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6 to n-3 Fatty Acid Ratio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7초

CLA 급이가 우럭치어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n Growth of Larval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최병대;강석중;염말구;하영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5-320
    • /
    • 2002
  • 통영을 중심으로 한 우럭생산량은 연간 1,813M/T에 이르고 있으며, 과잉생산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우려를 개선시키고 기능성 어류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감을 충족시키기 위하언 성장촉진, 항암, 면역증강, 혈중 LDL 함량 저하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 CLA를 이용한 기능성 우럭생산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Artemia 영양강화시 CLA를 $0.5\~5.0\%$ 첨가하였을 경우 Artemia중 지방산조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CLA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CLA 함량은 높아졌고, 동시에 Artemia 특유의 지방산조성을 나타내어 지방산 대사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8주 사육 후 우럭근육 중 n-6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사료에 첨가된 지질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n-3/n-6 PUFA 비가 자연산 우럭의 3.95보다 현저히 낮아 CLA 첨가가 많을수록 성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나 배합사료 중의 DHA 첨가가 증가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를 섭취한 우럭 근육 중 총 CLA 함량은 급이 량에 따라 각각 $6.57\~16.07\%$가 축적되어 CLA는 다른 지질성분과 함께 어체내 대사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럭의 성장도, 사료효율, DHA/EPA 비, n-3/n-6 PUFA 비, 활력테스트, 혈액지수 둥을 비교하였을 때 $1.0\%$ CLA 첨가가 적절한 첨가량인 것으로 생각된다.

Trans 지방을 첨가한 찹쌀보리빵의 섭취가 건강한 성인의 혈장 지질수준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xy Barley Bread with Trans Fat on the Lipid Profile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Healthy Korean Adults)

  • 노경희;이영은;장지현;신진혁;이미옥;이경식;이승환;김도훈;박용규;조경환;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353-1361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건강한 성인 남녀(남자 29명, 여자 10명) 39명을 대상으로 trans 지방산 3.75 g을 각각 첨가한 찹쌀보리빵과 밀빵의 섭취가 혈중 지방산 조성과 지질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군은 밀빵 군(19명)과 찹쌀보리빵 군(20명)의 2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장기(6주) 임상시험으로 시행하였다. 밀빵 군은 밀가루 80 g에 trans 지방산 3.75 g을 첨가한 밀빵을, 찹쌀 보리빵 군은 $\beta$-glucan 5%를 함유한 찹쌀보리가루 40 g과 밀가루 40 g에 trans 지방산 3.75 g 첨가하여 찹쌀보리빵을 조제하여 제공하였다. 찹쌀보리빵을 섭취한 군에서는 섭취기간이 증가할수록 C18:3c,n-9 지방산을 제외한 지방산들의 농도가 낮아졌으며 특히 섭취 6주경과 후에서는 C16:0, C18:1t, C18:1c, C18:2t와 C18:2c의 농도는 밀빵을 섭취한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밀빵을 섭취한 군에서 섭취기간이 증가할수록 C18:1t, C18:2c, C18:2t의 농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C18:0, C18:1c, C18:3c,n-9과 C18:3c,n-3의 농도는 감소하였고 C16:0와 C18:2c의 농도는 증가 후 일정수준을 유지하여 6주경과 후에서는 섭취 전보다 현저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P/M/S 비를 보면 섭취4주까지 두 군 모두에서 다가불포화지방산의 비가 증가한 반면 섭취 6주경과 후에서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일불포화지방산의 비는 찹쌀보리빵 군에서는 감소하는 추세이나 밀빵 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혈중 trans 지방산을 비롯한 포화지방산 농도가 낮은 수준이었으며 또한 찹쌀보리빵의 섭취는 밀빵의 섭취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 농도와 TG/HDL-C의 비를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찹쌀보리에 함유된 $\beta$-glucan이 trans 지방의 체내 흡수율을 저하시키거나 흡수속도를 느리게 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에서 가공식품으로부터 공급되는 trans 지방의 체내 농도를 저하시키고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밀가루 보다는 찹쌀보리를 활용한 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들기름, 옥수수기름의 섭취와 2-Acetylaminofluorene 투여가 지질과산화물 및 PG $E_2$ TX $B_2$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ake of Perilla oil or Corn oil and 2-Acetylaminofluorene Treatment on Lipid Peroxidation PG $E_2$ and TX $B_2$ Productions in Rats)

  • 곽충실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5호
    • /
    • pp.351-359
    • /
    • 199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perilla oil or corn oil on lipid peroxidation and eicosanoid productions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promotion of carcinogenesis. in liver or blood in rats. Male Sprague-Dawley8 weaning rats were fed on semisynthetic diets containing 15%(w/w) beef fat(BF). corn oil(CO) or perilla oil(PO) Three weeks after the half of rats in each diet group were injected with a single dose of 50mg 2-acetylaminofluorene (AAF)/Kg BW hepatocarcinogen intraperitoneally 3 times at 2-day interval and all of the rats were sacrificed after 8 weeks from the first injection. The rats fed on different dietary fats without 2-AAF treatment had not different MDA produc-tion and conjugated diene content in liver microsome. CO+AAf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conjugated diene content than BF+AAF and PO+AAF groups. and lower glucose-6-phospha-tase activity than BF+AAF group But PO+AAF had similar conjugated diene content to BF+AAF group and significantly lower MDA production than BF+AAF and CO+AAF groups. The hepatic mocrosomal lipid peroxidation was slightly greater in CO group than in PO group though perilla oil(P/S=9.67) has much mor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than corn oil(P/S=2.92) PG E2 level in liver and TX B2 level in plasm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 group than in BF and PO groups. TX B2 level was lowered in CO and BF groups by 2-AAF treatment. These results reach to the contclousion than the type of dietary fatty acid as well as the P/S ratio has effect on hepatic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and eicosanoid production and perilla oil or linolenic acid(n3) might be less effective on lipid peroxidation or PG E2 and TX B2 mediated tumor promotion than corn oil or linoleic acid(n6).

  • PDF

선단무산소조를 이용한 영양소제거공정(Bio-NET)의 질소·인 제거 특성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Characteristics of a New Biological Nutrient Removal Process with Pre-Denitrification by Pilot Scale and Computer Simulation Program)

  • 오영기;오성민;황연상;이경수;박노연;고광백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1-132
    • /
    • 2000
  • TCODcr 380mg/L이며 TKN이 65mg/L, TP 12mg/L가량인 도시하수의 질소, 인 제거를 위하여 $13{\sim}28^{\circ}C$에서 선단무산소조를 설치한 영양소제거공정(Bio-NET)을 $10m^3/d$ 규모의 pilot plant를 설치하여 내부반송율과 SRT를 변화시켜 운전하여 질소, 인 제거 특성을 살펴 보고 이를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사한 결과를 상호 비교하였다. SS, CODcr의 경우 각각 94%, 87%의 제거효율을 안정적으로 보였으며, 질소의 경우 52%~89%로 평균 75%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또한 인의 경우 안정적으로 평균 90% 이상의 높은 제거효율을 보여주었다. 또한 선단무산소조에서는 유입수내에 높은 $COD/NO_3-N$가 유지되어 비탈질속도는 평균 9.04mgN/gMv/hr로 분석되었다. 인의 거동은 유입수의 SCOD부하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인용출속도는 평균 6.25mgP/gMv/hr를 보였다. 혐기조에서 비인용출속도는 평균 1.0mgP/gMv/hr를 보였고 폭기조에서 비질산화속도는 평균 2.9mgN/gMv/hr로 분석되었다. GPS-X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델의 내부인자 중 종속영양미생물군의 최대비중식속도, 인의 용출에 관련된 Short Chain Fatty Acid(SCFA) limit, 인의 섭취와 관련된 COD 이용당 인용출량을 반응조 특성에 맞게 보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와 pilot plant 실측치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식물성유 첨가가 In vitro 발효성상, NDF 소실율 및 지방산염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ed Vegetable Oils on In vitro Formation of Fatty Acid Soap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NDF Disappearance Rate)

  • 김동일;최정락;이윤행;이정권;정태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355-372
    • /
    • 2004
  • 식물성유 첨가시 배양시간에 따른 지방산염의 형성 정도와 발효성상 및 NDF 소실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in vitro 시험을 실시 하였다. 기질은 알팔파 건초로 하고 1) oil 무첨가구, 2) 대두유 10%첨가구 및 3) 옥수수유 10%첨가구로 하였으며, oil 첨가 수준은 기질중량 건물 기준으로 첨가하였다. 발효성상 및 NDF 소실율을 위한 시험에서는 120ml serum bottle을 사용하여 3반복 실시하여 pH, $NH_3-N$, VFA농도 및 건물과 NDF 소실율을 분석하엿다. 지방산 분획을 위한 시험에서는 60ml serum bottle을 사용하요 3반복 실시하여 NEFA, EFA 및 FAS의 형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pH는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읭적으로 감소하였고, $NH_3-N$ 농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01). 건물 및 NDF 소실율은 처리구, 배양시간 및 oil간 유의하게 차이를 보여주었다(P<0.05). 총 휘발성 지방산 농도는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01). Acetate는 시험구 모두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001), 대조구에 비해 oil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Propionate는 시험구 모두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지만(P<0.0001), 처리구 및 oil간 효과는 없었다. Oil 첨가구에서 A/P비율이 유의하게 낮아졌다(P<0.05). EFA는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001), NEFA는 EFA의 가수분해로 인하여 증가하였다. 배양시간 48시간에서는 NEFA가 양이온과 결합하여 FAS의 형성 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01). 특히 $C_{18:0)$의 FAS 형성은 배양시간 48시간에서 대두유 및 옥수수유 첨가구에서 각각 12.53 및 15.17mg/g DM으로 0시간에 비해 각각 27.5 및 32.5배 증가하였다(P<0.0001). 배양시간이 증가할수록 칼슘을 포함한 양이온 함량이 높은 알팔파가 분해되면서 양이온이 용해되어 유리된 지방산과 결합하여 지방산염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불포화지방산보다는 포화지방산이 양이온과 반응하여 지방산염을 형성하기 쉽다. 또한 $C_{16:0}$ 이상의 장쇄지방산이 주로 지방산염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배양액내에 유리된 지방산이 염을 형성하기 쉽고 oil 첨가시 발생하는 발효성상 및 NDF소실율에 미치는 부의 영향을 최소화 한 것으로 사료된다.

비선호 부위 소고기의 저온처리에 의한 품질향상 및 소고기의 숙성효과 (Quality improvement and aging effect of beef by low-temperature treatment of non-preferred parts of beef)

  • 김현경;김순철;김현진;김영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753-76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1++등급 소고기에 비해 1등급 저온처리 및 숙성기간에 따른 소고기의 품질향상 및 숙성효과를 시도하였다. 1++등급 소고기의 지방함량과 전단력은 13.03%와 114.26N이었으나, 1등급 소고기는 3.21%와 149.67N이었다. 한편, 1등급 소고기를 -26℃에서 12시간 저온처리하고 0℃에서 14일간 저온 숙성한 결과 전단력은 87.85N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전체적인 기호도, 부드러움, 다즙성, 풍미 및 씹는 질감는 향상되었다. 필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1++ 등급 소고기에서 22.17mg/100g으로 낮았으나 1등급 3개 시료에서 41.31~45.11 mg/100g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저온처리에 따른 함량 변화는 없었다. 소고기의 특정 성분으로 타우린은 30.94~34.41 mg/100g으로 소고기 등급에 따른 함량차이는 적었지만 Anserine과 Creatine은 19.68 mg/100g, 소고기 1++등급은 70.01 mg/100g으로 낮았다. 단일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로서의 올레산(c18:1)/스테아르산(c18:0)의 함량비는 1++등급 소고기는 5.29로 낮았으나 1등급 쇠고기는 6.13~6.78로 높았다. 또한 1등급 소고기는 저온처리 조건 및 숙성기간에 따른 이들 지방산의 함량비에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 -26℃에서 12시간 동안 저온 처리한 후 0℃에서 14일 동안 숙성함으로써 1등급 소고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BNR 효율개선을 위한 산 발효조 최적운전 조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 of Acid Fermenter for the BNR Performance Improvement)

  • 김효상;박종운;서정원;박철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87-595
    • /
    • 2000
  • 국내 하수처리장에 적용되는 BNR(Biological Nutrients Removal) 공정의 효율저하 원인은 유입원수의 낮은 C/N비와 탄소 (Carbon source) 부족이 가장 큰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탄소원의 효율적인 공급을 위해 1차 슬러지 산 발효조(Acid fermenter)를 이용하여 SCFAs(Short-Chain Fatty Acids) 생성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ide-stream의 산 발효조와 조합된 $A_2/O$ 프로세스를 운전하여 영양염류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산 발효조의 최대 SCFAs생성은 중온상의 SRT 4~5일에서 약 3.000mg/L(as COD), 대략 0.10~0.16 mg SCFA(as COD)/mg 1차 슬러지(as COD)로 나타났다. 또한 생성된 SCFAs의 성상비는 Acetic, Propionic, (iso)Butyric 및 (iso)Valeric이 1, 0.7, 0.5 그리고 0.6 순으로 나타났다. BNR공정의 side-stream 산 발효조 적용에 의한 영양염류 제거효율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N은 인공하수(R1)의 경우 35% 정도의 낮은 처리효율을 나타냈으나 인공 SCFA 주입(R2) 및 발효산물 투입(R3)의 경우 제거효율 74%, 76%로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hosphate 는 R1의 경우 45% 의 처리효율을 나타냈으나 R2, R3의 경우 73~74% 정도로 양호한 처리효율을 나타냈다. 이는 발효산물 및 SCFA 주입에 의해 혐기조에서 인의 방출 및 호기조에서 과잉섭취가 잘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R3의 경우 인의 방출율은 $0.34g\;PO_4-P/g$ COD로 기존 연구와 비교해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저온 배양한 L-type 로티퍼(Brachionus plicatilis)의 적정 영양강화 수온, 시간 및 영양강화제 종류 (Optimal Enrichment Temperature, Time and Materials for L-type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Cultured at a Low Temperature)

  • 유해균;변순규;최진;남명모;이해영;강희웅;이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00-507
    • /
    • 2016
  • 본 연구는 유용 냉수성 어류 등의 종묘생산 시 초기의 성장과 생존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온에서 증식할 수 있는 저온 내성을 가진 로티퍼(Brachionus plicatilis)를 배양하여, 수온 및 시간에 따른 영양강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로티퍼의 저온 배양은 $20^{\circ}C$에서 배양하던 로티퍼의 수온을 점차적으로 낮추면서 활력이 있는 개체의 선별 배양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10^{\circ}C$에서 사육하였다. 영양강화는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영양강화제인 A, S, SCV 및 SCP의 4종류를 사용하여 10, 15 및 $20^{\circ}C$의 수온에서 6, 12 및 24시간 실시하였다. 수온 $10^{\circ}C$에서 50일간 로티퍼의 증식률 실험을 한 결과 접종 밀도 $350{\pm}7.9$개체/ml에서 최종 배양 밀도는 $1,064{\pm}5.7$개체/ml로 약 3배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영양강화제에 포함된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 n3계 고도불포화 지방산인 eicosapentaenoic acid (EPA, C20:5n-3) 및 docosahexaenoic acid(DHA, C22:6n-3)는 SCP에서 각각 15.49%, 35.03 %로 높게 나타났다. 영양강화한 로티퍼의 지방산 조성은 영양강화제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EPA는 SCP가 영양강화 수온 및 시간에 관계없이 2 % 이상을 차지하여 다른 영양강화제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DHA는 S가 $15^{\circ}C$, 24시간 실험구에서 12.40 %로 높게 나타났다. 영양강화 로티퍼의 EPA와 DHA의 비율을 고려하면 S를 $20^{\circ}C$에서 12시간 영양강화한 실험구가 각각 3.09, 11.65 %로 높게 나타났다.

현미 급여가 육계의 도체 및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Brown Rice on the Carcass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en)

  • 채현석;황보종;안종남;유영모;조수현;이종문;최양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65-170
    • /
    • 2004
  • 본 연구는 현미 급여에 대한 닭고기의 도체 및 육질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육계 대조구 사료(T1)에서 옥수수를 현미로 50% 대체한 대조구 사료(T2)와 100% 현미(T3) 대체구로 구분하여 사육하고, 도축 후 닭고기의 육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도체 무게는 대조구 사료만 급여하였을 때보다 현미급여 수준을 증가시켰을 때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부분육에서 가슴살 생산율은 대조구 사료 및 100% 현미 대체구에서 17.3~17.9%를 나타낸 반면, 50% 현미 대체 대체구는 18.6%로 생산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육색에서 명도(L*)는 대조구 사료만 급여하였을 때보다 현미 급여수준을 높였을 때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황색도(b*)도 대조구 사료 급여구가 8.25, 50% 현미 대체구 4.84, 100% 현미 대체구 4.47으로 현미 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 < 0.05). 전단력은 대조구사료만 급여했을 때보다 현미 급여수준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열감량은 대조구 사료에서 22.90%, 50% 현미 대체구 23.49%, 100% 현미 대체구 24.50%로 현미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지방산 조성에서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 $C_{18:2}$, n6) 함량은 대조구 사료 급여구가 33.21%, 50% 현미 대체구 31.89%, 100% 현미 대체구 27.89%로 현미 급여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P < 0.05), 불포화지방산 총량(UFA)은 대조구 사료 급여구가 76.85%, 50% 현미 대체구 77.22%, 100% 현미 대체구 75.49%로 나타났으며, n6/n3의 비율에서는 대조구 사료 급여구의 경우 19.89%로 비교적 높았고, 현미 50% 대체구 17.73%, 현미 100% 대체구 17.01%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체무게, 육색, 전단력, 지방산등을 고려할 때 현미 급여 수준을 대조구사료의 옥수수를 50%까지 대체하여도 닭고기 품질을 저해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다.

게 페이스트 첨가 패티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tty with Red-Tanner Crab (Chionoecetes japonicus) Paste)

  • 허민수;최승걸;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37-142
    • /
    • 2005
  • New types of patties were prepared with surimi and crab paste, and then characterized. With an increase of additional ratios of crab paste, the moisture (64.8 to $61.5\%$) of the patties slightly decreased while the ash contents (2.3 to $3.7\%$) increased. The Hunter's color values of the patties decreased in lightness (L value, 58.79 to 54.27) but increased in redness (a value, -2.77 to 3.54). Thus, the patties that had added crab paste appeared slightly more reddish.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additional ratios of crab paste, sensory scores on color and flavor increased whereas the texture score decreased. From the above results, based on phys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the desirable additional ratio of crab paste for preparing patty was $15\%$. The calcium and phosphorus contents of the patties with the addition of $15\%$ crab paste were 148.8 mg/100 g and 139.6 mg/100 g, respectively, and their ratio (approximately 1:1) was the optimal range in body absorption efficiency. The calcium absorption rate with the $15\%$ additions was 4.9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patty with no additions. Total amino acid content (16,302 mg/100 g) of the $15\%$ additions showed no difference to the patty without additions,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and lysine. Exceptionally, the cysteine content of the patty with the $15\%$ crab paste additions was 2 times higher than that found in the patty without crab paste. The major fatty acids were 16:0, 18:1n-9 and 18:2n-6 of the total lipid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patties with and without crab paste.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crab paste can be used as a crab surimi gel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