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Caproic acid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4초

DL-1-Amino Alkyl Phosphonic Acid 와 그 유도체들의 합성 (ll) (Synthesus of DL-1-Amino Alkyl Phosphonic Acids and Their Derivatives (II))

  • 조경연;김덕찬;김용준
    • 대한화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275-280
    • /
    • 1971
  • Six previously unreported N-acylated-DL-1-amino alkyl phosphonic acids were prepared; N-Acetyl-DL-1-amino-3-methyl butyl phosphonic acidN-Benzoyl-DL-1-amino-2-methyl propyl phosphonic acidN-Benzoyl-DL-1-amino-3-methyl butyl phosphonic acidN-Benzoyl-DL-1-amino-2-methyl butyl phosphonic acidN-Acetyl-DL-1-amino-2-methyl propyl phosphonic acidN-Acetyl-DL-1-amino-2-methyl butyl phosphonic acidThe first four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and the last two compounds were obtained in the crude oil state. The above three DL-1-amino-alkyl phosphonic acid were synthesized from iso-valeric acid, iso-caproic acid and ${\beta}$-methyl valeric acid using Hell-Volhard-Zelinsky reaction, the condensation reaction with triethyl-phosphite and the modified Curtius Reaction. Iso-caproic acid and ${\beta$-methyl valeric acid were prepared by the conventional methods.

  • PDF

간장에서 분리한 Zygosaccharomyces rouxii의 휘발성 유기산 생성에 미치는 식염농도의 영향 (The Effect of Salt Concentrations on the Production of Volatile Organic Acids by Zygosaccharomyces rouxii, a Soy Sauce Yeast)

  • 권동진;하덕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0-125
    • /
    • 1994
  • By using a synthetic medium simulated on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soybeam, the effect of salt concentrations on the production of volatile organic acid by the strains of Zygosaccharomyces rouxii So-3101, a soy sauce yeast, was studied at the concentrations of 12.5, 18.0, 22.0 and 28.5% NaCl. The growth, consumption of glucose, and production of alcohol, total acid and volatile organic acid, showed the highest values at a concentration of 12.5% NaCl, and those values were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salt concentration. The ratio of volatile organic acid to total organic acid was remained at approximately the same level within the range of salt concentrations between 12.5~22.0%, whereas the ratio was decreased at a salt concentration of 28.5%. After incubation for 16 days, 8 volatile organic acids, i.e. acetic, propionic, n-butyric, isobutyric, isovaleric, isocaproic, n-caproic, and heptanoic acids, were detected by gas chromatography. Among the volatile organic acids, acetic acid was produced in the appreciable amiunt and its ratio to the other volatile acids wa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salt concentration.A small amount of isocaproic, propionic, isobutyric and isovaleric acids were produced, and n-caproic, n-butyric and heptanoic acids were detected only at the lower salt concentration.

  • PDF

농축산(農畜産) 폐기물(廢棄物) 처리(處理)를 위(爲)한 저온내성(低溫耐性) 메탄 생성균(生成菌)의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저온내성(低溫耐性) Clostridia 의 분리(分離) (Study on Low Temperature Tolerant Methane-Producing Bacteria for the Treatment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Wastes)

  • 정광용;김재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11-320
    • /
    • 1994
  • 농축산(農畜産) 폐기물(廢棄物)의 혐기적(嫌氣的) 처리공정(處理工程)에 적용하기 위하여 아한대(亞寒帶) 지역(地域)으로 부터 분리(分離)한 clostridia의 생화학적(生化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Cellulose 배지로 저온(低溫)에 집적배양(培養)한 결과 $CH_4$ 생성이 왕성(旺盛) 하였던 늪지 퇴적물(堆積物)(Canada, $56.9^{\circ}N$), 호수퇴적물(堆積物) Ⅳ(Canada, $55.0^{\circ}N$) 그리고 갯벌흙 Ⅱ(Korea, $37.0^{\circ}N$)에서 산생성능(酸生成能)이 우수하고 동시에 메탄을 생성하는 Clostridia, 즉 Clostridium botulinum SRC-64, Clostridium scatologens SRC-91 및 Clostridium tyrobutyricum SRC-100 을 각각 분리(分離)하였다. 분리(分離)된 clostridia 3균주(菌株)의 최적(最適) 생육온도(生育溫度)는 $37^{\circ}C$이었고 최저(最低) 생육온도(生育溫度)는 $10^{\circ}C$ 정도 이었으며, 그리고 이들 균주(菌株)는 특이적 메탄 생성균(生成菌)의 조효소(組酵素)인 $F_{420}$을 함유 하였다. 2. 포도당의 혐기분해(嫌氣分解) 생성물(生成物)로서 SRC-64 는 $H_2$, acetic, isovaleric, caproic acid 를 생성(生成)하였으며, SRC-91 은 $H_2$, propionic, butyric, valeric, caproic acid 를, SRC-100 은 acetic 과 propionic acid 를 주로 생성(生成) 하였다. 또한 3 균주(菌株) 모두 $13^{\circ}C$, 2 일(日) 배양조건(培養條件)에서 2.6-8.68 n moles/ml 범위(範圍)의 $CH_4$ 생성능력(生成能力)을 나타냈다.

  • PDF

식물병원균에 대한 몇가지 저급지방산의 항균특성 (Antifungal Properties of Some Short Chain Fatty Acids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 박종성;갑원계개;서촌정양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9-95
    • /
    • 1986
  • 쇠비름 즙액에서 얻은 5종의 저급지방산인 isobutyric(C-4), butyric(C-4), isovaleric(C-5), valeric (C-5), caproic(C-6) acids등이 그들 사이에 항균력의 차이는 있었지만 공시한 25종의 식물병원균의 포자발아나 균사생장에 대하여 폭넓은 항균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각각의 지방산의 항균력은 포자발아검정이나 균사신장검정에 있어서 공시균주에 따라 큰 차이를 보여주었다. 포자발아검정에 공시한 17종의 병원균과 균사신장검정에 공시한 16종의 병원균은 그들의 포자발아나 균사신장을 제각기 완전히 저해하는 각각의 지방산의 최저저해농도(MIC)에 따라 3군으로 나눌 수 있다. 이밖에도 이 연구의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제시할 수 있었다. 1) Caproic acid는 공시균의 균사신장보다 포자발아에 대하여 더욱 강한 독성을 보였으나 약간의 예외는 있었지만 그 밖의 지방산은 이와같은 독성을 보여주지 않았다. 2) 지방산의 사슬이 길수록 항균력도 강하다. 3) n-Butyric acid와 n-Valeric acid는 그들의 이성체보다 항균력이 강하다. 4) 각각의 지방산은 부생균의 포자발아나 균사신장에 대한 것보다 활물기생균이나 몇가지 조건적 기생균의 그것들에 대하여 더욱 강한 독성을 보여주었다.

  • PDF

Genome-Wide Transcriptomic Analysis of n-Caproic Acid Production in Ruminococcaceae Bacterium CPB6 with Lactate Supplementation

  • Lu, Shaowen;Jin, Hong;Wang, Yi;Tao, Y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11호
    • /
    • pp.1533-1544
    • /
    • 2021
  • n-Caproic acid (CA) is gaining increased attention due to its high value as a chemical feedstock. Ruminococcaceae bacterium strain CPB6 is an anaerobic mesophilic bacterium that is highly prolific in its ability to perform chain elongation of lactate to CA.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genome-wide transcriptional analysis of strain CPB6 for CA production triggered by the supplementation of exogenous lactate. In this study, cultivation of strain CPB6 was carried out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lactate. Transcriptional profiles were analyzed using RNA-seq, an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between the lactate-supplemented cells and control cells without lactate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lactate supplementation led to earlier CA p,roduction, and higher final CA titer and productivity. 295 genes were substrate and/or growth dependent, and these genes cover crucial functional categories. Specifically, 5 genes responsible for the reverse β-oxidation pathway, 11 genes encoding ATP-binding cassette (ABC) transporters, 6 genes encoding substrate-binding protein (SBP), and 4 genes encoding phosphotransferase system (PTS) transporters were strikingly upregulated in response to the addition of lactate. These genes would be candidates for future studies aiming at understanding the regulatory mechanism of lactate conversion into CA, as well as for the improvement of CA production in strain CPB6. The findings presented herein reveal unique insights into the biomolecular effect of lactate on CA production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DL-1-Aminoalkyl Phosphonic Acids와 그유도체들의 합성 (I) (Synthesis of DL-1-Amino Alkyl Phosphonic Acids and their Derivatives)

  • 조경연;김덕찬;김용준
    • 대한화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22
    • /
    • 1971
  • DL-1-Amino-pentyl phosphonic acid, DL-1-Aminopropyl phosphonic acid were synthesized with good yield from caproic acid and butyric acid using the modified Curtius reaction and N-derivatives, N-acetyl-DL-1-amino propyl phosphonic acid, N-acetyl-DL-1-aminopentyl phosphonic acid, N-Benzoyl-DL-1-amino-propyl phosphonic acid, were also prepared by a variety of methods including the Schotten-Baumann reaction. In addition, th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s were investigated. All the products were also identified by means of elemental analysis, Infrared spectrophotometry, Ninhydrin test,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neuralization equivalent.

  • PDF

알코올 및 휘발성 유기산류가 뽕나무버섯의 균사속 생산에 미치는 영향 (Alcohols and Volatile Organic Acids as Stimulants of Rhizomorph Production by Armillaria mellea)

  • 홍재식;김명곤;이재홍;김형무
    • 한국균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58-163
    • /
    • 1990
  • 천마와 뽕나무버섯의 공생관계를 검토해 보고자 천마 중에 존재할 것으로 추측되는 저분자의 휘발성 성분들로 알코올류와 휘발성 유기산들이 뽕나무버섯의 균사속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고 또한 천마 중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산의 존재를 GC로 확인하였다. 각종 알코올류와 휘발성 유기산류 중 acetic acid와 methanol을 제외한 성분들은 뽕나무버섯의 균사속 생육을 촉진하였는데 이 중, 가장 큰 효과를 보인 것은 valeric acid와 ethanol이었으며 valeric acid는 0.1%(v/v)에서 ethanol은 1%(v/v) 수준의 농도에서 효과가 있었다. 이들 화합물들은 3일 간격으로 보충할 경우는 이 농도보다 훨씬 낮은 0.01%(v/v)에서 양호한 촉진효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천마 중에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산류를 GC로 분석한 결과 propionic, iso-butyric, butyric, iso-valeric, valeric, iso-caproic, caproic 및 heptano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중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는 것은 valeric acid 이었다.

  • PDF

모시잎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Ramie Leaves (Boehmeria nivea L.))

  • 박미란;이재준;김아라;정해옥;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53-860
    • /
    • 2010
  • 모시잎 분말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모시잎 분말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 5.42%, 조단백질 28.15%, 조지방 6.95%, 조회분 15.27% 및 탄수화물 54.79%를 함유하였다. 총식이섬유소 함량은 39.66 g/100 g이며, 그 중 불용성 식이섬유소와 수용성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20.32 g/100 g와 19.34 g/100 g로 나타났다. 구성당은 glucose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lactose, galactose 순으로 총 3종이 검출되었다. 구성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함량이 2,432.53 mg%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glutamic acid, leucine, histidine, phenylalanine, valine, alanine 순이었다. 유리 아미노산은 asparagine이 983.57 mg%로 가장 많아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그 외에는aspartic acid, ${\gamma}$-amino-n-butyric acid, valine, phenylalanine, alanine, threonine, phosphoserine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으로 구성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 함량은 caproic acid methyl ester가 58.23%, pentadecanoic acid가 41.77% 검출되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은 극미량으로 검출되었다. 비타민 함량 분석으로 항산화 비타민 A, E 및 C의 함량은 각각 0.0194 mg%, 0.0184 mg% 및 0.1833 mg%로 검출되었으며, 비타민 C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Ca 함량이 3,135.20 mg%로 가장 많았으며, K이 1,434.60 mg%였고 다음으로 Mg, Na, Mn, Fe, Zn, Cu 순으로 검출되었고 Zn과 Cu의 함량은 미량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은 총 3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succinic acid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citric acid, male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재료의 종류에 따른 김치의 유기산 및 휘발성 향미 성분의 변화 (Changes of Organic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imchis Fermented with Different Ingredients)

  • 유재연;이혜성;이혜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9-174
    • /
    • 1984
  •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와 부재료를 한가지씩 첨가한 각 시료들을 $12{\sim}16^{\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유기산, 이산화탄소, alcohol 및 카보닐 화합물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고,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lactic succinic, fumaric, malic acid가 분리되었고, 휘발성 유기산은 acetic, formic, propionic, butyric, valeric n-heptanoic acid 등이 분리되었으며, 카보닐 화합물은 acetaldehyde와 acetone이 분리되었다. Lactic acid는 숙성 시간에 따라 점차 증가했고, 고춧가루, 마늘, 파가 첨가된 김치에 많았다. Acetic acid도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마늘이 첨가된 김치에서 두드러졌다. 이산화탄소의 함량은 마늘이 첨가된 김치에 많았으며, alcohol류는 전 시료에서 ethanol 만이 확인되었다. Acetaldehyde와 acetone은 김치의 off-flavor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리파제 활성측정을 위한 간편한 비색정량법 (A Simple and Modified Photometric Method for Measuring Lipase Activity)

  • 김철진;최홍식;변시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1-253
    • /
    • 1984
  • 리파제 활성을 측정하는 간편한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방법에 의하면 효소작용에 의해 생성된 유리지방산과 측정하는 색도와 서로 직선관계를 보였으며. 측정 범위는 long chain지방산인 경우 올레인산으로 환산하여 $0.05-1.5\;{\mu}moles$이었으며 short chain지방산인 경우 카프로인산으로 환산하여 $0.2-2.0\;{\mu}moles$의 범위였다. 본 방법의 장점은 종래의 "Copper Soap" 추출방법에서 상부 용매층 제거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과정을 클로로포름-핵산-에타놀 혼합용매와 NaCl로 포화시킨 copper reagent를 사용하므로서 손쉽게 해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