 면역력과 활력을 증가시키고 건강을 유지시켜서 폐사율을 감소시킨다. 게다가 여기에서 제시된 자료들은 일상적으로 사용되었던 항생제나 호르몬제제들의 사용을 대체할 수 있는 한약제들인데 고효율임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한약제들은 백신 프로그램이나 성장을 촉진시키는 인자들과 상호보완 상승작용도 가져 온다.

  • PDF

Development of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Targeting 18S Ribosomal DNA for Rapid Detection of Azumiobodo hoyamushi (Kinetoplastea)

  • Song, Su-Min;Sylvatrie-Danne, Dinzouna-Boutamba;Joo, So-Young;Shin, Yun Kyung;Yu, Hak Sun;Lee, Yong-Seok;Jung, Ji-Eon;Inoue, Noboru;Lee, Won Kee;Goo, Youn-Kyoung;Chung, Dong-Il;Hong, Yeonchu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2권3호
    • /
    • pp.305-310
    • /
    • 2014
  • Ascidian soft tunic syndrome (AsSTS) caused by Azumiobodo hoyamushi (A. hoyamushi) is a serious aquaculture problem that results in mass mortality of ascidians. Accordingly, the early and accurate detection of A. hoyamushi would contribute substantially to diseas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transmission. Recently, the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method was adopted for clinical diagnosis of a range of infectious diseases. Here, the authors describe a rapid and efficient LAMP-based method targeting the 18S rDNA gene for detection of A. hoyamushi using ascidian DNA for the diagnosis of AsSTS. A. hoyamushi LAMP assay amplified the DNA of 0.01 parasites per reaction and detected A. hoyamushi in 10 ng of ascidian DNA. To validate A. hoyamushi 18S rDNA LAMP assays, AsSTS-suspected and non-diseased ascidians were examined by microscopy, PCR, and by using the LAMP assay. When PCR was used as a gold standard, the LAMP assay showed good agreement in terms of sensitiv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In the present study, a LAMP assay based on directly heat-treated samples was found to be as efficient as DNA extraction using a commercial kit for detecting A. hoyamushi. Taken together, this study shows the devised A. hoyamushi LAMP assay could be used to diagnose AsSTS in a straightforward, sensitive, and specific manner, that it could be used for forecasting, surveillance, and quarantine of AsSTS.

상피성 난소암 세포에서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세포 증식 저해 효과 (Growth Inhibitory Effect of Extracts of Propolis on Epithelial Ovarian Cancer Cells)

  • 양가람;윤경미;오현호;김민성;황태호;안원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834-839
    • /
    • 2017
  • Propolis는 꿀벌들이 나무로부터 수집한 천연물로서 항산화, 항염증, 항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전통의학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생리활성은 여러 가지 유용성분들이 혼합된 것과 관련이 있다. 난소암은 우리나라 여성에서 두 번째로 발병률이 높은 암이다. 대부분의 난소암 환자들은 초기에 수술적 기법과 항암요법에 우수하게 반응하지만, 항암제 내성에 의한 재발이 발생하게 되면 항암요법제에 의한 반응률이 매우 저조하여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따라서, 난소암의 높은 치사율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제 및 항암보조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상피성 난소암 세포주인 A2780를 이용하여 Austalian propolis의 항암 효과와 활성기전을 조사하였다. Propolis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난소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했으며. Flow cytometric 분석을 통해 G0/G1기에서 세포 주기 억제와 apoptosis 유도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ustalian propolis의 인간 난소암에 대한 예방과 치료를 위한 보조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날개망둑 치어의 생존, 성장 및 산소소비율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 (Effects of Salinity on Survival, Growth and Oxygen Consumption rates of the Juvenile gobiid, Favonigobius gymnauchen)

  • 강주찬;진평;이정식;신윤경;조규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08-412
    • /
    • 2000
  • 염분에 대한 날개망둑의 내성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일환으로 이들의 생존, 성장 및 대사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을 40일간 사육 실험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날개망둑의 생존율은 염분 $10.1{\%_{\circ}}$ 이상에서 $90{\%}$ 이상을 나타냈으나, 염분 $6.7{\%_{\circ}}$ 이하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고, 담수에서는 40일째 $5{\%}$의 생존율을 보였다. 성장은 $20.2{\~}33.6{\%_{\circ}}$의 염분 범위에서 유사한 체장, 체중의 증가 및 일일성장률을 나타냈으나, 염분 $10.1{\%_{\circ}}$ 이하에서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산소소비는 염분 $20.2{\~}33.6{\%_{\circ}}$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염분 $13.4{\%{\circ}}$ 이하에서 염분이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염분 13.4, 10.1, 6.7 및 $3.4{\%_{\circ}}$에서 각각 15.8, 19.3, 18.6 및 $24.1{\%}$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담수에는 $28.2{\%}$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낮은 염분에서 생존, 성장 및 산소소비율이 낮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으며, 염분의 농도차이가 연안지역이나 기수지역에서 자연사망율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