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therapists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5초

음악요법에 관한 연구 (The Literature Review of Music Therapy in the United States)

  • 이원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45-261
    • /
    • 2000
  • Based on the literature, status and role the music therapist in America was reviewed for this study. The process of developing a music therapy program in America suggests to us many things: In America, music therapists have sustained a mutually beneficial status with their clients for, over fifty years. Excellence in academic education and clinical training enable music therapists to continue to provide quality music therapy. The magnitude of change in to music therapy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creates the challenge of providing real access to music therapy continues in the future. Music therapy is the use of music in the accomplishment of therapeutic aims: the restoration,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mental and physical health. Music therapists work with individuals of all ages who require special services due to behavioral. social. learning, or physical disabilities. Employment may be in hospitals, clinics, day care facilities, schools,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substance abuse facilities, nursing homes, hospices, rehabilitation centers, correctional facilities, or private practices. The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AMTA) was founded in 1998 as a result of a union between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 (founded in 1971) and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founded in 1950). Music therapists are highly qualified professionals who have completed approved degree programs and had clinical training in order to receive Board Certification(MT-BC), with the designation of Registered, Certified, or Advanced Certified Music Therapist(RMT. CMT - or ACMT). AMTA provides several mechanism for monitoring the quality of music therapy programs: Standards of Practice. a Code of Ethics, a system for Peer Review, a Judical Review Board, and an Ethics Boa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were as follows: 1. It is concluded that music therapy as a nursing intervention can be effective for the clients. 2. It is a great challenge to develope a music therapy program for nursing intervention however, it is also task and responsibility to further the development of nursing.

  • PDF

음악치료사의 임상불안과 대처방안에 대한 연구 (Clinical Practice-Related Anxiety and Coping Strategies in Music Therapists)

  • 이지연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8권2호
    • /
    • pp.1-20
    • /
    • 2011
  •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임상불안과 대처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국음악치료사협회의 음악치료사 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측 설문을 제외한 총 81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음악치료사의 임상불안은 관계불안, 연주불안, 수행불안 순으로 나타났다. 관계불안에서는 내담자의 비협조적 반응과 태도, 연주불안에서는 즉흥적 음악 제공, 수행불안에서는 기관담당자의 세션 참관이 불안요인으로 나타났다. 임상불안 대처방안에서 수행불안에 대한 대처방안은 치료사 스스로 불안의 요인에 대하여 생각하기, 관계불안에 대한 대처방안은 내담자의 행동수정 요구하기, 연주불안에 대한 대처방안은 세션에 사용할 음악을 연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음악치료사가 경험하는 임상불안과 대처방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치료사로서 성장하고 임상에서 직면하게 될 여러 과제들에 대하여 적응적이고 융통성 있게 대처하며 치료적 임상을 수행하는데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IPA를 활용한 음악치료사의 내담자 개인정보보호의 인식도와 실천도 분석 (Personal Information Recognition and Practice of Music Therapists through IPA Tool)

  • 이규희;윤영미;조미란;김하영;류황건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3-110
    • /
    • 2020
  • Objective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ethical education direction by analyzing the personal information recognition and practice of music therapists. Methods: For the analyses, we selected 60 music therapists who answered a questionnaire from members of K Music Therapy Association, and analyzed task recognition and practice ask performance using IPA method. Results: In the IPA table, the areas of high recognition and practice (1) are the area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formation management. In the IPA table, the areas of low awareness and high practice (2) are areas of privacy communication for those who have completed ethics education. In the IPA table, the areas of low awareness and low practice (3) are areas of privacy communication when ethics education is not completed. In the IPA table, areas of high awareness and low levels of practice (4) are areas of privacy protection. Conclusions: Continuing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 curriculum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or music therapists, thereby raising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privacy.

음악치료사의 목소리 사용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f Music Therapist's Experiences of Using Voice)

  • 신진희;소혜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55-167
    • /
    • 2019
  •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들의 목소리 사용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이와 관련된 경험에 대하여 자세히 진술해줄 수 있는 음악치료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임상에서의 목소리 사용으로 인한 다양한 감정촉진', '치료사의 개인적 성향에 따른 목소리 사용', '치료적 목적을 위한 목소리 사용', '목소리 사용으로 인한 내담자와의 긍정적인 음악적 경험', '음악치료 도구로서의 목소리 사용의 어려움', '만족스럽지 않은 목소리의 변화 시도'로 총 6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음악치료사들은 음악치료 안에서 노래 부르기 혹은 즉흥적 노래를 통해 내담자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개인적인 이유로 목소리 사용에 있어서 어려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고 설명하였으며 다양한 자기작업을 통해서 목소리 사용을 확장하고 더 나아가서 자신의 변화와 성장을 실현하고자 하였다고 진술하였다.

2014년 보건복지부 지정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음악치료 현황 (The Current Status of Music Therapy Centered on 54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4)

  • 김은정;최윤선;김원철;김경숙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3권1호
    • /
    • pp.19-4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부에 의해 지정된 54개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음악치료에 대한 수치 기반의 현황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54개 기관의 코디네이터에게 E-mail로 설문지를 발송하여 총 47개 기관(87%)의 음악치료사와 코디네이터로부터 E-mail과 우편으로 회신을 받았다. 조사기간은 2014년 10월 30일부터 12월 5일까지였으며, 음악치료사 대상 설문지는 근무조건/처우, 음악치료 환경, 진행 및 개인역량 등 총 6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코디네이터 대상 설문지는 각 기관의 음악치료 시행 여부 및 코디네이터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음악치료의 현황과 개인정보 등 총 2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47개 기관 중 음악치료 시행 기관은 22개 기관(46.8%)이었으며, 음악치료사 28명 가운데, 음악치료를 전공한 음악치료사는 19명(67.9%)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세션 준비, 수행, 평가와 관련해 음악치료를 진행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갖추어져 있는지를 묻는 문항에 대해 음악치료사(M = 3.43, SD = 0.96)와 코디네이터(M = 2.73, SD = 0.77)의 응답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 국내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서의 음악치료는 현재 시행 기관이 많지 않고 환경이 열악하지만,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 결과를 볼 때 향후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서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에서의 음악치료 현황에 대한 최초의 정량적, 통계적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신경질환 환자들과 음악치료사들을 위한 음악치료 관련 문헌 추천 방법론 제안 (Document Recommendation for Music Therapists and Patients with Neural Disorders)

  • 강근영;김문의;박래은;양은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년도 제24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32
    • /
    • 2017
  • Music therapy has been proved to be effective in treatment of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usic therapy techniques on symptoms of a given disease but there has been no efforts in classifying those studies by specific symptoms of diseases, although patients, caregivers and music therapists have difficulty in discovering documents that they need to treat certain diseases. Thus, in the study, we propose a method to group music therapy-related publications by the music therapy techniques mainly used for a given disease. We expect that it will help music therapists and patients to find papers to help them to cure a specific disorder.

  • PDF

음악과 심상 세션에서 내담자-치료사간 상호 성장의 과정: 치료사의 관점에서 (Mutual Maturity Process between Client-Therapist in Music and Imagery Session: Therapist's Point of View)

  • 김경숙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9권2호
    • /
    • pp.35-52
    • /
    • 2012
  • 본 연구는 음악과 심상 음악치료의 과정에서 치료사와 내담자간의 상호 성장의 경험을 치료사의 관점에서 조망하고자 하였다. 치료사-내담자 간의 상호 성장의 과정을 치료사의 관점으로부터 심층 인터뷰를 통해 질적 자료를 취합하였으며, 이를 근거이론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음악과 심상 치료사가 느끼는 '상호 성장 경험(the experience of mutual maturity)'은 어떤 과정이며, 그 경험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이다. 상호 성장 경험과 관련하여 치료사들은 반구조화된 심층인터뷰를 통해 상호 성장에 대한 개인적 정의와 그 예들, 상호 성장 경험에 관한 통찰과 깨달음, 상호성장 경험의 의미와 해석에 관하여 대답하였다. 본 연구의 인터뷰에 참여한 4명의 치료사들은 Lisa Summer가 인증하는 음악과 심상치료사(MIT, Music & Imagery Therapist)의 자격을 획득한 음악과 심상치료사이며, 현재 GIM(Guided Imagery & Music) 훈련과정에 있다. 분석된 심층 인터뷰의 내용은 개방 코딩의 결과 총 81개의 개념들이 추출되었고, 이들 개념들은 20개의 하위범주로 나뉘었으며, 축코딩을 통해 9개의 범주로 정리되었다.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에 입각하여 분석된 범주들로부터 음악과 심상 치료사들의 성장 과정이 도출되었는데, 결론적으로 내담자-치료사 간 상호 성장 경험에서 '역전이를 다루는 것'은 중심현상을 이루고 있다. 역전이를 작업한 결과로서 치료사들은 자신에 대한 앎과 수용을 넓혀 스스로의 성장을 경험하며, 다른 한 축으로는 치료사로서의 유능감을 확인받아, 내담자의 성장을 이끈다고 하겠다.

음악치료에서의 음악테크놀로지 활용 (Use of Music Technology in Music Therapy)

  • 박예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2권2호
    • /
    • pp.61-7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사의 컴퓨터를 기반으로 음악테크놀로지 활용 현황과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조사를 위해 전문 자격증을 소지한 음악치료사 367명에게 온 오프라인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이 중 101부가 회수되었고 미완성되거나 대상자 기준에 맞지 않는 50부를 제외한 61부를 최종 분석 하였다. 설문 문항은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음악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현황, 인식, 치료사의 의견으로 구성되었다. 음악치료에서 음악테크놀로지의 활용현황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응답자 중 65.6%(40명)가 세션 내 음악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경험이 있으며, 활용비율이 높은 음악테크놀로지의 종류는 피날레, 가라지밴드, 큐베이스 순으로 조사 되었다. 음악테크놀로지의 적용 현황을 살펴보면 음악 혹은 정서영역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주로 사용하며, 음악 자원으로 적용하는 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대부분의 음악치료사들이 음악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기술 습득에 대한 필요성이 확인 되었다. 이 외에도 음악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다양한 의견이 취합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치료 임상현장에서 음악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현황과 이에 대한 인식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보다 효과적인 음악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를 갖는다.

직업전문성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인식 (Music Therapists' Perceptions on Professionalism)

  • 최주애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3권2호
    • /
    • pp.31-48
    • /
    • 2016
  •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에 대한 인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설문 참여에 동의한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전체 210부의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한 후 98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미완성된 응답을 제외한 78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음악치료사의 기본 정보 10문항, 전문성 인식 27문항으로 전체 3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 음악치료사들은 직업전문성에 대해 높은 인식 수준을 가지고 있는 반면, 직업전문성 하위영역 중 사회적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점수가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직업전문성 인식 점수를 교육정도에 따른 집단 간 비교 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직업전문성 인식 점수와 경력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사 전문성에 대한 자기평가는 대체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음악치료사가 전문성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개인적 측면과 관련한 답변이 가장 많았다. 본 결과를 통해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 인식이 개인적 측면 외에도 조직적, 사회적 측면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교육과정 내에서 높은 수준의 음악치료 교육이 전문성에 대한 인식 수준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음악치료사들의 전문성 인식 결과를 통해 음악치료사의 지속적인 전문성 강화 방향과 전문성 관리를 위한 재교육의 필요성의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가정방문형 음악치료 서비스에 대한 음악치료사 인식의 융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Perception of Music Therapists of Home-visiting Music Therapy Service)

  • 김주은;박혜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77-8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방문형 음악치료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융복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음악치료대학원에 재학 중인 예비치료사와 전문 자격을 소지한 음악치료사 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정방문형 음악치료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는 기존 가정방문 서비스에 비해 다소 낮았으나, 필요성과 기대효과에서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둘째, 운영방안에서는 국가공공기관이 주체가 되어 주2회 40분씩 진행하는 것의 비중이 높았다. 셋째, 자격증 소지 여부와 가정방문형 음악치료 서비스 세션 제공 경험 유무에 따라 해당 서비스에 대한 현황과 기대효과의 소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가정방문형 치료서비스가 음악치료의 한 분야로 활용되는 데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이를 토대로 실질적인 서비스 도입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