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d1

검색결과 396건 처리시간 0.024초

Identity of Spirometra theileri from a Leopard (Panthera pardus) and Spotted Hyena (Crocuta crocuta) in Tanzania

  • Eom, Keeseon S.;Park, Hansol;Lee, Dongmin;Choe, Seongjun;Kang, Yeseul;Bia, Mohammed Mebarek;Ndosi, Barakaeli Abdieli;Nath, Tilak Chandra;Eamudomkarn, Chatanun;Keyyu, Julius;Fyumagwa, Robert;Mduma, Simon;Jeon, Hyeong-Kyu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7권6호
    • /
    • pp.639-645
    • /
    • 2019
  • In the present study, a Spirometra species of Tanzania origin obtained from an African leopard (Panthera pardus) and spotted hyena (Crocuta crocuta) was identified based on molecular analysis of cytochrome c oxidase I (cox1) and NADH dehydrogenase subunit I (nad1) as well as by morphological observations of an adult tapeworm. One strobila and several segments of a Spirometra species were obtained from the intestine of an African male leopard (Panthera pardus) and spotted hyena (Crocuta crocuta) in the Maswa Game Reserve of Tanzania.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 theileri observed comprised 3 uterine loops on one side and 4 on the other side of the mid-line, a uterine pore situated posterior to the vagina and alternating irregularly either to the right or left of the latter, and vesicular seminis that were much smaller than other Spirometra species. Sequence differences in the cox1 and nad1 genes between S. theileri (Tanzania origin) and S. erinaceieuropaei were 10.1% (cox1) and 12.0% (nad1), while those of S. decipiens and S. ranarum were 9.6%, 9.8% (cox1) and 13.0%, 12.6% (nad1), respectively.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Tanzania-origin Spirometra specimens coincided with those of S. theileri, and the molecular data was also consistent with that of S. theileri, thereby demonstrating the distribution of S. theileri in Tanzania. This places the leopard (Panthera pardus) and spotted hyena (Crocuta crocuta) as new definitive hosts of this spirometrid tapeworm.

Leuconostoc mesenteroides에서 分離한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의 特性 (Characteristics of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 변시명;최양도;한문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48-258
    • /
    • 1979
  • 저자들은 Cibacron Blue F3G-A Separose 컬럼 어피니티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GIn-cose-6-phosphate dehydrogenase를 Leuconostoc mesenteroides로부터 순수 분리한 바 있다. 이 효소를 사용하여 효소특성을 조사한 결과 분자량은 Sephadex G-200 컬럼에 의해 112,000이었으며 최적온도는 50$^{\circ}$, 활성화에너 지는 8.36kcal/mole 불활성화에너지는 -58.2kcal/mole로 나타났다. $NADP^+$를 조효소로 사용하였을때 최적 pH7.8에서 K_{G6p}:76.9${\mu}$M, ${\alpha}K_{NADP}:\;7.46{\mu}M,\;{\alpha}KNNADP:\;7.l4{\mu}M$이었으며 같은 조건에서 $NAD^+$를 조효소로 사용하였을때 $K_{G6P}:\;53.65{\mu}M,\;K_{NAD}:\;115.2{\mu}M\;{\alpha}K_{NAD}:\;707.2{\mu}M$이었다. 따라서 $NADP^+$$NAD^+$를 조효소로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alpha}$ 값은 각각 1과 6으로 나타났다. pH변화에 따른 반응속도상수의 변화에 의하면 $NAD^+$를 조효소로 하였을때 최적 pH는 7.8 이었고 pKa가 7.2인 활성기와 ${\mu}Kb$가 9.0∼9.6인 활성기가 효소와 기질의 상호작용에 관여함을 알았다. 이중 pKa 7.2인 활성기를 밝히기 위하여 효소를 광산화와 carboxymethylation을 시킨결과 histidine의 imidazole기임을 알수 있있다.

  • PDF

Salmonella typhimurium에서 유래한 Mannitol Dehydrogenase 유전자의 대장균 내 발현 및 효소특성 규명 (Enzymatic Characteriza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Mannitol Dehydrogenase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 장명운;박정미;김민정;강정현;이소원;김태집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56-162
    • /
    • 2012
  • Salmonella typhimurium LT2 (KCTC 2421)로부터 mannitol dehydrogenase (StMDH)로 추정되는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대장균에서 대량 발현하였다. 이 유전자는 488개의 아미노산 서열(약 54 kDa)을 암호화하는 1,467 bp의 염기로 구성되며, 이미 보고된 long-chain dehydrogenase/ reductase (LDR) 계열 효소들과 약 36%의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재조합 StMDH의 최적 반응온도는 $30^{\circ}C$이며, pH 5.0의 조건에서 최대의 D-fructose 환원활성, 그리고 pH 10.0에서 최대의 D-mannitol 산화활성을 보인다. 반면에 glucose, galactose, xylose, arabinose 등의 기질에 대해서는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효소는 $NAD^+$/NADH 존재 하에서만 산화 환원 활성을 가지며, $NADP^+$/NADPH는 조효소로 이용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StMDH는 전형적인 $NAD^+$/NADH 의존형의 mannitol dehydrogenase (EC 1.1.1.67)임을 확인하였다.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서열 변이를 이용한 인삼 종 판별 연구 (Analysis of Mitochondrial DNA Sequence and Molecular Marker Development for Identification of Panax Species)

  • 조익현;방경환;김영창;김장욱;신미란;문지영;노봉수;현동윤;김동휘;차선우;김홍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1-96
    • /
    • 2013
  • This study describes the identification of Panax species using mitochondrial consensus primers. Initially, a total of thirty primers were tested in ten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two foreign Panax species, P. quinquefolius and P. notoginseng. I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mplification results, three primers (cox1, nad1/2-3 and nad2/1-2) generated co-dominant polymorphic banding patterns discriminating Korean ginseng cultivars from P. quinquefolius and P. notoginseng. However, these primers could not generated polymorphisms among the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simply represented species-specific polymorphisms for P. quinquefolius and P. notoginseng. Primers PQ91 and PN418 were designed from the consensus sequence of nad1/2-3 region. Two banding patterns (A or B) were detected in PQ91.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P. notoginseng shared the same banding pattern (A type) and P. quinquefolius was identified another banding pattern (B type). In the case of PN418, two banding patterns (A or B) were detected in the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two foreign Panax species.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P. quinquefolius shared the same banding pattern (A type) and P. notoginseng was identified another banding pattern (B type). The combination banding patterns of three Panax species, Korean ginseng cultivars (Panax ginseng C. A. Mey.), P. quinquefolius and P. notoginseng, was identified as 'AA', 'BA' and 'AB', respectively. Consequently, PQ91 and PN418 primer sets can be used to distinguish among Panax species.

Acinetobacter calcoaceticus C10에 의한 Cyclohexanol Dehydrogenase의 유도 (Induction of Cyclohexanol Dehydrogenase in Acinetobacter calcoaceticus C10)

  • 박희동;최선택;이인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3호
    • /
    • pp.304-310
    • /
    • 1986
  • CL 배지에서 자란 A. calcoaceticus C10은 glucose dehydrogenase(GDH)와 cyclohexanol dehydrogenase(CDH)를 모두 생산하였다. A. calcoaceticus C10에 의한 사이클로헥사놀의 산화가 비특이적인 GDH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GDH와 CDH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GDH는 $NAD^+$$NADP^+$를 모두 조효소로 이 용하였으나 CDH는 $NAD^+$만을 조효소로 이용하였으며 $NADP^+$를 이용하지 못하였다. GDH는 LB 배지와 0.2%의 포도당 또는 사이클로헥사놀을 첨가한 LB 배지 및 CL 배지에서 모두 생산되었으나 CDH는 사이클로헥사놀을 첨가한 배지에서만 생산되었으며 7.5% polyacrylamide 젤 전기영동 결과 GDH와 CDH는 서로 다른 활성 밴드를 나타내었다. 이로써 GDH와 CDH는 서로 다른 것이며 사이클로헥사놀의 산화는 비특이적인 GDH에 의한 것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LB 배지에서 A. calcoaceticus C10을 4시간 배양 후 사이클로헥사놀을 첨가할 경우 배양 24시간에 LB 배지에서보다 약 8배의 CDH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생육도는 약 2배의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CDH는 사이클로헥사놀, 사이클로헥사논 cyclohexan-1,2-diol 및 cyclohexene oxide에 의해 유도되었으나 ${\varepsilon}-caprolactone$과 adipate에 의해서는 유도되지 않았다.

  • PDF

인삼사포닌 분획이 동물체(쥐)내에서의 에탄을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Saponin Fraction on Ethanol Metabolism in Rat Liver)

  • 곽한식;주충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76-86
    • /
    • 1988
  • 쥐에게 물대신 12% 에탄올(대조군) 또는 인삼사포닌 분획을 포함한 12% 에탄올(시험군)을 6일간 투여한 후 간과 혈청에서의 acetaldehyde 농도와 간의 [$NAD^+$]/ [NADH] 및 [$NADP^+$]/[NADPH] 비율을 조사하였다. 대조군의 간과 혈청의 acetaldehyde 농도는 물로 사육한 정상군에 비해 훨씬 높았으나 물대신 인삼사포닌을 포함한 에탄올을 투여한 시험군의 경우는 정상군에 비해 약간 높았을 뿐이었으며 [$NAD^+$]/ [NADH] 비의 감소율도 대조군보다는 시험군이 훨씬 작았다. l-$^{l4}C$]-ethanol을 함유한 10% ethanol을 1ml 복강으로 투여하고 30분 후의 간의 지방질의 방사능을 분석한 결과 시험군의 간 지방질의 전체 방사능은 대조군보다 훨씬 낮았고 인산지방질, 콜레스테롤, 지방산, 중성지방과 같은 지방질의 분석결과는 에탄올 투여로 인한 인산지방질 생합성 저하와 지방산 및 중성지방의 생합성 증가현상이 인삼사포닌의 투여로 개선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lysine 6-dehydrogenase from Achromobacter denitrificans

  • Ruldeekulthamrong, Prakarn;Maeda, Sayaka;Kato, Shin-ichiro;Shinji, Nagata;Sittipraneed, Siriporn;Packdibamrung, Kanoktip;Misono, Haruo
    • BMB Reports
    • /
    • 제41권11호
    • /
    • pp.790-795
    • /
    • 2008
  • An inducible lysine 6-dehydrogenase (Lys 6-DH), which catalyzes the oxidative deamination of the 6-amino group of L-lysine in the presence of $NAD^+$, was purified to homogeneity from Achromobacter denitrificans, yielding a homodimeric protein of 80 kDa. The enzyme was specific for the substrate L-lysine and $NAD^+$ served as a cofactor. The dimeric enzyme associated into a hexamer in the presence of 10 mM L-lysine. The $K_m$ values for L-lysine and $NAD^+$ were 5.0 and 0.09 mM, respectively. The lys 6-dh gene was cloned and overexpressed in E. coli. The open reading frame was 1,107 nucleotides long and encoded a peptide containing 368 amino acids with 39,355 Da. The recombinant enzyme was purified to homogeneity and characterized. Enzyme activities and kinetic properties of the recombinant enzyme were almost the same as those of the endogenous enzyme obtained from A. denitrificans. Crystals of the enzyme were obtained using the hanging drop method.

2008년 대전지역에서 발생한 황사의 중금속 오염도 (Pollution Level of Heavy Metals of Asian Dust in Daejeon Area, 2008)

  • 이평구;배법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9권1호
    • /
    • pp.8-25
    • /
    • 2014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concentrations of selected metals in Asian and non-Asian dust collected in Daejeon, Korea between February 2008 and December 2008 and to estimate the pollution level. The geochemical analyses of Asian dust (AD) and Non Asian dust (NAD) show that the mean concentrations of As, Cd, Cu, Pb, Zn, Zr, Sb, Mo and S reached levels up to 16, 209, 31, 43, 81, 28, 31, 122 and 302 times higher, respectively, than those in uncontaminated Chinese desert soi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th AD and NAD serve as an atmospheric repository for trace and heavymetal accumulation. The the enrichment factor (EF) and pollution index (PI) show that AD and NAD were severely contaminated by S, Mo, Zr, Cd, Pb, Zn, Sb, Cu, and As. All indices for these metals showed either strong or notably high level of pollution relative to Chinese desert soil, principally due to the severe atmospheric pollution derived from anthropogenic activities in heavily industrial Chinese cities. Therefore, Mo, Cd, Zr, As, Cu, Sb, Pb, and Zn are the ones most strongly affected by anthropogenic inputs such as airborne pollutants.

한국 노인의 주관적 불안·우울 상태에 따른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 : 2013~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Food and nutrient intake status of Korean elderly by perceived anxiety and depressive condition: data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2015)

  • 김다미;김경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1호
    • /
    • pp.58-72
    • /
    • 2019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2013 ~ 2015년)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주관적 불안 우울 상태에 따른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를 분석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자 노인의 불안 우울군이 비불안 우울군에 비하여 저체중군 비율이 높고 과체중군의 비율이 낮았다. 불안 우울군의 교육 수준과 경제 수준이 더 낮았으며 독거가구의 비율은 더 높아서 혼자 사는 노인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노인 모두 불안 우울군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더 나쁜 것으로 나타나 스스로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다. 남자 노인의 불안 우울군이 점심식사와 저녁 식사 시 혼자 식사하는 비율이 높았고 여자 노인의 경우, 불안 우울군의 저녁식사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노인의 불안 우울군에서 총 식품섭취량, 버섯류, 어패류, 해조류, 유지류, 조미료류의 섭취가 비불안 우울군에 비하여 낮았다. 반면 여자 노인의 경우 총 식품섭취량과 그 외의 모든 식품군 섭취량에서 주관적 불안 우울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남자 노인의 불안 우울군의 경우 식이섬유, 비타민 C, 리보플라빈, 니아신, 칼륨, 철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 여자 노인에 비하여 남자 노인이 주관적 불안 우울에 따른 영양소 섭취 상태가 불량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남녀 노인 모두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열량 기여율은 불안 우울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에너지 적정비율 (AMDR)인 탄수화물 (55 ~ 65%), 단백질 (7 ~ 20%), 지방 (15 ~ 30%)의 범위와 비교했을 때 두 군 모두 기준보다 탄수화물은 많이 섭취하고, 지방은 부족하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자 노인의 경우는 불안 우울군의 비타민 C와 니아신의 적정섭취비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전반적인 영양소 섭취 상태를 평가한 평균영양소 적정섭취비도 비불안 우울군에 비해 불안 우울군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여자 노인의 경우 불안 우울군의 단백질 적정섭취비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그 외 다른 영양소의 적정섭취비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남자 노인은 여자 노인에 비해 불안 우울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가 더욱 불량한 것으로 나타나서 남자노인을 위한 심리적 지원 프로그램과 함께 적절한 식사 섭취를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