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ve duck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2초

토종 실용오리 생산을 위한 교배조합 설정 및 성장능력 비교 (Establishment of Crossbreed and Comparison of Growing Performance for Commercial Korean Native Duck)

  • 허강녕;김지혁;김상호;강보석;김종대;방한태;차재범;김학규;추효준;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17-124
    • /
    • 2015
  • 본 시험은 국내 실정에 맞는 토종 실용오리 보급을 위하여 순종 토종오리 2계통을 4개 교배조합으로 나누어 교배시킨 토종오리의 생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A와 B계통의 토종 종오리를 교배시켜 발생시킨 암수 오리병아리 480수를 4교배조합(AA, AB, BB, BA)과 암수로 구분하여 $4{\times}2$의 복합요인으로 총 8처리구,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5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여 8주간 사육하였다. 시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육용오리 사료를 0~3주령(CP 22.0%, ME 2,904 kcal/kg)과 3~8주령(CP 18.0%, ME 3,002 kcal/kg)으로 나누어 급여하였다. 3주령 AA의 체중이 BB나 BA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P<0.05), 8주령에는 교배종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암수 차이에서는 3주령과 8주령 모두 수컷의 체중이 높게 나타났다(P<0.05, P<0.01). 0~3주령에서는 AB의 증체량이 가장 높았으며(P<0.05), 3~8주령과 0~8주령의 증체량은 교배종 사이에서 유의차가 없었다(P<0.01). 0~3주령, 3~8주령 및 0~8주령의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은 교배조합에 따른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암수 비교에서는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에 대해서 수컷이 암컷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1). 교배조합과 암수에 대한 균일도와 생존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수컷의 생존지수가 암컷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1). 본 연구는 교배조합 토종오리의 생산성, 균일도, 생존율 및 생산지수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토종오리산업화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한국 토종오리의 개체 식별 및 품종 구분을 위한 Microsatellite 마커 탐색 (Investigation of Microsatellite Markers for Traceability and Individual Discrimination of Korean Native Ducks)

  • 서동원;술타나;최누리;김연수;진실;허강녕;진선덕;이준헌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8
    • /
    • 2015
  • 최근, 한국의 소비자들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단일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오리고기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종 오리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토종오리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한 실정이며, 이는 종자주권의 확립 및 농가 소득 증대에도 매우 필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4개의 microsatellite 마커를 확보하였으며, 이들 마커의 대립유전자수는 1~16개, 이형접합도는 0~0.865, 다형성은 0~0.841로 확인되었다. 이들 마커를 이용하여 임의 집단에서 동일개체 출현빈도를 계산한 결과는 임의 집단 $1.64{\times}10^{-16}$, 전형매 집단 $2.60{\times}10^{-7}$, 반형매 집단 $1.30{\times}10^{-12}$으로 높은 개체식별률과 친자확인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들 마커를 이용한 계통분석 결과, 토종오리와 실용오리 집단을 정확하게 구분하기에는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추가연구를 통해 토종오리의 순종화 및 더 정확한 토종오리와 실용오리 집단 구분이 가능한 마커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NERGY AND PROTEIN REQUIREMENTS OF KHAKI CAMPBELL × THAI NATIVE GROWING DUCKS

  • Thongwittaya, N.;Pleusamran, P.;Choktaworn, N.;Tasaki, 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5권2호
    • /
    • pp.357-363
    • /
    • 1992
  •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energy and protein requirements of Khaki Campbell $\times$ Thai Native growing ducks. The growing stage was divided into 2: the first was a starting stage from 0 to 4 weeks of age and the second was a growing stage from 4 to 18 weeks of age. In the starting stage, the birds were given diets containing 2.70, 2.75, 2.80, 2.85 and 2.90 Mcal ME/kg and ME/protein ratio of 150/l for the energy requirement trial, and diets containing 17.0%, 18.5%, 20.0% and 21.5% protein and 2.8 Mcal ME/kg for the protein requirement trial.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gain of feed efficiency among the energy or protein levels. In the growing stag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gain or feed efficiency were found among the energy levels from 2.70 to 2.90 Mcal ME, or protein levels from 15.5% to 20.0%. The age at first lay was 105-117 days and this is earlier than that observed in purebred Khaki Campbell ducks. The feed cost for raising ducks was lower in the low energy and low protein diets. In conclusion, Khaki Campbell $\times$ Thai native ducks can be raised with a diet low in ME as 2.7 Mcal/kg during the whole growing period. As for the protein. 7.0% in the starting stage and 15.5% in the growing stage is practical.

토종오리 순종 2계통의 육성기 생산성 조사 (Growing performance of two pure-line Korean native ducks at growing phase)

  • 김학규;홍의철;강보석;허강녕;추효준;황보종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4호
    • /
    • pp.659-665
    • /
    • 2011
  • This work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atching and growing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Ducks (KND) Pure Breeding Line (PL). A total of 400 male and female pullets were produced from PL to keep i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Korea. Pullets were divided into 4 treatments, 5 repetitions per treatment, and 20 heads per repetition. Four treatments were compared in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with 2 groups (White strains, WW; Jade Green strains, CC) for their parents and 2 groups (male and female). Livabil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20 weeks among male and female of 2 strai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body weight and feed intake between WW and CC strains (P>0.05), but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n body weight and feed intake between male and female (P<0.05). The feed conversion ratio of female was higher compared to male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C and WW strains. These results provide the basic data to develope the new strains of Korean Native Ducks.

Assessment of Breed- and Sex-based Variation in Flavor-related Compounds of Duck Meat in Korea

  • Lee, Hyun Jung;Kim, Hyun Joo;Yong, Hae In;Khan, Muhammad I.;Heo, Kang Nyung;Jo, Cheorun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1-50
    • /
    • 2015
  • 본 연구는 오리의 종 및 성별에 따른 육 내 풍미 관련 물질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된 6주령의 한국 토종오리 및 일반오리(Cherry Valley) 총 12수를 공시하여 가슴육의 일반성분, 핵산관련물질, 지방산 조성 및 유리아미노산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오리와 암컷오리가 각각 토종오리와 수컷오리에 비해 수분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육 내 IMP 함량은 수컷보다 암컷이 더 높았으며, 일반오리보다 토종오리 내 inosine 함량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또한, 수컷 오리 가슴육은 암컷오리에 비해 alanine, aspartic acid, glycine, histidine, leucine, serine, valine, glutamic acid, cysteine 등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높았다(P<0.05). 연구결과, 종에 따른 토종오리와 일반오리의 풍미 관련 물질의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 토종오리 만의 우수성과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해 오리육 내 풍미 관련 물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연구와 이를 통한 품종 개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Development of Expressed Sequence Tags(ESTs) from Korean Native Chicken cDNA Libraries

  • Shin, Sang-Su;Song, Ki-Duk;Shin, Jee-Hye;Lee, Sun-Duck;Lee, Young-Mok;Kim, Jin-Kyu;Han, Jae-Yong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67-68
    • /
    • 2003
  • 한국 재래 닭의 유전적 특성 규명 및 기능 유전체 연구의 기초재료를 확보하고자 대량 EST 염기서열 결정 및 생물정보학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량 EST 염기서열 분석을 위한 첫 번째 단계로 재래 닭의 뇌, 비장, 정소, 배아 생식기를 이용하여 cDNA library를 구축하였다. 각각의 library로부터 총 15,121개의 클론을 선정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생물정보학 분석결과 15,121개의 염기서열은 총 10,353개의 contig로 정리되었다. 이들 염기서열을 기존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tBlastX(http://www.ncbi.nlm.nih.gov/BLAST)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염기서열 중 56 %가 기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유전자와의 상동성을 보였다. 상동성을 보이는 유전자들은 유전자의 구조 및 기능 분석에 이용될 것이고, 상동성을 보이지 않는 유전자들은 microarray와 같은 대량 유전자 발현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별한 후 기능분석이 실시될 것이다.

  • PDF

토종오리 순종 2계통의 사육형태에 따른 산란능력 (Laying performance of two pure-line Korean native ducks at different house types)

  • 김학규;홍의철;강보석;김종대;허강녕;추효준;황보종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1호
    • /
    • pp.53-60
    • /
    • 2012
  • This work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laying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Ducks (KND) Pure-Line (PL). A total of 400 female pullets were hatched from PL to keep i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Korea. Twenty weeks old PL female ducks were divided into 4 groups (5 replications/group, 20 head/replications). Four groups were compared in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with strain (White strains, WW; Celadon strains, CC) and house type (flat house, cage house). On first egg laying day, CC strain laid eggs earlier compared to WW strain (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lat and cage house. Egg weight (EW) and body weight (BW) at first egg laying day have no difference among strains and houses. BW of CC strain was higher than WW strain at the age of 30 week (P<0.01). Weekly feed intake (FI) have no difference between flat and cage house, but FI of WW strain was high compared to CC strain during 20~30 week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EW between CC and WW strains, but EW was low at flat house compared to cage house (P<0.05). Weekly egg productions of WW strain and flat house were lower than CC strain and cage house, respectively (P<0.01). Finally, These results can provide the information that needed to introducing new strains.

반추수의 창상성심낭염의 진단에 관한 연구 II. 인공유발 창상성심낭염에 있어서 LDH 총활성 및 LDH isoenzyme의 변화 (Studies on the Diagnosis for Traumatic Pericarditis of Ruminant ll. Fluctuations of Serum Total tDH Activities and LDH Isoenzymes fractions in Artificially Induced Traumatic Pericarditis.)

  • 김덕환;김교준;전무형;권오덕;윤상보;이창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7-94
    • /
    • 1988
  • To develop more reliable diagnostic measures for traumatic pericarditis in ruminant, fluctuations of serum total LDH activities and LDH isoenzymes fractions were investigated in artificially induced pericarditis of Korean native goats.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tendency of increase serum LDH total activities. Effect of LDH isoenzymes on serum total LDH activities were high with decreasing order of LDH$_1$> LDH$_3$ > LDH$\sub$5/ > LDH$_2$ > LDH$_4$ and LDH$_1$ was the hightest among them. From these findings, increase of serum total LDH activities and LDH$_1$ fraction was thought to be important in traumatic pericarditis.

  • PDF

닭의장풀의 Iridoid, Triterpenoid 및 Steroid 성분에 관한 연구(II) (Studies on the Iridoid, Triterpenoid and Steroid Components of Commeline communis)

  • 백수현;서원준;배기환;진갑덕
    • 약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4-68
    • /
    • 1990
  • Three non-alkaloidal constituents, (-)-loliolide as an iridoid, friedelin as a triterpenoid, and ${\beta}-sitosterol$ as a steroid, were isolated by fractional extraction and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from the herb of Commelina communis L. (Commelinaceae). The structures of the native components were elucidated on the basis of physical and spectral (UV, IR, PMR, CMR, and mass spectra) data.

  • PDF

한국재래 산양에 자연 발생한 전염성 농포성 피부염에 대한 오존의 치료효과 (The Therapeutic Effect of Ozone on Contagious Ecthyma in Korean Native Goats)

  • 유건주;허인;홍민성;서지민;조성남;이정연;송근호;김덕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4-1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충남 공주근교에서 사육중인 한국재래산양에서 자연 발생한 전염성 농포성 피부염에 대하여 오존의 치료효과를 조사하였다. 전염성 농포성 피부염은 한국재래산양 150두 중 130두에서 발생하였다. 16두(2개월-2년)를 선발하여 대조군(5두), ozonated oil군(5두) 및 ozonated water군(6두)으로 구분하였다. 대조군에서는 실험기간 중 아무런 치료를 하지 않았으며, ozonated oil군은 식물성유에 오존가스(200ppm)로 3일간 bubbling한 ozonated oil을 환부에 1일 1회 2주간 도포하였고, ozonated water군은 수도물에 오존가스(200ppm)로 1시간 동안 bubbling한 ozonated water(0.1ppm)를 2주간 자유로이 음수토록 하였다. 그 결과, 치료율은 ozonated oil군이 80%(4/5두), ozonated water군이 66.7%(4/6두)로, 대조군(20%, 1/5두)보다 양호하였다. 이 결과를 근거로 전염성 농포성 피부염에 이환된 한국재래 산양 121두를 대상으로 ozonated oil을 1일 1회, 30일간 환부에 도포하였다. 그 결과, 환축의 모든 병변부는 완치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오존요법은 산양의 전염선 농포성 피부염의 치료에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